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095B1 -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095B1
KR100751095B1 KR1020050129836A KR20050129836A KR100751095B1 KR 100751095 B1 KR100751095 B1 KR 100751095B1 KR 1020050129836 A KR1020050129836 A KR 1020050129836A KR 20050129836 A KR20050129836 A KR 20050129836A KR 100751095 B1 KR100751095 B1 KR 10075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amera module
whee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8090A (en
Inventor
신호석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095B1/en
Publication of KR2007006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촬상한 휠 키의 영상을 분석하여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provided in the wheel key is analyzed by analyzing an image of the wheel key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input key input command.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hich recognizes a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a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parts by allowing the provided camera module to be used universally.

휠 키, 카메라, 키, 입력 Wheel key, camera, key, enter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측면 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블록도.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값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4 illustrates a key value tabl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영상 분석 모듈에서 영상을 이용한 키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key using an image in the image analysis modu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ac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키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key by analyzing an image captur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전자기기100: electronic device

110 : 본체110: body

120 : 카메라 모듈120: camera module

130 : 휠 키130: wheel key

132 : 입력 포인트132: input point

134 : 구역134: zone

140 : 입력 버튼140: enter button

150 : 디스플레이 모듈150: display module

160 : 입력 모듈160: input module

170 : 영상 분석 모듈170: video analysis module

175 : 키 값 인식 모듈175: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180 : 메모리180: memory

190 : 프로세서190: processor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ey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자기기 중 하나는 PCS와 같은 휴대폰 및 PDA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량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One of the most used electronic devices in recent years is a mobile phone such as a PC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lso, due to the rapid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large amount of communication occurring in human relationship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key pad)에 있는 다수의 키 버튼을 직접 눌러서 입력하는 방법과 둘째, 전자 펜 등의 전자적 데이터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직접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과 셋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력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inputting data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on a key 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cond, an electronic data input tool such as an electronic pen is used. There is a method of writing data directly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third method and a third method of inputting voice data into a voice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방법들 중 전자적 데이터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큰 LCD 화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LCD 화면이 작은 휴대폰에는 적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LCD 화면이 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Among these methods, the data input method using the electronic data input tool is relatively widespread. However, since it requires a large LCD screen, it is not suitable for a mobile phone with a small LCD screen and has a relatively large LCD screen. It is mainly used for Digital Assistants.

그리고 음성 입력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현재 음성 인식 기술 수준으로는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인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원활한 음성 인식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높은 사양의 시스템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voice data into the voice input device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and recognize the input voice data at the current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level. In addition, since a high specification system is required to support a smooth voice recognition spe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niversal applic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키 버튼을 직접 누르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a method of directly pressing a key button is most widely used as a method for inputting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하나의 숫자마다 하나의 키 버튼이 할당되어 있어 비교적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발전되어 감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숫자 데이터 보다 문자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오히려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통화 중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모해야 할 내용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 등이다.In more detail, in the method of inputting numeric data by using a key butt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e key button is assigned to each number to be input, so that it can be input relatively easily. However,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iversified and developed, it is more frequent to input text data than numeric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a text message is sent to the other part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ntent to be memorized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a call.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는 모드(Mode) 선택키를 조작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한 다음, LCD 화면에 표시되는 한글 자모 또는 영문 알파벳, 특수 문자 및 기호 등을 커서(cursor) 이동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로 이동하고 문자 선택키를 눌러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선택된 문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LCD 화면에 표시된다.As a method of inputting text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 a text input mode by operating a mode selection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display Korean alphabet or English alphabet, special characters and symbols, etc. displayed on the LCD screen. There is a method of moving to a character to be input by using a cursor moving key and inputting character data by pressing a character selection key. At this time, the selecte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현재 가장 보편화된 방법으로는 키 패드에 있는 키 버튼 마다 1개 내지 수개의 한글 자모 및 영어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을 1번 이상 누르는 등의 조작 과정을 통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이때에도 선택된 문자는 이 동 통신 단말기의 LCD 화면에 표시된다.As another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data, the most common method currently includes one to several Hangul alphabets and English alphabets assigned to each key button on the keypad. There is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data through an operation process such as pressing over. Of course, the selected character is also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버튼을 직접 눌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는 키 버튼의 크기가 작아 데이터를 입력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키 버튼을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도중에 키 버튼이 잘 눌려지지 않거나, 한꺼번에 두개 이상의 키 버튼이 눌려지는 등의 입력 오류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키 버튼이 형성된 틈에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되어 키 버튼이 정상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data by pressing a key butt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inputting data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key butt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nput error such as a key button is not pressed well or two or more key button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while inputting data by pressing a key butt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ey button is not normally pressed because foreign matter is stuck or attached to the gap in which the key button is formed.

