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34B1 -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34B1
KR100753334B1 KR1020050025693A KR20050025693A KR100753334B1 KR 100753334 B1 KR100753334 B1 KR 100753334B1 KR 1020050025693 A KR1020050025693 A KR 1020050025693A KR 20050025693 A KR20050025693 A KR 20050025693A KR 100753334 B1 KR100753334 B1 KR 10075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terminal
reception
memory device
ke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784A (ko
Inventor
전재식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수신 제한 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를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하게 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인지 판단하는 디바이스 판단부,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수신 제한 장치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제한 장치를 DMB 칩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DMB 칩 인터페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메모리 장치로 판단한 경우 상기 메모리 장치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정보에 상응하는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모듈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상기 키값을 통해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DMB 디스트림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제한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수신 제한 장치를 구성하여 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암호화된 DMB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제한 장치를 선택하여 단말기에 연결시킴으로써 DMB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기는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를 통해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 제한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 메모리 장치 등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MB, 수신 제한 장치,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

Description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CEIVING DMB CONDITIONAL ACCESS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DMB 수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수신 제한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제한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레벨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카드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DMB 수신용 단말기 11: 튜너
12: 복조기 13: 디멀티플렉서
14: MPEG 디코더 15: 수신 제한 모듈(CAM)
17: DMB 디스크램블러 20: 스마트 카드
100: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 110: 소켓부
120: 디바이스 판단부 127: 하이(High) 신호 레벨
129: 로우(Low) 신호 레벨 130: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
140: DMB 칩 인터페이스 150: 메모리 장치 호스트
160: DMB 칩 호스트 200: 수신 제한 장치
220: 키값 생성 모듈 230: 메모리 모듈
300: 메모리 장치
본 발명은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DMB 수신을 위한 수신 제한 장치인지 또는 일반 메모리 장치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상응하는 호스트에 연결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 휴대 및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나 차량용 단말기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주로 유료 방송 사업자가 주도하고 있으며, 방송 사업자는 가입자만이 상기 유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업자가 주관하는 방송 센터에서는 방송 신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상응하는 수신 제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해독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이와 같이 해독된 방송 신호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한다.
예컨대,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DMB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10)는 단말기(10) 내부의 보드 상에 FTA(Free-To-Air) 및 CA(Conditional Access) 모듈(15)을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한편, 단말기(10)의 외부 장치로서 스마트 카드(20)를 구비하고 이를 CA 모듈(15)에 접속시켜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키(Key)값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FTA 모듈은 별도로 암호화(Scramble)되지 않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방송을 출력하는 모듈을 말하며, 보통, 튜너(Tuner)(11), 복조기(Demodulator)(12),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or)(13) 및 MPEG 디코더(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튜너(11)는 단말기(10)에 수신되는 고주파 변조 방송 신호를 주파수 동조(Tuning)하고, 복조기(12)는 튜너(11)에 의해 동조된 고주파 변조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변조 방송 신호로부터 원래의 방송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3)는 방송 센터의 멀티플렉서(Multiplexor)에 의해 단일 채널로 합성되어 전송된 복합 신호를 분리하고, MPEG 디코더(14)는 디멀티플렉서(13)에 의해 분리된 복합 신호가 방송 센터에서 MPEG 규정에 의해 압축된 것을 복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CA 모듈(15)은 암호화된 방송 신호(이하, '스트림 신호'라 한다)를 해독하여 방송 센터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을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스트림 신호의 해독은 DMB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7)를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해독은 단말기(10)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20)로부터 키값을 수신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말기(100) 보드 상에 CA 모듈(15)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방송 사업자가 제한 수신 시스템을 교체하거나 복수 개로 운영하려면 가입자는 상기 교체된 시스템에 상응하는 CA 모듈(15) 또는 단말기(10) 보드 상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CA 모듈(15)이 추가로 구비된 단말기(10)로 교체하거나 업그레이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단말기(10)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단말기(10)의 단가를 높인다는 문제점이 된다.
