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87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876B1
KR100746876B1 KR1020060084361A KR20060084361A KR100746876B1 KR 100746876 B1 KR100746876 B1 KR 100746876B1 KR 1020060084361 A KR1020060084361 A KR 1020060084361A KR 20060084361 A KR20060084361 A KR 20060084361A KR 100746876 B1 KR100746876 B1 KR 10074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data
unit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훈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8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key in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are provided to determine an available command even though undesired key data is inputted by wrong operation when a key is inputted, thereby minimizing an inputting error. If key data is inputted from a key input unit of a terminal which is in standby state(S11,S12), a key input decider decides whether the key data is inputted from a dome key(S13). If not, the decider decides whether the key data is inputted from a touch key(S14). If so, the decider waits for a certain time(S15). If key data is inputted from the dome key(S16), a touch key processor which receives the key data from the key input decider performs a command for the key data to process the command(S17).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key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접촉으로 인해 터치 키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inpu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prevent the touch key from operating due to an unintended contac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ke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1000: IMT-1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d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1000: IMT-). 1000), and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be implemented by a person such as a wireless LAN terminal and various functions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융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 또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are being converged into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have emerged, and as such various functions are added, a necessity for a new user interface is also required.

이에 따라 최근 인체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접촉식 스위치(이하 터치 키: touch key)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터치 키는 기계식 스위치와 달리 인체의 접촉만으로 스위칭(switching)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Accordingly, the use of a touch type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key)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ased 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has recently been expanded. Unlike mechanical switches, touch keys are widely applied to various digital devices due to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switched only by touching the human body.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터치 키와 기계식 스위치(예컨대 돔 키: doom key)를 함께 배치하는 디자인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키 입력부의 중앙에 돔 키가 배치되고 기계식 키의 주변을 따라 원 형태 또는 사각 형태로 터치 키가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a design in which a touch key and a mechanical switch (eg, a doom key) are arranged together is mainly used. In this case, the dome key is gener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key input unit and the touch keys are arranged in a circle or quadrangular form along the periphery of the mechanical key.

그런데 이처럼 터치 키와 기계식 키가 함께 배치된 키 입력부의 경우, 사용자가 중앙의 돔 키를 조작하려는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주변의 터치 키와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한 터치 키의 키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수행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key input unit in which the touch key and the mechanical key are disposed together,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nadvertently contacts the surrounding touch keys in the process of manipulating the central dome key has occurred. In this case, since the key data of the touch key touched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an operation not desired by the user is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 입력 시 본의 아니게 다른 키를 입력함으로 인하여 원치 않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key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minimize the unwanted operation is performed by involuntarily input other keys when the key inp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은 제 1 키와 제 2 키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 입력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키와 상기 제 2 키 중 유효 키를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 과정 및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유효 키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키 데이터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Key in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ey in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input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from the key input unit When key data is received, a key data processing process of determining a valid key among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and execu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valid key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키와 제 2 키가 함께 배치되는 키 입력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와, 상기 키 입력 수신부에서 수신된 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2 키와 상기 제 1 키 중 유효 키를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와,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유효 키가 상기 제 2 키인 경우, 상기 제 2 키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는 제 2 키 처리부와,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유효 키가 상기 제 1 키인 경우, 상기 제 2 키를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 1 키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고,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키를 활성화시키는 제 1 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input unit in which a first key and a second key are arranged together, a key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key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and the key input A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valid key among the second key and the first key based on the key data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when the valid key is the second ke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A second key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command for a second key, and when the valid key is the first ke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key input determining unit, processing the command for the first key after deactivating the second key, And a first key processing unit for activating the second key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이 경우, 상기 키 입력 판단부는 수신된 상기 키 데이터가 상기 제 2 키에서 입력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며 상기 제 1 키의 키 데이터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 1 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키를 상기 유효 키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d key data is input from the second key, the key input determining unit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key data input of the first key. If there is input of one key,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first key as the valid key.

