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250B1 -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250B1
KR100749250B1 KR1020060046326A KR20060046326A KR100749250B1 KR 100749250 B1 KR100749250 B1 KR 100749250B1 KR 1020060046326 A KR1020060046326 A KR 1020060046326A KR 20060046326 A KR20060046326 A KR 20060046326A KR 100749250 B1 KR100749250 B1 KR 10074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erminal
service
message
fri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승
이민경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주식회사 어헤드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주식회사 어헤드모바일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4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부로 접근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절차는 요청자단말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제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REQUESTING A PLACE SEARCH USING PHONE MEMORY IN MOBILE PHONE AND SYSTEM THEREFOR}
도 1은 종래의 친구위치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친구위치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치찾기와 관련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메시지의 데이터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 2의 친구위치찾기 서비스의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친구추가/삭제에 대한 기능을 나타낸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의한 내위치허용추가/삭제에 대한 기능을 나타낸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도 6a에 의한 친구위치찾기 과정을 나타낸 유저인터페이 스이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6b에 의한 친구위치찾기 과정을 나타낸 유저인터페이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친구위치찾기 서비스의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1에 의한 친구위치찾기 과정을 나타낸 유저인터페이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친구위치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의한 친구위치찾기 서비스의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도 14에 의한 친구위치찾기 과정을 나타낸 유저인터페이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요청자단말 11: 메모리
12: 전화번호부 13: 위치찾기프로그램
14: 표시부 15: 키입력부
17: 제어수단 50: 피요청자단말
110: 홈위치등록기(HLR or VLR) 120: GIS서버
13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140: 이동전화교환국(MSC)
150: 메시지센터(SMSC) 160: 위치검색시스템
170: MMS센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친구위치 찾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부로 접근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위치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치찾기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파악을 통해 찾고자 하는 친구나 가족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찾기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지국을 이용하여 특정 셀 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이렇게 추적된 정보는 상대방을 찾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이 전원 온 상태이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망에 알리고,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HLR)에 등록, 관리한다. 홈위치등록기에 등록되는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는 이동통신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게 되는 기지국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에서는 항시 이동통신단말이 어느 기지국 범위(coverage)에 있는지 알고 있다. 그리고 현재 GPS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단말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단말의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은 위성과의 통신으로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기지국 범위보다 정확한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의 친구찾기 서비스는 상술한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현재 상당수의 가입자들이 애용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인 서비스와 달리 상기 친구찾기 서비스는 타인(피요청자)의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므로, 피요청자의 서비스 동의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친구찾기 서비스는 요청자(추적자)에 대한 피요청자(피추적자)의 서비스 동의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따른 현재위치 제공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적자가 무선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한 후 피추적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면 즉, 피추적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면(ST1), 피요청자 이동통신단말로 추적자의 위치정보제공 요구에 대한 동의를 질의하는 단문메시지(SMS)가 전송된다(ST2).
피요청자는 위치정보제공 동의 요구 SMS를 수신하면(ST3), 수신한 SMS로부터 추적자의 정보를 확인한 후 위치정보제공 동의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위치정보제공을 동의하면(ST4), 상기 SMS에 포함되어 전송된 콜백(call back) URL을 통해 친구찾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고(ST5), 추적자에게만 자신의 현재 위치가 제공되도록 서비스 서버에 비밀번호를 등록시킨다(ST6).
서비스 서버는 추적자에게 비밀번호를 알리고(ST7), 이후에 추적자가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피추적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면(ST8), 추적 이동통신단말로 피추적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ST9). 만약 피요청자가 위치 정보제공을 동의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ST10).
