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060B1 -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060B1
KR100753060B1 KR1020057002056A KR20057002056A KR100753060B1 KR 100753060 B1 KR100753060 B1 KR 100753060B1 KR 1020057002056 A KR1020057002056 A KR 1020057002056A KR 20057002056 A KR20057002056 A KR 20057002056A KR 100753060 B1 KR100753060 B1 KR 10075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tation
gateway
address
sct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783A (ko
Inventor
제로엔 피. 도렌보쉬
리차드 엘. 베네트
다비드 엘. 레이머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5700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0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221)으로부터 제 2 IP 접속(331)으로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방법(900)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 1 스테이션과 게이트웨이 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IP 어드레스 및 제 1 IP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는 상기 통신 단계;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1차 접속이고, 상기 제 2 IP 접속은 제 2 접속이며,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IP 어드레스가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1차 어드레스임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심리스 핸드오프, 제 1 IP 어드레스, 제 2 IP 어드레스, 1차 접속, 2차 접속, 게이트웨이

Description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IP 접속으로부터 다른 접속으로의 패킷 데이터 통신의 심리스 핸드오프(seamless handoff)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들 시스템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계속하여 무선 통신들 시스템들에서 상당히 자명한 것으로서 빠르게 진보되고 있다. 인터넷 또는 IP 어드레스들 및 다양한 패킷 데이터 수송 프로토콜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수송 제어 프로토콜(Transport Control Protocol; TCP),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niversal Datagram Protocol; UDP) 및 보다 최근의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을 이용하는 인터넷형 네트워크들과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인에이블된 모바일 스테이션들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시스템들이 전개되고 있다. 많은 제 2 세대 및 제 3 세대 셀룰러 및 셀룰러형 시스템들, 예를 들면, GPRS(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CDMA(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2000, 광대역 CDMA, UMTS(유니버설 모바일 원격 통신들 서비스)는 그러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들을 신뢰하거나 또는 지원한다. 그러한 셀룰러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하나의 셀룰러 고정 포인트로부터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다소 투명하거나 또는 지시가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다른 동일한 셀룰러 고정 포인트로 통신들에 대한 핸드오프를 제공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다.
다른 통신들 시스템들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들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적절한 권한 부여(authorization) 및 인증(authentication) 절차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작거나 국소적인 영역의 시스템들, 종종 무선 시스템들로서 특징될 수 있다. 그러한 무선 시스템들은, 예를 들면, IEEE802.11에 기초하거나 또는 그와 유사하게 설계된 것들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들의 대부분은 단가가 낮도록 설계되고, 주로 유선들 및 케이블들을 후킹 업(hooking up)하는 것을 배제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부품에 대한 이들 시스템들은 하물며 셀룰러 또는 셀룰러형 시스템들로부터 및 그로의 핸드오프를 수용하거나 또는 개시하는 통신들의 중간에 하나의 고정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포인트로 통신들을 핸드 오프하는 등의 이동성 문제점들을 다루지 못한다. 일부 802.11 시스템들은 하나의 고정된 포인트에 의해 드롭된 통신을 802.11 시스템들에서 기본 서비스들 세트(Basic Services Set) 또는 BSS라 칭하는 동일한 서브넷의 일부인 고정된 포인트들을 제공하는 다른 고정된 포인트에서 픽업하는 능력을 갖지만, 이는 수초의 시간을 소요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시간 임계적인 필요들에 의해 모바일 사용자들을 다루기에 적절치 않다.
분명히, 하나의 IP 접속으로부터 다른 접속으로 시간 임계적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시스템들, 네트워크 동작자들 및 사용자들에게 명백할 것이고, TCP/UDP 패킷 데이터를 사용하는 레가시 장비(legay equipment)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것이다.
첨부한 도면들은 아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의 일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하고, 여러 원리들 및 장점들을 설명하는 작용을 하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의미한다.
개관적인 형태로, 본원 명세서는 무선 통신들 유닛들에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그 속에서 동작하는 그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들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하게는, 하나의 IP 접속으로부터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다른 접속으로 시간 임계적 또는 실시간 통신들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패킷 데이터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방법들 및 장치에 내포된 여러 가지 진보적인 개념들 및 원리들이 개시되고 고찰된다. 특히 관심을 끄는 통신들 시스템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방식이고, 802.11 로컬 에어리어 시스템들 및 로컬 에어리어 시스템들 내에서 및 로컬 에어리어와 셀룰러 시스템들과 같은 다른 시스템들 간의 이동성 관심사들을 다룰 필요가 있는 제 2 세대 플러스 및 제 3 세대 셀룰러 및 셀룰러형 시스템들, 예를 들면, GPRS(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CDMA(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2000, 광대역 CDMA, UMTS(유니버설 모바일 원격 통신들 서비스)와 함께 그러한 국소 시스템들로서 발전되고 전개되는 것들이다.
아래 추가로 고찰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진보적인 원리들 및 이들의 조합들은 SCTP 엔드포인트로서 작용하는 게이트웨이 또는 그렇게 작용하고, 사용자 및 사용자 통신들에 명백한 형식으로 시스템 구성 요소들 및 장비에 의한 추가의 개입(intervention) 없이 필요할 때 또는 요구될 때 핸드오프를 실시하는데 요구되는 것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IP 접속들을 설정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고, 그에 따라 공지된 시스템들과 연관된 여러 문제점들을 완화시키는 스테이션들을 도입하기 위해 유리하게 사용되고, 단, 이들 원리들 또는 이들의 등가물들이 이용된다. 게이트웨이를 사용함으로써, 게이트웨이로부터 업스트림한 TCP 또는 UDP 패킷 데이터를 사용하는 레가시 스테이션들과의 통신들은 게이트웨이와 다운스트림 스테이션들 간의 상이한 IP 접속들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실시예들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최상의 모드들을 가능한 형식으로 추가로 설명하도록 제공된다. 이 명세서는 본 발명을 어떤 방식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진보적인 원리들 및 그의 장점들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원의 계류 중이 이루어지는 임의의 보정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문제의 이들 특허 범위의 모든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만일 있다면, 제 1 및 제 2, 상단 및 바닥 등의 연관 용어들의 사용은 다른 실체 또는 작용으로부터 그것을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실체들과 작용들 사이에 임의의 실제적인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함축시킬 필요가 없음이 추가로 이해된다. 많은 진보적인 기능성 및 많은 진보적인 원리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들 및 애플리케이션 특정 IC들과 같은 집적 회로들(ICs)에 의해서 또는 그 중에서 최상으로 구현된다. 가능한 현저한 노력 및 예를 들면, 이용 가능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인 고려들에 의해 동기화된 많은 디자인 선택물들에도 불구하고, 본원에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되는 경우 당업자라면 그러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최소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리들 및 개념들을 애매하게 만드는 임의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간단히 하기 위해, 그러한 소프트웨어 및 IC들에 대한 추가의 고찰은, 만일 있다면, 바람직한 실시예들 내의 원리들 및 개념들에 관한 그 본질들로 제한될 것이다
도 1는 스테이션들 간의 다중 접속들을 지원하기 위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레벨을 간단하고 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IP 접속들 간의 통신들의 핸드오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레벨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터널링을 나타내는 다양한 도면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2개의 IP 접속들 간의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도시하는 시스템 레벨 도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8는 본 발명에 따라 도 2, 도 6, 및 도 7의 시스템들에 사용하기 적절한 무선 통신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
도 9는 2개의 IP 접속들 간의 통신의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바람직한 방법의 흐름도.
도 1를 참조하면, 스테이션들, 특히 스테이션 A(103)와 스테이션 B(105) 간의 다중 IP 접속들을 지원하기 위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들 시스템의 간단하고 전형적인 시스템 레벨 도면이 고찰되고 개시될 것이다. 도 1에서, 모바일 또는 휴대용 무선 통신들 유닛, 예를 들면, 셀룰러 또는 가입자 핸드셋 또는 메시징 유닛 등으로서 나타낸 스테이션 A(103)는 제 1 IP 어드레스(IP A1 111)를 갖는 스테이션 A와 제 1 IP 어드레스(IP B1 113)를 갖는 스테이션 B와의 제 1 네트워크(107) 및 제 1 IP 접속(109)을 통해 휴대용 랩탑 컴퓨터로 나타낸 스테이션 B(105)와 통신한다. 스테이션 A 및 스테이션 B는 또한 제 2 IP 어드레스(IP A2 117)를 갖는 스테이션 A와 제 2 IP 어드레스(IP B2 119)를 갖는 스테이션 B와의 제 2 네트워크(116)를 통해 제 2 IP 접속(115)을 공유한다. 제 3 IP 접속(121)은 그의 제 3 IP 어드레스(IP A2 117)를 사용하는 스테이션 A 및 제 3 IP 어드레스(IP B3 123)를 사용하는 스테이션 B와 함께 나타낸다.