여기서, 상기 제 1 키는 돔(doom) 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 작동 시 상, 하 방향으로 탄성운동을 수행하는 돔 키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키는 인체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터치 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key is preferably a dome key that is formed in a dome shape and performs elastic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second key is a touch key operated by human contact.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 수신부, 키 입력 판단부, 제 1 키 처리부(이하 터치 키 처리부), 및 제 2 키 처리부(이하, 돔 키 처리부)는 후술되는 실시예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receiving unit, the key input determining unit, the first key process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ouch key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key process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ar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It is preferred to be inclu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키 입력부(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 audio processing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key input unit 160, a storage unit 170, and a control unit ( 190).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무선 채널을 통해 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rresponding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and output the data to the controller 190, receive the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90, and transmit the data through the wireless channel.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The audio processor 140 may be configured as a coder (Coder / Decoder), and the codec may include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refore, the audio processor 140 converts the digital audio data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to an analog audio signal through an audio codec and reproduces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vice versa. The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digital audio data through an audio codec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90.

표시부(150)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LCD의 화면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90 on the screen. 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CD screen is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method,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may be operated as an input unit.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160)는 기본 키(162), 터치 키(164), 및 돔 키(166)를 포함한다. 기본 키(16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고, 터치 키(164)와 돔 키(166)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키이다. The key input unit 160 receives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90. To this end, the key input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ic key 162, a touch key 164, and a dome key 166. The basic key 162 is a key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the touch key 164 and the dome key 166 are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키와 돔 키만 도시하였으며, 기본 키는 생략하였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a touch key and a dom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and a basic key is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돔 키(166)를 중심으로 하여 터치 키(164)가 돔 키(166)의 주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키(164)는 인체 접촉 시 동작하는 접촉식 스위치이고, 돔 키(166)는 돔(doom) 형태로 형성되어 누름 작동 시 상, 하 방향으로 탄성운동을 수행하며 동작하는 기계식 스위치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에 위치한 돔 키(166)를 터치 키(164)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a touch key 164 is disposed around the dome key 166 around the dome key 166. The touch key 16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ouch switch that operates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and the dome key 166 is formed in a dome shape to perform an elastic movement in up and down directions when pressed. It is a mechanical switc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may be possible, such as configuring the dome key 166 located at the center as the touch key 164.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storage unit 170 includes a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programs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로부터 키 데이터가 입력될 때, 유효 키를 선정한 후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키 입력 수신부(192), 키 입력 판단부(194), 터치 키 처리부(196), 및 돔 키 처리부(198)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19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the key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60, the controller 190 selects a valid key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command. To this end, the controll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receiver 192, a key input determiner 194, a touch key processor 196, and a dome key processor 198.

키 입력 수신부(192)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키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key input receiving unit 192 receives the input key data when the user inputs a key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160.

키 입력 판단부(194)는 키 입력 수신부(192)에서 수신된 키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터치 키(164)와 돔 키(166) 중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기 원하는 유효 키를 판별해낸다.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receives the key data received from the key input reception unit 192, and based on this,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determines a valid key that the user actually wants to input from the touch key 164 and the dome key 166. Do it.

터치 키 처리부(196)는 키 입력 판단부(194)에서 터치 키(164)를 유효 키로 판별한 경우, 해당 터치 키(164)에 대한 명령을 처리한다. When the touch key processing unit 196 determines the touch key 164 as a valid key by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the touch key processing unit 196 processes a command for the corresponding touch key 164.

돔 키 처리부(198)는 키 입력 판단부(194)에서 돔 키(166)를 유효 키로 판별한 경우, 터치 키(164)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돔 키(166)에 대한 명령을 처리한다. 돔 키 처리부(198)의 동작 과정은 후술되는 키 입력 제어 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determines that the dome key 166 is a valid key by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processes the command for the dome key 166 by deactivating the touch key 164.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 key input control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키 입력 제어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Next, a key input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also be cleare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key input control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제어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 상태(S11)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60)로부터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S12), 제어부(190)의 키 입력 수신부(192)는 이를 수신하여 키 입력 판단부(194)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as a whole the key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key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6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standby state (S11) (S12), the key input receiving unit 192 of the controller 190 receives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To send.