그런데, 상기 종래의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피요청자가 정보제공을 위해 무선인터넷으로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후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거나 서비스서버에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가져야 하므로 번거로움과 적지않은 비용을 감수해야 하고, 정보제공 동의 과정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친구찾기 서비스는 한번 조회에 1인의 위치조회만이 가능함과 아울러 텍스트(text) 기반으로만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서비스 방식의 개선과 동시 다수의 위치조회 및 사용자 위주의 위치찾기 기능의 구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목록, 통화내역, 메시지수신함 등의 전화번호부로 접근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피요청자 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함으로써, 이용자 입장에서 단말내의 전화목록이나 통화목록 등만 검색하여 선택하면 되므로 접근이 훨씬 용이한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부의 목록별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한 후 단말의 대기화면 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위치추적을 요청함으로써, 원터치로 위치찾기서비스가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친구찾기서비스에 있어서, 요청자단말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는 제 1단계; 상기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하는 제 2단계; 상기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은 위치검색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며, 상기 전화번호부는, 요청자단말 내에 수록된 전화번호목록, 통화목록, 메시지수신함, 메시지발신함 및 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에 상기 피요청자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위치찾기 요청 명령이 선택될 경우 상기에서 선택된 피요청자목록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되 서비스식별번호와 위치추적 명령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위치찾기서비스에 대한 식별번호(TI; Telephony Identifier), 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 및 위치추적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친구찾기서비스에 있어서, 요청자단말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전화목록별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지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한 후 요청자단말의 대기화면 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입력하여 전송 명령을 선택하는 제 2단계; 상기 전송명령에 단말 내에 설치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는 홈위치등록기;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요청자단말; 상기 요청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센터;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전달받아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위치검색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청자단말은, 전화번호목록, 통화내역, 메시지수신함 등의 전화번호부와, 위치찾기 요청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소정의 제어 하에 전화번호부 등에 등록된 전화번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등을 검색하거나 특정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 목록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위치찾기 서비스식별번호와 명령어를 자동 생성하여 단문메시지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생성된 위치찾기관련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별로, 본인에게 위치허용한 친구의 정보가 수록된 친구목록관리 영역 및 내위치 추적을 허용한 상대방의 정보가 수록된 내위치관리 영역, 및 일정기간 동안 모든 상대에게 본인의 위치찾기를 차단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서비스관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는 홈위치등록기;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대기화면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버 튼을 대기입력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전송명령에 따라 단말 내에 설치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요청자단말; 상기 요청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센터;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전달받아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위치검색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요청자단말(10), 홈위치등록기(110), 데이터베이스(130), 메시지센터(150), 및 위치검색시스템(1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요청자단말(10)은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홈위치등록기(10; HLR, VLR)는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130)는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 어 있고, 메시지센터(150)는 상기 요청자단말(10)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자동 전달함과 아울러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부터 전달된 위치정보를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상기 메시지센터(150)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110)를 통해 제공받아 메시지센터(1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것으로, 이용자 입장에서 친근한 전화번호부를 이용함에 따라 접근이 용이함과 아울러 피요청자의 전화목록이나 통화목록 등만 선택하면 되므로 이용이 훨씬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도 2의 위치찾기와 관련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메모리(11), 표시부(14), 키입력부(15), 제어수단(16) 및 무선처리부(1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모리(11)는 전화번호목록(12-1), 통화목록(12-2), 메시지수신함(12-3) 등의 전화번호부(12)와, 위치찾기 요청과 관련된 프로그램(13)이 저장되어 있 고, 표시부(14)는 제어수단(16)의 제어 하에 전화번호부(12) 등에 등록된 전화번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키입력부(15)는 상기 메모리(11)에 저장된 전화번호부(12) 등을 검색하거나 특정 명령을 입력하는 숫자/문자키, 메뉴키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어수단(16)은 상기 키입력부(15)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목록이 선택되면 메모리(11)에 저장된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을 구동시켜 위치찾기관련 서비스식별번호와 명령어를 자동 생성하여 단문메시지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고, 무선처리부(17)는 이동통신네트워크와 무선신호를 교환하는 변조기와 송신증폭기 및 수신증폭기와 복조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수단(16)을 통해 생성된 위치찾기관련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전화번호부(12)는 요청자단말(10) 내에 저장된 전화번호목록(12-1; 주소록) 뿐만 아니라 통화목록(12-2; 통화내역), 메시지수신함(12-3), 메시지발신함 및 보관함 등의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있는 모든 영역을 통칭한다.