상기 다중 접속 배열은 최근에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 의해 표준화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로서 공지된 비교적 신규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것은 TCP 및 UDP와 동일한 계층에서 작동하고, TCP의 보다 가능한 버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SCTP는 스트림들이 서로 블로킹하지 않도록 다른 스테이션과 동시에 발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스트림들을 관리하기 위해 엔드포인트 또는 스테이션에 적용하는 방식을 제공하도록 고안되었다. SCTP는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스트림들을 최상의 노력의 스트림들과 혼합할 수 있다. SCTP는 또한 스테이션이 다른 엔드포인트 또는 스테이션을 명시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그것이 하나 이상의 IP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를 갖는 이용 가능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엔드포인트는 1차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들 중 하나를 고를 것이다. 그 어드레스가 실패할 때, SCTP 계층은 자동으로 대체 목적지 어드레스로 스위칭될 것이다. 스위칭은 SCTP 계층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어떠한 도움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대체 어드레스들이 상이한 네트워크들을 사용할 때, 시스템 신뢰도는 엄청나게 증가한다. 그러나, SCTP 실패-오버 스위칭(fail-over switching)은 수초를 소요할 수 있고, 따라서 음성 또는 비디오 등의 시간 임계적 통신들에 대해서는 너무 느리다. 본원 명세서는 이러한 관심사를 다루게될 여러 가지 개념들 및 원리들을 고찰하고 개시한다.
SCTP는 스테이션 A 또는 B 등의 엔드포인트가 먼저 IP 접속을 보류하거나 재개시하지 않고 다른 엔드포인트로 공급된 어드레스들을 변경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는 어드레스들 중 어느 것이 1차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다른 엔드포인트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명시할 수 없다. SCTP는 SCTP 수송을 재개시 해야 함 없이 스테이션 또는 엔드포인트 내에서 IP 장비를 동작자들이 변경하게 허용하 도록 확장된 것이다(draft-ietf-tsvwg-addip-sctp-03.txt 참조). IETF 드래프트는 목적지 어드레스가 삭제되어야 하거나, 목적지 어드레스가 부가되어야 하거나, 또는 특정된 어드레스가 1차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을 다른 엔드포인트에 통지하도록 엔드포인트가 사용될 수 있는 SCTP 확장 메시지들을 정의한다. 이들 SCTP 확장 메시지들은 IP 네트워크들 간의 시간 적절한 핸드오프를 지원하고 실시하는 신규하고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동일한 출원일자를 갖고,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발명의 명칭이 "시간 임계적 통신들을 위한 2개의 IP 접속들 간의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HANDOFF BETWEEN TWO IP CONNECTIONS FOR TIME CRITICAL COMMUNICATIONS)"인 도렌보쉬(Dorenbosch) 등의 동시 계류중인 특허 출원은 SCTP를 사용하여 스테이션들 사이에 핸드오프들을 실시하는 신규하고 진보적인 기술을 고찰한다.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이 TCP/UDP 스킴들을 사용할 때조차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신규하고 진보적인 기술의 여러 특징들을 여기서 우리는 고찰하고 기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스테이션(203), SCTP 엔드포인트 B 및 게이트웨이(205) 간의 통신들의 2개의 IP 접속들 중에서 심리스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적절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레벨도가 개시되고 고찰될 것이다. 제 1 스테이션(203)과 게이트웨이 간의 2개의 IP 접속들은 수송 프로토콜(207)로서 SCTP를 이용한다. 게이트웨이(205)는 예를 들면, 인터넷(212)을 통해 제 2 스테이션으로 통신들을 중계함으로써 TCP 또는 UDP(21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시킬 수 있는 제 1 스테이션과 제 2 스테이션(209) 간의 통신들을 촉진하고 제공한다. 따라서, 제 2 스테이션(209)은 TCP/UDP 엔드포인트이고, 게이트웨이(205)는 대응하는 TCP/UDP 엔드포인트(213) 뿐만 아니라 제 1 스테이션(203)과의 교환들 또는 통신들을 위한 SCTP 엔드포인트(215)이다. 도 2는 공지된 셀룰러 "액세스 포인트" 또는 네트워크, 상세하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및 게이트웨이(221)를 통해 셀룰러 코어(cellular core)(223) 및 그에 따라 게이트웨이(205)로 라우팅(routing)되는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IP 어드레스, IP A1,217을 사용하는 제 1 IP 접속(219)을 나타낸다. UMTS에서 및 GPRS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205)는 G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를 지탱하는 게이트웨이 GSN일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제 2 IP 어드레스(IP A2, 225)를 사용하는 제 2 IP 접속(227)은 기본 서비스 세트(228)를 통해 라우팅되고, 따라서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AP)(229)로부터 분배 시스템(231) 및 포털(233)을 통해 게이트웨이(205)로 라우팅된다.
도 2는 셀룰러 시스템을 통한 IP 접속 및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 특히 IEEE 802.1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다른 접속을 보여주지만, 유무선 네트워크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원에 고찰되고 개시된 진보적인 원리들 및 개념들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여러 공지된 표준들 및 기술들 및 그의 진화들에 따른 여러 액세스 포인트들, 예를 들면, 하이퍼랜(HiperLan), 불루투쓰(Bluetooth), 기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기술, 뿐만 아니라 셀룰러 및 셀룰러형 액세스 기술들의 사용한 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고, 본원에 개시된 개념들은 각각의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들 내의 또는 그들 사이에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개시의 하나의 바람직한 특징은 IEEE 802.11 네트워크를 그렇게 사용하여 행하기 위한 필수 요건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리는 간단히 본론에서 벗어나거나, 일반적으로 802.11 네트워크들에 적용하는 일부 구성 개념들, 정의들 및 용어를 도입할 것이다.
802.11을 사용하는 무선 IP는 점점 인기를 끌고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인기있는 커피숍들은 현재 그들의 고객들에게 802.11 접속도를 제공한다. 고객들은 인터넷 또는 그들의 회사의 인트라넷을 브라우징(browsing)할 수 있고, 커피를 즐기면서 이메일을 읽고 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IP는 IP 상의 음성 및 화상 회의 등의 실시간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802.11 유효 범위 영역은 BSS 228 등의 기본 서비스 세트(BSS)라 칭한다. 802.11 표준은 모바일 스테이션들의 ad-hoc 네트워크로 분리된 BSS들을 지원하지만, 전형적인 BSS는 액세스 포인트(229) 등의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함으로써, 분배 시스템(231) 및 그로부터 포털(portal)(213) 및 게이트웨이(205)를 통해 인터넷(213)으로 다른 유무선 LANs로의 브리지 또는 그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각각의 BSS는 단일 AP 및 임의의 어느 시점에 단지 하나의 AP와 연관시킬 수 있는 스테이션, 예를 들면, 제 1 스테이션 또는 스테이션 B(2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관 규칙은 제한된 방식으로 스테이션에 IP 데이터를 라우팅하거나 또는 분배할 수 있게 하고, 어떤 AP가 그 스테이션과 연관되는지는 공지되어 있다. 스테이션 B는 이러한 연관 또는 IP 접속에 대한 IP A2 225의 목적지 어드레스 또는 IP 어드레스를 갖고, 그러한 어드레스와 연관된 메시지들은 AP229를 통해 스테이션(203)으로 라우팅된다.
