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72B1 -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72B1
KR100753372B1 KR1020060110567A KR20060110567A KR100753372B1 KR 100753372 B1 KR100753372 B1 KR 100753372B1 KR 1020060110567 A KR1020060110567 A KR 1020060110567A KR 20060110567 A KR20060110567 A KR 20060110567A KR 100753372 B1 KR100753372 B1 KR 10075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oundation
rigid
rigid slab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근
강수민
방중석
이지웅
이도범
이철
이권재
손성헌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박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박홍근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서의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지하층을 이용하여 구조 보강이 자유로우며, 강체 거동을 할 수 있어 지반에 큰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 있어서 지반에 면하는 기초 직상부 지하층을 구조적으로 일체화하여 전체적으로 지하층이 강체 거동(박스 거동)을 하도록 하는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는 기초(1) 직상부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고 상기 기초(1)의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래브 철근(21)을 배근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와;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고 남겨진 보(4)의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배근한 후 그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 및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는 이중매트 연결재(50)를 포함하여 기초 직상부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을 하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서의 기초 보강에 있어서 새 로운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구조 보강이 자유로우며 강체 거동을 할 수 있어 지반에 큰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의 건축물 리모델링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델링 공사 완료 후 지하층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지하층을 창고나 기계 설비실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리모델링, 기초 보강, 지하층, 강체 거동

Description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Double mat footing system for building remodell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수평, 수직 증축 개요도이다.
도 2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강화된 지진하중 규정을 적용할 경우 요구되는 기초 재하능력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종래 리모델링 공사시 기초 재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이크로 파일 설치공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기존 독립기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 도 7h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에 의해 향상된 수직하중 전달 능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에 의해 향상된 횡하중(지진 하중) 전달 능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독립기초 2 : 기존 하부 슬래브
3 : 기존 상부 슬래브 4 : 보
5 : 기둥
11 : 기초 철근 20 : 하부 강체슬래브
21 : 하부 강체슬래브 철근 30 : 상부 강체슬래브
31 :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 41 : 보 철근
50 : 이중매트 연결재 51 : 트러스
52 : 신설 벽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서의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지하층을 이용하여 구조 보강이 자유로우며, 강체 거동을 할 수 있어 지반에 큰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공동주택은 기존 건축물을 헐고 재건축하는 방법으로 단위세대의 면적을 증가시켜 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동주택을 재건축하는 방법은 과밀화에 따라 도시 주거 환경이 열악해질 수 있으며, 건축물 고유의 수명보다 조기에 철거하여 재건축함으로써 자원낭비 및 불필요한 건축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환경 문제 및 자원 문제 등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노후 공동 주택이나 노후 건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재건축을 대신하여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가 정부의 정책지원 등에 힘입어 새롭게 이슈화되고 있다.
리모델링 공사는 대부분 도 1과 같은 수평 증축 또는 수직 증축을 동반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수평 또는 수직으로 기존 건축물을 증축할 경우에는 중력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그만큼 기초의 재하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의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들은 대부분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으나 건축물을 리모델링할 경우에는 내진 설계가 법제화되어 내진 설계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기초 재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지하층 하부에 도 3과 같은 마이크로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을 주로 적용하여 왔다. 이는,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독립기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처럼 독립기초로 이루어진 기존 구조체를 유지하면서 파일을 설치하려면 작은 파일을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파일은 그 비용이 굉장히 비쌀 뿐만 아니라 지하층에 장비를 반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일부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경우는 문화재 보호 구역 지정 등의 이유로 추가적인 파일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 그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 있어서 새로운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지하층을 이용하여 구조 보강이 자유로우며, 강체 거동을 할 수 있어 지반에 큰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델링 공사 완료 후 지하층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에 있어서 지반에 면하는 기초 직상부 지하층을 구조적으로 일체화하여 전체적으로 지하층이 강체 거동(박스 거동)을 하도록 하는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는 기초(1) 직상부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고 상기 기초(1)의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래브 철근(21)을 