KR100754414B1 - porta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4414B1 KR100754414B1 KR1020060026481A KR20060026481A KR100754414B1 KR 100754414 B1 KR100754414 B1 KR 100754414B1 KR 1020060026481 A KR1020060026481 A KR 1020060026481A KR 20060026481 A KR20060026481 A KR 20060026481A KR 100754414 B1 KR100754414 B1 KR 100754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b
- display unit
- subframe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브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휴대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일방의 면에,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서브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서브틀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이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는 서브폐쇄상태와, 상기 서브틀체의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병렬로 되는 서브개방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폐쇄상태인 때,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서브개방상태인 때,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can normally use only one display unit, can open and view the sub display unit as necessary, and can provide a compact and lightweight device that does not impair operability and handleability.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display body for forming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or an image on one surface of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or an image. In one frame, a subframe body having a subdisplay unit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subframe state is overlapped with the display unit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unit of the subframe unit is parallel to the display unit. Forming a sub-open state, and when the sub-closed state is established, It indicates the unit, when in the sub-opening state,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information as part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서브디스플레이부, 소형경량, 서브틀체, 서브폐쇄상태, 서브개방상태 Sub-display section, light weight, sub frame, sub closed state, sub open state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면으로, (a)는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개방상태에서 있어서 서브폐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c)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a closed state, (iii) shows a sub closed state in the open state, and (c ) Is a diagram showing a sub-open state.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서브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hinge sub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개방상태에서 있어서 서브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개방상태에서 있어서 서브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d)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사시도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ub-closed state in the open state, and (iii) shows a sub-closed state in the open state. It is a perspective view, (c) is a front view which shows a sub open state, (d) is a front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sub open state.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ub-open state, and (i)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open state.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서브폐쇄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는 서브틀체를 개방시킬 도중의 정면도 이고, (c)는 서브개방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showing a sub-closed state, (i) is a front view during the opening of the sub-frame, and (c) is a sub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an open state.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결합돌출부유니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분해단면도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and (iii)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휴대전화기 2:제1틀체1: cell phone 2:
3: 제2틀체 4:디스플레이부3: second frame 4: display unit
5: 좌서브틀체 6: 우서브틀체 5: Left subframe 6: Right subframe
7: 좌서브디스플레이부 8: 우서브디스플레이부7: Left sub display unit 8: Right sub display unit
9: 개폐서브기구 11: 개폐힌지기구9: open / close sub mechanism 11: open / close hinge mechanism
12: 결합돌출부 15: 결합돌출부유니트12: coupling protrusion 15: coupling protrusion unit
41: 힌지서브기구 42: 연동기구41: hinge sub mechanism 42: interlock mechanism
43: 로크기구 50: 좌힌지유니트43: lock mechanism 50: left hinge unit
60: 우힌지유니트 70: 연결유니트60: Wuhinji Unit 70: Connection Unit
71: 연결기어71: connecting gea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enlarg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s well as improving operability and handling.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 등을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고, 이들의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힌지장치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중첩구조의 휴대전화기가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그 중첩구조의 휴대전화기는, 제1틀체의 상면후부에 대해 제2틀체가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틀체의 상면의 송화부에 제2틀체를 중첩시키고 밀착시켜 송화부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중첩상태(폐쇄상태)를 해제하여 그 송화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상은,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된 폐쇄상태에서 송화부가 폐쇄되여 있기 때문에, 송화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방의 손으로 제1틀체를 잡고, 타방의 손으로 제2틀체를 잡아 송화부가 노출하도록(송화부로부터 제2틀체의 하면이 이격하도록) 그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송화부를 노출시킨 개방상태로 하여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 mobile phone, which is a kind of mobile device, has a first frame as a talker provided with a keyboard, a microphone, and the like, and a second frame as a receiver provided with a display, a speaker, and the like. Mobile phones having an overlapping structure in which second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device in a rotatable manner are shipped to the market. The mobile telephone of the superimposed structur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by a hinge device with respect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It is possible to close the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overlapped state (closed state) to expose the sender. That is, normally, since the conversation part is closed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1st frame body and the 2nd frame body overlapped, in order to expose a conversation part, for example, one hand grasped the 1st frame body, By holding the frame and rotating the secon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so that the talker is expose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talker), the use of the mobile phone is made 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talker is exposed. It becomes possible.
근년, 휴대전화기로서는, 통화기능이외에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한 기능, 게임기능, 텔레비전기능 등의 다종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것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는, 제2틀체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크기로는, 문자나 화상등의 정보를 충분히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시도되어 왔지만, 제2틀체의 일방의 면전체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다고 하여도, 화면크기에는 한계가 있고, 문자나 화상등의 정보를 충분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한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다수, 예를 들면 2개의 액정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휴대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 공지문헌으로서, 일본국특개 2001-175609호 공개 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have been shipped to the market with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 function using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the Internet, a game function, and a television function,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Such a mobile phone may not be able to sufficientl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images on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Therefore, attempts to increase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as much as possible have been attempted, but even if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on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the screen size is limited, and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or an image is sufficiently displayed. In some cases it was not possible. For this reason, a mobile telephone having a large number of, for example, two liquid crystal display units has been proposed. As this well-known document, what w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77 Unexamined-patent publication can be mentioned.
