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736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736B1 KR100746736B1 KR1020050074580A KR20050074580A KR100746736B1 KR 100746736 B1 KR100746736 B1 KR 100746736B1 KR 1020050074580 A KR1020050074580 A KR 1020050074580A KR 20050074580 A KR20050074580 A KR 20050074580A KR 100746736 B1 KR100746736 B1 KR 100746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optical fiber
- optical signal
- powe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1—Power control, e.g. to keep the total optical power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파워조절장치가 제공된다. 광파워조절장치는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의 접속면의 오프셋을 조절하여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며, 접속면의 오프셋은 광섬유의 수직방향의 압력을 통해 조절되는 광가변부 및 광가변부를 통해 파워가 조절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먹스를 포함한다.An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is provided. The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adjusts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by adjusting the offset of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fiber and the second optical fiber, the offset of the connection surface is the optical variable portion and the light is adjusted through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ber It includes a mux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whose power is adjusted through the variable portion.
E-PON, CWDM-PON, 광가변 E-PON, CWDM-PON, Optical Variab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E-PON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PON system.
도 2는 종래의 E-PON 시스템의 광거리별 광가변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variability by optical distance of a conventional E-PON system.
도 3은 종래의 CWDM-PON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CWDM-PON system.
도 4는 종래의 CWDM-PON 시스템의 광거리별 광가변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variability of light by distance of a conventional CWDM-PON syste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파워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파워조절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Figure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셔터의 오픈을 감지하는 센서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nsor unit is configured as a sensor button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개폐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페롤을 이용하여 구성된 광가변부에 있어서, 페롤에 압력을 가하기 전과 압력을 가한 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pressure to the ferrol in the optical variable portion configured using the ferro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의 접속면의 오프셋에 따라 광신호파워의 감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ttenuation rate of optical signal power according to an offset of a connection surface of a first optical fiber and a second optical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WG 12: WG
32: MUX/DEMUX32: MUX / DEMUX
100: 광커넥터 100: optical connector
300: 광파워조절장치300: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400: 단말기400: terminal
130: 셔터 511: 센서버튼130: shutter 511: sensor button
901: 페롤 902: 광섬유 905: 스프링901
본 발명은 광파워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는 광파워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cable.
최근에 FTTH(Fiber To The Home)구현을 위해 PON(Passive Optical Network)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동선을 이용한 방식은 100Mbps 대역의 비디오, 음성 및 초고속데이터 영상을 통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이러한 동선을 이용한 통신방식을 대체하여 PON시스템은 광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한다. Recently, the Passive Optical Network (PON) system has been in the spotlight to implement FTTH (Fiber To The Home). The existing method using copper wire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a service that integrates video, voice, and high speed data video of 100Mbps band. Therefore, the PON system transmits data using optical connector in place of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such copper wire. .
FTTH는 모든 가정까지 광커넥터를 연결해 방송, 통신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가능케 하는 것으로, 주택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개발, 광분배 및 접속기술, 센서기술 등의 기반 기술연구, 광커넥터, 대용량 ATM스위치, 분산시스템, 가입자 댁내의 네트워크화 등 첨단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 다. 또한 광가입자선로를 구성하는 방안으로 별(STAR), 링(RING), 버스(BUS) 등의 여러 형태가 있으나 PON은 가장 미래지향적이고 경제적인 방안으로 선호되고 있다.FTTH connects optical connectors to all homes and enables all services includ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to one network. Its development includes housing-type optical subscriber transmission system, optical distribution and connection technology, sensor technology, and research on optical connectors, Research is underway on advanced application technologies, such as large-capacity ATM switches, distributed systems, and subscribers' networking.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forms of optical subscriber line such as STAR, RING, and BUS, but PON is preferred as the most future-oriented and economical way.