키 입력 판단부(194)는 돔 키(166), 및 터치 키(164) 중 어느 키로부터 키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파악한다. 여기서, 기본 키(162)의 경우 종래와 동일하게 해당 명령을 수행하도록 처리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22).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determines which key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dome key 166 and the touch key 164. In this case, since the primary key 162 is process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comman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22).

키 데이터가 돔 키(166)로부터 입력된 경우, 키 입력 판단부(194)는 유효 키를 돔 키(166)로 판별하고, 돔 키 처리부(198)로 키 데이터를 전송한다(S13). When the key data is input from the dome key 166,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determines the valid key as the dome key 166, and transmits the key data to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S13).

키 데이터가 전송되면 돔 키 처리부(198)는 신속하게 터치 키(164)를 비활성화시킨다(S18). 이는 사용자가 돔 키(166)를 조작한 순간 실수로 터치 키(164)와 접촉하여 터치 키(164)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When the key data is transmitted,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quickly deactivates the touch key 164 (S18). This is to prevent the touch key 164 from operating at the same time by accidentally touching the touch key 164 when the user operates the dome key 166.

터치 키(164)를 비활성화시킨 돔 키 처리부(198)는 전송된 키 데이터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여 처리한다(S19). 이 과정에 터치 키(164)는 계속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명령 처리 과정 동안 터치 키(164)를 비활성화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돔 키(166)가 입력된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터치 키(164)를 비활성화시키는 등 본의 아니게 터치 키(164)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deactivating the touch key 164 performs a command on the transmitted key data and processes it (S19). In this process, the touch key 164 continues to be inactivat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eactivating the touch key 164 during the command processing, the touch key 164 is inadvertently operated such as deactivating the touch key 164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oment when the dome key 166 is input. Various methods can be used if it can be prevented.

계속해서 돔 키 처리부(198)는 돔 키(166)에 대한 명령이 모두 처리되었는지 판단하고(S20), 처리가 완료되었으면 비활성화시켰던 터치 키(164)를 다시 활성화시킨다(S21).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determines whether all commands for the dome key 166 have been processed (S20), and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reactivates the touch key 164 that has been deactivated (S21).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gain.

반면에, 키 입력 판단부(194)로 입력된 키 데이터가 터치 키(164)인 경우(S14), 키 입력 판단부(194)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며 다른 키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과정을 거친다(S15). On the other hand, if the key data input to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is the touch key 164 (S14),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goes through the process of waiting for input of other key data. (S15).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돔 키(166)를 조작하기 원하지만 돔 키(166)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먼저 터치 키(164)와 접촉한 경우, 터치 키(164)의 입력을 무시하는 키 입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돔 키(166)를 누르는 과정에서 돔 키(166)가 완전히 눌려져 해당 키 데이터가 입력되기 이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돔 키(166) 주변의 터치 키(164)와 접촉함으로 인 하여 터치 키(164)의 해당 키 데이터가 먼저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nts to operate the dome key 166 but accidentally contacts the touch key 164 in the process of manipulating the dome key 166, a key input is ignored. Provide a control metho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dome key 166 is completely pressed while the user presses the dome key 166 using a finger, the user's finger is touch key around the dome key 166 before the corresponding key data is input. The contact with 164 prevents the corresponding key data of the touch key 164 from being processed first.

따라서, 본 발명의 키 입력 판단부(194)는 터치 키(164)로부터 키 데이터 입력이 발생하면, 터치 키(164)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기 원하는 유효 키인지, 돔 키(166)가 유효 키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일정 시간을 대기하며 돔 키(166)의 키 데이터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Therefore, when key data input is generated from the touch key 164,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of 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whether the touch key 164 is substantially a valid key that a user wants to input or the dome key 166 is valid. A predetermined time is waited to determine whether the key is a key, and the key data input of the dome key 166 is waited for.