아울러, 요청자단말(10)에 설치되는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은 무선인터넷이나 인터넷을 통해 위치검색시스템(160)에 접속하여 요청자단말(10)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제조할 때 단말 내에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을 미리 탑재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도 4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데, 가입자별로, 본인에게 위치추적을 허용한 친구들의 정보가 수록된 친구목록관리 영역과, 본 인의 위치추적을 허용한 상대 친구들의 정보가 수록된 내위치관리 영역, 및 일정기간 동안 모든 상대에게 본인의 위치찾기를 차단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서비스관리 영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요청자단말(10)에서 생성되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는 도 5와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찾기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번호(TI; Telephony Identifier 또는 TID; Teleservice Identifier)와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 및 명령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 2에 의한 친구위치찾기서비스가 수행되는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가입자단말(10, ..., 50)의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가입자정보 및 본인과 친구의 위치추적허용과 관련된 정보 등이 가입자별로 저장되어 있다(S1).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친구목록과 내위치허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 이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요청자단말(10)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친구추가 및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10)의 문자메시지 작성 환경에서 도 7a와 같은 수신번호입력란에 서비스식별번호인 '7979'를 입력하고, 다음 페이지인 도 7b와 같은 문자메시지 쓰기 창에서 피 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01080804209)와 친구추가 명령어인 '추가'라는 문자열을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이는 SMS센터(150)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된다.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요청자의 데이터베이스(130)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서 해당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를 추가한 후 SMS센터(150)를 통해 도 7c와 같이 요청자단말(10)로 친구추가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물론, 친구삭제의 경우에도 도 7a와 같은 수신번호입력란에 서비스식별번호인 '7979'를 입력하고, 다음 페이지인 도 7d와 같은 문자메시지 쓰기 창에서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01080804209)와 친구삭제 명령어인 '삭제'라는 문자열을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이는 SMS센터(150)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된다.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요청자의 데이터베이스(130)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서 해당 피요청자단말(50)의 목록을 삭제한 후 SMS센터(150)를 통해 도 7e와 같이 요청자단말(10)로 친구삭제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그리고, 내위치관리 영역에 내위치 허용 및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 이동통신단말(10)의 문자메시지 작성 환경에서 도 8a와 같은 수신번호입력란에 서비스식별번호인 '7979'를 입력하고, 다음 페이지인 도 8b와 같은 문자메시지 쓰기 창에서 상대단말의 전화번호(01080804209)와 내위치추적허용 명령어인 '허용'라는 문자열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이는 SMS센터(150)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된다.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 된 명령어에 따라 요청자의 데이터베이스(130)의 내위치관리 영역에서 해당 상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추가한 후 SMS센터(150)를 통해 도 8c와 같이 요청자에게 내위치정보를 상대방에게 허용한다는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물론,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도 8d와 같이 상대방에게도 요청자가 자신의 위치추적을 허용한다는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물론, 내위치허용목록에서 특정 상대에게 내위치허용을 삭제할 경우에도 도 8a와 같은 수신번호입력란에 서비스식별번호인 '7979'를 입력하고, 다음 페이지인 도 8e와 같은 문자메시지 쓰기 창에서 상대단말의 전화번호(01080804209)와 내위치추적거부 명령어인 '허용삭제'라는 문자열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이는 SMS센터(150)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된다.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라 요청자의 데이터베이스(130)의 내위치관리 영역에서 해당 상대단말의 목록을 삭제한 후 SMS센터(150)를 통해 도 8f와 같이 요청자단말(10)로 위치추적허용 거부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고, 도 8g와 같이 상대방에게도 요청자가 자신의 위치추적을 거부한다는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수신번호 입력창과 문자메시지 쓰기 창은 단말기의 제조사별로 선/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선후 관계는 무시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문자메시지 쓰기 창에서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와 명령어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쉼표(,)나 공란(Blank)을 이용하여 상호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130)에 가입자별로 위치찾기관련 정보를 수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위치찾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자는 위치찾기 연동 프로그램(13)이 설치된 요청자단말(10) 내의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하고, 소정의 위치찾기 요청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S2, S3).