PON시스템은 국사에 위치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l)장비, 가입자 댁내에 위치하는 장비인 ONT(Optical Network Terminal), 주택밀집지역 통신구에 위치하는 장비인 ONU(Optical Network Unit), OLT와 ONT사이에서 광신호를 1:N으로 분기하는 WG(Wave Guide)로 나누어진다. 또한 광코아의 한 가닥에 파장을 보내는 방법에 따라 분리할 수 있는 데, 단일 파장의 경우에 상향 1310nm와 하향 1490nm를 사용하는 E-PON(Ethernet-PON)방식, 1260nm~1311nm범위의 파장을 20nm와 18nm채널로 분리해서 보낼 수 있는 CWDM-PON(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PON)방식, 상향신호(1539nm~1565nm)와 하향신호(1582nm~1311nm)를 1nm파장으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DWDM-PON(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PON)방식으로 분리한다.The PON system consists of OLT (Optical Line Terminal) equipment located in the national office, ONT (Optical Network Terminal) equipment located in the subscriber's premises, and ONU (Optical Network Unit) equipment located in the residential area communication district, between OLT and ONT. Is divided into a WG (Wave Guide) for dividing an optical signal by 1: N. In addition, it can be separated by the method of sending a wavelength to one strand of the optical core, E-PON (Ethernet-PON) method using a 1313nm upstream and 1490nm upstream in the case of a single wavelength, 20nm wavelength of 1260nm ~ 1311nm range CWDM-PON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PON) method that can be sent separately and 18nm channe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PON)
도 1은 종래의 E-PON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PON system.
E-PON 시스템은 OLT, WG(12), ONT로 구성된다. 1개의 OLT는 WG(Wave Guide)(12)에서 광스플리터분기를 통해 1:4, 1:8, 1:16, 1:32 로 분기해서 사용할 수 있고, ONT단말기는 분기수만큼 연결할 수 있다. OLT의 TxLD(10)에서 송신되는 광신호는 WG(12)를 통해 ONT1~ONTn까지 분기되는 데, 이때 RxPD(14)에서 수신되는 적정레벨의 광신호는 OLT에서 WG까지의 거리와 WG(12)에서 광커넥터길이(ℓn)까지의 거리에서 광손실을 뺀 신호 즉, RxPD AVG. 24.5dBm=( ℓ+ WG분기비+ ℓn )로 결정된다.The E-PON system is composed of OLT,
도 2는 종래의 E-PON 시스템의 광거리별 광가변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variability by optical distance of a conventional E-PON system.
E-PON시스템의 TxLD(10)에서 출력된 신호는 WG(12)의 분기수에 따라서 광손실도 다르게 되는 데, 1:4분기인 경우 감쇄비는 -7dBm이고, km당 감쇄비는 -0.3dBm이다. OLT에서 WG(12)까지 거리가 10km인 경우 중간에서 손실되는 광은 -3.0dBm, WG(12)에서 ONT까지 1km인 경우 감쇄비는 -0.3dBm이며, ONT1 RxPD(14)에서 적정의 광레벌 -24.5dBm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광감쇄기(OA; Optical Attenuator)(13)에서 -14.2dBm의 감쇄가 필요하다. 광가변 감쇄율은 광스플리터 분기수 및 광커넥터 전송거리에 따라 결정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TxLD (10) of the E-PON system has different optical los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ranches of the WG (12). In case of 1: 4 branch, the attenuation ratio is -7dBm and the attenuation ratio per km is -0.3 dBm. If the distance from the OLT to the WG (12) is 10 km, the light lost in the middle is -3.0 dBm, and the attenuation ratio is -0.3 dBm for the 1 km from the WG (12) to the ONT, and the appropriate optical level in the ONT1 RxPD (14) In order to receive -24.5 dBm, an attenuation of -14.2 dBm is required in the optical attenuator (OA) 13. The optical variable attenuation rat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optical splitter branches and the optical connector transmission distance.