또한, 종래의 버튼식 키 패드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각각의 키 버튼에 대하여 금형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 패드가 차지하는 고정적인 면적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 전체의 크기 및 그 디자인상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tton-type keypad, a mold operation is required for each key button,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thereof increases. In addition, due to the fixed area occupied by the keyp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and design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limited.

또한, 종래의 버튼식 키 패드는 각 키 버튼이 형성된 틈에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되어 키 버튼이 정상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tton-type keypad ha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stuck or attached to the gap in which the key button is formed, the key button is not normally pres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key input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a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ponents by making the provided camera module universally available And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아무런 회로장치도 구비되지 않은 판 형식의 휠 키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late-type wheel key and a camera module which are not provided with any circui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키 입력 수단을 위한 제조 원가를 절감하여 매출 증대를 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for the key input means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o increase sales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상한 상기 휠 키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wheel key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key input command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which recognizes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provided in the wheel key.

또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입력 모듈; 카메라 모듈; 휠 키; 상기 입력 모듈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상한 상기 휠 키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 모듈; 및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이 인식한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하는 키 값 인식 모듈을 포함하 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n electronic device, the input module; Camera module; Wheel keys;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an image of the wheel key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module and recognizes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included in the wheel key; And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including a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that recognize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recogniz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여기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셔터일 수 있다.The input module may be a shutter of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휠 키는 본체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휠 키의 하부를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on the lower body and the wheel key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the camera module can take a lower portion of the wheel key.

또한,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은 상기 영상의 중심을 축의 중심으로 하는 X축, Y축에 따라 측정된 상기 입력포인트의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키를 인식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module may recognize the key using an angle of the input point measured along an X axis and a Y axis having the center of the image as the center of the axis.

또한,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은 상기 영상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구분하며, 상기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블록에 상응하여 상기 키를 인식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module may classify the image into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recognize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which the input point is loca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휠 키를 촬상하는 단계; (b)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hotographing a wheel key by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input key input command; (b) analyzing a captured image and recognizing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of the wheel key; And (c) a key input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comprising input processing of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여기서, 상기 키 입력 명령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셔터 조작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The key input command may be input according to a shutter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또한, 상기 단계 (b)는, 상기 영상의 중심을 축의 중심으로 하는 X축, Y축에 따른 상기 입력포인트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도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키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b), the step of measuring the angle of the input point along the X-axis, Y-axis having the center of the image as the center of the axis; And recognizing the key preset to correspond to the angle.

또한, 상기 영상은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블록에 상응하여 상기 키를 인식할 수 있다.The image may be divided into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key may be recognized according to a block in which the input point is loc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본체(110), 카메라 모듈(120), 휠 키(130), 입력 버튼(1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camera module 120, a wheel key 130, an input button 140, and a display module 150.

도면에는 본체(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PCS와 같은 휴대폰에 적용되는 폴더 형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체(11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슬라이딩되는 휠 키(130)를 포함하는 부분을 본체 상부, 카메라 모듈(120)을 포함하는 부분을 본체 하부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상부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열린 상태, 슬라이딩 되지 않은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Although the main body 1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liding manner, it is apparent that the main body 110 may also be formed in a folder format applied to a mobile phone such as a PCS. Hereinafter, the main body 110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being formed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part including the wheel key 130 being sli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part including the camera module 120. Will be referred to as the lower body.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slid as shown in the drawing will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and a non-slid state as a closed state.

