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6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68B1
KR100753368B1 KR1020060042454A KR20060042454A KR100753368B1 KR 100753368 B1 KR100753368 B1 KR 100753368B1 KR 1020060042454 A KR1020060042454 A KR 1020060042454A KR 20060042454 A KR20060042454 A KR 20060042454A KR 100753368 B1 KR100753368 B1 KR 10075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portabl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종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4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a portable internet module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n internet service area, thereby saving the power of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the followings: a portable internet module(110) for transceiving wireless data about a portable internet service; a location inquiry module(120) for in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out a location inquiry network; a service area determining unit(13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service area;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140)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Description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 및 그에 따른 위치 정보의 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an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 전송 여부의 결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according to mov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요청 및 그에 따른 위치 정보의 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ocess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initializ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20, 410: 이동통신 단말기 110: 휴대 인터넷 모듈100, 320, 4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ortable Internet module

120: 위치 조회 모듈 130: 서비스 지역 판단부120: location query module 130: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140: 전력 공급 제어부 201: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140: power supply control unit 201: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2: 위치 정보 210: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02: location information 210: location lookup database

220: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 310: 휴대 인터넷 기지국220: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310: mobile Internet base station

420: 이동통신 기지국 430: 이동통신 교환국420: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430: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portable Internet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terminal for saving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of a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the configuration.

최근 3세대 무선 이동통신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휴대 인터넷, 이른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는 3세대 무선 이동통신이 제공하는 이동성과 초고속 인터넷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라는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그 도입에 따라 상당한 규모의 시장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The mobile Internet, WiBro (WiBro),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3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has the advantages of mobility provided by 3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nd high data transmission speed of high speed internet. The introduction is expected to generate significant market effect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고속(예를 들어, 60 km/h)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1 Mbps 이상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이에 따라,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높은 이동성과 고속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다양한 서비스의 동시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정보통신산업 전반에 커다란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portable Internet service is a conventional method in that it supports stable data transmission of 1 Mbps or more even when traveling at high speed (for example, 60 km / h). Differentiate from wireless Internet service. Accordingly,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is expected to satisfy the user's desire for high mobility and high-speed Internet servi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real-time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simultaneous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will have a huge ripple effect in the over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그러나 휴대 인터넷 망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다중 접속 방식의 특성상 기지국(RAS: Radio Access Station)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서(예를 들어, 1 km 내외), 인구 밀도에 따른 서비스 전략이라는 경제적 관점에 따라 전국적인 설치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때때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게 되고, 이 경우 다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frequency bands and the multiple access schemes, the mobile Internet network has a relatively small radius of a radio access station (RAS) (for example, around 1 km). It is expected that installation will be difficult.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sometimes leaves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and in this case, power consumption is unnecessarily consumed in searching for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이와 같은 불필요한 전력 소비는 배터리와 같이 제한된 전력 공급 수단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매우 큰 성능 저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와 연관된 휴대 인터넷 모듈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동시에 매우 짧은 기지국 반경을 갖는 휴대 인터넷의 특성에 비추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없다.Such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may be a significant performance deterioration fa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imited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battery. Therefore, the constant power supply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is inefficie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not a realistic solution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Internet having a very short base station radius.

그러나 과거의 이동통신 망의 설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휴대 인터넷 망은 필연적으로 CDMA 통신망 등의 타 이동통신 망과 연계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므로, 이에 따라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모듈,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복합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However, in the light of pas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stallations, the mobile Internet network will inevitably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Module, or a composi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GPS module.

