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423B1 -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423B1
KR100752423B1 KR1020050126310A KR20050126310A KR100752423B1 KR 100752423 B1 KR100752423 B1 KR 100752423B1 KR 1020050126310 A KR1020050126310 A KR 1020050126310A KR 20050126310 A KR20050126310 A KR 20050126310A KR 100752423 B1 KR100752423 B1 KR 10075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wer supply
battery
coupling means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964A (ko
Inventor
김진래
Original Assignee
김진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래 filed Critical 김진래
Priority to KR10200501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4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휴대폰의 전원연결잭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측 내면의 밧데리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내외측으로 각각 결합수단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내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일단에 구비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관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밧데리케이스 및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밧데리단자와 대응하는 밧데리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밧데리케이스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밧데리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구비된 회로연결편으로 상기 상, 하부케이스의 밧데리단자 상호간에 회로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또는 충전장소가 없을 경우 휴대폰의 보조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폰,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밧데리케이스, 밧데리단자, 전원공급단자

Description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Subsidiary power supply apparatus for cell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회로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상부케이스 11...밧데리단자
12...전원공급단자 13a, 13b...내, 외측 결합수단
14...수납홈 20...밧데리케이스
21...결합수단 30...하부케이스
31...밧데리단자 33...결합수단
40...회로연결편 41...회로연결막
본 발명은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휴대폰의 전원연결잭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밧데리단자가 각각 구비된 상, 하부케이스 사이에 장착되며 회로연결 역할을 하는 밧데리케이스에 삽입된 건전지에 의하여 충전기 또는 충전장소가 없을 경우 휴대폰의 보조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외출시 휴대폰의 밧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업소에 비치된 자동판매기 형식의 충전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장치는 충전이 완료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그 비용 또한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곧장 방전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각 업소의 충전장치가 없는 야외 활동이나 등산을 할 때는 휴대폰 밧데리의 충전을 행할 방법이 없어, 조난 사고나 위급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휴대폰 밧데리의 방전시 신속하게 보조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출 또는 야외 활동시 휴대폰 밧데리가 방전되었을 때 일반 건전지로써 신속하게 보조전원을 공급하여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측 내면의 밧데리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내외측으로 각각 결합수단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내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일단에 구비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관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밧데리케이스;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밧데리단자와 대응하는 밧데리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밧데리케이스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 하부케이스의 밧데리단자와 전원공급단자를 회로 연결하기 위하여 밧데리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구비된 회로연결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단자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상부 케이스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절개된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 결합수단 및 상기 밧데리케이스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관 양단부에는 상기 회로연결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케이스의 결합수단은 결합홈, 돌기 또는 나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1b는 본원 발명의 측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크게, 상, 하부케이스(10, 30)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30) 사이에 개재된 밧데리케이스(20) 및 회로연결을 위하여 상기 밧데리케이스(20) 내측면을 따라 구비된 회로연결편(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0) 상부면에는 연결고리(h)가 구비되어 연결끈(s)에 의해 휴대폰(미도시)과 연결되며 전원공급단자(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케이스(20)에는 밧데리(B)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밧데리(B)는 공지의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밧데리케이스(20)는 부피와 무게를 줄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가늘고 작게 제작되도록 하며, 상기 밧데리케이스(2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밧데리(B) 또한 휴대용 음향기기 등에 사용되는 가늘고 작은 건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0)는 내부에 상기 밧데리케이스(20)를 장착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12)의 미사용시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회로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는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 2b는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한 측단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상부측 내면의 밧데리단자(11)와 전선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12)를 구비하고, 내측면 및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결합수단(13a, 13b)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2)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12)와 연결된 전선을 상부케이스(10)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절개된 수납홈(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단자(12)는 휴대폰의 전원 연결잭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수납홈(14)을 통하여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여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밧데리케이스(20)는 내부가 개방되어 밧데리(B, 도 1 참고)를 수용하는 원형관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일단이 상부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할 하부케이스(30) 내측 바닥면과 결합된다.
상기 밧데리케이스(20)는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관, 더욱 자세히는 상기 각 관 중에서 직경이 가장 큰 상부관(22)과 직경이 가장 작은 하부관(26)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관(24)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밧데리케이스(20)의 일단, 즉 상부관(22)의 일단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0) 내측 결합수단(13a)과 결합되는 결합수단(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관(24)은 일단에 외측으로, 타단에 내측으로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관(22)의 타단 또한 내측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밧데리케이스(20)를 구성하게 된다.
즉, 중간관(24)과 하부관(26)이 상기 상부관(22)의 상부측을 통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밧데리케이스(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30)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측 바닥면에 상부케이스(10)의 밧데리단자(11)와 대응하는 밧데리단자(31)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 바닥면에는 밧데리케이스(20)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의 외측 결합수단(13b)과 결합되는 결합수단(33)이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30)의 결합수단(33)을 포함하는 각 결합수단, 즉 상부케이스(10)의 내, 외측 결합수단(13a, 13b) 및 밧데리케이스(20)의 결합수단 (21)은 본원 발명의 도면에서는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각 결합수단(13a, 13b, 21, 31)을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조합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 상에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밖에 나사결합에 의한 조합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회로연결편(40)은 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30)의 밧데리단자(11, 31)와 전원공급단자(12)를 회로 연결하기 위하여 밧데리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2)의 전선 중 한 선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밧데리단자(11)와 연결되며, 하부케이스(30)의 밧데리단자(31)와는 상기 회로연결편(40)을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10) 상부측 내면의 연결단자(42)에 의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측 결합수단(13a) 및 상기 밧데리케이스(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관 양단부에는 상기 회로연결편(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막(41)이 더 구비됨으로써 회로 연결되며, 상기 밧데리케이스(20)에 수용된 밧데리(B, 도 1 참고)에 의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의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고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평상시 상부케이스(10)의 수납홈(14)을 통해 전원공급단자(12)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12)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상부케이스(10) 내측으로 수납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외측 결합수단(13b)과 하부케이스(30) 내측면의 결합수단(33)이 결합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30) 사이의 밧데리케이스(20)를 구성하는 각 관(22, 24, 26, 도 2 참고)은 축소된 상태이다.
이때,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각 케이스(10, 20, 30)의 경우는 그 직경이 상기 전원공급단자(12)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통상의 전원공급단자를 본원 발명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폭 때문에 상기 상부케이스(10) 내로 수납하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단자(12)는 그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대폭 줄여 제작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단자(12)의 휴대폰 전원연결잭과 결합되는 면이 상기 밧데리케이스(20) 내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수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미도시)과 상부케이스(10) 상부면의 연결고리(h)에 결속된 연결끈(s)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장식품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작동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3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30)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상부케이스(10)와 밧데리케이스(20, 도 1 내지 도 3 참고)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수납홈(14)을 통해 전원공급단자(1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밧데리케이스(20)를 신장되도록 하고 회로연결편(40) 및 회로연결막(41)의 회로 연결이 되도록 한 다음, 밧데리(B)를 넣고 상기 상부케이스(10)와 밧데리케이스(20)를 결합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전원공급단자(12)를 휴대폰(미도시)과 연결하여 상기 휴대폰의 전원을 켜고 통화 또는 다양한 동작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의 작동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은, 외출시 또는 야외 활동시 휴대폰 밧데리가 방전되었을 때 일반 건전지로써 신속하게 보조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상, 하부케이스 및 밧데리케이스를 원통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각통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변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 상에서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길이를 상부케이스에 비해 긴 것으로 한정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여 상기 상, 하부 케이스의 길이를 공히 짧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밧데리케이스 상부관의 하부측이 결합되도록 하여 그 무게와 부피를 대폭 줄이는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밧데리케이스 상부관과의 결합은 결합홈, 돌기에 의한 결합은 물론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적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와 밧데리케이스 상부관과의 결합 또는 상, 하부케이스 상호간이 결합되도록 하여 휴대폰 장식품으로도 활용 가능함은 물론, 상기 상, 하부케이스 외측에 다양한 문자, 도안을 새겨 넣는다는가 각종 캐릭터 형상으로 상기 상, 하부케이스를 제작되도록 하는 등의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의 조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저렴한 건전지를 이용하므로 방전된 휴대폰 밧데리를 대체할 보조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 하부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관이 신축가능한 밧데리케이스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휴대성이 뛰어난 장점을 지닌다.
또한, 평상시에는 휴대폰에 연결된 작고 예쁜 휴대폰 장식품의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소장욕구 및 구매욕구를 고취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측 내면의 밧데리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단자(12)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내외측으로 각각 결합수단(13a, 13b)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
    내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측 결합수단(13a)과 결합되는 결합수단(21)을 일단에 구비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관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밧데리케이스(20);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밧데리단자와 대응하는 밧데리단자(31)가 구비되고, 상기 밧데리케이스의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 결합수단(13b)과 결합되는 결합수단(33)이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케이스(30); 및
    상기 상, 하부케이스(10, 30)의 밧데리단자(11, 31)와 전원공급단자를 회로 연결하기 위하여 밧데리케이스 내측면을 따라 구비된 회로연결편(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2)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상부 케이스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절개된 수납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 결합수단(13a) 및 상기 밧데리케이스(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관 양단부에는 상기 회로연결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연결막(4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스(10, 20, 30)의 결합수단(13a, 13b, 21, 33)은 결합홈,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스(10, 20, 30)의 결합수단(13a, 13b, 21, 33)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KR1020050126310A 2005-12-20 2005-12-20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KR10075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10A KR100752423B1 (ko) 2005-12-20 2005-12-20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10A KR100752423B1 (ko) 2005-12-20 2005-12-20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64A KR20060001964A (ko) 2006-01-06
KR100752423B1 true KR100752423B1 (ko) 2007-08-28