카메라 모듈(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를 촬상할 수 있도록 본체 하부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20)은 본체(110)가 열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일반 카메라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mera module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110 may photograph the outside in an open state. That is, the camera module 120 may perform a function like a general camera like a digital camera while the main body 110 is open.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20)은 본체(110)가 닫힌 상태에서는 휠 키(13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120)은 키 입력 명령이 입력되면 본체(110)가 닫힌 상태에서 휠 키(130)의 하부를 촬상한다. 카메라 모듈(120)은 휠 키(130)를 촬상한 영상을 프로세서(19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90)는 카메라 모듈(120)이 촬상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키를 인식 및 입력 처리하도록 전자기기(100)의 각 구성부(도 3참조)를 제어한다. 촬상된 영상을 이용한 키 인식은 이하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module 120 is positioned below the wheel key 130 when the main body 110 is closed. When a key input command is input, the camera module 120 captures the lower part of the wheel key 13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is closed. The camera module 1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of the wheel key 130 to the processor 190. The processor 190 controls each component (see FIG. 3)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recognize and input a corresponding key by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Key recognition using the captured im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휠 키(130)는 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방향 또는 좌우 양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휠 키(130)는 전체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내부의 일부 영역은 고정되고 나머지 외부 영역만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된 내부 영역은 별도의 버튼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휠 키(130)는 전자기기(100)의 본체(110)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wheel key 130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wheel key 13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entire region,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inside is fixed and only the remaining outer region is rotatable. Therefore, the fixed inner reg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utt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wheel key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may be formed in a recessed shap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키(130) 둘레로 키 값들이 인쇄되어 있다. 도면에는 각 구역(134)당 하나의 키 값들만이 도시되었으나, 하나 이상의 키 값들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ㄱ'에 해당하는 구역(134)에는 'ㄱ', 'ㅋ', 'ㄲ', 'a', 'b', 'c' 등 복수 개의 키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역(134)은 각각의 키를 갖는다. 전자기기(100)가 핸드폰인 경우를 예로 들면, 'ㄱ' 구역(134)은 핸드폰의 숫자 '1'에 상응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0)는 우선 입력된 신호에 상응하는 키(예를 들어, 'ㄱ'에 따른 구역)를 인식하고 현재의 입력 모드(mode)(예를 들어, 한글 입력 모드, 영어 입력 모드 등) 및 입력된 신호에 따른 키 값(예를 들어, 'ㅋ', 'ㄲ'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모드는 별도로 구비된 모드 설정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예로 들면 메뉴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모드 설정 키를 구비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20)을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휠 키(130)의 특정 구역을 모드 설정 키로써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입력 모드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는 숫자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작성 프로그램 실행 시에는 한글 입력 모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에도 PCS와 같은 휴대폰에서는 숫자, 한글, 영어 등에 따른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입력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key values are printed around the wheel key 130. Although only one key value is shown for each zone 134 in the figure, one or more key values may be set. For example, a plurality of key values such as 'a', 'ㅋ', 'ㄱ', 'a', 'b', and 'c' may be set in the region 134 corresponding to 'a'. Here, each zone 134 has a respective key.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mobile phone, the 'a' zone 134 may be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1'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first recognizes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a region according to 'b'), and then recognizes a current input mode (for example, Korean input mode and English input mode). Etc.) and key values (eg, 'ㅋ', 'ㄲ', etc.)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Here, the input mode may be set using a mode setting key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and the input mode may be set using a menu button, for example, a mobile phone. Of course, without having a separate mode setting key, it is natural that the input mode may be set using a key input method using the camera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pecific area of the wheel key 130 can be set as the mode setting key. In addition, an input mode corresponding to a software program currently being executed may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the numeric input mode may be set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Korean input mode may be set in advance when the message writing program is executed. Even in a mobile phone such as PCS, the input mode may be set according to numbers, Korean, English, etc.,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put mode will be omitted.