그 특허문헌1에 기재되여 있는 휴대전화기는,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2개의 액정디스플레이부가 어느 것도 노출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다. 즉, 제2틀체에 설치된 제1액정디스플레이부는 덮개체에 의해 ??쇄된 상태이고, 그 덮개체의 이면에 제2액정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다. 그 때문에, 제1액정디스플레이부를 보려고 하면, 반드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제2액정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덮개체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고, 그 덮개체 결국 제2액정디스플레이부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동작이 가해지므로,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 아니한 것은, 휴대전화기가 대형화 또한, 중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버리고, 소형경량이라고 하는 휴대전화기에 필요한 특징이 희생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The mobile telephone described in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서브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hat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display unit normally, and to open and view the display unit of the sub as necessary, as well as small and light weight and operability. It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does not impair handle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로 구성되고,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일방의 면에,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의 측면에, 서브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서브틀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이면측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중첩하는 서브폐쇄상태와, 상기 서브틀체의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동일면에서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폐쇄상태와 서브개방상태인 때에 상기 서브틀체를 로크시킬 수 있는 로크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서브폐쇄상태인 때,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개방상태인 때,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and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and an image on one surface of one of the frame bodies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a portable devic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isplay unit, a side of the frame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is provided so as to open and close a subframe body having a subdisplay unit, and the subframe body overlaps the display unit as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unit. A locking mechanism capable of locking the subframe body in a sub-closed state and a sub-opening state in which the sub-display portion of the sub-frame body is parallel to the display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portion. Install the device,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n the sub-closed stat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unit.
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서브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서브틀체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서브틀체가 디스플레이부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와 중첩시키는 서브폐쇄상태와, 서브틀체의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부와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를 형성하고, 서브폐쇄상태인 때,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서브개방상태인 때,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서브폐쇄상태인 때, 디스플레이부는 서브틀체에 의해 폐쇄됨이 없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른 동작예를 들면 서브틀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동작을 할 것없이,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서브폐쇄상태인 때, 서브틀체가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와 중첩되어 있으므로, 서브틀체가 지장으로 되는 일 없이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서브틀체를 개방하여 서브틀체의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부와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로 하는 것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브의 디스플레이부 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frame body having a subdisplay uni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a fram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and the subframe state in which the subframe body overlaps the display unit as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unit of the subframe unit To form a sub-open state parallel to the display, and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or an image on the display when in the sub-closed state, and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character or an image on the display and the sub-display unit in the sub-open state. 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sub-closed state is exposed, the display unit is exposed without being closed by the sub-frame body, and thus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images without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for example, to open the sub-frame body. It is possible to display in wealth. In the sub-closed state, since the subframe overlaps the fram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or the like without disturbing the subframe. In addition, the subframe is opened so that the subdisplay section of the subframe is in a subopen state parallel to the display section, whereby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by the display section and the subdisplay s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display unit in normal times, not only to open and view the display unit of the sub as necessary, but also to reduce operability and handling while being compact and lightweight.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의 양측부에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2개 설치되고, 이들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의 타방의 면으로 각각 절첩되어 상기 서브폐쇄상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상기 2개의 서브틀체의 어느 일방의 서브틀체를 이동시킨 때, 그 이동에 수반하여 어느 타방의 서브틀체가 연동하여 이동하는 연동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고정된 제1샤프트와, 그 제1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서브틀체의 어느 일방의 서브틀체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고정된 제2샤프트와, 그 제2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서브틀체의 어느 타방의 서브틀체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설치부재에 고정되는 제1치차와, 상기 제2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설치부재에 고정되는 제2치차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치차에 교합되는 제1연결치차 및 상기 제2치차에 교합되는 제2연결치차를 지니는 연결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f the subframes are rotatably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ram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se subframes ar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closed state is formed by being folded into the other surface of.