스테이션 B(203)과 같은 모바일 스테이션은 하나의 BBS로부터 다음 BSS 내로 로밍(roaming)할 수 있고, 다른 AP에 접속할 수 있다. 802.11 표준들은 또한 로밍을 단순화하기 위해 조정된 BSS들의 확장된 서비스들 세트(ESS)를 정의한다. 이는 예를 들면, 고객이 커피숍에서 이웃하는 책방 내로 로밍할 수 있게 하고, 두 점포들이 동일한 ESS의 일부라고 가정하여 인터넷을 계속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한다. 고객의 스테이션은 먼저 접속을 끊거나 또는 커피숍에서 AP와의 연관을 드롭하고, 그후 책방에서 AP와 연관시킨다. 이는 수초간 중단된 브라우저 동작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빨리 모든 일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음성 또는 IP 상의 음성 등의 실시간 또는 시간 임계적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충분히 빠르지 않고, ESS들 간의 핸드오프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핸드오프가 ESS들 사이에 있는 경우조차 수행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802.11에 대한 표준들이 분명해짐에 따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개념들의 사용 없이, ESS 변천은 서비스들의 붕괴를 가져올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상황과 크게 연관이 없는 이 단락은 핸드오프가 2개의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 있는 경우 시스템들에서 핸드오프들 및 그 필요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개관으로서, 도 2에 나타낸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IP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는 SCTP를 사용하여 제 1 IP 어드레스(IP A1, 217)를 게이트웨이(205)에 통지함으로써 제 1 IP 접속을 설정하거나 또는 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제 1 스테이션(203)에 의해 행해질 것이다. 그후, 이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스테이션 B에 대한 제 1 IP 접속(219) 및 제 1 IP 어드레스(217)를 사용하여 스테이션 B(203)와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SCTP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을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어드레스 변환 및 프로토콜 변환, TCP/UDP로 또는 그로부터 SCTP를 다루고,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209)으로(또는 로부터) 중계한다. 제 1 IP 접속을 설정하고 사용한 후, 심리스 핸드오프에 대한 다음 필수 요건은 스테이션 B(203)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225)로 제 2 IP 접속(227)을 설정하는 것이고, 여기서 게이트웨이에 의한 제 1 IP 접속은 1차 접속으로 남겨지고, 제 2 IP 접속은 2차 접속으로 되며, 이들 모두는 동시에 존재한다. 그후, 제 2 IP 접속이 1차 접속이어야 하는 것을 결정하고,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제 2 IP 접속을 1차 접속으로 변경하고, 여기서 패킷 데이터 통신은 제 2 IP 접속 상으로 즉각 스위칭되어 심리스 핸드오프를 완료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또는 휴대용 스테이션인 스테이션 B(203)는 초기에 802.11 BSS 또는 유효 범위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유효 범위 영역 내에서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229)와의 연관 또는 IP 접속을 설정하는데 흥미를 끌지 않을 것이다. 모바일은 셀룰러 시스템으로 등록되어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203)은 셀룰러 시스템의 일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션 B에 대한 외부 트래픽을 게이트웨이(205) 내로 매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Y1)를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어드레스는 (UMTS에서 PDP 맥락 활성화와 같은) 공지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 Y1 상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대한 모든 트래픽은 게이트웨이로 라우팅될 것이다. 게이트웨이는 트래픽을 IP 어드레스 A1 상의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것이다. 엔드포인트 X는 어드레스 Y1과 통신할 때 TCP/UDP를 사용하고, 게이트웨이가 수송 계층을 변경하는 것을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SCTP는 셀룰러 시스템 상으로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모바일 엔드포인트는 셀룰러 접속 상으로 추가의 IP 어드레스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못하고 이들을 대체 SCTP 목적지 어드레스들로서 다른 엔드포인트인, 게이트웨이(205)에 제공한다. 그러나, 동일한 셀룰러 접속을 통한 다중 접속들의 사용은 이용 가능성을 모두 그만큼 증가시키지 못한다.
모바일 스테이션 B는 또한 게이트웨이에 의해 사용되어야 할 제 1 IP 어드레스(IP A1)를 가져야 한다. 어드레스 IP A1은 세계적으로 고유할 수 있다. 이는 심지어 어드레스 Y1과 동일할 수 있고, 그 경우, 모바일 스테이션은 단지 하나의 어드레스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스테이션은 셀룰러 시스템에 대해 국소적인 전용 IP 어드레스(IP A1)를 얻는다. 그 경우, 게이트웨이는 어드레스 Y1과 A1 사이에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은 공지되어 있고, 사소하지 않고, 그 이유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원시 IP 어드레스들을 피어(peer)들과 교환하는 데이터에 매입(embeding)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에, 어드레스 변환은 애플리케이션-특정 데이터 내의 어드레스 값들의 치환(substitu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동작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변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는 종종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Application Level Gateway; ALG)라 칭한다. 대안으로, 모바일 스테이션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용) IP 어드레스 A1을 얻고, 이 게이트웨이는 또한 외부 어드레스 Y1을 할당한다. 이는 심지어 모바일 스테이션이 외부 어드레스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셀룰러 접속 상으로 IP를 사용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어드레스 A1을 사용하여 SCTP 상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유사한 SCTP 방식에서, 모바일 스테이션은 셀룰러 접속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 A1의 제 2 스테이션(209)과 같은 다른 엔드포인트를 통지하려 시도할 것이다. 게이트웨이는 모든 SCTP 메시지들을 차단하거나 또는 수신할 것이고, 이중 기능성을 제공할 것이고: 모바일 스테이션이 그의 목적지 IP 어드레스(IP A1)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외부 엔드포인트와 SCTP 연관을 설정하려 시도할 때, 게이트웨이는 어드레스 Y1을 사용하여 다른 엔드포인트와 TCP 접속을 개시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필요한 경우, 게이트웨이는 다른 엔드포인트와 다중 TCP 접속들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다른 외부 엔드포인트가 어드레스 Y1을 사용하여 모바일 스테이션과 TCP 접속을 개시할 때, 게이트웨이(205)는 어드레스 A1을 사용하여 모바일과 새로운 SCTP 연관을 설정하거나, 또는 A1에 대해 기존의 연관에 새로운 스트림을 부가한다. 어드레스 A1이 어드레스 Y1과 상이한 경우, 게이트웨이는 공지된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 방식으로 어드레스 및 포트 변환을 수행할 것이다. 외부 엔드포인트는 IP 어드레스 Y1 만을 알 것이다.
게이트웨이는 (모바일에 의해) SCTP와 (외부 엔드포인트에 의해) TCP/UDP 간의 수송 프로토콜 변환을 추가로 수행할 것이다. 변환은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한 신뢰할 수 있는 스트림들에 대해, 게이트웨이는 외부 엔드포인트인 제 2 스테이션에 의해 TCP를 사용하는 한편,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한 신뢰할 수 없는 스트림들에 대해, 게이트웨이는 외부 엔드포인트에 의해 UDP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모바일 스테이션과 통신할 때, 게이트웨이는 1차 SCTP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 A1을 사용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스트림으로부터 상이한 SCTP 스트림들 상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엔드포인트의 상이한 IP 포트들로 전송할 수 있고, 상이한 IP 포트들로부터 다른 엔드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동일한 SCTP 연관의 별개의 SCTP 스트림들 상으로 조합할 수 있다.
다른 엔드포인트인 스테이션(209)은 모바일 스테이션에 대한 TCP/UDP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외부 IP 어드레스(Y1)를 사용할 것이다. 사실 상, 게이트웨이에서 변환으로 인해, 외부 엔드포인트는 현재 모바일 스테이션이 SCTP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스테이션은 게이트웨이에서 수송 프로토콜 변환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모바일이 연관되는 한, 그것은 SCTP 상으로 외부 엔드포인트와 통신한다.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은 바람직하게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사용하여 SCTP 상으로 실시간 세션을 설정한다. SCTP 상으로 SIP를 사용하는 것은 draft-ieft-sip-sctp-01.txt에서 고찰되고 있다. SIP에 대한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를 기록하는 것은 용이할 것이다. 그러나, SCTP 상으로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세션 베어러(session bearer)는 마찬가지로 SCP 상으로 실행해야 한다. SIP는 실시간 데이터가 엔드포인트들 사이에 어떻게 전송되어야 하는지 명시하기 위해 세션 디스크립션 언어(Session Description Language; SDL)를 사용한다. SIP는 매체 협상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Language; SDP)에 의존한다. 현재 SDP는 음성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UDP 상으로 RTP를 사용할 것임을 명시할 수 있다. 누구나 음성 또는 비디오가 SCTP 상으로 최상의 노력의 스트림 상으로 실행한다는 규격을 허용하도록 SDL로의 확장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한 확장은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의 기술 범위에서 잘 이루어진다. 모바일 또는 스테이션은 그의 셀룰러 접속 상으로 제 1 IP 접속(219)을 사용한다. 셀룰러 및 무선 IP 모두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B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은 SCTP 상에서 실행될 것이고, 그 스테이션이 셀룰러 및 무선 IP 모두를 지원하는 것을 결정한 때 또는 그 경우 SCTP 상에서 실행되도록 조건에 붙여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 1 무선 스테이션 B(203)에 대해 제 2 IP 어드레스(IP A2 225)에 의해 제 2 IP 접속(227)을 설정한 후의 결과들 또는 상황을 나타내고, 여기서 제 1 IP 접속은 1차 접속으로 남겨지고, 제 2 IP 접속은 제 1 스테이션과 게이트웨이 사이에 2차 접속이 되고, 두 접속들은 동시에 존재한다.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접속에 대해 탐색하고, IP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키고, SCTP를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225)를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게이트웨이에 의해 접속도를 확립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탐색, 연관 및 확립은 패킷 데이터의 통신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계없이 명백하게 취해진다. 적절한 무선 IP 접속에 대한 탐색은 이용 가능한 접속이 액세스 포인트 및 적절한 서비스들을 포함하고, 스테이션 B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성공적으로 인증될 수 있거나, 또는 게이트웨이(205)에 대한 접속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우리의 고찰은 802.11 액세스 포인트인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켜 기재하였지만, 다른 로컬 에어리어 액세스 기술들은 여기에 고찰된 개념들 및 원리들로부터 이로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CTP를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를 스테이션 B에 통지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제 2 IP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접속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션 B(203)와 같은 802.11 가능한 모바일은 적절한 무선 IP 접속에 대해 규칙적으로 스캐닝(scanning)할 것이다. 적절한 것을 발견할 때, 그것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키고, 인증하고, 유선 네트워크들에 의한 접속도를 확립한다. 모든 유사한 경우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BSS(228)(셀룰러 코어에 결합된 게이트웨이)는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SP)와 연관시킬 것이고, 무선 스테이션 B는 심지어 인증을 위해 SIM 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임에 주의해야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또는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가 셀룰러 시스템과 독립적인 경우, BSS는 SP와 연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셀룰러 SP와 BSS의 동작자 사이에 로밍 협약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흥미롭게도, 본 발명은 로밍 협약 없이 수행된다. 모바일은 가입할 수 있고, 따라서, BSS 및 유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이득 액세스와 관계없이 인증할 수 있다. 이는 셀룰러 SP에 대한 임의의 인식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스의 어떠한 경우에도, 무선 스테이션은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예를 들면, DHCP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은 기존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모바일은 802.11 IP 접속(227) 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IP 어드레스(IP A2 225)를 갖는다. 그후, 모바일 또는 스테이션 B는 스테이션 B에 대한 대체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제 2 IP 어드레스를 부가할 것을 다른 SCTP 엔드포인트인 게이트웨이(205)에 명령하는 SCTP 확장 메시지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모바일 스테이션 B 상의 애플리케이션은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셀룰러 베이스 IP 접속 상으로 제 1 IP 어드레스를 계속 사용하고, 게이트웨이는 이러한 통신을 IP 어드레스(IP Y1)를 사용하여 제 2 스테이션(609)으로 중계한다. 이러한 모든 일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 2 스테이션(209)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은 IP 어드레스(IP Y1)를 계속 사용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셀룰러 시스템을 통해 계속 흐른다.
