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058B1 - 잔압 제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잔압 제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058B1
KR100753058B1 KR1020060041783A KR20060041783A KR100753058B1 KR 100753058 B1 KR100753058 B1 KR 100753058B1 KR 1020060041783 A KR1020060041783 A KR 1020060041783A KR 20060041783 A KR20060041783 A KR 20060041783A KR 100753058 B1 KR100753058 B1 KR 10075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topper
fluid
residual pressur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4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22D1/005Injection assembl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6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characterised by a rotatively movab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압 제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커플러가 분리되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또는 소켓에 체결되는 몸체와, 일단이 차폐부를 가압시켜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 내에 전후진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가 제공된다. 따라서, 커플러를 작업자가 연결할 때 상기 유체 라인 및 상기 유체 라인과 연결된 커플러에 잔존하는 유체의 압력을 낮추게 됨으로써, 유체가 작업자에게 비산되지 않도록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커플러, 잔압 제거, 공이부, 방출

Description

잔압 제거용 커플러{PRESSURE RELIEF COUPLER}
도 1은 연주설비의 레이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레이들에 설치된 실린더와 유체 라인을 연결시키는 커플러를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이들 20 : 용강 주입구
30 : 실린더 40 : 턴디쉬
50 : 유체 공급 탱크 70 : 플러그
80 : 소켓 110 : 몸체
114 : 나사부 120 : 스토퍼
122 : 손잡이 124 : 공이부
126 : 나사산 130 : 내실
본 발명은 잔압 제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설비의 레이들 노즐을 개폐하는 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커플러를 연결할 때 상기 커플러에 잔존하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설비의 레이들 하부에는 용강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강 주입구의 하방에는 턴디쉬가 위치한다. 제강로에서 용해된 용강은 레이들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용강 주입구를 통해 턴디쉬로 부어지고, 상기 턴디쉬에 저장된 용강은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침지 노즐을 통하여 주형으로 주입되어 주형에 의해 대판상의 주편(Slab)으로 주조된다.
도 1은 연주설비의 레이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이들(10)의 용강 주입구(20)는 턴디쉬(40)로 용강이 부어지기 전에 막혀진 상태가 되어야 하는 바, 상기 용강 주입구(20)의 상부로부터 연와(22), 상부 노즐(24), 고정 플레이트(26), 이동 플레이트(28) 및 하부 노즐(25)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28)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실린더(30)가 부설된다.
상기 실린더(30)는 용강 주입구(20)의 고정 플레이트(26)에서 이동 플레이트(28)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용강 주입구(20)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3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체 공급 탱크(50)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탱크(50)와 실린더(30)가 유체 라인(60)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레이들(10)의 용강이 턴디쉬(40)로 공급되기 위해 상기 레이들(10)의 양측면에 설치된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됨으로 유체 라인(60)이 레이들(10)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유체 라인(60)의 연결을 수시로 분리 내지 연결할 수 있게 커플러가 설치된다.
도 2는 레이들에 설치된 실린더와 유체 라인을 연결시키는 커플러를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플러는 유체의 연결을 수시로 연결 내지 분리할 수 있는 착탈 구조를 갖게 되는 바, 상기 커플러는 플러그(70)와 소켓(80)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 공급 탱크(50)와 연결된 유체 라인(62)에 플러그(70)가 설치되고 실린더(30)와 연결된 유체 라인(64)에 소켓(80)이 설치된다. 상기 플러그(70)와 소켓(80) 중 어느 한 곳에 커플러가 분리될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차폐부는 크게 차폐판(82)과 탄성부재(84)로 이루어진다.