WG(12)에서 ONT까지 거리별 광분기별 광가변율을 보면 1:4 분기의 경우 광감쇄율은 -14.20dBm~ -11.5dBm(20), 1:8 분기의 경우 광감쇄율은 -10.70dBm~ -8.0dBm(21), 1:16 분기의 경우 광감쇄율은 -7.70dBm~ -5.0dBm(22)로 나타난다. From the WG (12) to ONT, the optical attenuation rate by optical branch by distance is -14.20dBm ~ -11.5dBm (20) for 1: 4 quarter, and -10.70dBm ~-for 1: 8 quarter In the case of 8.0dBm (21) and 1:16 branch, the light decay rate is -7.70dBm ~ -5.0dBm (22).
도 3은 종래의 CWDM-PON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CWDM-PON system.
CWDM-PON의 경우 여러 가지 파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분기에 따른 감쇄보다는 거리에 따른 감쇄비를 더 많이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거리에 따른 광감쇄율은 E-PON과 동일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OA(33)를 조절해서 RxPD(31)에 입력되는 광수신레벨을 조절한다. 이하 도 4와 함께 설명한다.Since CWDM-PON uses various wavelengths, the system is designed considering the attenuation ratio according to the distance rather than the attenuation by the branch. The optical attenuation rate according to the distance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E-PON. 33) to adjust the light reception level input to the
도 4는 종래의 CWDM-PON 시스템의 광거리별 광가변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variability of light by distance of a conventional CWDM-PON system.
OLT1포트 TxLD(30)에서 Mux/Demux(32)를 통해 ONT의 RxPD(34)까지 광을 송신한 경우 광가변단 OA(33)에서의 거리별 감쇄율(40)을 나타낸다. 거리 가1~10km의 경우 -24.5dBm의 적정의 광수신을 할 수 있는 광감쇄율은 -13.2dbm ~ -10.5dBm범위 를 필요로 한다.When the light is transmitted from the
한편 FTTH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ATM망과 이더넷(Ethernet)망을 활용하기 위해 하나의 광코아에 단일파장을 이용하여 데이터, 음성,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한 A(ATM)-PON, B(Broadband)-PON, G(Gigabit Ethernet)-PON과 복수개의 파장을 이용하는 CWDM-PON, DWDM-PON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광커넥터망과 광이동통신망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TTH can be implemented using A (ATM) -PON and B (Broadband), which can provide data, voice, and video services by using a single wavelength in one optical core to utilize ATM and Ethernet networks. -PON, G (Gigabit Ethernet)-PON and CWDM-PON and DWDM-PON using multiple wavelengths are used. This method can also be used in optical connector networks and optic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그러나 이와 같은 광통신은 기존의 동선의 경우에 거리에 따라 장비에서 출력신호의 파워를 조절할 수 있는 반면, 국사에서 가입자 댁내까지 광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 단지 광분배기(RN; Remote Node)를 통해 OLT에서 ONT까지 광신호가 도달되도록 +3dBm의 최대 광출력으로 고정되어 사용되거나, 광증폭기를 사용하여 특정 파장을 더 증폭하여 장거리까지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However, such an optical communication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output signal from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opper wire, while there is no device that can control the optical output from the domestic company to the subscriber's home. It is used to fix the maximum optical output of + 3dBm to reach the optical signal from OLT to ONT through RN (Remote Node), or to amplify a specific wavelength further using optical amplifier and transmit it over long distance. .
따라서 거리에 따라 국사측의 OLT에서 ONU(Optical Network Unit) 또는 ONT까지의 위치가 다르므로 ONU(또는 ONT)의 광수신 입력단에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큰 광파워입력신호로 고가의 광모듈이 손상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Therefore, the position of OLT to ONU (Optical Network Unit) or O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so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a signal at the optical reception input terminal of ONU (or ONT), or it is expensive to use an expensive optical power input signal. This can damage the module and shorten its life.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기존의 고정 감쇄기를 사용할 경우 1~15dBm 등의 여러 종류의 광감쇄기를 준비해야 하고, 단말기 위치의 거리가 변동이 생겼을 경우 적정한 감쇄기를 추가로 구입해야 되는 등 비용부담과 제품의 재고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should prepare various types of optical attenuators such as 1 ~ 15dBm when using the existing fixed attenuator, and if the distance of the terminal location changes, an additional attenuator should be purchased. It can cause an increase.