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the two sub-frame bodies is moved to the fram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the other sub-frame body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interlock mechanism. In addition,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mechanism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shaft fixed to the fram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shaft, and includes any one of the two sub-frame bodies. A first mounting member provided on the subframe body, a second shaft fixed to the frame body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and a second shaft fixed to the second shaft body, and rotatably mounted on any other subframe body of the two subframe bodies. A second mounting member, a first gea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fixed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shaft and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member. A coupling having a second gear, a first connecting tooth interlocked with the first tooth, and a second connecting tooth interlocked with the second tooth, rotatably installed in a fram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red that the configuration language.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틀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틀체와 끈형상 부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e mobile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ubframe body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rame body which provided the said display part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over, in the mobile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ubframe body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frame which provided the said display part. Moreover, in the mobile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ubframe body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frame body which provided the said display par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of the said display part about an axis. Moreover, in the mobile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ubframe body is connected by the frame body which provided the said display part, and the string memb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의하면, 서브폐쇄상태인 때, 다른 동작예를 들면 서브틀체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동작을 할 것없이,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서브폐쇄상태인 때, 서브틀체가 지장으로 되는 일 없이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서브틀체를 개방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브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b-closed state,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ithout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for example, to open the sub-frame. At the same time, when in the sub-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or the like without disturbing the subframe, and to open the subfram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display unit, to open and view the display unit of the sub as necessary, and to reduce the light weight and operation and handl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 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서브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도1∼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로 되고, 이들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의 일방의 면에,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를 설치한 것이다. 1 to 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which i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hinge sub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 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개폐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obile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obile phone, a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Zaurus (trademark), a consignment, a pocket computer, a mobile game machine, and the like, and a mobile pho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other ashes, a case cover, etc. are contained as a portable apparatus. That is, the thing which opens and closes two frames mutually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제1틀체2는, 휴대전화기1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2a나 마이크부2b 등을 상면에 지닌다. 제1틀체2는,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는, 유사하게 휴대전화기1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4, 스피커부3a 등을 일방의 면에 지닌다. 제2틀체3는, 제1틀체2와 대략 유사하게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제1틀체2의 상면을 제2틀체3로 덮은 폐쇄상태와,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고자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개폐기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전화기1가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휴대전화기1는, 제1틀체2의 상면에 제2틀체3의 일방의 면이 서로 중첩되어 키보드부2a 등을 폐쇄함과 동시 에, 제1틀체2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3가 이동하여 키보드부2a 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order to form the closed state which covered the upper surface of the
개폐기구는, 휴대전화기1의 개폐기구로서 종래 주지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개폐힌지기구,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기구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폐기구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힌지기구11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개폐힌지기구11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설치되는 결합돌출부12와, 결합돌출부12와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설치되는 결합요홈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제1틀체2의 상면의 양단부근방으로서 선단부근방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동돌출부21가 각각 설치된다. 또, 제2틀체3의 후단부(스피커부3a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제1틀체2의 회동돌출부21, 21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상으로 회동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The opening / closing hinge mechanism 11 is coupled to the
결합돌출부12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결합돌출부유니트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출부유니트15는, 제2틀체3의 회동돌출부25의 양단부의 선단부근방의 유니트수용부3c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결합돌출부유니트15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케이스81와, 그 케이스81에 설치되는 샤프트82와, 그 샤프트82에 설치되는 제1캠83 및 제2캠84과, 제2캠84과 케이스81의 사이에 설치되는 힘작용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8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케이스81는, 유니트수용부3c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바닥있는 대략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81의 바닥부에는, 샤프트82가 관통되는 관통공81a이 설치된다.