제 2 IP 어드레스의 획득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해지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하자. 스테이션 B 내 및 그 위에서 실행되는 무선/이동성(radio/mobility)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과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이동성 소프트웨어는 또한 SCTP 계층과 상호 작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IP A2 225)를 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제 2 IP 어드레스가 이전에 셀룰러 접속과 연관된 경우, 모바일 스테이션은 먼저 셀룰러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어드레스와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한 경우, 먼저 제 2 IP 어드레스를 삭제할 것을 게이트웨이에 통지해야 한다. 셀룰러 접속이 현재 일부 이유로 실패하는 경우, 다른 엔드포인트는 제 2 IP 접속, 여기서 802.11 접속 상으로 자동으로 스위칭될 것이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모드로 그의 802.11 접속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에러 경우가 실시간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경우조차, 그것은 종래 기술의 접근법들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을 이미 제공한다. 스테이션 B(203)는 제 2 IP 어드레스(225)를 부가할 것을 게이트웨이(205)에 명령하도록 제 1 또는 제 2 IP 어드레스 및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제 2 접속을 개시할 것이고, 상세하게는 AP 229, 분배 시스템(231) 및 임의의 새로운 라우터들, 추가의 게이트웨이들, 또는 스테이션과 게이트웨이 간의 경로 내의 방화벽들 내의 적절한 설정들을 확립할 것이기 때문에, 제 2 접속 및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도 2는 또한 하나의 IP 접속으로부터 다른 것, 여기서는 셀룰러로부터 무선 IP 시스템으로 심리스 핸드오프에서 다음 프로세스들의 결과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일단 제 2 IP 접속이 어떤 시점에 설정되면, 무선 스테이션 B는 제 2 IP 접속이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한다. 제 2 IP 접속이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것은 제 1 IP 접속의 서비스 형태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또는 여기서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약화되거나, 제 2 IP 접속에 대한 요금제(tariffs)가 선호되거나, 보다 큰 대역폭 등의 서비스들이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고, 이들 서비스가 무선 IP 네트워크를 통한 제 2 IP 접속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스테이션 B는 현재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229) 상으로 스위칭되고 802.11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스테이션 B는 802.11 AP 229에 의한 제 2 접속을 '활성' 모드로 가져올 것이고, 이미 '활성' 모드가 아닌 경우 및 SCTP 확장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경우, 제 2 IP 어드레스(225)가 현재 스테이션 B에 대한 1차 SCTP 목적지 어드레스임을 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게이트웨이 또는 그 위에서 실행되는 SCTP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스테이션 B에 대한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제 2 IP 어드레스(225)를 사용하여 시작할 것이다. 스위칭은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스테이션(209)에 대해 다소 즉각적이고, 완전히 투명한 것에 주의하자.
마찬가지로, 802.11 AP 229는 옥내에 있고, 셀룰러 유효 범위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제 2 IP 접속이 설정되고 1차 접속이 된 후, 셀룰러 접속이 악화되거나 또는 임의적임을 스테이션 B가 관찰할 때, 그것은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하도록 게이트웨이에 통지하고, 제 1 IP 접속을 사용하거나 또는 여기서 셀룰러 IP 접속을 드롭하여 임의의 연관을 종료함으로써 제 1 IP 접속을 중지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제 2 IP 접속 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 정상적으로 동작을 계속할 것이다. 스테이션 B는 현재 새로운 1차 어드레스인 IP A2를 제 1 접속을 통해 게이트웨이에 통지할 수 있고, 그후 그 접속에 대한 확인에 대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션 B는 그 접속을 '활성' 모드로 가져온 후, 제 2 IP 접속을 통해 새로운 1차 어드레스를 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션 B는 그것이 실시간 음성 대화에서 잠깐 멈춤(pause) 또는 침묵 등과 같이 시간 임계적 통신에서 유휴 기간 또는 침묵 기간 동안 시작하도록 스위칭 시기를 맞춘다. 스테이션 B는 그것이 셀룰러 시스템의 유효 범위에서 벗어날 때까지 제 1 IP 접속(219)의 드롭 대기를 선택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접속을 갖는 것은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스테이션 B는 또한 그것이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후 802.11 AP 229와 제 1 IP 접속을 연관시킬 수도 있고, 그것이 현재 대체 SCTP 목적지 어드레스로 되었음을 게이트웨이에 통지할 수 있다.
셀룰러로의 다시 로밍은 본질적으로 역 프로세스이다. 그 애플리케이션은 제 1 IP 어드레스 상에서 802.11 접속을 사용하여 SCTP 상으로 실행된다. 게이트웨이는 1차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도 2에서 제 1 IP 어드레스(IP A2)를 사용한다. 필요할 경우, 스테이션 B는 제 2 IP 어드레스(IP A1) 상의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셀룰러 시스템과의 접속을 확립한다. 제 2 IP 어드레스는 고정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동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UMTS 시스템들에서 2차 PDP 문맥(context)의 확립과 같이, 적절한 서비스 품질을 얻기 위해 특별한 규정들이 요구될 수 있다. 그후, 모바일 스테이션 내의 소프트웨어는, 제 2 IP 어드레스의 유효성에 관하여 게이트웨이 내에 SCTP 계층에 통지하기 위해 SCTP 확장 메시지들을 사용한다. 그후, 스테이션 B 내의 소프트웨어는 1차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제 2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다른 엔드포인트 내의 SCTP 계층에 명령하기 위해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한다. 모바일은 현재 802.11 IP 접속을 떼어낼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전에, 그것은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할 것을 게이트웨이(205) 내의 SCTP 계층에 명령하는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절차들은 또한 802.11 네트워크들 중 횡단(across) ESS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2개의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실시간 스위칭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유선 LAN과 무선 IP LAN 사이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유선 LAN 사이와 같이 임의의 2개의 IP 수송 매체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통 요소들은 모바일에서 SCTP 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SCTP와 TCP/UDP 사이에서 변환하는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를 통해 트래픽을 라우팅하고, 각각 상이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제 시간에 중첩하는 2개의 IP 접속들을 모바일 스테이션이 확립하게 하고, ALG에서 1차 목적지 어드레스의 선택을 다루는 SCTP를 모바일이 사용하게 하는 능력이다. 상기 절차들을 행하는 것은 예를 들면, 802.11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 하이퍼랜 액세스 포인트,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액세스 포인트, 셀룰러 스테이션,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스테이션 및 유니버설 모바일 원격 통신 서비스 스테이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IP 접속들로부터 또는 그들 중에서 로밍 또는 심리스 핸드오프를 허용할 것이다.