예컨대, 요청자단말(10)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도 9a와 같은 전화번호목록(12-1)에서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하단의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도 9b와 같이 '2. 위치찾기'와 같은 기능들이 풀업된다. 도 9b에서 2번인 위치찾기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도 9c의 서비스식별번호(예를들어 '7979')와 도 9d의 명령어('위치' 또는 'Blank(공란)')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 9c와 도 9d와 같은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은 도 9b에서 '2. 위치찾기'를 선택할 경우 요청자에게 보이지 않고 단말내 위치찾기 프로그램(13)에 의해 자동 생성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9b에서 '2. 위치찾기'를 선택할 경우 자동으로 문자메시지 작성 환경으로 넘어가서 도 9c와 같은 수신번호입력창에서 요청자가 직접 서비스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다음 페이지인 도 9d와 같은 메시지입력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문자메시지가 위치찾기 프로그램(13)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도 9c와 도 9d와 같은 서비스식별번호 입력창이나 메시지 입력창은 요청자에게 보이지 않고 자동으로 처리된다.
뿐만 아니라 도 9a와 같은 전화번호부(12) 영역의 전화번호목록(12-1)으로 접근하지 않고, 도 9e와 같은 통화목록(12-2)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를 선택한 후 하단의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도 9f와 같이 '2. 위치찾기'와 같은 기능들이 풀업된다. 도 9f에서 2번인 위치찾기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상기 도 9c의 서비스식별번호(예를들어 '7979')와 도 9d의 명령어('위치' 또는 'Blank(공란)')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 및 명령어를 포함한 데이터포맷 형태로 이동전화교환국(140)을 통해 메시지센터(150)로 전달되며(S3), 메시지센터(150)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식별번호(예컨대, '79' 또는 '7979')를 통해 서비스종류를 파악한 후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5).
상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10)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 요청하게 되며,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한다(S6∼S8).
상기에서 요청자단말(10)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메시지센터(150)로 요청자단말(10)로 가입 안내를 해 줄 것을 요청하고, 메시지센터(150)는 도 10a와 같은 요청자의 가입 인증을 위한 콜백용 문자메시지(WAP Push)를 작성하여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9, S10).
이어, 요청자는 서비스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할 경우 콜백용 문자메시지를 통해 무선인터넷(WAP)으로 위치검색시스템(160)에 접속한 후 도 10b 내지 도 10d와 같이 요청자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인적정보와 비밀번호를 순차 입력하여 서비스이용 회원으로 가입하게 된다(S11).
상기와 같이 입력된 회원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되어 가입자별로 저장 관리되며, 데이터베이스(130)는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가입 확인신호를 전달한다(S12∼S14).
한편, 요청자가 서비스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피요청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피요청자가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검색 요청하게 된다(S15). 이어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을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친구목록으로 등록되어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16, S17). 만약 이전에 친구가 자신의 위치추적을 요청자에게 허용한 경우에는 친구의 단말번호가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자동 등록되게 된다.
상기에서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 우에는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메시지센터(150)로 피요청자가 위치추적 미허용 상태임을 통보한다(S18). 이에 따라 메시지센터(150)는 도 10e와 같은 피요청자의 위치추적 허용을 요청하는 콜백용 문자메시지(WAP Push)를 작성하여 피요청자단말(50)로 전송하게 된다(S19).
이어, 피요청자는 콜백용 문자메시지를 통해 무선인터넷(WAP)으로 위치검색시스템(160)에 접속한 후 도 10f 및 도 10g와 같이 피요청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요청자에게 위치추적을 허용하게 된다(S20). 물론, 피요청자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도 10a 내지 도 10d와 같은 과정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하여 비밀번호를 할당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요청자가 본인의 위치추적을 허용하면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요청자의 데이터베이스(130)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를 추가하여 저장함에 따라 추후에 요청자가 피요청자의 위치를 알고자 할 경우 별도에 위치추적허용을 요청하는 과정없이 피요청자의 위치를 요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21∼S23).
상기와 같이 피요청자가 본인의 위치추적을 허용한 상태이면, 위치검색시스템(160)은 홈위치등록기(110)로 피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23), 홈위치등록기(110)는 실시간으로 보유하고 있는 피요청자의 위치정보, 즉 위치에 따른 주소를 조회하여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25, S26).
이에 따라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위치정보를 메시지센터(150)로 전송하고(S26), 메시지센터(150)는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요청자단 말(10)로 전송하고(S28), 요청자단말(10)은 도 10h와 같이 피요청자의 위치에 따른 주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29).