본 실시예에서는 키 입력 판단부(194)가 대기하는 시간을 약 100ms로 설정하였다. 이는 돔 키(166)를 입력하려는 상황에서 터치 키(164)가 먼저 입력된 경우, 터치 키(164)와 돔 키(166)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일반적인 시간 간격에 따라 설정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time for waiting for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is set to about 100 ms. When the touch key 164 is first input in a situation where the dome key 166 is to be input, the touch key 164 is set according to a general time interval in which the touch key 164 and the dome key 166 are sequentially input. It is not.

키 입력 판단부(194)가 대기하는 100ms 동안 돔 키(166)로부터 키 데이터가 입력되면(S16), 키 입력 판단부(194)는 이전에 입력된 터치 키(164)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무시한다. 그리고 대기 시간에 입력된 돔 키(166)를 유효 키로 판별한다. When key data is input from the dome key 166 for 100 ms while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waits (S16),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uses the touch key 164 previously input by a user's mistake. Judging by the keystrokes and ignored. The dome key 166 input at the waiting time is determined as a valid key.

키 입력 판단부(194)가 돔 키(166)를 유효 키로 판별한 경우, 키 입력부(160)는 돔 키(166)에 대한 키 데이터를 돔 키 처리부(198)로 전송한다. 이에 돔 키 처리부(198)는 전술한 도면 부호 S18 과정 내지 도면 부호 S21 과정을 수행하며 해당 명령을 처리하게 된다. When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determines the dome key 166 as a valid key, the key input unit 160 transmits the key data for the dome key 166 to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The dome key processing unit 198 performs the above-described process S18 to S21 and processes the corresponding command.

한편, 키 입력 판단부(194)가 대기하는 시간 동안 돔 키(166)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S16), 키 입력 판단부(194)는 터치 키(164)의 입력이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입력하기 원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터치 키(164)를 유효 키로 판별한 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dome key 166 during the waiting time of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S16),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actually inputs the touch key 164 by the user. The touch key 164 is determined to be a valid key.

이에 키 입력 판단부(194)는 터치 키 처리부(196)로 입력된 터치 키(164)의 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키 입력 판단부(194)로부터 키 데이터를 전송받은 터치 키 처리부(196)는 키 데이터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여 처리한다(S17).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transmits the key data of the touch key 164 input to the touch key processing unit 196, and the touch key processing unit 196 receiving the key data from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194. Process by performing a command on the key data (S1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터치 키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유효 키인지 판단한 후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즉, 키 입력 시 사용자가 오(誤)조작 하더라도 유효한 명령을 판별한 후, 수행하므로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key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touch key is a valid key substantially desired by the user, and then performs the corresponding command. In other words, even if a user misoperates when a key is input, a valid command is determined and then executed, thereby minimizing an input err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돔 키가 터치 키의 중심에 위치하는 키 입력부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키가 터치 키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키 입력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터치 키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key inpu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me key illustrates a key input uni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ke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ny type of key input unit in which a specific key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touch key.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variously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having a touch key. In addition, th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figure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방법 및 장치는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유효 키인 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 유효 키를 판별한 후, 판별한 유효 키에 대한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key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a valid key through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a desired valid key with respect to input key data, and then determine the valid key. Perform the corresponding command for.

따라서, 키 입력 시 사용자가 오(誤)조작 하여 원치 않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유효한 명령을 판별할 수 있어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unwanted key data is inputted by a user when a key is input, a valid command can be determined, thereby minimizing an input error.

Claims (12)