배근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와;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고 남겨진 보(4)의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배근한 후 그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 및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는 이중매트 연결재(50)를 포함하여 기초 직상부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을 하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은 기초(1)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최저 지하층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초(1) 측면의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기초 철근(11)을 노출시킨 후, 상기 기초(1) 사이로 드러난 지반을 다지는 제 2단계;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3단계; 상기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 상부에 상기 기초(1)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신설하는 제 4단계;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는 제 5단계; 최저 지하층의 보(4) 측면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보 철근(41)을 노출시키는 제 6단계; 노출된 상기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7단계;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보(4)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를 신설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신설된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 사이에 수직으로 트러스(51)를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 강체슬래브(30, 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의 기존 독립기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독립기초(1)는 기초가 개별 거동하며, 최저 지하층의 슬래브(2, 3)는 구조적 역할이 거의 없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독립기초(1)를 가지는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을 지하층 전체가 강체 거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하층 전체가 박스 거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지면에 맞닿은 슬래브(2)가 면외 휨과 면내 축력에 강하게 거동해야 함과 아울러 지하층 상부 슬래브(3)도 강한 거동을 해야 한다. 또한 지하층 상·하부 슬래브(2, 3)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층건물에 쓰이는 아웃리거(outrigger)와 같은 강한 연결 구조체가 지하층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구조물이 강체 거동을 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을 이루는 부재 간을 강체 연결(Rigid Link)하여 구조물의 기하학적인 상대 거동을 상호 구속함으로써 지반의 움직임과 구조물의 움직임이 동일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는 도 5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기초(1) 직상부에 위치한 최저 지하층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고 상기 독립기초(1)와 연결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하부 강체슬래브(20)와, 최 저 지하층의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고 기존 상부 슬래브(3)의 보(4)와 연결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상부 강체슬래브(30), 및 상기 하부 강체슬래브(20)와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는 이중매트 연결재(50)로 구성된다.
상기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는 기존 독립기초(1) 직상부의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고 상기 독립기초(1)의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래브 철근(21)을 배근한 후 그 상부에 매트구조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된다.
상기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는 기존 최저 지하층의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고 최저 지하층의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배근한 후 그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매트구조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된다.
상기 이중매트 연결재(50)는 상기 신설된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 사이,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최저 지하층의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층간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와 상기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지하층이 강체 거동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상기 이중매트 연결재(50)로서 기존 기둥으로만 연결된 지하층에 단면성능이 큰 철골 부재를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트러스(51)로 연결하여 보강한 실시예이다. 이처럼 단면성능이 큰 철골 부재를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트러스(51)로 연결하면 상기에 의해 새롭게 보강된 지하층 상·하부 강체슬래브(20, 30)가 면내 방향 축력과 면외 방향 휨에 일체 거동 또는 박스 거동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상기 이중매트 연결재로서 상기 트러스(51) 대신 두께가 두꺼운 벽체(52)를 최저 지하층의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신설하여 보강한 실시예이다. 이처럼 기존 지하층을 강체화할 경우 지반에 면하는 독립 기초 전체가 균등한 하중분포를 가지게 되어 균등하게 최대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의 상세한 시공방법을 도 7a ~ 도 7h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리모델링 대상 건축물에 있어서 지면에 맞닿은 슬래브를 면내 방향의 축력과 면외 방향의 휨에 강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보강(매트화)하기 위하여, 기존 독립기초(1)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최저 지하층의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한다(도 7a 참조).
최저 지하층의 기존 하부 슬래브(2)가 해체되면, 상기 독립기초(1) 측면의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기초 철근(11)을 노출시킨 후, 상기 독립기초(1) 사이로 드러난 지반을 다진다(도 7b 참조).
이후,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11)과 용접으로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을 연결 배근한다(도 7c 참조). 이때, 상기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은 가능한 최대 철근비로 배근한다.
상기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이 배근되면, 신설된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 상부에 상기 독립기초(1)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함으로써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 보강을 완료한다(도 7d 참조).