한편,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제공되는 케이블(Cable) 방송 또는 위성 방송에서는 PCMCIA 카드 형태로 CA 모듈을 제작하고 상기 셋톱박스와 공통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케이블 방송이나 위성 방송용 셋톱 박스는 PCMCI 등과 같이 사이즈가 큰 카드를 수용할 수 있고 별도의 금융 스마트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데 반하여 DMB 용 단말기는 PCMCIA 타입의 카드를 수용하기가 어렵고 스마트 카드를 여러 개 장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제한(CA) 모듈 및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수신 제한 장치를 단말기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를 통해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신 제한 장치를 일반 메모리 장치와 구별하여 인식하기 위한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는, 암호화된 DMB 스트림 신호 및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의 멀티 미디어 방송을 제한하는 수신 제한 장치로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정보에 상응하는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 모듈(220); 및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모듈(22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상기 키값을 통해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DMB 디스트림 신호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수신 제한 모듈(15)을 포함하여 단말기(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DMB 수신 제한 장치(200)는 단말기(10)에 수신된 상기 DMB 디스트림 신호를 통해 방송 된 DMB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은,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를 단말기(10)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하게 하는 소켓부(110),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300)인지 판단하는 디바이스 판단부(120),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120)가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를 수신 제한 장치(200)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를 DMB 칩 호스트(160)에 접속시키는 DMB 칩 인터페이스(140), 및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120)가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를 메모리 장치(300)로 판단한 경우 상기 메모리 장치(300)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150)에 접속시키는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하는 단말기(10); 및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정보에 상응하는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 모듈(220), 및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모듈(22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상기 키값을 통해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DMB 디스트림 신호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수신 제한 모듈(15)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120)는 상기 소켓부(110)에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상기 메모리 장치(300)가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 레벨에 따 라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를 상기 DMB 칩 인터페이스(140) 또는 상기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하는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방법은, A-1)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를 단말기(10)의 소켓부(110)에 연결하는 단계;
A-2) 디바이스 판단부(120)가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300)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A-3)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상기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일 경우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를 DMB 칩 호스트(160)에 접속시키고, 메모리 장치(300)일 경우 메모리 장치(300)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150)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의 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제한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일측에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를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100)는 외부로부터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300)인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각각에 상응하는 호스트(150, 160)에 연결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 6에서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는 키값 생성 모듈(20) 및 수신 제한 모듈(CAM; Conditional Access Module 이하, 'CA 모듈'이라 한다)(15)을 포함하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키값 생성 모듈(220) 단말기(10)가 방송 센터 등으로부터 수신한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키값을 생성하고, 이를 CA 모듈(15)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키값 생성 정보는 가입자의 프로그램 시청 권한 메시지인 EMM(Electronic Program Guid) 또는 자격 관리 메시지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격 기준 암호화 제어키를 지닌 메시지인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 등의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CA 모듈(15)은 단말기(10)로부터 DMB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키값 생성 모듈(220)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상기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한다. 한편, 상기 DMB 스트림 신호는 단말기(10)가 방송 센터 등으 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말한다.
그리고 수신 제한 장치(200)는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여 해독된 방송 신호인 DMB 디스트림 신호를 단말기(10)에 전송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신 제한 장치(200)는 메모리 모듈(2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DMB 디스트림 신호를 통해 단말기(10)에 재생된 DMB 방송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MB 수신을 위한 단말기(10)는 다양한 수신 제한 장치(200)를 범용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00)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100)는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뿐만 아니라 MMC, SD 카드 및 금융 서비스나 USIM(Universal SIM)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가입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별도의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300)도 수용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100)는 CA 모듈(15) 등의 암호 해독 과정 등을 통해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우선, 단말기(1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인지 메모리 장치(300)인지 구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레벨 구성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인터페 이스 소켓부(100)는 소켓부(110), 디바이스 판단부(120), DMB 칩 인터페이스(140),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부(110)는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를 단말기(10)에 착탈식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120)는 소켓부(110)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300)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판단은 신호 출력부(125) 및 신호 감지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출력부(125)는 소켓부(110)에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가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 레벨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신호 레벨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High) 신호 레벨 또는 로우(Low) 신호 레벨(Level)로 구분되며, 수신 제한 장치(200)가 연결될 때 하이(High) 신호 레벨을 출력하도록 하고 메모리 장치(300)가 연결될 때 로우(Low) 신호 레벨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호 감지부(미도시)는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 레벨에 따라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DMB 칩 인터페이스(140) 또는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에 연결한다.
만약, 신호 출력부에서 소켓부(110)에 수신 제한 장치(200)가 연결될 때 하이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 메모리 장치(300)가 연결될 때 로우 신호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신호 감지부가 상기 하이 신호 레벨을 감지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장치를 수신 제한 장치(200)로 인식하여 수신 제한 장치(200)를 DMB 칩 인터페이스(140)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DMB 칩 인터페이스(140)는 수신 제한 장치(200)를 DMB 칩 호스트(160)에 연결시켜 DMB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호 감지부가 상기 로우 신호 레벨을 감지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장치를 메모리 장치(300)로 인식하여 메모리 장치(300)를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로 연결하고,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는 메모리 장치(300)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150)에 연결시켜 메모리 장치(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제한 카드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소켓부(110)에 수신 제한 장치(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를 연결한다(S 810).
그러면 디바이스 판단부(120)는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인지(200) 또는 메모리 장치(300)인지 판단한다.
즉, 디바이스 판단부(120)에 구비된 디텍션 회로를 통해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200)일 경우 하이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 메모리 장치(300)가 연결될 경우에는 로우 신호 레벨을 출력하도록 설정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이때, 소켓부(110)에 수신 제한 장치(200)가 연결되었을 경우 디바이스 판단부(120)는 상기 하이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S 820) 이를 인식하여(S 830)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수신 제한 장치(200)임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 제한 장치(200)를 DMB 칩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DMB 칩 호스트(160)에 접속시킨다(S 840).