휠 키(130)의 일측에는 입력포인트(132)가 형성된다. 입력포인트(132)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에 상응하는 구역(134)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키(즉, 구역(134))를 전자기기(100)가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휠 키(130)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거나 오목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하여 입력포인트(1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휠 키(130)의 다른 부분과 다르지 않게 입력 포인트(132)를 형성하되, 특정 색으로 칠해지거나 스티커 등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입력포인트(132)가 형성될 수도 있다.An input point 1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heel key 130. The input point 132 is for pointing to an area 134 corresponding to a key to be input by the user, and is also used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recognize a key (ie, area 134) to be input by the user. will be. An input point 132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or protruding concave on one side of the wheel key 130. Alternatively, the input point 132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other parts of the wheel key 130, and the input point 132 may be formed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by being painted in a specific color or by attaching a sticker or the like.

입력포인트(132) 위치에 해당하는 휠 키(130)의 반대면(즉, 카메라 모듈(120)과 마주보는 면) 일측에는 전자기기(100)가 촬상된 휠 키(130)의 영상에서 입력포인트(132)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인식수단이 구비된다. 만일 카메라 모듈(120)에 플래시(flash)가 구비될 경우 영상 촬영 시 빛을 발광할 수 있으므로 입력포인트(132)의 인식수단으로 휠 키(130) 반대면의 다른 부분과 구분될 수 있는 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휠 키(130)의 입력포인트(132)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촬상된 휠 키(130)의 영상에서 입력포인트(132)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포인트(132) 위치에 따른 휠 키(130) 반대면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별도의 발광물질을 바르거나 또는 발광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발광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발광장치에 따른 전력 및 제어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회로 등이 휠 키(130)에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포인트(132)의 인식수단으로는 어떠한 회로장치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키 입력을 위한 휠 키(130)의 구조를 간략화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휠 키(130)의 반대면의 입력포인트(132)에 상응하는 인식수단이 구비된 부분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포인트라 칭하기로 한다.On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wheel key 1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132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camera module 120), the input point of the wheel key 130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hotographed Separate recognition means is provid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132. If the camera module 120 is provided with a flash, light may be emitted when the image is taken, so that the color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wheel key 130 as a recognition means of the input point 132. It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input point 132 of the wheel key 1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132 in the image of the wheel key 130 photographed using natural light input from the outside. You can also recognize. In addition, a separate light emitting material for emitting light may be applied or a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wheel key 13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132. However,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stalled, a problem may arise in that a circuit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etc.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wheel key 130.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wheel key 130 for key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not using any circuit device as the recognition means of the input point 132. Hereinafter, a part provided with a recogni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int 13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heel key 130 will also be referred to as an input poi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입력 버튼(140)은 키 입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입력 버튼(140)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예를 들어, 눌려짐)되면 카메라 모듈(120)이 휠 키 (130)의 반대면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은 해당 키 값이 처리 되도록 전자기기(100)가 입력포인트(132)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전자기기(100)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입력 버튼(140)은 셔터(shutter)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기기(100)의 본체(110)가 열린 상태에서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경우 입력 버튼(140)은 셔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put button 140 is a means for inputting a key input command. That is, when the input button 140 is operated (for example, pressed) by the user, the camera module 120 captures the opposite side of the wheel key 130, and the captured image is electronically processed so that the corresponding key value is processed. The device 100 is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input point 132.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digital camera, the input button 140 may be a shutter. Similarly, when performing the camera function while the main body 11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open, the input button 14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 shutter.