이를 도면에 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켓(80)의 내경에는 걸림턱(88)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88)의 후방(유체가 유체 공급 탱크측에서 실린더측으로 흐르는 방향)으로 차폐판(82)과 탄성부재(8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켓(80)의 입구 내경에는 플러그(70)가 소켓(80)에 연결되면, 상기 플러그(70)가 소켓(8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구(8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30)를 동작시키기 위해 유체 라인 의 플러그(70)와 소켓(80)을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플러그(70)와 소켓(80)이 연결될 때 상기 플러그(70)의 입구가 소켓(80)의 내경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소켓(80)에 설치된 차폐판(82)을 후방으로 밀어 유체가 통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플러그(70)의 입구가 소켓(80)의 내경으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상기 소켓(80)의 입구 내경부에 설치된 조립구(86)가 플러그(70)의 외경부에 형성된 홈(72)에 맞물려 상기 커플러가 연결되고, 상기 유체 공급 탱크(50)에서 유체가 실린더(30)로 공급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플러그(70)와 소켓(80)을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소켓(80)의 차폐판(82)을 압박하고 있던 플러그(70)의 입구가 후퇴하고 상기 차폐판(82)의 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84)가 차폐판(82)을 걸림턱(88)까지 밀어 상기 차폐판(82)이 소켓(80)의 입구를 막게 됨으로써, 더 이상 유체가 흐를 수 없도록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플러는 플러그(70)를 다시 소켓(80)에 연결할 때 소켓(80) 내부에 잔존하는 유체가 플러그(70)와 소켓(80)의 사이로 비산된다. 특히, 레이들(10)에 설치된 실린더(30)와 연결된 유체 라인(64)은 상기 레이들(10)에 수강된 고온의 용강에 의해 유체 라인 내부의 유체가 가열되어 그 압력은 더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작업자가 커플러를 연결할 때 상기 소켓(80)의 차폐부가 개방되면서 소켓 내부 및 유체 라인에 잔존하는 가압된 유체가 순간적으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들의 용강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커플러를 작업자가 연결할 때 상기 커플러와 유체 라인에 잔존하는 가압된 유체가 작업자에게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및 유체 라인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커플러가 분리되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또는 소켓에 체결되는 몸체와, 일단이 차폐부를 가압시켜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 내에 전후진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는 차폐부를 타격하는 공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에 치합되도록 상기 스터퍼의 외경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에 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둘레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내실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는, 크게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내지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내부에서 전진하여 상기 커플러의 차폐부를 개방시키는 스토퍼(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갖고 상기 스토퍼(120)가 몸체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전진과 후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나사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입구는 유체 라인과 연결되고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내지 소켓과 착탈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10)의 입구에 형성된 구조에 따라서 플러그형과 소켓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3은 플러그형의 잔압 제거용 커플러로서, 상기 몸체(110) 입구의 외경부에 유체 라인과 연결된 소켓의 조립구와 맞물리는 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스토퍼(120)가 설치되되 상기 몸체(110) 입구와 대향되는 스토퍼(120)의 타단에 상기 스토퍼(12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20)의 일단에는 유체 라인과 연결된 소켓에 설치된 차폐판을 가압시켜 상기 차폐판을 해제하도록 공이부(1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14)와 치합되는 나사산(126)이 스토퍼(120)의 외경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20)의 손잡이(122)를 회전시키면 상기 공이부(124)가 축방향을 따라 전진 내지 후진하게 되어 상기 소켓의 차폐판을 가압하여 유체 라인 내의 잔압을 제거하게 된다.
도 4는 소켓형의 잔압 제거용 커플러로서, 상기 몸체(110) 입구의 내경에 유체 라인과 연결된 플러그의 홈과 맞물리는 조립구(116)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는 스토퍼(120)가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120)의 일단에는 공이부(12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12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20)의 외경부에는 연속된 나사산(1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플러그형과 소켓형의 잔압 제거용 커플러는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에 체결될 것이냐 또는 소켓에 체결될 것이냐에 따라서 몸체(110)의 입구 형상이 결정되어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차폐판을 가압시켜 해제하는 스토퍼(120)의 구조는 동일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형 내지 소켓형의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몸체(110)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실(13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내지 소켓의 차폐판을 공이부(124)가 가압시켜 상기 플러그 내지 소켓에 잔존하는 가압된 유체를 상기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내실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을 낮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동작을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강로에서 용해된 용강은 레이들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용강 주입구를 통해 턴디쉬로 부어지게 되는 바, 상기 용강 주입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고정 플레이트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실린더가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위해 고압의 유체가 유체 공급 탱크에서 실린더로 공급되도록 작업자는 분리된 유체 라인의 커플러를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커플러를 아무런 조치없이 바로 연결하게 되면 실린더의 유체 라인에서 가압된 상태의 유체가 작업자에게 비산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와 연결된 커플러에 잔압 제거용 커플러의 몸체(110)를 체결하고, 스토퍼(120)를 회전시켜 차폐판(82)을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차폐부가 설치된 소켓(80)에 본 발명의 플러그형 잔압 제거용 커플러를 체결시킨 후에 작업자가 손잡이(122)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122)가 회전되면 손잡이(122)와 일체로 이루어진 스토퍼(120)가 몸체(110) 내부의 나사부(114)를 따라 전진하게 되면서, 상기 소켓(80)의 걸림턱(88)에 밀착 설치된 차폐판(82)을 공이부(124)가 밀게 된다. 상기 차폐판(82)이 걸림턱(88)과 벌어지게 되면 그 틈을 타고 유체 라인(64)에 잔존하는 가압된 유체가 몸체(110) 내부의 내실(130)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체 라인(64)과 소켓(8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그 후, 손잡이(12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이부(124)를 후퇴시키고 상기 플러그형 잔압 제거용 커플러를 실린더와 연결된 소켓(8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차폐판(82)이 탄성부재(84)에 의해 걸림턱(88)에 밀착되고, 상기 유체 공급 탱크와 연결된 플러그를 소켓(80)에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플러그의 입구가 소켓(80)의 입구에 진입하면서 차폐판(82)을 후방으로 밀어 유체가 통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유체 공급 탱크에서 실린더로 유체가 공급되어 레이들의 주입구를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잔압 제거용 커플러가 연주설비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잔압 제거용 커플러는 연주설비뿐만 아니라 커플러를 연결할 때 유체의 잔압에 의해 유체가 비산될 수 있는 모든 커플러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몸체 내부에서 공이부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때에 따라서는 상기 스토퍼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에 추력을 주는 코일 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상기 공이부가 차폐판을 타격하여 잔압을 방출시킬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 역시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잔압 제거용 커플러는, 레이들의 용강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커플러를 작업자가 연결할 때 상기 유체 라인과 연결된 커플러 및 유체 라인에 잔존하는 유체의 압력을 잔압 제거용 커플러가 낮추게 됨으로써, 유체가 작업자에게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유체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커플러가 분리되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부가 설치된 플러그 또는 소켓에 체결되는 몸체와,
    일단이 차폐부를 가압시켜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 내에 전후진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는 차폐부를 타격하는 공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에 치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의 외경과 그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에 나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둘레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내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제거용 커플러.