또한, 디바이스 판단부(120)가 로우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S 625) 이를 인식하여(S 835) 소켓부(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메모리 장치(300)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300)를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메모리 장치 호스트(150)에 접속시킨다(S 845).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수신 제한 장치를 구성하여 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암호화된 DMB 방송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제한 장치를 선택하여 단말기에 연결시킴으로써 DMB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멀티 인터페이스 소켓부를 통해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 제한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 메모리 장치 등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 제한 모듈이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본인 인증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가족 등이 동일한 단말기에 자신의 수신 제한 장치를 장착하여 자신에게 허용되는 DMB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 제한 장치의 메모리 모듈은 단말기에 제공된 DMB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DMB 서비스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도 가입자 본인 인증을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신 제한 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를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연결 가능하게 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인지 판단하는 디바이스 판단부,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수신 제한 장치로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제한 장치를 DMB 칩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DMB 칩 인터페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메모리 장치로 판단한 경우 상기 메모리 장치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키값 생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정보에 상응하는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 생성 모듈로부터 상기 키값을 수신하여 상기 키값을 통해 상기 DMB 스트림 신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DMB 디스트림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수신 제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는
    상기 소켓부에 상기 수신 제한 장치 또는 상기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 레벨을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상기 DMB 칩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메모리 장치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는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은
    하이(High) 신호 레벨 또는 로우(Low) 신호 레벨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한 장치는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DMB 디스트림 신호를 통해 방송된 DMB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8. A-1) 수신 제한 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를 단말기의 소켓부에 연결하는 단계;
    A-2) 디바이스 판단부가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인지 또는 메모리 장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A-3)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가 수신 제한 장치일 경우 상기 수신 제한 장치를 DMB 칩 호스트에 접속시키고, 메모리 장치일 경우 메모리 장치를 메모리 장치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판단부는
    상기 소켓부에 상기 수신 제한 장치 또는 상기 메모리 장치가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 레벨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소켓부에 연결된 장치를 DMB 칩 호스트 또는 메모리 장치 호스트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레벨은
    하이(High) 신호 레벨 및 로우(Low) 신호 레벨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방법.
KR1020050025693A 2005-03-28 2005-03-28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75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693A KR100753334B1 (ko) 2005-03-28 2005-03-28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693A KR100753334B1 (ko) 2005-03-28 2005-03-28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784A KR20060103784A (ko) 2006-10-04
KR100753334B1 true KR100753334B1 (ko) 2007-08-30

Family

ID=3762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693A KR100753334B1 (ko) 2005-03-28 2005-03-28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93B1 (ko) * 2006-04-18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수신 방법
KR101016938B1 (ko) * 2008-03-05 2011-02-25 (주)에프씨아이 Etcs 단말기의 통신영역 제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452A (ko)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방송수신기
KR102004828B1 (ko) * 2017-05-18 2019-10-01 (주)에스앤에스텍 위상반전 블랭크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452A (ko)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방송수신기
KR102004828B1 (ko) * 2017-05-18 2019-10-01 (주)에스앤에스텍 위상반전 블랭크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8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784A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8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지역적으로 제한하기 위한제한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1578131B1 (ko) 케이블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제한 방송 수신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80000950A (ko) 휴대 단말기가 ic 칩을 이용하여 암호화 방송을 복호하는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100753334B1 (ko) Dmb 수신 제한 장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737078B1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유료 채널 방송용 수신 제한장치 및제어 방법
KR101631501B1 (ko) 수신 제한 시스템
KR100737079B1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유료 채널 선국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765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다중 암호 해독 시스템 및 방법
KR10088466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모듈 및 이를 장착한 디지털방송수신기
KR100403236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의 수신제한장치
KR100879428B1 (ko) 셋톱박스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삽입시 초기 인식 방법
KR100737115B1 (ko) 셋탑박스의 에러 검사 방법
KR100745277B1 (ko) 조건부 접속이 가능한 디지털 av 시스템 및 조건부 접속처리 방법
EP1480470B1 (en) Signal television measuring equipment
KR10130364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해킹 차단 방법
KR20060064555A (ko)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수신제한 시스템에서의 암호화방법 및 장치
KR100804941B1 (ko) 디지털 방송 장치의 방송 신호 재생 방법
EP3644615A1 (en) A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main receiver
KR100998898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안내정보 수신 방법
KR100966561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시청 제한 방법
KR2006011826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시스템 및 수신 방법
KR20050115556A (ko) 디지털 셋탑 박스의 수신 제한장치
KR10084057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조건부 액세스 장치와 그 운용 방법
KR20070079196A (ko) 퍼스널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KR20070063261A (ko) 방송수신기의 메뉴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