입력 버튼(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110)의 측면뿐만 아니라 본체 상부 또는 본체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140)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 휠 키(130) 자체에 버튼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휠 키(130)를 회전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키 값에 상응하는 구역(134)에 입력포인트(132)를 위치하도록 한 후 휠 키(130)를 누름으로써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회로장치도 구비하지 않은 휠 키(130)의 구조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입력 버튼(1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button 1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as well as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the figure. In addition, a button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wheel key 130 itself without having an input button 140 separately.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the key by rotating the wheel key 130 to position the input point 132 in the region 134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to be input, and then pressing the wheel key 13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eparate input button 140 as shown in the figure for the structure of the wheel key 130 is not provided with any circuit device as described above.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입력된 키에 따른 키 값에 상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문자, 숫자 등)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예를 들어 액정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현재에도 많은 전자기기(100)에 사용되고 있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isplay module 15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eg, letters, numbers, etc.) corresponding to key values according to the input key.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and since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ecause the display module 150 is still used in many electronic devices 1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20) 및 휠 키(130)를 이용하여 키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기기(100)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performing key input using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wheel ke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값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value tab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카메라 모듈(120), 입력 모듈(160), 영상 분석 모듈(170), 키 값 인식 모듈(175), 메모리(18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일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영상 분석 모듈(170), 키 값 인식 모듈(175) 등)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전자기기(100)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120, an input module 160, an image analysis module 170, a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175, a memory 180, and a processor ( 190). Of course,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g,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the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175, etc.) are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hardware, and may be execu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입력 모듈(160)은 키 입력 명령을 입력 받는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버튼(14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60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button 140 as shown in FIG. 1 as a means for receiving a key input command.

카메라 모듈(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60)을 통해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휠 키(130)를 촬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dule 120 performs a function of capturing the wheel key 130 according to a key input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60.

영상 분석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1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키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영상 분석 모듈(170)은 촬상된 영상에서 입력포인트의 위치를 분석하고,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키(즉, 휠 키(130)에서의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구역)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휠 키(130)의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곳에 상응하는 구역이 'ㄱ'인 경우, 영상 분석 모듈(170)은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키 'ㄱ'을 인식한다. 영상 분석 모듈(170)이 영상을 분석하여 키를 인식하는 방법은 관련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analyze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to recognize a key. That is,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in the captured image and recognizes a ke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hat is, the area in which the input point in the wheel key 130 is located). For example, whe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input point of the wheel key 130 is located is 'a',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analyzes the captured image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key 'a'.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key by analyzing the image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메모리(180)는 각 입력 모드에 상응하는 각 키에 따른 키 값을 갖는 키 값 테이블을 저장한다. 각 키마다 입력 모드에 상응하는 키 값이 설정된 키 값 테이블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ㄱ'은 숫자 입력 모드에서는 1의 값이, 영어 입력 모드에서는 A, B, C 의 키 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90)는 영상 분석 모듈(170)이 인식한 키와 현재의 입력 모드에 상응하는 키 값을 메모리(180)에 저장된 키 값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식 및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어 입력 모드에서'ㄱ'에 상응하는 위치에 입력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휠 키(130)를 조작한 후 입력 버튼(140)을 한번 누르면 A가, 두 번 누르면 B가 입력 처리될 수 있다.The memory 180 stores a key value table hav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each key corresponding to each input mode. A key value table in which key values corresponding to input modes are set for each key is shown in FIG. 4. As shown in the figure, the key 'a' may be set to a value of 1 in the numeric input mode and key values of A, B, and C in the English input mode. Accordingly, the processor 190 may recognize and input a key recogniz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and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input mode using a key value table stored in the memory 180.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wheel key 130 to position the input point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ㄱ' in the English input mode, pressing the input button 140 once causes A to enter, and pressing B twice to process the input. Can be.

키 값 인식 모듈(175)은 메모리(180)에 저장된 키 값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분석 모듈(170)에 의해 인식된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175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recogniz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by using a key value table stored in the memory 180.

프로세서(190)는 카메라 모듈(120)이 휠 키(130)를 촬상하고, 영상 분석 모듈(170)이 촬상된 영상에서 키를 인식하고, 키 값 인식 모듈이 현재의 입력 모드 및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20), 영상 분석 모듈(170), 키 값 인식 모듈(175) 및 메모리(180)을 제어하며, 인식된 키 값을 입력 처리한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입력 처리된 키 값에 상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표시한다.The processor 190 captures the wheel key 130 by the camera module 120,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recognizes the key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corresponds to the current input mode and key. The camera module 120,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the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175, and the memory 180 are controlled to recognize the key value, and the input key is processed. In addition, the processor 190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processed key value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150.

이하, 영상 분석 모듈(170)이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키를 인식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cognizing a corresponding key by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영상 분석 모듈에서 영상을 이용한 키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key using an image in an image analysis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분석 모듈(170)이 촬상된 영상에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블록 방식과 각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thod of recognizing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in the captured image,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may use a block method and an angle method.