한편, 사용자가 광커넥터 출력단 또는 ONT단말기의 광출력부를 바라볼 경우 광신호가 눈의 망막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ooks at the optical connector output terminal or the optical output of the ONT terminal, the optical signal may cause damage to the retina of the eye.
따라서 본 발명은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할 수 있는 광파워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ower of an optical signal.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파워조절장치는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의 접속면의 오프셋을 조절하여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며, 접속면의 오프셋은 광섬유의 수직방향의 압력을 통해 조절되는 광가변부 및 광가변부를 통해 파워가 조절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먹스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by adjusting the offset of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fiber and the second optical fiber, the offset of the connection surface And a mux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whose power is adjusted through the optical variable portion and the optical variable portion adjusted through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tical fib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파워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커넥터(100)가 접속되는 광기기(200)내에 포함된 광파워조절장치(300)가 있으며, 광파워조절장치(300)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광신호를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대표적인 광커넥터(100)로 SC형 광커넥터(JIS로 F04형 단심 광커넥터) 및 단심용의 FC형 광커넥터(JIS로 F04형 단심 광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400)는 ONT, OLT단말기 등이 있다. 광파워조절장치(300)는 파장에 무관하게 OLT또는 ONT의 입력단에 설치할 수 있고 E-PON, WDM-PON 및 CWDM-PON시스템 등에 적용가능하다.There is an optic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파워조절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Figure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파워조절장치(300)는 광어댑터모듈부(320)와 광송수신모듈부(310)를 포함한다.The optical
광어댑터모듈부(320)는 센서부(321)와 광가변부(322)를 포함한다.The optical
센서부(321)는 광커넥터(100)가 셔터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면 광신호의 수신 또는 셔터의 오픈을 통해 광신호의 입력을 감지한다. 광신호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광전송망(optical network)에서 Tx, Rx형태의 광신호일 수 있다. 셔터의 입구는 광커넥터(100)가 광파워조절장치(3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개폐(오픈/클로즈; open/close)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커넥터(100)가 삽 입되어 셔터의 입구가 오픈되면 광신호를 먹스(Mux)(313)로 보내주게 된다. The
광가변부(322)는 광커넥터(100)의 광섬유가 광기기내의 광섬유에 접속되면, 접속된 두 광섬유의 접속면의 오프셋을 조절하여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한다.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페롤(ferrule)의 수직방향에 압력을 주어 상호 접속되는 페롤의 오프셋(offset)을 통해 광손실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When the optical fiber of the
광송수신모듈부(310)는 제어스위치부(311), 송신부(312), 먹스(313) 및 수신부(314)를 포함한다.The optical
제어스위치부(311)는 셔터가 오픈되었을 때 이를 감지한 센서부(321)의 신호에 따라 On/Off상태로 작동한다. 제어스위치부(311)가 On상태일 경우는 송신부(312)의 광신호를 출력시키는 반면 Off상태일 경우에는 송신부(312)의 광신호의 출력을 미리 차단시킨다. The
송신부(312)는 단말기(400)가 전송하고자 하는 광신호를 먹스(313)로 전송한다.The
먹스(313)는 송신 또는 수신되는 광신호를 제어하며, 광가변부(322)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한다.The
수신부(314)는 먹스(313)로부터 수신한 광신호를 단말기(400)로 전송한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셔터의 오픈을 감지하는 센서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nsor unit is configured as a sensor button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입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경우, 상단에 센서버튼(511)을 두어 셔터(130)가 오픈될 경우 센서버튼(511)이 눌 려지도록 하여 센서부(321)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또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입구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경우, 마찬가지로 상단에 센서버튼(511)을 구성하여 셔터(130)가 오픈될 경우 센서버튼(511)이 눌려지도록 하여 센서부(321)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형식 외에도 센서, LED 등으로 구성하여 센서부(321)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셔터(130)는 상하방향의 업다운방식, 좌우방향으로 열거나 닫는 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b),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개폐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셔터(130)의 입구가 오픈/클로즈 될 경우, 각각에 대해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셔터(130)의 입구가 오픈되는 경우와 셔터(130)의 입구가 클로즈 될 경우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When the inlet of the