샤프트82는, 예를 들면,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82의 선단부는,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부82a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82의 후단부근방의 외주에는, E링설치부82b가 설치되고, 샤프트82의 후단부를 관통공81a에 관통시켜 케이스81의 바닥부로부터 와셔88를 개재하여 노출시킨 E링설치부82b에 E링89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82가 케이스81에 고정된다. The
제1캠83은, 예를 들면, 케이스81와 대략 유사하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캠83은,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샤프트82가 관통하는 관통공83a이 설치된다. 그 관통공83a은, 샤프트8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서 플랜지부82a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 예를 들면 샤프트8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캠83의 선단면에는, 예를 들면, 샤프트82의 플랜지부82a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부83b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설치시, 샤프트82의 선단면과 제1캠83의 선단면이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제1캠83의 후단이면(제1캠이면라고도 함)에는, 예를 들면, 캠돌출부86 가 2개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86는, 180도 간격으로 제1캠이면에 설치된다. 즉, 2개의 캠돌출부86는 대칭으로 제1캠이면에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86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캠돌출부86사이의 캠이면(캠돌출부이외의 캠이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rear end of the first cam # 3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cam), two
제2캠84은, 제1캠83과 같이, 예를 들면, 케이스81와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캠84은,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샤프트82가 관통하는 관통공84a이 설치된다. 그 관통공84a은, 샤프트8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칫수, 예를 들면 샤프트8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84의 양측부는, 케이스81의 삽입부81b과 결합하여 제2캠84의 샤프트82의 축주위의 회전이 방지되고, 제2캠84이 샤프트8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Like the
제2캠84의 제1캠83측의 면(제2캠이면이라고도 함)에는, 예를 들면, 캠돌출부86와 각각 결합하는 캠요홈부87가 4개 설치된다. 4개의 캠요홈부87중의 2개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제2캠이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0도 및 180도로 2개의 캠돌출부86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머지의 2개의 캠요홈부87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제2캠이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150도로 2개의 캠돌출부86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캠요홈부87이외의 제2캠이면 은,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캠84의 나머지의 면(힘작용면이라고도 함)은,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힘작용면과 케이스81의 바닥부의 사이에는, 힘작용수단이 설치된다. On the surface (also called the second cam back surface) of the
힘작용수단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85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85은, 예를 들면, 샤프트82의 외주에 장착되고, 일단부가 제2캠84의 힘작용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케이스81의 바닥부에 접촉되어, 제2캠84을 제1캠83에 가압하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캠83と제2캠84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각각 크게 되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그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force acting means is, for example, compression
이와 같은 결합돌출부유니트15가 회동돌출부25의 유니트수용부3c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에 의해, 회동돌출부25의 측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제1캠83만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결합요홈부13는, 제1틀체2의 각 회동돌출부21의 내면(회동돌출부21가 대향하는 측의 면)에 설치된다. 이들의 결합요홈부13는, 제1캠83이 삽입하는, 예를 들면, 단면 대략 긴 원형상의 요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결합요홈부13에는, 유니트수용부3c에 삽입되어 수용된 결합돌출부유니트15의 제1캠83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0도∼180도의 각도의 범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의 각도라 함은, 제1틀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제2틀체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의 각도(회동각도라고도 함)이다. The
그 각도가 0도인 때에, 제1틀체2의 상면이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4 를 지니는 면으로 덮여진 폐쇄상태를 형성한다. 그 폐쇄상태로부터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중간의 개방상태이다. 더욱 중간의 개방상태로부터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켜 회동각도가 180도로 되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전부 개방의 개방상태이다. 또, 결합돌출부유니트15를 제2틀체3에 설치함과 동시에 결합요홈부13를 제1틀체2에 설치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도록 하였지만, 결합돌출부유니트15를 제1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결합요홈부13를 제2틀체에 설치하여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0도라고 하는 때에는, 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50도라고 하는 때에는, 15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80도라고 하는 때에는, 18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When the angle is 0 degrees,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는, 도1∼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를 설치한 제2틀체3에, 서브디스플레이부7,8를 지니는 서브틀체5,6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서브틀체5,6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4와 중첩되는 서브폐쇄상태와, 서브틀체5, 6의 서브디스플레이부7, 8가 디스플레이부4와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를 형성하고, 서브폐쇄상태인 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하고, 서브개방상태인 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와 서브 디스플레이부7, 8로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In the
서브틀체5,6은, 서브폐쇄상태에 있어서 제2틀체3의 일부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틀체는, 대략 가늘고 긴 사각형상으로서, 폭이 제2틀체3의 폭과 같은 칫수던가, 짧은 칫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길이방향의 길이)가 제2틀체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틀체3에는, 서브틀체수용부3b가 설치되고, 그 서브틀체수용부3b에 서브틀체5,6이 수용되는 것에 의해, 서브틀체가 제2틀체3의 일부로 되도록 되어 있다. The
서브틀체는, 제2틀체3에 1개 또는 2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틀체가 1개인 경우에는, 서브틀체의 폭이 제2틀체3의 폭과 같은 칫수거나 약간 짧은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틀체가 2개의 경우에는, 서브틀체의 폭은제2틀체3의 폭과 같은 칫수거나 약간 짧은 칫수(제1칫수라고도 함)로 형성되어 도 좋고, 제2틀체3의 폭의 1/2의 칫수거나, 1/2의 칫수보다 약간 짧은 칫수 (제2칫수 라고도 함)로 형성되어도 좋다. 서브틀체가 2개인 경우로서 서브틀체의 폭이 제1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서브틀체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에 중첩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브틀체5,6이 2개인 경우로서 서브틀체5,6의 폭이 제2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서브틀체5,6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에 병렬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two subframe bodies are provided in the
서브틀체5,6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4와 중첩되는 서브폐쇄상태(도1(a), (b) 및 도3참조)와, 서브틀체5,6의 서브디스플레이부7,8가 디스플레이부4와 병렬로 되는 서브개방상태(도1(c))를 형성하고자 제2 틀체3와 서브틀체5,6가 개폐서브기구9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있다.