본원에서 SCTP 터널링이라 칭하는 다른 신규 개념은 도 2의 시스템, 게이트웨이, 제 1 스테이션 및 방법론들의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터널링을 다양하게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다음 고찰 및 설명에서 언급될 것이다. SCTP 터널의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서, 터널(311)은 2개의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들 X 및 Y(303 및 307)와 2개의 네트워크들(305, 315)을 WAN(광역 네트워크), MAN(중간 영역 네트워크) 또는 LAN(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일 수 있는 제 3 네트워크(309)를 통해 접속한다. SCTP 터널(게이트웨이들 307, 313)의 엔드포인트들 A 및 B를 형성하는 실체는 IP 패킷들을 랩핑(wrapping) 또는 언랩핑(unwrapping)한다. 그들은 서로의 IP 어드레스들을 알고 이들을 SCTP 연관 또는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연관의 일부로서, SCTP 엔드포인트들은 적어도 2개의 독립적인 스트림들을 정의하고, 그중 하나는 신뢰할 수 있게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신뢰할 수 없게 남겨진다.
프로토콜 스택들은 도 4에 도시된다. 패킷들, 게이트웨이(307 및 313)를 랩핑하는 실체는 원래 패킷이 TCP 또는 UDP인지를 검사한다. 그것이 TCP인 경우, 그 실체는 패킷을 신뢰할 수 있는 SCTP 스트림에 전송하고, 그것이 UDP인 경우, 그것은 신뢰할 수 없는 스트림을 사용한다. 원래 패킷이 우연히 SCTP인 경우, 유래하는 엔드포인트는 SCTP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 실체는 변형 없이 또는 최소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SCTP 엔드포인트 또는 게이트웨이는 그의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가 SCTP 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레벨 변환 등을 수행할 수 있음에 주의하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 스택(403)은 IP 접속에 대해 TCP 또는 UDP 상으로 및 그후 물리 계층 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이들은 게이트웨이(307), SCTP 엔드포인트 A에 대해 프로토콜 스택(403)의 좌측 부분에 대응한다. 스택(405)의 우측 부분은 원래 패킷을 SCTP 헤더(408)로 그후 다른 IP 헤더로 랩핑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다시 게이트웨이(313) 또는 SCTP 엔드포인트 B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407)의 좌측 부분에 대응한다. 스택(407)의 우측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킷의 언랩핑한 후, 게이트웨이(313)는 프로토콜 스택(4039)으로서 나타낸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317)로 패킷을 전송한다. 스택(403)은 스택(409)과 동일한 계층에 대한 계층임에 주의하자. 터널이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경우, 원래 애플리케이션, TCP/UDP 및 IP 계층들은 상호 작동 가능성 호스트-대-호스트 파이프들, 캡슐화된 터널들, 또는 가상의 사적인 네트워크들(VPNs)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IETF RFC 2401)에 대한 보안 구조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보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안성의 구현은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정보의 전송을 보안하기 위해 취한 접근법에 따라, 추가의 포르토콜 계층들은 여러 프로토콜 스택들 내의 여러 포인트들에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가상의 사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도 5는 도 4의 프로토콜 스택들 및 도 3의 네트워크에 따라 SCTP 상으로 터널링되는 패킷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페이로드(503), 엔드포인트 X 내지 Y(508)로부터 실행되는 TCP/UDP 헤더(505) 및 IP 헤더(507)를 포함하는 원시 TCP 또는 UDP 패킷 각각은 SCTP 메시지로 되고, 개개의 SCTP 청크(chunk)(509) 내에 놓인다. 단일 SCTP 패킷은 다중 청크들을 수송할 수 있다. SCTP의 이러한 특성은 SCTP 헤더(511)에 의해 단일 SCTP 터널 패킷 내로 다중 패킷들을 랩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의 SCTP 패킷은 엔드포인트들 A 및 B(514)를 식별하는 IP 헤더(514)를 부가하였다. TCP 및 UDP 패킷들을 동일한 SCTP 패킷 내로 랩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스 및 목적지, 여기서 원래 TCP 또는 UDP 패킷들의 엔드포인트들 X 및 Y(303, 317)는 터널링을 인식하지 않고, SCTP를 알 필요가 없다. 이는 SCTP 터널링의 독특한 장점, 즉 누구나 SCTP의 장점을 취할 수 있고, 이들 장점을 레가시(TCP/UDP)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SCTP 터널링의 다른 장점은 그것이 TCP SYN 플러딩(flooding) 형태로 서비스 공격들의 거부에 대하여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SCTP 터널 엔드포인트는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로서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도 6에 주어지며, 여기서 SCTP 터널 엔드포인트 B(622)는 유선 또는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는 제 1 스테이션(604) 상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Y 및 B'로 레이블링된(labeled) 도 4의 프로토콜 스택들은 임의로 스택(407)처럼 보이는 단일 스택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내부로 효과적으로 충돌된다. 도면에서 게이트웨이(613)는 가장 좌측의 호스트의 네트워크와 또는 가장 우측의 호스트와 연관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와 제 1 스테이션(604) 간의 접속은 유선 및 무선 접속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SCTP 터널링은 SCTP가 패킷에 부가하는 대량의 오버헤드 때문에 카운터-직관적(counter-intuitive)이다. SCTP 터널링은 수송 계층에서 행해진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랩퍼(wrapper)는 IP 헤더(513), 12-바이트 SCTP 공통 수송 계층 헤더(511) 및 160바이트 SCTP 청크 헤더(509)로 구성된다. 유선 도메인에서, 이는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버헤드는 본 발명이 무선으로 실시간 음성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될 때 중요해질 수 있다. IP 상의 음성은 전형적으로 매우 작은 음성 인코딩 패킷들의 규칙적인 스트림으로 구성되고, 각각 IP 헤더, UDP 헤더 및 RTP(실시간 프로토콜) 헤더에 의해 선행된다. 본 발명은 IP 헤더, SCTP 헤더 및 청크 헤더를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IP 헤더 압축에 대한 공지된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RFC 3241로 갱신된 바의 RFC 1332는 밴 제이콥슨 TCP/IP 헤더 압축을 기재한다. 밴 제이콥슨(Van Jacobson) TCP/IP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은 TCP/IP 헤더들의 크기를 3바이트만큼 작게 감소시킨다. 이는 스트림 내의 대부분의 필드들이 일정하거나 또는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변경하는 특성을 사용한다. RFC 2509에 명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들이 RTP/UDP/IP 헤더 압축에 적용되고 있다. 청크/SCTP/IP의 압축이 고찰되고 있다(draft-schmidt-rohc-sctp-requirements-00.txt). 유사한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SCTP 상으로 터널링되고 있는 음성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SCTP 터널링의 분명한 장점은 실시간 심리스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들과 서비스 제공자들 간의 이동성을 지원할 가능성이고, 단, 이들은 IP 패킷 데이터 통신들을 사용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2개의 IP 접속들 간의 통신들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 레벨 도면이 고찰되고 개시될 것이다. 도 6 및 도 7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도 6은 IP 어드레스(IP X1, 607)을 갖고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 X(603)인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602)을 보여준다. 스테이션(602)은 IP 어드레스(IP Y1, 609)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 Y(605)로서 스테이션(604)과 패킷 데이터를 통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션(602)은 네트워크 1(611)을 통해 게이트웨이(613)와 통신하고, 이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2(615) 및 유선 또는 무선 접속(617)을 통해 스테이션(604) 및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605)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613)는 스테이션(604)에 의해 위치되는 IP 어드레스(IP B1 623)를 갖는 다른 SCTP 엔드포인트 B(622)와 IP 접속 또는 SCTP 연관을 확립하도록 SCTP 터널링(619)을 사용하는 IP 어드레스 (IP A1 621)를 갖는 SCTP 엔드포인트 A(620)이다. SCTP 엔드포인트들 A와 B(620 및 622) 간의 제 2 IP 접속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627)을 통해 네트워크 3(625) 중에 나타낸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IP 어드레스(633)를 사용하여 엔드포인트 B(622)를 갖는 SCTP 터널(629)을 설정하기 위해 IP 어드레스(IP A2 631)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617)으로부터 제 2 IP 접속(627)으로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에 적절하고, 여기서 상기 방법은, 제 1 스테이션(604)과 게이트웨이(613) 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IP 어드레스(IP B1 623) 및 제 1 IP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게이트웨이(613)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602)으로 중계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IP B2 633)로 제 2 IP 접속(629)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1차 접속이고, 상기 제 2 IP 접속은 2차 접속이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IP 접속은 동시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제 2 IP 접속으로 즉시 스위칭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고찰한 모든 기능들 또는 절차들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두 스테이션들이 레가시 TCP/UDP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경우에 핸드오프들을 제공하는데 적절하다. 핸드오프를 행하는 처리들 및 동기들은 유사하다. 제 1 IP 접속은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 1 스테이션은 제 2 스테이션과 이들 각각이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기반 애플리케이션 또는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IP 접속은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 또는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 기능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SCTP 엔드포인트 B(622)는 스테이션(604) 상에 위치한다. 이 스테이션은 그것이 제 2 스테이션(602)에서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 X(603)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IP Y1 609)를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어드레스는 공지된 방식으로 (DHCP에 의해, UMTS 셀룰러 시스템에서 PDP 문맥 활성화에 의해, 또는 모바일 IP 에서와 같이 고정된 할당(static assignment)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Y1 상의 모바일에 대한 모든 트래픽이 먼저 특정 게이트웨이(613)로 라우팅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후, 게이트웨이는 트래픽을 모바일로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배열이 통상적이고, 이는 UMTS 시스템의 GGSN 게이트웨이에 또는 모바일 IP 구조 내의 홈 에이전트에 모바일의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바일 엔드포인트 B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추가의 외부 IP 어드레스들(Y2, Y3)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할 수 없다. 모바일 또는 스테이션(604)은 또한 게이트웨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그것을 IP 어드레스 B1(623)이라 칭한다. 어드레스 B1은 세계적으로 고유할 수 있다. 이는 심지어 어드레스 Y1과 동일할 수 있고, 그 경우, 모바일은 단지 하나의 어드레스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션(604)은 게이트웨이와 스테이션을 접속시키는 네트워크에 대해 국소적인 전용 IP 어드레스 B1을 얻는다. 스테이션은 또한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IP A1 621)를 알아야 한다. 게이트웨이 및 스테이션 상의 SCTP 엔드포인트 B(622)는 1차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들 A1 및 B2를 사용하여 SCTP 연관을 확립한다. 게이트웨이 및 스테이션 상의 SCTP 엔드포인트는 (IP 어드레스 Y1을 사용하는) 스테이션과 (IP 어드레스 X1을 갖는) 외부 디바이스 간의 수송 데이터그램들에 대한 SCTP 터널링을 사용한다.