상기 도 6에서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절차는 요청자 또는 피요청자의 회원가입과 피요청자의 위치추적허용을 요청하는 절차로 요청자와 피요청자 간에 최초에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요청자와 피요청자가 이미 서비스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상호 위치추적을 허용한 상태이면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절차는 생략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2에 의한 친구위치찾기서비스가 수행되는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단축버튼을 이용한 원터치 위치찾기 서비스이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가입자단말(10, ..., 50)의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가입자정보 및 본인과 친구의 위치추적허용과 관련된 정보 등이 가입자별로 저장되어 있다(S3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위치찾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자는 위치찾기 연동 프로그램(13)이 설치된 요청자단말 내의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검색하고, 상기 피요청자의 전화번호목록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한 후 요청자단말의 단축번호를 통해 위치찾기를 요청하면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S32∼S34).
예컨대, 요청자단말(10)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도 12a와 같은 전화번호목록에서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예를들어 01080804902님)를 선택한 후 하단의 편집버튼을 선택하면, 도 12b와 같이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b와 같이 전화 단축번호를 '1'번으로 선택하고, 위치찾기 단축번호는 '2'번으로 선택하여 설정하였다고 가정하면, 도 12c와 같이 요청자단말의 대기화면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2번')를 입력하여 위치찾기를 요청하면, 자동으로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도 12d의 서비스식별번호(예를들어 '7979')와 도 12e의 명령어('위치' 또는 'Blank(공란)')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 12d와 도 12e와 같은 문자메시지 작성 화면은 도 12c에서 단축번호('2')를 입력할 경우 요청자에게 보이지 않고 단말내 위치찾기 프로그램(13)에 의해 자동 생성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2c에서 단축번호를 입력할 경우 자동으로 문자메시지 작성 환경으로 넘어가서 도 12d와 같은 수신번호입력창에서 요청자가 직접 서비스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다음 페이지인 도 12e와 같은 메시지입력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문자메시지가 위치찾기 프로그램(13)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도 12d와 도 12e와 같은 서비스식별번호 입력창이나 메시지 입력창은 요청자에게 보이지 않고 자동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 및 명령어를 포함한 데이터포맷 형태로 이동전화 교환국(140)을 통해 메시지센터(150)로 전달되며(S35), 메시지센터(150)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식별번호(예컨대, '79' 또는 '7979')를 통해 서비스종류를 파악한 후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36).
상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10)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37∼S39). 즉,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 요청하게 되며,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요청자단말(10)이 서비스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피요청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피요청자가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검색 요청하게 된다(S40). 이어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을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친구목록으로 등록되어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41, S42).
상기에서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6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피요청자에게 위치추적 허용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이 허용된 상태로 등록되어 있으면, 위치검색시스템(160)은 홈위치등록기(110)로 피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43), 홈위치등록기(110)는 실시간으로 보유하고 있 는 피요청자의 위치정보, 즉 위치에 따른 주소를 조회하여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44, S45).
이에 따라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위치정보를 메시지센터(150)로 전송(S46)함과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30)에 조회내역을 가입자별로 저장하고(S47), 메시지센터(150)는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하고(S48), 요청자단말(10)은 도 9h와 같이 피요청자의 위치에 따른 주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49).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요청자단말(10), 홈위치등록기(110), GIS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SMS센터(150), 위치검색시스템(160) 및 MMS센터(17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요청자단말(10)은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홈위치등록기(10; HLR, VLR)는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GIS서버(120)는 지역(주소)별로 지도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130)는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SMS센터(150)는 상기 요청자단말(10)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상기 SMS센터(150)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110)를 통해 제공받아 위치정보에 따른 지도데이터를 GIS서버(120)에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MMS센터(170)는 상기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피요청자의 지도정보를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의 경우에는 요청자에게 피요청자의 위치지도 정보를 제공하게 되지만, 도 2의 경우 요청자에게 피요청자의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상호 다르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명령어 포맷 등은 도 2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3에 의한 친구위치찾기서비스의 제반 과정을 나타낸 절차도로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가입자단말(10, ..., 50)의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가입자정보 및 본인과 친구의 위치추적허용과 관련된 정보 등이 가입자별로 저장되어 있다(S5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위치찾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자는 위치찾기 연동 프로그램(13)이 설치된 요청자단말 내의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하고, 소정의 위치찾기 요청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 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S52, S53).