블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10은 카메라 모듈(120)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가상의 공간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블록에는 키가 설정된다. 참조번호 530은 촬상된 휠 키(130)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5 for explaining a block method, reference numeral 510 is a diagram illustrating dividing a virtual space having a size equal to the siz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into blocks having a preset size. As shown in the figure, a key is set to a specific block. Reference numeral 530 denotes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wheel key 130.

참조번호 550은 촬상된 영상과 블록으로 나뉘어진 가상 공간을 매핑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영상 분석 모듈(170)은 영상의 입력포인트(501)에 상응하는 블록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키를 인식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550 denotes a mapping of the captured image and a virtual space divided into blocks. Therefore,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ma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key by recognizing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int 501 of the image.

즉, 영상 분석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120)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촬상되는 영상과 매핑하여 입력포인트(501)에 상응하는 블록을 인식하고, 해당 블록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키를 인식하는 것이다.That is,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divid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0 into blocks having a preset size, maps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recognizes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int 501.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key.

또 다른 키 인식 방법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각도 방식을 설명하면, 영상 분석 모듈(170)은 우선 촬상된 영상(610)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X축, Y축 좌표에 따른 영상의 입력포인트(615)의 각도(θ)를 산출한다.As another key recognition method, the angle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first inputs an input point 615 of an image according to preset X-axis and Y-axis coordinates at the center of the captured image 610. The angle θ of) is calculated.

입력포인트 각도의 산출방법은, 우선 원의 중심에서의 X, Y값을 구한다. 예 를 들어, X, Y의 값은 각각의 전체 길이를 '1'로 설정하여 측정될 수 있다. 산출된 X, Y 값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입력포인트(615)의 각도(θ)를 산출할 수 있다.In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input point angle, the X and Y values at the center of the circle are first calculated. For example, the values of X and Y may be measured by setting each total length to '1'. Using the calculated X and Y values, the angle θ of the input point 615 may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sgn(Y) = 1(Y>=0 인 경우), sgn(Y) = -1(Y<0 인 경우),sgn (Y) = 1 (if Y> = 0), sgn (Y) = -1 (if Y <0),

θ = tan-1(Y/X) (X>=0 인 경우), θ = tan-1(Y/X) + π*sgn(Y) (X<0 인 경우)θ = tan -1 (Y / X) (if X> = 0), θ = tan -1 (Y / X) + π * sgn (Y) (if X <0)

그 후, 영상 분석 모듈(170)은 참조번호 630과 같은 각도별 키가 미리 설정된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산출된 각도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한다.Thereafter,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recognize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angle calculated by using a table, for example, a preset key for each angl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630.

상술한 블록 방식 및 각도 방식 이외에도, 입력포인트에 상응하는 픽셀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픽셀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방법 등 영상 분석 모듈(170)이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다른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lock method and angle method, other methods of recognizing the ke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point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170, such as a method of recognizing a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int by recognizing a pix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int, are also the same. Applicable would be obviou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서 카메라 모듈(120) 및 휠 키(130)를 이용한 키 입력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key input process using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wheel key 130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키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key by analyzing an image captur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전자기기(100)는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 라 카메라 모듈(120)이 휠 키(130)를 촬상한다.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710, the electronic device 100 photographs the wheel key 130 by the camera module 120 according to an input key input command.

단계 720 내지 단계 740에서 전자기기(100)는 촬상된 휠 키(130)의 영상을 분석하여 입력포인트에 따른 키를 인식하고, 현재 입력 모드 및 인식된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하여 입력 처리한다. 전자기기(100)는 입력 처리된 키 값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steps 720 to 740, the electronic device 100 analyzes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wheel key 130 to recognize a key according to an input point, and recognize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current input mode and a recognized key and processes the input. d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processed key value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a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parts by allowing the provided camera module to be used universally. It can be effective.