KR1020060041783A 2006-05-10 2006-05-10 잔압 제거용 커플러 KR10075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783A KR100753058B1 (ko) 2006-05-10 2006-05-10 잔압 제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783A KR100753058B1 (ko) 2006-05-10 2006-05-10 잔압 제거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058B1 true KR100753058B1 (ko) 2007-08-31

Family

ID=3861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783A KR100753058B1 (ko) 2006-05-10 2006-05-10 잔압 제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53A (ja) 1982-07-23 1984-01-31 Daido Steel Co Ltd 取鍋等精錬容器におけるガスバブリング用ガス供給パイプの接続機構
JPH02108454A (ja) * 1988-10-17 1990-04-20 Daido Steel Co Ltd 取鍋
JPH10298630A (ja) 1997-02-25 1998-11-10 Tokyo Yogyo Co Ltd 溶融金属用取鍋の底吹きガスの吹き込み装置
KR20040088776A (ko) * 2003-04-11 2004-10-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유압공급라인의 과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53A (ja) 1982-07-23 1984-01-31 Daido Steel Co Ltd 取鍋等精錬容器におけるガスバブリング用ガス供給パイプの接続機構
JPH02108454A (ja) * 1988-10-17 1990-04-20 Daido Steel Co Ltd 取鍋
JPH10298630A (ja) 1997-02-25 1998-11-10 Tokyo Yogyo Co Ltd 溶融金属用取鍋の底吹きガスの吹き込み装置
KR20040088776A (ko) * 2003-04-11 2004-10-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유압공급라인의 과압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058B1 (ko) 잔압 제거용 커플러
CA1292119C (en) Apparatus for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KR101115135B1 (ko) 야금로를 위한 탭홀 플러그 건
KR100654891B1 (ko) 용강 유출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유출 차단방법
KR101499438B1 (ko) 다이캐스팅 금형의 냉각장치
FR2837738A1 (fr) Dispositif d&#39;injection sous pression de matiere de moulage et moule d&#39;injection equipe d&#39;un tel dispositif d&#39;injection
KR100823301B1 (ko) 턴디쉬 커버의 용강 주입구 개폐장치
KR20100050850A (ko) 래들 슬라이딩 게이트 유압 연결 장치
JP5821867B2 (ja) 連続鋳造用ストッパー
KR100950401B1 (ko) 래들 유압공급라인의 과압 방지장치
KR200266180Y1 (ko) 슈라우드 디바이스에 장착된 슬라이딩 노즐 폐쇄장치
CN218440891U (zh) 一种方便管理的阀体锁
JPH09262872A (ja) 射出成形金型
KR102486601B1 (ko) 파우더 공급 장치
KR20060076668A (ko) 래들 개공용 산소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 방법
CN110332157B (zh) 油箱放油结构及油箱
KR200373078Y1 (ko) 래들 마개 개폐용 유압호스의 커플링
JP2012170965A (ja) 減圧鋳造装置
KR20240007005A (ko) 래들의 용강 유출 차단 장치
JP2001056185A (ja) 出湯装置及び出湯方法
KR101185015B1 (ko) 용강 침투방지기능을 갖는 턴디쉬의 용강배출부 구조
KR20200020038A (ko) 고로 출선공 폐쇄 장치 및 방법
KR200295249Y1 (ko) 연속주조설비의래들노즐자동개공장치
KR200308139Y1 (ko) 유압라인의 잔압제거장치
KR200282925Y1 (ko) 래들 슬래그 검출센서의 장착구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