대안의 접속에 대한 스위칭 또는 핸드오프를 준비하기 위해, 모바일, 모바일 스테이션, 디바이스 등으로서 다양하게 아래 언급된 스테이션(604)은 다음을 행해야 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게이트웨이와의 새로운 접속을 확립한다. 새로운 접속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새로운 접속이 확립되는 동안, 원래 접속은 동작 중에 유지한다. 그 확립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한 등록, 802.11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 또는 LAN 커넥터 내로 케이블의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새로운 접속 상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B2)를 가져야 한다. 어드레스 IP B2는 세계적으로 고유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스테이션은 게이트웨이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접속시키는 네트워크에 국소적인 전용 IP 어드레스 B2를 획득한다. 이 모바일 스테이션은 새로운 접속 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IP 어드레스를 알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상이한 어드레스(A2)이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현재 대안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제 2 IP 어드레스(B2)를 부가하도록 게이트웨이에 명령하는 SCTP 확장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모바일 스테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은 1차 SCTP 어드레스로서 원래 게이트웨이 어드레스(A1)를 계속 사용하고, 게이트웨이는 1차 목적지 어드레스(도 6에서 볼드체)로서 원래 모바일 어드레스(B1)를 계속 사용한다. 따라서 터널링은 원래 접속 상으로 계속된다.
여기서 뿐만 아니라 도 2의 시스템에서, 제 2 IP 어드레스(A2)의 획득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해지지 않음에 주의하자. 이는 모바일 스테이션 내의 무선/이동성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무선/이동성 소프트웨어는 또한 SCTP 계층과 상호 작용하여 새로운 어드레스를 다른 SCTP 엔드포인트에 통지한다. 제 2 IP 어드레스(A2)가 이전에 원래 접속과 연관된 경우, 모바일 스테이션은 그러한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어드레스를 분리해야 한다. 그러한 경우, 먼저 어드레스(A2)를 삭제할 것을 다른 SCTP 엔드포인트에 통지해야 한다. 원래 접속이 현재 실패하는 경우, 다른 SCTP 엔드포인트는 새로운 접속 상으로 자동으로 스위칭될 것이다. 모바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모드로 새로운 접속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에러 경우가 실시간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경우조차, 그것은 공지된 시스템들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을 이미 제공한다. 모바일 SCTP 엔드포인트는 제 2 IP 어드레스를 부가할 것을 다른 SCTP 엔드포인트(게이트웨이)에 명령하도록 제 1 또는 제 2 IP 어드레스(B1 또는 B2)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제 2 어드레스(B2)를 사용하고, 그 이유는 그것이 SCTP 엔드포인트들 간의 네트워크 내에 적절한 설정들을 확립할 것이다(이는 새로운 경로를 개시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현재 핸드오버(handover)를 준비한다. 원래 접속에 대한 셀룰러 신호 품질이 감소하거나, 신규 접속이 보다 저렴하거나, 또는 원래 접속이 분리될 것임이 신호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스테이션을 스위칭하고자 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새로운 접속을 '활성' 모드로 가져올 것이고, 그것이 이미 '활성' 모드가 아닌 경우 및 SCTP 확장을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B2)가 1차 SCTP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사용되어야 것을 다른 SCTP 엔드포인트(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결과적으로, 원래의 1차 어드레스(B1)는 2차 어드레스로 된다. 새로운 접속이 게이트웨이에서 새로운 어드레스(A2)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스테이션에서 SCTP 엔드포인트는 1차 SCTP 어드레스로서 그러한 새로운 어드레스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SCTP 터널은 현재 새로운 접속 상에서 실행될 것이다. 스위칭은 고속이고, 애플리케이션들에 완전히 명백함에 주의하자. 모바일 스테이션(또는 게이트웨이)는 현재 원래 터널 및 원래 접속을 떼어낼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그것이 제 1 IP 어드레스(B1)을 삭제해야 함을 다른 SCTP 엔드포인트(게이트웨이)에 통지한다. 모바일 스테이션 또는 인프라구조는 원래 접속을 드롭한다.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계속 동작할 것임에 주의하자.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스테이션은 핸드오버 타이밍을 선택함으로써 그것이 실시간 음성 대화에서 침묵하는 기간 동안 시작한다.
모바일은 하나 이상의 접속을 갖는 것이 신뢰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것이 더 이상 서비스를 갖지 않을 때까지 제 1 접속을 중지시키는 것을 차별화할 수 있다. 원래 접속 및 새로운 접속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음에 주의하자. SCTP 터널링 원리들 및 개념들의 전형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은 유선 LAN으로부터 무선 IP 접속으로, 유선 LAN으로부터 셀룰러 IP 접속으로, 무선 IP로부터 유선 LAN 접속으로, 무선 IP로부터 셀룰러 IP 접속으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IP 접속으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IP 접속으로, 셀룰러 IP로부터 유선 LAN 접속으로, 및 셀룰러 IP로부터 무선 IP 접속으로 실시간 핸드오버를 허용한다.