제 1 키와 제 2 키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 입력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key inpu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input unit in which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are disposed adjacent,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키 데이터 수신 시 상기 제 1 키와 상기 제 2 키 중 유효 키를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 과정과, A key input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a valid key among the first key and the second key when receiving key data from the key input unit;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유효 키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키 데이터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And a key data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valid key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판단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determination process comprises: 수신된 상기 키 데이터가 상기 제 2 키에서 입력되었을 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키의 키 데이터 입력을 대기하는 키 입력 대기 과정과,A key input waiting process of waiting for key data input of the first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received key data is input from the second key; 상기 키 입력 대기 과정에서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 1 키의 키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시 상기 제 1 키를 상기 유효 키로 판단하는 키 결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And determining a first key as the valid key when the key data of the first key is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n the key input waiting proce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대기 과정의 상기 일정 시간은 1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of the key input waiting process is 100m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데이터 처리 과정은 상기 키 입력 판단 과정에서 상기 제 1 키를 상기 유효 키로 판단하였을 시,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key data processing process determines the first key as the valid key in the key input determination process, 상기 제 2 키를 비활성화 시키는 제 2 키 잠금 과정과,A second key lock step of deactivating the second key; 상기 제 2 키 잠금 과정에서 상기 제 2 키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키 입력 대기 과정에서 입력된 상기 기계적 키의 키 데이터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는 제 1 키 명령 처리 과정, 및A first key command processing process of processing a command for key data of the mechanical key input in the key input waiting process when the second key is deactivated in the second key locking process, and 상기 제 1 키 명령 처리 과정에서 상기 키 입력에 대한 명령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키를 활성화 시키는 제 2 키 해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And a second key releasing step of activating the second key when the command processing for the key input is completed in the first key command proces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key is a mechanical switch operated by a physical external for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스위치는 돔(doom) 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 작동 시 상, 하 방향으로 탄성운동을 수행하는 돔 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chanical switch is formed in a dome shape and is a dome key for performing an elastic movemen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during a push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접촉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key is a touch switch operated by physical contac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스위치는 인체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터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ouch switch is a touch key operated by human body contact. 제 1 키와 제 2 키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 입력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input unit in which a first key and a second k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와, A key input receiver for receiving key data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상기 키 입력 수신부에서 수신된 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2 키와 상기 제 1 키 중 유효 키를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와, A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valid key among the second key and the first key based on the key data received by the key input receiver;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유효 키가 상기 제 2 키인 경우, 상기 제 2 키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는 제 2 키 처리부와, A second key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command for the second key when the valid key is the second ke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key input determining unit;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유효 키가 상기 제 1 키인 경우, 상기 제 2 키를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 1 키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고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키를 활성화시키는 제 1 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If the valid key is the first key, the first key processo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command for the first key after deactivating the second key and to activate the second key when the key is comple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key input determination unit, 수신된 상기 키 데이터가 상기 제 2 키에서 입력되었을 시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며 상기 제 1 키의 키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 1 키의 키 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1 키를 상기 유효 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received key data is input from the second key, the controll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key data input of the first key, and if there is key data input of the first key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key. And determining a key as the valid ke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는 돔(doom) 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 작동 시 상, 하 방향으로 탄성운동을 수행하는 돔 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key is a dome key formed in a dome shape and performing elastic movemen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during a pressing oper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는 인체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터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key is a touch key operated by human body contact.
KR1020060084361A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KR100746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61A KR1007468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61A KR1007468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876B1 true KR100746876B1 (en) 2007-08-07

Family

ID=3860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61A KR1007468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8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42B1 (en) * 2007-08-28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328A (en)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328A (en)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4-0089328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42B1 (en) * 2007-08-28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9706B1 (en) Wireless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device
KR101050642B1 (en) Watch phone and method of conducting call in watch phone
KR1006895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controlling direct link in wireless terminal
JP5313962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rogram
CN101198130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1882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KR101493089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Touch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nd Touch Input Recogniz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JP2009151765A (en) Numeric keyboard device with voice intera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49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multimedia function
US20040085370A1 (en) Input mode selector on a mobile device
KR1007468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key input in mobile phone
JP53598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set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1265485A (en) Key switch structure and portable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070104707A (en) Method for drawing up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59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inputting signal in terminal
JP535241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48266B1 (en) Method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memo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366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tasking function
KR10084624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key input of mobile terminal
KR20080021882A (en) Method for controlling call by voice recognition and portable terminal executing the same
KR100690292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oft keyboard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4640B1 (en) Apparatus for moving stopwatch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86068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ask func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slide
KR100685792B1 (en) Method for emulating pointing input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790119B1 (en) Method for inputting number in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