CDMA 모듈 또는 GPS 모듈과 각각 연계되는 CDMA 통신망 또는 GPS 망은 휴대 인터넷 망에 비해 넓은 지역 범위에 걸쳐 단말기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므로, 이처럼 위치 조회가 가능한 부가적인 통신 모듈을 적절히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Since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or GPS network respectively linked to the CDMA module or GPS module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ver a wider area range than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nquiring the location is appropriately used,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power wast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위치 확인 모듈을 이용하여 확인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technology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a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hecked using a location module inclu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portable Internet service. 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portable Internet servi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휴대 인터넷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 인터넷 모듈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and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The purpose is to save power consumed by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외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기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for effectively confirm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side a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의 전송에 따라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제어와 관련한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spect to power supply control by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위치 조회 서비스의 전송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지능적인 전력 공급 제어를 가능케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more 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 by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location inquiry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r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요청의 전송에 따라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제어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동화를 이루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ower supply control and achieve autom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수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서비스 초기화 수행에 따른 전력 낭비, 및 트래픽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waste of power and waste of traffic resources due to unnecessary service initialization.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하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nquir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portable Internet ser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와 연관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 인터넷 모듈,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위치 조회 모듈, 조회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지역 판단부, 및 서비스 지역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Internet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associated with a mobile Internet servic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a location query network A location inquiry module for inquiring information, a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based on the retrieved location information, and whether the mobile Internet module is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위치 조회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quer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ed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제어 방법은, 위치 조회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휴대 인터넷 모듈을 통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itializ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quer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based on the retrieved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와, 생성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관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지역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서비스 지역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기준 또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수행 여부의 결정 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stly,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es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nd a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for generating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inquiry database and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area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tted service area information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휴대 인터넷 서 비스를 지원하는 휴대용 무선 기기로서,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스마트(Smart) 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통신 단말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 전자 장치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For referen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used herein refers to a portable wireless device that supports a portable Internet service,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one, CDMA-2000 (1X, 3X) phone, Wideband CDMA (WCDMA) phone, Dual Band / Dual Mode phone,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Devices that can include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minals, smart phon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s IMT-2000 provide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WiBro terminals, MP3 players, MD players and other mobile terminals, as well as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s and extended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Internationa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which means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termina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module,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nd Bluetooth. (Bluetooth) module,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wired and wireless LAN card and can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GPS chip to enable location tracking throug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s interpreted as a general term for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certain arithmetic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와 연관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휴대 인터넷 모듈(110)과, 위치 조회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위치 조회 모듈(12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pporting a mobile Interne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Internet module 11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ssociated with a mobile Internet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location inquiry network. It includes a location query module 120 to query the location information.

위치 조회 모듈(120)은 휴대 인터넷 망이 아닌 별개의 이동통신 망 기타 위치 조회 가능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위치 조회 모듈(120)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모듈, 또는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일 수 있다.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in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location search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stead of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s an example,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may b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에 이용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통신 모듈인 CDMA 모듈 및 GPS 모듈에 한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두 종류의 위치 조회 모듈에 한정하여 실시되지 않는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조회 모듈(120)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DMA module and the GPS module which are the most common communication module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all types of short-range or telecommunication modules that can be used for positio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included in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조회 모듈(120)을 통해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quire loc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 전송 및 그에 따른 위치 정보의 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조회 모듈(120)을 통하여 위 치 조회망, 예컨대 CDMA 통신망과 연관된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로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을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210)부터 위치 정보(202)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to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210 associated with a location inquiry network, for example,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In response, the location information 202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 query database 210.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을 처리하는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는, 일례로서, CDMA 통신망의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Packet Data Gateway Node)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location lookup database 210 that processes the location lookup service request 201 is, for example,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a packet data service node of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and Packet Data Gateway Node (PDGN: Packet Data Gateway Node).

위치 조회 모듈(120)이 CDMA 모듈인 경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는 CDMA 통신망과 연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예컨대 CDMA 기지국 번호, 또는 셀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또 달리, 위치 조회 모듈(120)이 GPS 모듈인 경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is a CDMA module,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210 generat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CDMA base station number or a cell identifier. Alternatively, when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is a GPS module,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210 may generate and stor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location information.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는 각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상기 위치 정보를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220)로 전송하여,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220)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cation lookup database 2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location lookup network to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220 so that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220 receives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reated.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220)는 휴대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정보를 저장 및 추출하기 위한 서버이다.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하여 위치 조회망 상에서 조회된 위치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상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목록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220)는 휴대 인터넷 망의 코어 망(Core Network)에 위치하는 휴대 인터넷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220 is a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internet network to store and extract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information.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220 may store a list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dic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location inquired on a location inquiry network and a location on a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As an example,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220 may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entral server located in a core network of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이처럼 생성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202)에 포함되어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측으로 전송된다.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202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2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의 전송 여부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 전송 여부의 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320)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330)에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외(340)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더 이상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휴대 인터넷 모듈(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20)의 위치를 조회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휴대 인터넷 모듈(110)을 통해 계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0)의 위치를 조회하는 것은 전력의 불필요한 소비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moves from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330 to the area outside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340, the mobile internet module can no longer be provided with the mobile internet service. Through 110,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cannot be inquired. Therefore, in this case, continuously inqui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is to br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pow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20)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330)에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외(340)로 이동함에 따라 휴대 인터넷 모듈(110)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을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20)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의 경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조회를 위해 위치 조회 모듈(120)을 이용한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rom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330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340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internet module 110. Sends a location query service request 201.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is used for accurate location inquiry.