도 7를 참조하면, IP 접속들 사이에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해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대안의 토폴로지 또는 네트워크 구조가 도시된다. 이러한 구조는 SCTP 엔드포인트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에서보다는 오히려 모바일 스테이션에 사용되지 않을 때 적용된다. 대체 구조에 의한 핸드오프를 위한 단계들은 이들이 도 6의 토폴로지에 사용된 것과 훨씬 더 동일한 형식으로 실행된다. 도 7는 SCTP 패킷들의 언랩핑하고 네트워크 3을 통해 스테이션(604)으로의 통신들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IP 어드레스(IP B1 723)를 갖는 SCTP 엔드포인트 B 722 또는 게이트웨이로 네트워크 2(715)를 통해 SCTP 터널(717)의 한쪽 단부를 앵커링(anchoring)하고, IP 어드레스(IP A1 721)를 갖는 SCTP 엔드포인트 A(720) 또는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1(611)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605)로서 스테이션 B(203)(604)과 통신하는 IP 어드레스(607)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603)로서 스테이션(602)를 도시한다. IP 어드레스(IP A2 731)를 사용하여 SCTP 엔드포인트 A(720)로부터 제 2 IP 접속은 네트워크 4(725) 및 SCTP 터널(729)을 통해 어드레스 IP B2 733을 갖는 새로운 SCTP 엔드포인트 B(732)로 및 그후 네트워크 5(743)을 통해 스테이션(604) 및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 Y(60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토폴로지가 갖는 하나의 장애물은 새로운 SCTP 엔드포인트 B(732)가 다른 SCTP 엔드포인트 A(720)에 관하여 배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구현될 수 있는 여러 방식들이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604)은 새로운 접속을 확립한 후, 새로운 접속에 따라 엔드포인트 B(732)를 포함하는 실체들에 대해 다른 엔드포인트(A)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이 갖는 문제점들은 그것이 레가시 모바일에서 구성될 수 없고, 그 모바일은 원래 SCTP 터널에 과한 정보를 다소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해결책은 SCTP 엔드포인트들의 설정을 조정하는 인프라구조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이 터널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그럴 가치가 있다는 정보는 인프라구조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HLR)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시도는 고정된 SCTP 엔드포인트(A)에게 새로운 SCTP 엔드포인트의 확립을 위한 책임을 맡기는 것이다. 이러한 변동과 연관한 제 2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즉 그것은 새로운 접속으로 이동할 때 모바일이 그의 원래 IP 어드레스 Y1을 보유하도록 허용하는 시스템들에서만 유용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이러한 구성의 적용성을 특정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 제한한다. 하나의 그러한 영역은 무선 IP 시스템(802.11)에서 확장된 서비스들 세트이다. 고정된 SCTP 엔드포인트 A는 도 2에서 포털인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에 존재할 것이며 한편, SCTP 엔드포인트 B(722 및 732)는 802.11 무선 IP 시스템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여, 무선 스테이션 또는 제 1 스테이션 B로서 도 2 내지 도 7의 시스템들에 사용하기 적절한 무선 통신들 유닛(8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가 고찰되고 개시될 것이다. 이 무선 통신들 유닛(800)은 패킷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접속으로 핸드오프를 실시하도록 배열 및 구성되고, 이는 특히 시간 임계적 통신의 핸드오프에 적합하다. 공지된 안테나(801),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transceiver)(803) 및 제어기(805)에 결합된 무선 통신들 유닛은 이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한 제 1 IP 접속 및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들과 게이트웨이의 통신을 위해 협력하여 배열되고, 이 게이트웨이는 통신들을 제 2 스테이션에 중계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는 추가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오디오 변환기들을 포함하는 종래의 사용자 입출력단(807)에 결합되고,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제 2 IP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IP 접속은 1차 접속이고, 제 2 IP 접속은 게이트웨이와의 2차 접속이고, 이들 모두는 동시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IP 접속은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고,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도록 동작하고, 여기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제 2 IP 접속으로 즉시 스위칭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무선 송수신기(803)는 무선 IP 송수신기(808)를 필요로 할 것이고, 전형적인 상황에서 추가의 셀룰러 또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송수신기(809)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여기서 제 1 IP 접속 및 제 2 IP 접속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에 의해 지원된다. 제어기(805)는 프로세서(811),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모뎀 등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임의의 포트(813)에 결합되고, 모두 공지되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통신들 유닛으로 완전히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트는 게이트웨이와의 IP 접속에 기초하여 SCTP 터널을 지원하는 SCTP 엔드포인트로서 지원하거나 또는 작용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과 휴대용 컴퓨터 등의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시키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포트는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통신들 중 하나를 외부 디바이스와 교환할 수 있음으로써, 각각 TCP/UDP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때 외부 디바이스외 제 2 스테이션 사이에 TCP/UDP 통신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루틴들 또는 명령들 뿐만 아니라 그러한 루틴들 및 명령들 및 유닛에 대한 데이터 및 파라메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RAM, ROM, PROM, EEPROM 또는 자기 메모리의 일부 조합을 특정 유닛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서 포함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여러 가지 공지된 기능들 뿐만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바의 핸드오프 프로세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을 초래하는 메모리(815)에 인터-결합된다. 이들 소프트웨어 명령들 또는 루틴들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817), 예를 들면, 다른 스테이션들 또는 호스트들과의 통신을 지원하고, SCTP 터널을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는 SCTP 수송 계층의 상부에서 실행되는 이메일 고객, 브라우저, 또는 IP 상의 음성 또는 비디오, 및 도 6에 연관하여 상기 터널링 활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핸드오프 절차들 뿐만 아니라 SCTP 터널링 루틴(824)을 포함하여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것으로 로밍 또는 이동과 연관된 여러 업무들을 다루는 이동성 관리 루틴들(819)을 포함한다. 추가로, 기본적이고 공지된 동작 시스템(821), 데이터 및 파라미터들 정보(823), 및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친숙한 많은 다른 루틴들(825)이 포함된다.
802.11 네트워크 등의 로컬 에어리어 무선 IP 네트워크를 통해 IP 접속으로 또는 그것으로부터 셀룰러 기지국을 통해 IP 접속으로부터 또는 그것으로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해, 무선 송수신기(803)는 셀룰러 송수신기 및 셀룰러 시스템들 상에서 동작 가능한 출력들을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함에 주의하자. 핸드오프가 하나의 무선 IP 네트워크로부터 그러한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경우, 무선 송수신기는 많은 경우에 이들 네트워크들의 대부분이 설정됨으로써 하나의 송수신기는 다중 IP 접속들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찰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들 유닛은 그 자신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들을 통신하고, 그러한 IP 어드레스들 및 다른 엔드포인트들 또는 스테이션들과의 IP 접속들의 적절한 특성들을 확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과 관계없이 SCTP 협약들에 따라 동작됨으로써 이미 고찰한 바와 유산한 동기들 및 상황들에 기초하여 적적히 판단되는 바의 IP 접속들 사이에 가상의 실시간 방식으로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실시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결론을 내리자면, 2개의 IP 접속들 간의 시간 임계적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바람직한 방법의 흐름도가 고찰되고 개시될 것이다. 이러한 고찰은 상기 고찰한 개념들 및 원리들의 대부분의 요약 및 그에 따른 개관의 레벨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도 2,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도 8의 무선 통신들 유닛에 의해 유리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9는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접속으로 핸드오프를 실시하는 방법(900)을 나타내고, 단계(903)에서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제 1 IP 접속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SCTP 협약들을 사용함으로써, 이는 1차 IP 어드레스 및 그에 따라 2개의 SCTP 엔드포인트들 간의 IP 접속이 될 것이다. 그후, 단계(905)에서 이 방법은 제 1 IP 접속 및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IP 액세스를 통해 게이트웨이와 제 1 스테이션 간의 통신을 나타내고, 여기서 통신들은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된다. 게이트웨이가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인 경우, 제 1 스테이션과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은 SCTP 수송 계층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될 것이고, 통신은 제 2 스테이션에 대해 TCP 또는 UDP 패킷들로의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 후 중계될 것이다. 대안으로, 게이트웨이는 SCTP 터널의 한쪽 단부일 수 있고, 그 경우, 이는 SCTP 패킷들의 언랩핑하고 이들을 제 2 스테이션에 중계할 것이다.
단계(907)에서, 이 방법은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여기서 제 1 IP 접속은 1차 접속이고, 제 2 IP 접속은 2차 접속이고, 모두 동시에 존재한다. 제 2 IP 접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SCTP 터널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접속(909)에 대해 탐색하고,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 등의 제 2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키고,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225)를 게이트웨이에, 바람직하게는 제 2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지함으로써 게이트웨이에 의해 접속도를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909, 911 및 913)이 통신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독립적이고, 그에 투명하게 취해지는 것이 바람직함에 주의하자. 적절한 무선 IP 접속에 대한 탐색(909)은 이용 가능한 접속이 액세스 포인트 및 적절한 서비스들을 포함하고, 제 1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성공적으로 인증될 수 있고, 그것을 액세스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되는 것은 각각의 그러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규격들에 따라, 802.11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 하이퍼랜 액세스 포인트,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액세스 포인트 등 중 하나와의 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후, 단계(915)는 예를 들면, 신호 약화와 같은 제 1 IP 접속의 QOS(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거나, 제 2 IP 접속에 대한 요금제가 선호되거나, 또는 대역폭 또는 보안 등의 서비스들이 제 2 IP 접속을 통해 바람직하고,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제 2 IP 접속이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다음으로, 단계(917)는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제 2 IP 접속을 1차 접속으로 변경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행하는 것은 제 2 IP 접속 상으로 시간 임계적 통신을 즉시 스위칭하는 것을 초래한다. 그후, 단계(919)는 임의의 절차로서 지시되고, 제 2 IP 접속이 1차 접속이 될 때,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하도록 게이트웨이에 명령하고, 제 1 IP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임의의 세션을 종료함으로써 제 1 IP 접속을 중지시킨다.