개폐서브기구9는, 예를 들면, 도1∼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체3와 서브틀체5,6,91를 제2틀체3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고(힌지서브기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틀체92를 제2틀체3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 그 경우, 서브틀체92는, 제2틀체3내의 서브틀체수용부에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제2틀체3와 중첩하여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개폐서브기구9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체3와 서브틀체93를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4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축94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체3와 서브틀체95,96를 끈 형상부재97로 연결하여도 좋다. 개폐서브기구9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서브기구41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1∼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틀체로서 폭을 제2칫수로 형성한 2개의 서브틀체5,6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경우,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4가 설치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2개의 서브틀체5,6가 동일평면상에 병렬로 각각 절첩되게 수용되어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5, the opening / closing sub mechanism #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힌지서브기구41는, 제2틀체3와 서브틀체5,6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2개의 서브틀체5,6의 어느 일방의 서브틀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4에 대해 좌측의 서브틀체(좌서브틀체5라고도 함)를 회동시킨 때, 그 회동에 수반하여 2개의 서브틀체5,6의 어느 타방의 서 브틀체(우서브틀체6라고도 함)가 연동하여 회동하는 연동기구42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연동기구42와 힌지서브기구41와의 구별할 것없이 설명하다. 좌서브틀체5에는, 좌서브디스플레이부7가 설치됨과 동시에, 우서브틀체6에는, 우서브디스플레이부8가 설치된다. The
힌지서브기구41는, 예를 들면, 제2틀체3에 고정된 제1샤프트51와, 그 제1샤프트51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서브틀체5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재52와, 제2틀체3에 고정된 제2샤프트61와, 그 제2샤프트61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서브틀체6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재62와, 제1샤프트51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설치부재52에 고정되는 제1기어53(도시예에서는 베벨기어임)와, 제2샤프트61에 그 축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설치부재62에 고정되는 제2기어63와, 제1기어53에 교합되는 제1연결기어73 및 제2기어63에 교합되는 제2연결기어74를 지니는 연결기어7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힌지서브기구41는, 좌서브틀체용의 좌힌지유니트50와, 우서브틀체용의 우힌지유니트60와, 제2틀체3에 설치되는 연결유니트7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좌힌지유니트50는, 예를 들면, 케이스54와, 그 케이스54에 설치되는 제1샤프트51와, 제1샤프트51에 설치되는 제1설치부재52와, 제1샤프트51에 설치되는 제1기어53와, 제1샤프트51에 설치되는 제1캠폴로워55와, 제1캠폴로워55와 케이스5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힘작용수단5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케이스54는, 제2틀체3에 설치되는 것이고, 바닥있는 대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54의 측부에는, 케이스54가 회전하는 일없이 제2틀체3에 설치되도록 측부요홈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54의 대향하는 일방의 2개의 측부의 선단부는, 그 길이방향으로 홈진 캠폴로워요홈부54b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54의 바닥부에는, 제1샤프트51가 관통되는 관통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된다. 그 관통공은, 제1샤프트51의 직경보다 큰 직경, 예를 들면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540 is provided in the
제1샤프트51는, 예를 들면,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샤프트51의 후단부(케이스54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측의 단부)근방의 외주에는, E링45을 설치하고 제1샤프트51를 케이스54에 설치하기 위한 E링설치부51a가 설치된다. 제1샤프트51의 후단부측(특히 케이스54내에 위치되는 제1샤프트51의 위치)는, 그 대향하는 원주면의 일부를 후단부측에 각각 축방향이면서 평행하게 평면상으로 절결한 절결삽입부51b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샤프트51의 중앙부보다 선단부측에는,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부51c가 설치된다. 그 플랜지부51c의 선단측의 제1샤프트51의 기초부는, 사각형 예를 들면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51d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샤프트의 선단부근방의 외주에는, E링설치부51e가 설치된다. The
제1설치부재52는, 케이스54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1샤프트51의 플랜지부51c와 절결삽입부51b의 사이의 원형상의 미끄럼운동부51f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또한,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설치부 재52는, 예를 들면, 원판형상의 설치부재본체52a와, 설치부재본체52a의 외주면에서 돌출한 설치부52b로 된다. 설치부52b는, 예를 들면, 좌서브틀체5에 나사나 핀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52c을 구비하고 있다. 설치부재본체52a는, 예를 들면, 케이스54의 외형의 폭과 대략 유사한 칫수의 직경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재본체52a의 중앙부에는, 제1샤프트51가 관통되는 관통공52d이 설치되고, 제1설치부재52가 제1샤프트51의 미끄럼운동부51f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또한,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설치부재본체52a의 제1샤프트51의 플랜지부51c측의 면(선단면이라고도 함)의 중앙부에는, 그 선단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사각형상, 예를 들면 정방형상의 삽입부52e가 설치된다. The first mounting
또, 제1설치부재52의 나머지의 면(제1캠이면이라고도 함)에는, 예를 들면, 캠돌출부57가 2개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57는, 180도 간격으로 제1캠이면에 설치된다. 즉, 2개의 캠돌출부57는 대칭되게 제1캠이면에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57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는 아니하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캠돌출부57사이의 캠이면(캠돌출부57이외의 캠이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wo cam protrusions 57 are provided on the remaining surface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cam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502. These cam projections 570 are provided on the first cam rear surface at intervals of 190 degrees. In other words, the two cam projections 57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m symmetrically. Although the shape of these