일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320)는 휴대 인터넷 모듈(110)을 통해 휴대 인터넷 기지국(310)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Strength)가 임계치 이하가 되면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가능성, 또는 벗어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 위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을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20)는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값 등으로 표현되는 세기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may be out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when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Internet base station 310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or may be out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likelihood is high, and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is transmitted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may refer to strength information expressed a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or a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

또 다른 일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320)는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320)의 이동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320)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 그 경계 부근에서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201)을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320)는 누적하여 저장된 위치 정보(202)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20)의 이동 방향과 함께 현재의 위치 정보(202), 또는 앞서 언급한 무선 신호의 세기 정보 등을 참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may refe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320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is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201 may be transmitted near the bounda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0 may calculate a moving direc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and stored location information 202. In addi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202 or the above-mentioned strength information of the wireless signal may be referred to together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32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조회 모듈(120)을 통해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된 위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ransmitted to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inquir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특정한 조건 하에서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위치 등록(Registration)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에 대한 응답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quests a location registration to a location inquiry database under a specific con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nquired.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조회망 내에서 가지는 위치 영역, 예컨대 위치 조회망이 CDMA 통신망인 경우 존(Zone) 또는 사용자 존(User Zone)에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존 또는 사용자 존과 같은 위치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위치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경우에 위치 조회 모듈(120)은 상기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a change in a zone or a user zon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location area in the location lookup network, for example, the location lookup network i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this.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or exits a location area such as a zone or a user zone,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o a location inquiry database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또 달리, 위치 조회 모듈(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력 공급 상태의 변경시에,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는 경우에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CDMA 통신망을 통한 위치 등록 요청의 경우, 상술한 위치 영역의 변화 또는 전력 공급 상태의 변화 외에도 타이머에 기반한 주기적 등록, 기지국이 단말기에 직접 등록을 명령하는 경우, 발신과 착신시 트래픽 형성이 되기 전의 오리지네이션(Origination) 및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 과정에서 일어나는 등록 등 다양한 형태의 위치 등록 방식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요청은 이와 같이 CDMA 통신망 등의 위치 조회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록(Registration) 과정 일반에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ocation inquiry module 120 may transmit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when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hanged,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turned on or off. In case of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hrough CDM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hange of location area or change of power supply status, periodic registration based on timer, and when base station commands direct registration to terminal, There are various types of location registration methods, such as registration that occurs during the origination and paging response process,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through a location inquiry network such a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is can be applied to the registration process in general.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위치 영역 또는 전력 공급 상태의 변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송된 위치 등록 요청을 통해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inquir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ha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ocation area or power supply state of the terminal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have.

도 4는 위치 등록 요청 전송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일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4,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전송된 위치 등록 요청은 먼저 등록 메시지의 형태로 이동통신 기지국(420)에 전달된다. 기지국(420)은 등록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등록(업데이트)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430)으로 전송하고, 교환국(430)은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위치 등록(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처럼 위치 등록 요청이 수락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410)는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과 관련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10 is firs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420 in the form of a registration message. The base station 420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update) request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430, and the switching center 430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update) acceptance message to the base station when accepting the request.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is accepte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1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egistration message.

그러나 이동통신 교환국(430)이 등록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 단말기(410)는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교환국(430)으로부터 전송된 피쳐 통지(Feature Notification) 메시지로부터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 피쳐 통지 메시지는 교환국(430)이 사용자 존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요청을 거절할 경우 단말기(410)로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본 메시지의 필드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However, if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430 rejects the registration request, the terminal 410 cannot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registration message. Therefore,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quired from the featur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witching center 430. The feature notification message is a messag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10 when the switching center 430 reject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user zon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using the fields of the message. Can be.

이처럼 CDMA 통신망의 경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는 CDMA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에는 기지국 번호, 셀 식별자, 트래픽 채널 정보,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거리, 기지국에 대한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하나의 셀 내에 기지국이 3 개 이상 존재할 경우, 삼각측량법에 의해 셀 내에서의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As such, in the case of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may include CDM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base station number, cell identifier, traffic channel inform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For reference,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base stations in one cell, it is possible to some extent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terminal in the cell by triangulation.