먼저 숫광커넥터(110)가 셔터(130)에 삽입되어 셔터(130)의 입구가 오픈되면 센서버튼(511)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킨다. 셔터(130)의 입구를 통해 연결된 숫광커넥터(110)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는 광가변부(322)에서 적절히 가변되어 먹스(313)로 전달된다. 제어스위치부(311)는 센서버튼(511)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송신부(312)의 광출력을 On상태로 작동시키고, 송신부(312)의 광신호를 먹스(313)로 출력시킨다.First, when the
반면, 셔터(130)가 클로즈 되어 센서버튼(511)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 면 먹스(313)는 광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제어스위치부(311)는 송신부(312)의 광출력을Off상태로 작동시킨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버튼(511)의 신호가 T_on 일때는 광신호를 출력하게 되고(800), T_off일 경우 광신호의 출력을 차단시키는 동작파형을 나타낸다(801). 따라서 사용자가 광커넥터의 출력단 또는 ONT단말기의 광출력부를 바라볼 경우 광신호에 의해 눈의 망막이 손상되는 원인을 예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페롤을 이용하여 구성된 광가변부에 있어서, 페롤에 압력을 가하기 전과 압력을 가한 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pressure to the ferrol in the optical variable portion configured using the ferro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페롤(901)에 스크류(screw)(900)를 돌려 압력(907)을 가하기 전에는 광가변부(322)의 광섬유(902)(제1광섬유)와 접속되는 숫광커넥터(110)의 광섬유(910)(제2광섬유)와의 상호간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맞닿아 있어 접속면의 중심선(904)이 일치하므로, 출력되는 광신호의 광손실이 적다.As shown in FIG. 9 (a), the optical fiber 902 (first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광섬유(902)의 제 1페롤(901)상단에 스크류(900)를 돌려 압력(907)을 가한 후에는 제 1 광섬유 (902)와 제2 광섬유(910)간의 접속면에 오프셋(908)이 발생하여 출력되는 광신호에 광손실이 발생한다. 압력(907)을 가하는 수단으로 제1페롤(901)의 수직방향으로 스크류(900)를 죄거나, 늦추는 횟수에 따라 압력(907)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900)외에 전기/자기적 압력, 푸쉬/풀(push/pull)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압력(907)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수단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페롤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폴리머(polymer), 세라믹(ceramics)계인 알루미나(alumina, Al₂O₃), 지르코니아(zirconia, ZrO₂), 탄성체(elastomer) 등으로 제작가능하다. 페롤의 보호유지를 위해 슬리브(906)를 하우징(903)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b), for example, after applying a
한편, 상단으로부터 압력(907)을 받는 제1페롤(901)의 하단부에 완충부재(905)를 구성하여, 죄었던 스크류(900)를 다시 늦출 경우, 제1페롤(901)과 제2페롤(909)간의 오프셋(908)을 좁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905)로 복원력이 있는 스프링,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광섬유와 제2광섬유의 접속면의 오프셋에 따라 광신호파워의 감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ttenuation rate of optical signal power according to an offset of a connection surface of a first optical fiber and a second optical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 fiber(1000), MFE20μm(1001) 및 MFE30μm(1002)의 각각의 종류에 대한 제1 광섬유(902)과 제2 광섬유(910)의 접속면의 오프셋(908)에 따른 광신호파워의 감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M fiber(1000)의 경우 제1광섬유(902)와 제2 광섬유(910)간의 접속면의 오프셋(908)이 5μm가 발생할 경우 약5dBm의 광신호의 파워를 감쇄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15μm 일 경우 약 20dBM까지 감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ttenuation rate of the optical signal power according to the offset 908 of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irs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 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파워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According to the optical pow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광케이블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파워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cable.