제1캠폴로워55는, 예를 들면, 측면이 만곡상으로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캠폴로워55는,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제1샤프트51의 절결삽입부51b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관통공55a이 설치된다. 제1캠폴로워55의 양측부가 케이스54의 요홈부54b에 삽입 된 상태에서 제1샤프트51에 설치되고, 제1캠폴로워55는 제1샤프트5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에 회전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The
제1캠폴로워55의 제1설치부재52측의 면은, 제1설치부재52의 제1캠이면과 면접촉하는 제2캠이면이다. 그 제2캠이면에는, 캠돌출부57와 각각 결합하는 캠요홈부58이 2개 설치된다. 이들의 캠요홈부58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에 제2캠이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회동서브각도가 0도 및 180도로 2개의 캠돌출부57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캠폴로워55의 나머지의 면(힘작용면이라고도 함)은,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힘작용면과 케이스의 바닥부의 사이에는, 제1힘작용수단56이 설치된다. The surface of the
제1힘작용수단56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56a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56a은, 제1샤프트51의 외주에 설치되고, 일단부가 제1캠폴로워55의 힘작용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케이스54의 바닥부에 접촉되고, 제1캠폴로워55를 제1설치부재52에 가압하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The first force action means 65 is, for example, a compressed coil spring 561a or the like. The
제1기어53는, 제1설치부재52와 제1샤프트51의 플랜지부51c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기어53は, 플랜지부51c측이 기어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제1기어53의 중앙부에는, 제1설치부재52의 삽입부52e에 삽입하는 관통한 삽입요홈부53a가 설치되고, 제1기어53이 제1설치부재52에 삽입되어 제1설치부재52와 함께 제1샤프트51의 축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The
이와 같은 좌힌지유니트50를 제2틀체3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1설치부재52의 설치부52b를 좌서브틀체5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2틀체3에 대해 좌 서브틀체5를 0도∼18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의 각도라 함은, 제2틀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과 좌서브틀체5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의 각도(회동서브각도라고도 함)이다. By installing such a
그 회동서브각도가 0도인 때에, 서브틀체5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4와 중첩되는 서브폐쇄상태를 형성하다. 그 폐쇄상태에서 제2틀체3에 대해 좌서브틀체5가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회동서브각도가 180도로 되면, 캠돌출부57가 캠요홈부58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서브틀체5,6의 서브디스플레이부7,8와 디스플레이부4가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이다. When the rotation sub-angle is 0 degrees, the
우힌지유니트60는, 좌힌지유니트50와 대략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케이스64와, 그 케이스64에 설치되는 제2샤프트61와, 제2샤프트61에 설치되는 제2설치부재62와, 제2샤프트61에 설치되는 제2기어63와, 제2샤프트61에 설치되는 제2캠폴로워(도시생략됨)와, 제1캠폴로워 및 케이스6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힘작용수단(도시생략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서브틀체6도 좌서브틀체5와 같이 제2틀체3에 대해 우서브틀체6를 0도∼18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의 각도라 함은, 제2틀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과 우서브틀체6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과의 각도이고, 그 각도도 상기 회동서브각도와 같은 의미이므로, 본 발명에서 회동서브각도라고 하는 때에는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의 구별하는 것 없이 사용된다. Since the
연결유니트70는, 예를 들면, 센터샤프트72와 연결기어71로 된다. 센터샤프트72는, 제2틀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센터샤프트72의 양단부는, 제2틀체3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주면의 일부가 각각 축방향이면서 평행하게 평면상에 절결되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양단부에는, 제2틀체3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샤프트51의 플랜지부51c의 삽입부51d 및 제2샤프트61의 삽입부61d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요홈부72a가 설치된다. 즉, 센터샤프트72의 양단부의 삽입요홈부72a에 제1샤프트51의 삽입부51d 및 제2샤프트61의 삽입부61d가 각각 삽입되고, 이들의 제1샤프트51의 선단부의 E링설치부51e에 E링46을 설치함과 동시에, 제2샤프트61의 선단부의 E링설치부61e에 E링46을 설치한 것에 의해, 좌힌지유니트50와 우힌지유니트60가 센터샤프트72(연결유니트70)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된다. The
연결기어71는, 원통형상의 연결부75와, 연결부75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연결기어73 및 제2연결기어74로 된다. 연결부7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75는, 센터샤프트72를 덮도록 센터샤프트72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연결부75의 양단부에는, 제1연결기어73 및 제2연결기어74가 설치된다. 제1연결기어73는, 좌힌지유니트50의 제1기어53에 교합되어, 제1기어53가 회전하면, 연결기어71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연결기어74는, 우힌지유니트60의 제2기어63와 교합되어, 제2기어63가 회전하면, 연결기어71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서브틀체5와 우서 브틀체6의 어느 일방의 서브틀체, 예를 들면 좌서브틀체5가 제2틀체3에 대해 회동하면, 그 회동에 수반하여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의 어느 타방의 서브틀체, 예를 들면 우서브틀체6가 연결기어71를 개재하여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coupling gear 711 includes a
또, 제2틀체3에 로크기구43를 설치하고, 서브폐쇄상태와 서브개방상태의 2개의 상태인 때에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를 제2틀체3에 대해 로크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로크기구43는,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가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4와 중첩하는 서브폐쇄상태에서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를 제2틀체3에 로크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좌서브틀체5의 서브디스플레이부7와 우서브틀체6의 서브디스플레이부8가 디스플레이부4와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에서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를 제2틀체3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lock mechanism 443 is provided in the
로크기구43는,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틀체3의 후단부근방에 설치된 로크부재31와, 로크부재31에 힘을 가하는 힘작용부재와, 로크부재31와 결합하는 로크요홈부36, 37로 된다. 로크부재31는, 예를 들면,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31의 중앙부가 제2틀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핀32을 축으로 하여 제2틀체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로크부재31의 일방의 단부(제1단부라고 하기도 함)가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4가 설치된 측의 면에서 출몰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제1단부에 조작버턴33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재31의 제1단부와는 반대측의 모서리부에는, 조작버턴33을 제2틀체3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부재인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34이 설치된다. 로크부재31의 타방의 단부는, 로크돌출부35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mechanism 433 is provided with a locking