상기에 의해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를 보강하고 나면, 상기 최 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한다(도 7e 참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가 해체되면, 기존 상부 슬래브(3)의 보(4) 측면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보 철근(41)을 노출시킨다(도 7f 참조). 그리고, 노출된 상기 보 철근(41)과 용접으로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새롭게 연결 배근한다(도 7g 참조). 이때,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은 가능한 최대 철근비로 배근한다.
이후,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보(4)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 보강을 완료한다(도 7h 참조).
상기와 같이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 및 하부 강체슬래브(20)의 보강이 완료되면, 최저 지하층의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단면성능이 큰 철골 부재를 트러스로 설치하거나 기둥(5)과 기둥(5) 사이에 벽체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지하층이 강체 거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직상부의 지하층이 강체로 거동하게 되어 수직하중의 전달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즉, 기존의 독립기초는 불균등한 하중 분포를 지니고 있어 독립기초 중 일부는 최대성능을 발휘하고 일부는 최대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할 경우 지반에 면하는 기초가 균등한 하중 분포를 보이게 되어 균등하게 최대성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하중 재하능력이 크게 향상(리모델링 전 독립기초 P+P+P+P< 리모델링 후 보강된 이중매트기초 P+P+P+P)된다. 또한, 기존 독립기초 사이의 공간에서 추가적인 하중 재하능력이 발생(w+w+w)되므로 보강된 기초의 하중 재하능력은 P+P+P+P+w+w+w로서 그만큼 중력하중 재하 능력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직상부의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하게 되어 횡하중(지진하중)의 전달 능력 또한 크게 향상된다.
즉, 기초마다 횡력에 의해 모멘트 저항하게 되는 기존 독립기초는 개개의 기초가 모멘트에 저항하다 보니 개별 기초의 이차모멘트(I) 값이 작아 모멘트 저항능력이 크지 못하여 기초에 큰 축력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최저 지하층을 보강하여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할 경우에는 지반에 면하는 기초가 일체 거동하게 되어 지반에 전달되는 휨에 대해 기초 전체가 거동하게 되므로 단면 이차모멘트(I) 값이 매우 커지게 되고(I = bh3/12) 그 결과 동일한 지진하중에 대하여 지반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그만큼 지진하중 재하 능력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델링 공사에서 상·하부 강체슬래브(이중 매트) 및 이중매트 연결재(트러스 또는 벽체)를 적용하여 기초파일을 추가하지 않고도 최저 지하층의 박스 거동 및 일체 거동으로 인해 기초의 하중 재하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저 지하층의 상·하부 강체슬래브(이중 매트)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최저 지하층을 창고나 기계설비 장치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리모델링 공사시 지하층의 공간을 확보하고 기초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설공사에 있어서도 단일 기초매트가 과도한 매트 두께를 요구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매트 기초공법을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

Claims (4)

  1.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기초 보강구조에 있어서,
    기초(1) 직상부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고 상기 기초(1)의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래브 철근(21)을 배근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하부 강체슬래브(20)와;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고 남겨진 보(4)의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배근한 후 그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새롭게 신설되는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 및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수직으로 강체 연결하는 이중매트 연결재(50)를 포함하여 기초 직상부 최저 지하층이 강체 거동을 하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매트 연결재(50)는 철골 부재의 트러스(51) 구조 또는 새롭게 신설되는 벽체(52)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3.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기초 보강공법에 있어서,
    기초(1)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최저 지하층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초(1) 측면의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기초 철근(11)을 노출시킨 후, 상기 기초(1) 사이로 드러난 지반을 다지는 제 2단계;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3단계;
    상기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 상부에 상기 기초(1)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신설하는 제 4단계;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는 제 5단계;
    최저 지하층의 보(4) 측면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보 철근(41)을 노출시키는 제 6단계;
    노출된 상기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7단계;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보(4)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를 신설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신설된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 사이에 수직으로 트러스(51)를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 강체슬래브(30, 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