예컨대, 요청자단말(10)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12) 영역으로 접근하여 도 15a와 같은 전화번호목록에서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를 선택한 후 하단의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도 15b와 같이 '2. 위치찾기'와 같은 기능들이 풀업된다. 도 15b에서 2번인 위치찾기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13)이 연동되어 도 15c의 서비스식별번호(예를들어 '7979')와 도 15d의 명령어('지도' 또는 Blank(공란)')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50)의 전화번호 및 명령어를 포함한 데이터포맷 형태로 이동전화교환국(140)을 통해 메시지센터(150)로 전달되며(S54), 메시지센터(150)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식별번호(예컨대, '79' 또는 '7979')를 통해 서비스종류를 파악한 후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55).
상기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10)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56∼S58). 즉, 위치검색시스템(160)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 요청하게 되며,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단말(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가입 여부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요청자단말(10)이 서비스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 스템(160)은 피요청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피요청자가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데이터베이스(130)를 통해 검색 요청하게 된다(S59). 이어 데이터베이스(130)는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을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친구목록으로 등록되어 위치추적 허용 상태인지를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60, S61).
상기에서 요청자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10a 내지 도 10d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회원가입 절차나 위치추적 허용 요청에 대한 절차는 도 7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의 친구목록관리 영역에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이 허용된 상태로 등록되어 있으면, 위치검색시스템(160)은 홈위치등록기(110)로 피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62), 홈위치등록기(110)는 실시간으로 보유하고 있는 피요청자의 위치정보, 즉 위치에 따른 주소를 조회하여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게 된다(S63, S64).
이에 따라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위치정보를 GIS서버(120)로 전달하여 위치정보에 따른 지도데이터를 요청하게 된다(S65).
상기 GIS서버(120)는 주소에 따른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위치검색시스템(160)으로 전달하고(S66, S67), 위치검색시스템(160)은 전달된 지도정보를 MMS센터(170)로 전달한 후 위치추적 조회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 저장하고(S68, S69), MMS센터(170)는 지도정보를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한다(S70).
이에 따라 요청자단말(10)은 도 15e와 같이 피요청자의 위치에 따른 지도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71).
만약, 요청자단말(10)이 멀티미디어메시징서비스(MMS)가 지원되지 않으면, 위치검색시스템(160)은 SMS센터(150)를 통해 도 15f와 같은 콜백용 메시지를 작성하여 요청자단말(10)로 전송하고, 피요청자는 콜백용 문자메시지를 통해 무선인터넷(WAP)으로 위치검색시스템(160)에 접속한 후 상기 도 15e와 같은 지도정보를 받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목록, 통화내역, 메시지수신함 등의 전화번호부로 접근하여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특정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피요청자의 위치추적을 요청함으로써, 단말내의 전화목록이나 통화내역목록과 같은 전화번호부를 이용함에 따라 접근과 서비스 이용 상에 상당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전화번호부의 목록별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한 후 단말의 대기화면 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위치추적을 요청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원터치로 위치찾기를 수행함에 따라 이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친구찾기서비스에 있어서,
    요청자단말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는 제 1단계;
    상기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하는 제 2단계;
    상기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위치검색시스템은 피요청자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에 제공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는,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에 상기 피요청자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찾기 프로그램은 위치검색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는, 요청자단말 내에 수록된 전화번호목록, 통화목록, 메시지수신함, 메시지발신함 및 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위치찾기서비스에 대한 식별번호(TI; Telephony Identifier), 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 및 위치추적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위치정보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주소정보 또는 지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8.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친구찾기서비스에 있어서,
    요청자단말 내에 설치된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전화목록별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지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설정한 후 요청자단말의 대기화면 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제 2단계;
    상기 위치찾기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단말 내에 설치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상기 위치찾기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위치검색시스템은 피요청자단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에 제공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는, 상기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는 서비스식별번호에 따라 메시지센터를 통해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자단말이 친구찾기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피요청자단말이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 위치검색시스템은 홈위치등록기에 상기 피요청자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은 위치검색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10. 삭제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전송 명령이 선택될 경우, 상기 선택된 피요청자목록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되 서비스식별번호와 위치추적 명령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방법.