로크요홈부36, 37는, 로크돌출부35와 결합하여 연결기어71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연결부75의 외주에 2개 설치된다. 일방의 로크요홈부(폐쇄로크요홈부36라고도 함)는, 서브폐쇄상태에서 서브틀체5,6를 제2틀체3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고, 일방의 로크요홈부(개방로크요홈부37라고도 함)는, 서브개방상태에서 서브틀체5,6를 제2틀체3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압축스프링34은, 조작버턴33을 제2틀체3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로크돌출부35가 폐쇄로크요홈부36 또는 개방로크요홈부37에 결합하여 있는 때, 그 결합이 해제되기 어렵도록 로크돌출부35에 힘을 가하는 것이다. 또, 조작버턴33을 제2틀체3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가압조작하는 것에 의해, 압축스프링34의 힘에 저항하여 로크부재31가 회동하고, 로크돌출부35와 폐쇄로크요홈부36 또는 개방로크요홈부37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The
또, 서브틀체5,6를 제2틀체3에 대해 서브폐쇄상태에서 서브개방상태로 서브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도록 자동회동수단(도시생략됨)을 설치하여도 좋다. 자동회동수단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힘작용부재 등이 사용된다. 힘작용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텐션스프링 등이다. 그 텐션스프링은, 예를 들면, 연결기어71의 연결부75의 외주에 설치되고, 그 일단부를 연결부75 에 설치함과 동시에, 그 타단부를 제2틀체3에 설치하고, 연결기어71를 서브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연결기어71를 개재하여 서브틀체5,6가 서브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텐션스프링은, 연결부75에 1개 설치되어도 좋고, 2개 이상 예를 들면 2개를 연결부75의 양단부근방에 설치하여도 좋다. Further, automatic rotating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작용을 설명하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휴대전화기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폐쇄상태에서는,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된 상태이다. 그 때, 캠돌출부86와 캠요홈부87가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함과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고,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로부터 이탈하여 (결합이 해제되어),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중간의 개방상태로 된다. 또, 더욱 제2틀체3를 회동시켜 회동각도가 180도로 되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전부 개방의 개방상태로 된다. In the closed state where the
이와 같은 개방상태인 때, 서브틀체5,6가 제2틀체3의 디스플레이부4의 이면측으로서 디스플레이부4와 중첩된 서브폐쇄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4가 노출되여 있으므로, 그 디스플레이부4에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컴팩트한 상태를 유지한 채 통화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 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는 문자나 화상등의 정보가 적은 때에는, 디스플레이부4만에 충분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브틀체5,6가 제2틀체3로부터 돌출하는 일 없이 즉 지장으로 되는 일 없이 컴팩트한 상태를 유지한 채 통화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In such an open state, the
또, 제2틀체3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부4의 화면크기로는,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충분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조작버턴33을 제2틀체3내로 가압조작하다. 그러면, 로크돌출부35의 폐쇄로크요홈부36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텐션스프링의 힘에 의해 서브폐쇄상태로부터 연결기어71가 서브개방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기어71를 개재하여 좌서브틀체5 및 우서브틀체6가 각각 서브개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로크돌출부35가 개방로크요홈부3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서브개방상태로 된다. 즉, 좌서브틀체5의 서브디스플레이부7와 우서브틀체6의 서브디스플레이부8가 디스플레이부4의 양측에 병렬하는 서브개방상태로 되고, 그 서브개방상태인 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와 서브디스플레이부7,8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4만에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횡장으로 대략 2배의 화면으로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한 기능, 게임기능, 텔레비전기능 등을 이용하는 때에는 특히 유용하다. In addition, when the screen size of the
그 휴대전화기1를 사용한 후에 폐쇄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좌서브틀체 5와 우서브틀체6의 양방 또는 어느 일방을 서브폐쇄방향(서브개방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 회동시킨다. 그 때, 일방의 서브틀체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에 수반하여 좌서브틀체5와 우서브틀체6의 어느 타방의 서브틀체가 연결기어71를 개재하여 연동하여 회동하다. 그리고, 로크돌출부35가 폐쇄로크요홈부36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서브폐쇄상태로 된다. In order to return to the closed state after using the
다음에,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함과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고, 그 제2틀체3를 폐쇄방향(제2틀체3와 제1틀체2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다. 이것에 의해, 캠돌출부86와 캠요홈부87의 결합이 해제되어, 회동각도가 0도로 되면, 캠돌출부86가 캠요홈부8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본래의 폐쇄상태로 복귀한다. Next, for example, while holding the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는, 서브폐쇄상태인 때, 디스플레이부4가 서브틀체5,6에 의해 폐쇄됨이 없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른 동작, 예를 들면 서브틀체5,6를 개방시키려고 하는 동작을 할 것없이,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서브폐쇄상태인 때, 서브틀체5,6가 제2틀체3와 중첩하고 있으므로, 서브틀체5,6가 지장을 주는 일없이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서브틀체5,6를 개방하여 서브틀체5,6의 서브디스플레이부7,8가 디스플레이부4와 병렬로 되는 서브개방상태로 하는 것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와 서브디스플레이부7,8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4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브디스플레이부7,8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휴대전화기1가 얻어진다. Therefore, since the
또, 연동기구4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좌서브틀체5를 제2틀체3에 대해 회동시킨 때, 그 회동에 수반하여 우서브틀체6가 연동하여 회동하므로, 일층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로크기구43 및 자동회동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작버턴33을 눌러 조작하는 것만으로, 서브틀체5,6가 자동적으로 서브개방방향으로 회동하여 서브개방상태로 되므로, 보다 일층 조작성이 향상된다. Further, by providing the