상기 고찰하고 개시한 장치 및 방법들 및 이들의 진보적인 원리들 및 개념들은 종래 기술의 IP 시스템들에서 이동성의 결여에 의해 유발된 문제점들을 완화시키도록 의도되고 또한 완화시킬 것이다. SCTP 수송 계층들을 사용하는 엔드포인트들 간의 제 1 IP 접속과 동시에 존재하는 SCTP 명령들 및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2차 IP 접속을 확립하는 이들 원리들의 사용은 통신들 디바이스가 이 통신들 디바이스의 의지로 시간 임계적 통신들의 핸드오프를 실시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모바일 개체들에 대한 접속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이들 원리들 및 개념들은 본원 발명의 주어진 사상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UMTS 및 CDMA 시스템들 등의 고속 핸드오프를 지원하지 않는 별개의 셀룰러 패킷 데이터 시스템들 간의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 및 그들의 진정하고, 의도된 순수한 범위 및 정신을 제한하기보다는 어떻게 형식화하고 사용할지를 설명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설명은 배타적이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사상들의 견지에서 수정들 또는 변동들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당업자들이 여러 실시예들로 및 예상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것으로서 다양한 수정들로 본 발명을 이용하게 하도록 선택되고 기재되었다. 그러한 수정들 및 변동들 모두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 바, 및 본 특허 출원 및 이들의 모든 등가물들이 계류중인 동안 보정될 수 있는 바에 따라, 이 들이 정당하고, 합법적이고, 적절히 표제되는 범위에 따라 해석될 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40)

  1.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접속으로 심리스 핸드오프(seamless handoff)를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션과 게이트웨이 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IP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IP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단계;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1차 접속이고, 상기 제 2 IP 접속은 2차 접속이며,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은 동시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IP 접속 설정 단계;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제 2 IP 접속으로 즉시 스위칭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을 통해 SCTP를 사용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기 위해, 수송 통신 프로토콜(Transport Communication Protocol; 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niversal Datagram Protocol; UDP) 중 하나를 사용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적절한 IP 접속을 탐색하는 단계, IP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키는 단계, 및 SCTP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단계, 상기 연관 단계, 및 상기 확립 단계는 상기 통신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계없이 취해지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절한 IP 접속을 탐색하는 단계는, 이용 가능한 접속이 액세스 포인트 및 적절한 서비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테이션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들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SCTP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IP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개시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서비스의 상기 제 1 IP 접속 품질이 저하되고 있고, 상기 제 2 IP 접속에 대한 요금제들이 선호되고, 상기 제 2 IP 접속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이 요구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들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1차 접속으로 될 때,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임의의 연관을 종료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들을 중계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외부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 중 하나 간의 변환을 더 수행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의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제 2 IP 접속 중 하나에 대한 SCTP와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 사이에서 더 변환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facilitated) SCTP 터널링을 사용하고,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 각각이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실행할 때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제 2 스테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 중 하나는 무선 IP 접속인,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IP 접속은 802.11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쓰(Bluetooth) 액세스 포인트, 하이퍼랜(HiperLan) 액세스 포인트,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액세스 포인트, 셀룰러 스테이션,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스테이션 및 유니버설 모바일 원격 통신 서비스 스테이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스 핸드오프 실시 방법.
  16.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접속으로 핸드오프를 실시하도록 배열 및 구성된 무선 통신들 유닛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을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협동적으로 구성된 무선 송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에 중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1차 접속이고, 상기 제 2 IP 접속은 2차 접속이고,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은 동시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IP 접속은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IP 어드레스가 1차 어드레스임을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제 2 IP 접속으로 즉시 스위칭되는, 무선 통신들 유닛.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개시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통신은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을 통해 SCTP를 사용하는 반면에,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기 위해 SCTP,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고, 적절한 무선 IP 접속을 더 탐색하고, 무선 IP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키고, SCTP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와 더 협동적으로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상기 연관, 및 상기 확립은 상기 통신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계없이 취해지는, 무선 통신들 유닛.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절한 무선 IP 접속에 대한 상기 탐색은, 이용 가능한 접속이 액세스 포인트 및 적절한 서비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이 이용 가능한 것임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SCTP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통지하는 것은, 상기 제 2 IP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개시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결정하는 것은, 서비스의 상기 제 1 IP 접속 품질이 저하되고, 상기 제 2 IP 접속에 대한 요금제들이 선호되고, 상기 제 2 IP 접속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이 요구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들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1차 접속으로 될 때, SCT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임의의 연관을 종료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들의 상기 중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응하는 외부 IP 어드레스와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에 대해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 중 하나 간의 변환을 더 수행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에 의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제 2 IP 접속들 중 하나에 대한 SCTP와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 사이에서 더 변환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하고,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 각각이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실행할 때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은 상기 제 2 스테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들 유닛.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29. 제 16 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하기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무선 통신들 유닛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용이해진 SCTP 터널링을 사용하고, 상기 포트는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스테이션 각각이 TCP/UDP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스테이션 사이에 TCP/UDP 통신들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들 유닛.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제 2 IP 접속 각각은 802.11 액세스 포인트, 블루투쓰 액세스 포인트, 하이퍼랜 액세스 포인트,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액세스 포인트, 셀룰러 스테이션,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스테이션 및 유니버설 모바일 원격 통신 서비스 스테이션 중 하나인, 무선 통신들 유닛.
  31. 제 1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으로부터 제 2 IP 접속으로 심리스 핸드오프를 진행시키도록 배열 및 구성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1 IP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IP 접속을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통신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제 2 IP 어드레스로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IP 접속은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1차 접속이고, 상기 제 2 IP 접속은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2차 접속이며,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은 동시에 존재하고,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제 1 스테이션과의 상기 1차 접속이어야 함을 나타내는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1차 어드레스로서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상기 1차 접속으로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기 제 2 IP 접속으로 즉시 스위칭되는, 게이트웨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제 1 IP 어드레스가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SCT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과의 상기 통신은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을 통해 SCTP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의 상기 중계는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게이트웨이.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CTP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SCTP 메시지를 상기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 2 IP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2 IP 접속을 개시하는, 게이트웨이.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접속이 상기 1차 접속으로 될 때,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어드레스를 삭제하고 임의의 연관을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SCT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 1 IP 접속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들의 상기 중계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외부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제 1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IP 어드레스 중 하나 간의 변환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 중계할 때,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의한 상기 제 1 IP 접속 및 상기 제 2 IP 접속 중 하나에 대한 SCTP와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중 하나 사이에서 변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상기 제 1 IP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SCTP 터널링을 더 사용하고,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 각각이 수송 통신 프로토콜(TCP)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유니버설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실행할 때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제 2 스테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2 IP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SCTP 터널링을 사용하는, 게이트웨이.
KR1020057002056A 2002-08-06 2003-07-29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5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056A KR100753060B1 (ko) 2002-08-06 2003-07-29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12,942 2002-08-06
KR1020057002056A KR100753060B1 (ko) 2002-08-06 2003-07-29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783A KR20050042783A (ko) 2005-05-10
KR100753060B1 true KR100753060B1 (ko) 2007-09-03

Family

ID=372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056A KR100753060B1 (ko) 2002-08-06 2003-07-29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885B1 (ko) * 2005-12-08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SCTP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무결절 핸드오버 지원방법 및 장치
KR100716181B1 (ko) * 2006-01-11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프방법
KR100980582B1 (ko) * 2008-05-27 2010-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바이캐스팅 기반 sctp핸드오버 방법 및 이동 단말
KR100944634B1 (ko) * 2008-06-30 2010-02-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통신의 핫 스와핑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26804B1 (ko) * 2014-06-02 2015-06-05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Sctp 기반 dlna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공유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5900A1 (en) 2000-12-18 2002-06-20 Klaus Turina Signaling transport protocol extensions for load balancing and server pool support
US20020141360A1 (en) 2001-04-02 2002-10-03 Shinichi Baba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5900A1 (en) 2000-12-18 2002-06-20 Klaus Turina Signaling transport protocol extensions for load balancing and server pool support
US20020141360A1 (en) 2001-04-02 2002-10-03 Shinichi Baba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783A (k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87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JP3613453B2 (ja) 移動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プロトコル
US780896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4452615B2 (ja) タイムクリティカル通信のための2つのip接続間のハンドオフを達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09929B1 (ko) 프록시 이동 노드 등록을 이용하는 ip 이동성 지원
US7974270B2 (en) Media route optimization in network communications
JP5062601B2 (ja) Hrpd信号リンクの確立方法
EP1884089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OF WIRELESS SWITCHES TO SUPPORT LAYER 3 ROA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20040218575A1 (en) Data handoff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WO2007005518A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nd managing ip addresses for wireless client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WO200611582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AYER 3 ROAM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JP2010114905A (ja) 共通ipアドレス付きの移動端末および無線装置
Georgiades et al. AAA context transfer for seamless and secure multimedia services over all-IP infrastructures
US20100118774A1 (en) Method for changing radio channels, composed network and access router
KR100753060B1 (ko) Ip 접속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692902B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ecure access and roaming support for mobile subscribers in a semi-connected mode
KR100623292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 씨디엠에이 2000 망으로의 핸드오프 방법
KR20050121118A (ko)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Rizvi et al. A dual mode mobile terminal for enhanced performance of data services in NGN networks
Trossen et al. Seamless mobile applications across heterogeneous Internet access
KR100703586B1 (ko) 시간 임계적 통신을 위해 두개의 ip 접속들 사이에서핸드오프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70031798A (ko) 2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들간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는방법
Ngoh Mobility ove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