둘째, 광신호가 사용자의 눈의 망막을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optical signal from damaging the retina of the user's eye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580A KR100746736B1 (en) | 2005-08-13 | 2005-08-13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580A KR100746736B1 (en) | 2005-08-13 | 2005-08-13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912A KR20070019912A (en) | 2007-02-16 |
KR100746736B1 true KR100746736B1 (en) | 2007-08-06 |
Family
ID=3810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580A KR100746736B1 (en) | 2005-08-13 | 2005-08-13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673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8311A (en) * | 2001-09-29 | 2003-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having waveguides and MEMS actuator |
US6580868B2 (en) | 2001-03-19 | 2003-06-17 | Optiwork, Inc. | High-resolutio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mechanical adjustment |
KR20040042989A (en) * | 2002-11-15 | 2004-05-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tunable wavelength dependence |
KR20040043870A (en) * | 2002-11-20 | 2004-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of liquid crystal |
KR20050037072A (en) * | 2003-10-17 | 2005-04-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having a optical attenuator |
-
2005
- 2005-08-13 KR KR1020050074580A patent/KR10074673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80868B2 (en) | 2001-03-19 | 2003-06-17 | Optiwork, Inc. | High-resolutio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mechanical adjustment |
KR20030028311A (en) * | 2001-09-29 | 2003-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having waveguides and MEMS actuator |
KR20040042989A (en) * | 2002-11-15 | 2004-05-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with tunable wavelength dependence |
KR20040043870A (en) * | 2002-11-20 | 2004-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riable optical attenuator of liquid crystal |
KR20050037072A (en) * | 2003-10-17 | 2005-04-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having a optical attenu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912A (en) | 2007-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97639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reach and/or split in passive optical networks | |
EP2319201B1 (en) | Passive optical networks with mode coupling receivers | |
US8532489B2 (en) | Multi-fiber ten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optical line terminal for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coexistence with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 |
US20070036483A1 (en) |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light source and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 |
Suzuki et al. | Amplified gigabit PON systems | |
Fujiwara et al. | Field trial of 100-km reach symmetric-rate 10G-EPON system using automatic level controlled burst-mode SOAs | |
CN108834005B (en) | Passive optical fiber network system with adjustable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391715B2 (en) |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 |
EP2209233A1 (en) |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and optical line terminals | |
Fujiwara et al. | Field trial of 79.5-dB loss budget, 100-km reach 10G-EPON system using ALC burst-mode SOAs and EDC | |
KR100746736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tical power | |
Jin et al. | First demonstration of 50G TDM-PON prototype in compliance with ITU-T G. 9804.3 standard N1 ODN class 29-dB | |
Kawakita et al. | Design for long-reach coexisting PON in consideration of area characteristics with wavelength selective asymmetrical splitters | |
Cho et al. | Broadcast transmission in WDM-PON using a broadband light source | |
WO2000074278A1 (en) | Wdm passive optical network with broadcast overlay | |
Hantoro et al. | GPON performance analysis for 5G backhaul solutions | |
CN102201860B (en) | Optical network unit abnormal luminescence failure isolation system and method | |
Ossieur et al. | An overview of passive optical networks | |
Kovacs et al. | Symmetric bidirectional 200 Gb/s/λ PON solution demonstrated over field installed fiber | |
CN101442374B (en) | TDM optical network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signal collision | |
KR100547782B1 (en) | Opt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 |
KR101385390B1 (en) | Sleep mode control method of terminal in epon system,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Thiele et al. | System margin considerations for cost-effective CWDM access networks | |
CN107534492A (en) | Optical signal amplification | |
Cheng et al. | Integrated a hybrid CATV/GPON transport system based on 1.31/1.49/1.55 µm WDM transceiver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