또한, 아무런 회로장치도 구비되지 않은 판 형식의 휠 키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plate-type wheel key and a camera module that is not provided with any circuit device.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키 입력 수단 을 위한 제조 원가를 절감하여 매출 증대를 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wheel keys that can increase sales 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for key input means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lso an effec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1)

삭제delete 전자기기에 있어서,In the electronic device, 입력 모듈;Input module;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휠 키;Wheel keys; 상기 입력 모듈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상한 상기 휠 키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 모듈; 및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an image of the wheel key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module and recognizes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included in the wheel key; And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이 인식한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인식하는 키 값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including a key valu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recogniz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카메라 모듈은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휠 키는 본체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휠 키의 하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The camera module is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wheel key is mount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the camera module and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heel key, characterized in that for imag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key.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은 상기 영상의 중심을 축의 중심으로 하는 X축, Y축에 따라 측정된 상기 입력포인트의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The image analysis module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at recognizes the key using an angle of the input point measured along an X axis and a Y axis having the center of the image as the center of the axis. .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 분석 모듈은 상기 영상을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구분하며, 상기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블록에 상응하여 상기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The image analyzing module classifies the image into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recognizes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which the input point is located.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a key input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a)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휠 키를 촬상하는 단계;(a) imaging the wheel key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key input command; (b)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단계; 및(b) analyzing a captured image and recognizing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of the wheel key; And (c) 상기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and (c) inputting and process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키 입력 명령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셔터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And the key input command is input according to a shutter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b)는, 상기 영상의 중심을 축의 중심으로 하는 X축, Y축에 따른 상기 입력포인트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The step (b) may include measuring an angle of the input point along an X axis and a Y axis having the center of the image as the center of the axis; And 상기 각도에 상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상기 키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And recognizing the key pre-set to correspond to the angl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은 미리 설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입력포인트가 위치한 블록에 상응하여 상기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의 키 입력 방법.The image is divided into a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key input method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which the input point is located. 카메라 모듈 및 휠 키를 이용하여 키 입력 처리하는 전자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In a recording medium that is implemented in a type that can be executed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cesses the key input by using a camera module and a wheel key, the program can be read by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recording medium, 입력된 키 입력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휠 키를 촬상하는 단계;Imaging the wheel key by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key input command;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휠 키에 구비된 입력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키를 인식하는 단계; 및Analyzing the captured image and recognizing a key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nput point of the wheel key; And 상기 키에 상응하는 키 값을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nd processing the input of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KR1020050129836A 2005-12-26 2005-12-26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KR100751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36A KR100751095B1 (en) 2005-12-26 2005-12-26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36A KR100751095B1 (en) 2005-12-26 2005-12-26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090A KR20070068090A (en) 2007-06-29
KR100751095B1 true KR100751095B1 (en) 2007-08-22

Family

ID=3836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836A KR100751095B1 (en) 2005-12-26 2005-12-26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09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125A (en) * 2003-07-30 2005-02-07 김성일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hotographing image to user information of a camera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125A (en) * 2003-07-30 2005-02-07 김성일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hotographing image to user information of a camera 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2005-14125(2005.0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090A (en)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8782B1 (en) Screen module and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JP53587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KR100856203B1 (en) User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inger mark recognition sensor
US8878784B2 (en) On-screen diagonal cursor navigation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938043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84980B (en) Automatic scoring method and device
US20080079837A1 (en) Focusing Area Adjusting Camera-Carrying Portable Terminal
US20090227283A1 (en) Electronic device
JP2012512453A (en) Electronic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a user input device having an optical marker
EP3046042A1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home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on single sensor
CN104583906A (en)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KR101352462B1 (en) Virtual keyboard of a mobile terminal
JP4288134B2 (en) Imaging device
CN112396076A (en) License plat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3543825A (en) Camera cursor system
JP4871226B2 (en) Recognition device and recognition method
JP2000032111A (en) Portable information reading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KR1007510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in electric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wheel key
WO2011079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put
KR1007510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 in digital device
US90822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near representation of an image histogram
JP5252579B2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50087597A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ariably displaying in difference area with screen electronic touch interfaces window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mode
JP4498345B2 (en) Pointing device
JP2014149721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