Family

ID=3710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10A KR100752423B1 (ko) 2005-12-20 2005-12-20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4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64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4540B2 (en) Bluetooth earphone set with wire control function
US6589069B1 (en) Wire reel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apable of doing emergency charging work
US20060258412A1 (en) Mobile phone wireless earpiece
KR20042064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0752423B1 (ko) 휴대폰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060005591A (ko)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CN202261489U (zh) 一种无线固定电话
CN207802282U (zh) 蓝牙耳机以及电子设备
CN212486139U (zh) 带蓝牙音箱的移动电源
CN202737947U (zh) 手机扩展背盖
CN204993475U (zh) 一种自带数据线的手机
CN207304672U (zh) 背夹电池
KR100303863B1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KR102516089B1 (ko)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CN206433123U (zh) 可换电池蓝牙耳机
CN207705810U (zh) 分体带收线槽充电器
JPH0689709A (ja) 2次組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KR100641177B1 (ko) 이동단말기 거치대의 표준 플러그 연결 및 led 표시장치
KR20070036107A (ko) 전화번호 인식 및 개인정보 저장 기능을 분리하여 하나의전화 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
KR200353723Y1 (ko) 다기능 휴대용 급속 충전기
JP3188682U (ja) 携帯端末ストラップ
KR200342707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KR100531493B1 (ko) 휴대전화 케이스
CN205489699U (zh) 基于手机保护壳的无线充电接收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