  4.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기초 보강공법에 있어서,
    기초(1)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최저 지하층의 기존 하부 슬래브(2)를 해체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초(1) 측면의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기초 철근(11)을 노출시킨 후, 상기 기초(1) 사이로 드러난 지반을 다지는 제 2단계;
    노출된 상기 기초 철근(11)과 연결하여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3단계;
    상기 하부 강체슬라브 철근(21) 상부에 상기 기초(1)와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 하부 강체슬래브(20)를 신설하는 제 4단계;
    상기 최저 지하층의 기존 상부 슬래브(3)를 해체하는 제 5단계;
    최저 지하층의 보(4) 측면 콘크리트 피복을 해체하고 보 철근(41)을 노출시키는 제 6단계;
    노출된 상기 보 철근(41)과 연결하여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을 새롭게 배근하는 제 7단계;
    상기 상부 강체슬래브 철근(31)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보(4)와 연 결하여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최저 지하층의 상부 강체슬래브(30)를 신설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신설된 상부 강체슬래브(30)와 하부 강체슬래브(20) 사이에 수직으로 벽체(52)를 신설하여 상기 상·하부 강체슬래브(30, 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공법
KR1020060110567A 2006-11-09 2006-11-09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KR10075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67A KR100753372B1 (ko) 2006-11-09 2006-11-09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67A KR100753372B1 (ko) 2006-11-09 2006-11-09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372B1 true KR100753372B1 (ko) 2007-08-30

Family

ID=3861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567A KR100753372B1 (ko) 2006-11-09 2006-11-09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113A (ko) * 2020-07-28 2022-02-04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기존 지하구조물의 기초를 가설기초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120A (ja) 1983-12-19 1985-07-16 Kiyou Fudousan:Kk 建築物の床下構造の施工方法
JP2003239316A (ja) 2002-02-21 2003-08-27 Kajima Corp 地下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120A (ja) 1983-12-19 1985-07-16 Kiyou Fudousan:Kk 建築物の床下構造の施工方法
JP2003239316A (ja) 2002-02-21 2003-08-27 Kajima Corp 地下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113A (ko) * 2020-07-28 2022-02-04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기존 지하구조물의 기초를 가설기초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2408334B1 (ko) 2020-07-28 2022-06-10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기존 지하구조물의 기초를 가설기초로 활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6716A1 (zh) 全装配式预应力砼框架抗震耗能构件体系及施工方法
CN103993679B (zh) 低层装配式复合墙体房屋螺栓连接节点结构
CN205421616U (zh) 具有钢管砼边缘构件的装配整体式剪力墙
CN103343572B (zh) 预制复合墙板抗震节能农居结构体系
CN103924710A (zh) 低层装配式复合墙体房屋钢板焊接节点结构
CN106703197A (zh) 一种大跨度多层抗震框架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N103498570A (zh) 旧厂房内部加层改造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216409A (zh) 加斜撑预制混凝土管桩柱与空心楼盖或无梁楼盖连接结构
JP2009144494A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CN108240053B (zh) 装配整体式耗能框架墙板体系及施工方法
CN210768050U (zh) 一种装配式建筑悬臂墙式软钢阻尼器连接结构
Ongaretto et al. Wood-based solutions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 against seismic events in conserv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CN214941252U (zh) 一种暗牛腿装配式混凝土梁柱抗震节点结构
KR20150138785A (ko) 별도의 하중경로를 갖는 건축물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방법
KR100753372B1 (ko)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이중매트 기초 보강구조 및그 시공방법
CN108625491B (zh) 装配式h型钢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l形连接节点
KR20200048894A (ko) 내진 시공이 적용된 비내력벽 시스템
CN103993672A (zh) 低层装配式复合墙体房屋榫式连接节点结构
CN112854603A (zh) 一种预制混凝土管桩柱与空心楼盖或无梁楼盖的连接结构
CN208884728U (zh) 钢-混凝土组合预制梁和预制柱连接结构
CN113279423A (zh) 一种预制柱墩及后浇条形基础梁装配整体施工方法
Tripura et al. Failure analysis of earthen, masonry and concrete buildings during the 2017 Tripura earthquake
Pujadas Gispert Prefabricated foundations for housing applied to room modules
CN117231029B (zh) 预制板砖混结构加固改造用外框架及其施工方法
González‐Sanz et al.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IN REHABILITATION AND INTERVENTION IN EXISTING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