또한, 상기 위치 조회망이 CDMA 통신망인 경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BM: Data Burst Message)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lookup network i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lookup databas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data burst message (DBM). Can be.

이와 같은 메시지 형태로 위치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서비스 지역 판단부(13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such a message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from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is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서비스 지역 판단부(130)가 참조하는 위치 정보에는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상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어 있어, 단말기(100) 측에서 별도의 계산 과정을 거치거나 별도의 대응 관계 목록을 저장하지 않아도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ferred to by the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130 include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with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from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calculation process or storing a separate list of correspondence.

한편 전력 공급 제어부(140)는 서비스 지역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휴대 인터넷 모듈(110)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공급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휴대 인터넷 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전력 공급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 인터넷 모듈(1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130. In detail,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도 1에는 이와 같은 전력 공급 또는 차단 동작을 휴대 인터넷 모듈 전원(150)과 휴대 인터넷 모듈(110)과의 연결을 수립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외에서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FIG. 1, such a power supply or shutdown operation is represented by a switch for establishing or bloc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power source 150 and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11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utside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so that power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sumed unnecessaril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a portable interne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단계(S510)에서는 휴대 인터넷 망과 별개의 위치 조회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조회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 조회망은 CDMA 통신망 또는 GPS 망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510 of FIG. 5,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quired through a location inquiry network separate from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that enables location inqui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or a GPS network.

CDMA 통신망의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CDMA 이동통신 기지국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GPS 망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DM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in the case of a GPS network,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위치 정보 조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을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 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휴대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to a location inquiry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and correspondingl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refer to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또 달리, 단말기의 전력 공급 상태 또는 위치 조회망 내에서의 단말기의 위치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위치 영역은 CDMA 통신망의 존 또는 사용자 존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quired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in response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ha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when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terminal or the location area of the terminal in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changes. . For reference, the location area may include a zone or a user zone of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단계(S520)에서는 단계(S510)에 의해 조회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단계(S510)에 의해 조회된 위치 정보는 단문 메시지 또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단계(S520)에서는 이와 같은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 위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In step S520,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ed by step S510.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ed by step S510 may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r a data burst message. In step S520,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orm of such a message may be receiv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s determined.

상기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계(S53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로 결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540)에 의해 휴대 인터넷 모듈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in step S530 it is determined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ocated in the service area In step S540, the power supplied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is cut off.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for initia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1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단계(S620)에서는 조회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queried in step S610, and in step S6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based on the retriev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다면,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화를 수행하고(S630),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할 경우에는 단계(S640)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까지 초기화를 위한 위치 조회를 수행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the mobile internet service is initialized (S630), an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ocated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area, it is determined not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 As shown in FIG. 6, when it is determined not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it may wait without performing a position inquiry for initialization until an event occurs in step S640.

단계(S630)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는 하향 링크 동기화를 위한 스캐닝, 하향 및 상향 파라미터의 획득, 초기 레인징 및 단말기의 등록, IP 연결 설정 및 동작 파라미터의 설정과 같은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Internet service initialization performed by step S63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processes such as scanning for downlink synchronization, obtaining downlink and uplink parameters, initial ranging and terminal registration, IP connection setting, and setting of operating parameters. It may include.

또한 단계(S640)에서의 이벤트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이벤트로서, 타이머 이벤트에 의하면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상태에 생기는 변동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ent in step S640 is a timer event that occurs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according to the timer event,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queried periodically for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lternatively, the event may include a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or off.

도 6의 실시예의 단계(S610) 및 단계(S620)는 도 5의 단계(S510) 및 단계(S520)과 각각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5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 히 설명한 내용이 모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Steps S610 and S620 of the embodiment of FIG. 6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S510 and S520 of FIG. 5, respectively, and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5. All can be applied as i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초기화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the initializ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 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와, 이와 같이 생성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관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지역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e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And a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for generating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area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서비스 지역 정보 안내 서버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지역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제어 기준 또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화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area information guide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initialization of power supply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portable Internet service.

본 실시예는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세부 내용이 모두 그래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is embodiment may be link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refore, all the detail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2 may still be applied,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such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 인터넷 모듈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power consumed by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by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nly when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경우 휴대 인터넷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when it is out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thereby preventing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바깥에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utside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의 전송에 따라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제어와 관련한 단말기 동작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relat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by determining whether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위치 조회 서비스의 전송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지능적인 전력 공급 제어를 가능케 한다.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ore 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 by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요청의 전송에 따라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 공급 제어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power supply control and achieve automation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화 제어 방법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수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서비스 초기화 수행에 따른 전력 낭비, 및 트래픽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initializ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waste of power and waste of traffic resources due to unnecessary service initialization. The purpose.