또, 메인 디스플레이부4의 좌우의 양측에 좌서브디스플레이부7와 우서브디스플레이부8를 병렬시키기 위해, 이들 디스플레이부4,7,8의 중앙부에 제1틀체2의 키보드부2a가 위치되므로, 이들 디스플레이부4,7,8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서 키보드부2a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order to parallel the lef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서브폐쇄상태인 때, 다른 동작, 예를 들면 서브틀체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할 것 없이,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서브폐쇄상태인 때, 서브틀체가 장해로 되는 일 없이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서브틀체를 개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통상시에 1개의 디스플레이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브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경량이면서 조작성과 취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휴대단말의 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sub-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images on the display unit without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for example, opening the sub-frame. At the same time, when the sub-closure is in a sub-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make a call or the like without disturbing the sub-frame body, and open the sub-frame body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ub-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display portion, to open and view the display portion of the sub as necessary, and to be used suitably as a mobile phone, especially among mobile terminals, because it is small in weight and does not impair operability and handleability. It can be.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95144A JP2006279495A (en) | 2005-03-29 | 2005-03-29 | Portable device |
JPJP-P-2005-00095144 | 2005-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5455A KR20060105455A (en) | 2006-10-11 |
KR100754414B1 true KR100754414B1 (en) | 2007-08-31 |
Family
ID=3703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6481A KR100754414B1 (en) | 2005-03-29 | 2006-03-23 | portable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6279495A (en) |
KR (1) | KR100754414B1 (en) |
CN (1) | CN1842100A (en) |
TW (1) | TW200640226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11341B2 (en) * | 2008-11-27 | 2013-01-09 | 京セラ株式会社 | Openable small electronic equipment |
JP5443830B2 (en) * | 2009-05-26 | 2014-03-19 | 京セラ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and slide control program |
JP5780575B2 (en) * | 2010-04-28 | 2015-09-16 | 日本電気株式会社 |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
JP2015015765A (en) * | 2014-10-06 | 2015-01-22 | 日本電気株式会社 |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8832A (en) * | 1999-08-11 | 1999-11-05 | 서치교 | Extended Display Device |
KR20030037126A (en) * | 2001-11-02 | 2003-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er type mobile phon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ow screen display thereof and method same |
-
2005
- 2005-03-29 JP JP2005095144A patent/JP2006279495A/en active Pending
-
2006
- 2006-03-08 TW TW095107794A patent/TW200640226A/en unknown
- 2006-03-23 CN CNA2006100653889A patent/CN1842100A/en active Pending
- 2006-03-23 KR KR1020060026481A patent/KR1007544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8832A (en) * | 1999-08-11 | 1999-11-05 | 서치교 | Extended Display Device |
KR20030037126A (en) * | 2001-11-02 | 2003-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er type mobile phon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ow screen display thereof and method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640226A (en) | 2006-11-16 |
JP2006279495A (en) | 2006-10-12 |
CN1842100A (en) | 2006-10-04 |
KR20060105455A (en) | 2006-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0165B1 (en) |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 |
EP1699209B1 (en) | Folding cellular phone with open/close restriction means | |
US20050055806A1 (en) | Hinge for portable terminal | |
EP1701518A2 (en) | Apparatus for rotating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US20060123593A1 (en) | Hinge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 |
EP1507388A1 (en) | Foldable mobile phone with one touch opening function | |
JP2005061559A (en) | Slide hinge for compact information terminal | |
EP1571807A1 (en) |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2004293633A (en) | Folding portable terminal | |
US20060128190A1 (en) | Slide mechanism of portable device and cellular phone | |
KR100754414B1 (en) | portable apparatus | |
JP4537930B2 (en) |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s | |
JP2008138796A (en) | Casing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 |
KR100693179B1 (en) | portable apparatus | |
US7738786B2 (en) |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 |
US8437146B2 (en) |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 |
JP2009200753A (en) | Electronic device | |
JP2007174144A (en) | Slide mechanism of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 |
KR100499885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urning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455767B1 (en) | Mobile phone having a multi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63950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ouble folders | |
KR20060074302A (en) | Dual direction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2010034803A (en) | Mobile terminal | |
KR100585736B1 (en) |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JP4899191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