  12.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는 홈위치등록기;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요청자단말;
    상기 요청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센터;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전달받아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위치검색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 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자단말은, 전화번호목록, 통화내역, 메시지수신함 등의 전화번호부와, 위치찾기 요청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소정의 제어 하에 전화번호부 등에 등록된 전화번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등을 검색하거나 특정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특정 전화번호 목록이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위치찾기 서비스식별번호와 위치추적 명령어를 자동 생성하여 단문메시지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생성된 위치찾기관련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시스템.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별로, 본인에게 위치허용한 친구의 정보가 수록된 친구목록관리 영역 및 내위치 추적을 허용한 상대방의 정보가 수록된 내위치관리 영역, 및 일정기간 동안 모든 상대에게 본인의 위치찾기를 차단하거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서비스관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시스템.
  15.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는 홈위치등록기;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대기화면상에서 위치찾기 단축버튼을 대기입력하여 전송할 경우 상기 전송명령에 따라 단말 내에 설치된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요청자단말;
    상기 요청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센터;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전달받아 요청자단말로 제공하는 위치검색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시스템.
  16.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친구의 위치를 찾는 위치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주소)별로 지도 정보가 수록된 GIS서버;
    가입자의 위치좌표 또는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갖고 있는 홈위치등록기;
    가입자별로 위치찾기와 위치허용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부 영역으로 접근하여 위치를 찾고자 하는 피요청자의 목록을 선택한 후 위치찾기 요청 명령에 따라 단말내의 위치찾기 프로그램이 연동되어 피요청자단말의 전화번호와 서비스식별번호를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요청자단말;
    상기 요청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제공받아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 후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위치검색시스템으로 전달하는 SMS센터;
    상기 SMS센터로부터 위치찾기 요청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요청자가 위치허용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위치허용 상태일 경우에는 피요청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제공받아 위치정보에 따른 지도데이터를 GIS서버에 요청하는 위치검색시스템; 및
    상기 위치검색시스템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피요청자의 지도정보를 요청자단말로 전송하는 MMS센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 시스템.
KR1020060046326A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4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326A KR100749250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326A KR100749250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250B1 true KR100749250B1 (ko) 2007-08-14

Family

ID=386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326A KR100749250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2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332A (ko) * 2003-09-15 2005-03-21 (주) 엘지텔레콤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20050071950A (ko) * 2004-01-05 2005-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
KR20050092972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24221A (ko) * 2004-09-13 2006-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위치 및 정보 확인 방법
KR20060127573A (ko) * 2005-06-08 2006-12-13 (주) 엘지텔레콤 휴대폰의 폰북을 이용한 위치조회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332A (ko) * 2003-09-15 2005-03-21 (주) 엘지텔레콤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20050071950A (ko) * 2004-01-05 2005-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 데이터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
KR20050092972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24221A (ko) * 2004-09-13 2006-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위치 및 정보 확인 방법
KR20060127573A (ko) * 2005-06-08 2006-12-13 (주) 엘지텔레콤 휴대폰의 폰북을 이용한 위치조회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4155B (zh) 用于处理位置信息访问请求的方法
US7245926B2 (en) Multimedia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quiry download service
US8185601B2 (en) Shar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US20070037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location-based network service for mutual social notification
CN101252731B (zh) 基于混合定位方式的移动社交网络构建系统
CN101588409B (zh) 移动终端以及使用移动终端管理会议信息的方法
KR20080092843A (ko) 휴대단말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CN102238472A (zh) 以移动装置的目前位置更新服务器储存的位置资讯的方法
CN1842089B (zh) 无线设备的漫游简档
KR2004009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335611B2 (ja) 場所情報提供方法及び場所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0749250B1 (ko) 이동통신단말 내의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위치찾기 요청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6364B1 (ko) Sms를 이용한 친구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5197B1 (ko) 단문메시지 기반의 위치찾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805560B2 (en) Peer to peer communication system
CN106506345A (zh) 一种信息提示的方法及装置
CN103188299B (zh) 通信终端中联系人信息的备忘方法及服务器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2462B1 (ko)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KR100725127B1 (ko)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40047276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커뮤니티서비스 제공방법
KR200000498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EP428403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proximity between mobile devices, method for managing a databas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obile device
JP200311112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70014320A (ko) 숏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친구찾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