Claims (16)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portable Internet service,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와 연관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 인터넷 모듈;A portable internet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위치 조회 모듈;A location query module for quer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a location query network;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지역 판단부; 및A service are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service area of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인터넷 모듈의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power supply controller determines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휴대 인터넷 모듈에 전력을 차단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determines to cut off power to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ocated in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상기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query module sends a location query service request to a location query database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query network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query database in response to the location query service reques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상기 휴대 인터넷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inquiry module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with reference to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modu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누적하여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위치 조회 서비스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inquiry module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quiry service reques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상기 위치 조회망과 연관된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조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ation inquiry module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location inquiry database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quiry database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Communication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상태 또는 상기 위치 조회망 내에서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inquiry module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when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ocation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location inquiry network is chang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 조회망은 CDMA 통신망이고,The location lookup network i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위치 영역은 상기 CDMA 통신망의 존(Zone) 또는 사용자 존(User Z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ation area is a zone or a user zone of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조회망은 CDMA 통신망이고,The location lookup network i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해 있는 CDMA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조회망은 CDMA 통신망이고,The location lookup network is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위치 정보는 단문 메시지(SMS),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BM), 및 피쳐 통지(Feature Notification)의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any one of the fields of a short message (SMS), a data burst message (DBM), and a feature notification (Feature No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CDMA 모듈, 또는 GPS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ation inquiry modul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DMA module or GPS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 인터넷 모듈 및 위치 조회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itialization of the mobile Internet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obile Internet module and a location query module,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Quer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module;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a portable Internet service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o initialize the portable Internet ser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제어 방법.Mobile internet service initializ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는 소정 주기로 발생하는 타이머 이벤트에 의해,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공급 상태 변경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초기화 제어 방법.And inquir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by a timer event occurring at a predetermined cycle or when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KR1020060042454A 2006-05-11 2006-05-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0753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54A KR100753368B1 (en) 2006-05-11 2006-05-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54A KR100753368B1 (en) 2006-05-11 2006-05-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368B1 true KR100753368B1 (en) 2007-08-30

Family

ID=3861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454A KR100753368B1 (en) 2006-05-11 2006-05-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6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050A (en)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 of wireless lan area
KR100493235B1 (en) 2002-12-02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search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50053810A (en) * 2003-12-03 2005-06-10 김범주 Device sensing a service area of wireless internet
JP2005236835A (en) 2004-02-23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07842A (en) * 2004-05-10 2005-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35B1 (en) 2002-12-02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search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50051050A (en)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 of wireless lan area
KR20050053810A (en) * 2003-12-03 2005-06-10 김범주 Device sensing a service area of wireless internet
JP2005236835A (en) 2004-02-23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07842A (en) * 2004-05-10 2005-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mode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51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ge delivery to a wireless client device in idle state
JP5237456B2 (en) Rapid system selection and acquisition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KR100650398B1 (en) Wireless broadband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measuring preamble and determining effective sleep period
US6829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inter-system handoff
KR100678522B1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049746B2 (en) Management of multi-mode wireless devices
US7725115B2 (en) Paging operation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interfaces
US200902787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aware wi-fi access for a portable device
KR101184610B1 (en) Apparatus for saving power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20070248032A1 (en) Method of providing route update messages and paging access terminals
EP2480031B1 (en) Reducing WLAN power consumption on a mobile device utilizing a cellular radio interface
CN103298080A (en) Enhanced pow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device
Qin et al. Zigbee-assisted power saving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CN101288329A (en) Adaptive wake-up period of roaming wireless terminals
KR201000314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US201101051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based radio management
Tuysuz et al. Energy-efficient vertical handover parameters, classification and solutions over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a comprehensive survey
KR101640467B1 (en) Method and method providing hibernation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CN105430705B (en) A kind of method for switching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29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leep mode in wide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080056914A (en) Method for vertical handoff between hetro system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file using it
KR100966052B1 (en) Method for setting paging group in indoor Wibro system
KR1007533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power supp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Bastos et al. Smart interface switching for energy efficient vertical handovers in ns-2
US85887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daptive idle mode and battery efficienc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