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10B1 -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10B1
KR100746210B1 KR1020050084160A KR20050084160A KR100746210B1 KR 100746210 B1 KR100746210 B1 KR 100746210B1 KR 1020050084160 A KR1020050084160 A KR 1020050084160A KR 20050084160 A KR20050084160 A KR 20050084160A KR 100746210 B1 KR100746210 B1 KR 10074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input device
key
imag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9404A (en
Inventor
한창석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to KR102005008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10B1/en
Publication of KR2007002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원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커서가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는 커서이동키와, 커서이동키가 눌려진 압력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며 광을 출사하는 커서이동핀, 및 커서이동핀의 출사광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커서 입력장치에 360도 방향으로 커서이동이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키입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sor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sor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of a portable terminal, the cursor movement key for performing a key input to apply a pressure along the circular circumference so that the cursor can move in all directions, the pressure the cursor movement key is pressed And an image sensor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outgoing light of the cursor moving pin, the cursor moving pin emitting light and form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Therefor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cursor in the direction of 360 degrees to the cursor input device, so that key input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커서입력, 이미지센서, Cursor input, image sensor,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도 1a는 터치스크린타입의 커서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aving a touch screen type cursor input device;

도 1b는 트랙볼타입의 커서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으 사시도,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having a track ball type cursor input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커서입력장치의 내부 구성블록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general cursor input device;

도 3a는 입력장치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3A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n input device;

도 3b는 커서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3b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cursor;

도 4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폰,4 i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urs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서입력장치의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s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커서입력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6b is an image obtained by the cursor input device;

도 7a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rs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의 사용상태에서 획득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acquired in the using state of FIG. 7A;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서입력장치의 사시도,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s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의 사용상태에서 획득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acquired in the using state of FIG. 8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커서입력장치 41 : 커서이동키40: Cursor input device 41: Cursor movement key

42 : 커서이동핀 43 : 렌즈42: cursor moving pin 43: lens

44 : 이미지센서44: image sens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하여 휴대폰 등을 조작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sor input device for operating a mobile phone or the like by mov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회 전분야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형 무선단말기는 종래에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형 무선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칭함)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각종 서비스의 메뉴를 키패드에 구비된 메뉴선택키, 숫자키, 상하 위치조절키 등을 사용자가 직접 누름으로 인해 해당 서비스의 메뉴를 선택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기호 문자 메시지 입력 또는 인터넷 메뉴 검색시에는 사용자가 매번 해당 서비스의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문자가 설정된 해당 기능키를 반복적으로 누르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enables an individual to communicate with another person while moving from an arbitrary place or from one place to another. In additio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simple call function provided in the prior art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A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llular phone) has various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added,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menus of various service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menu selection keys, numeric keys, and up and down position control keys. By pressing, the menu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can be selected. However, when a user inputs a Korean, English, symbol text message or searches an Internet menu us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 user may repeatedly select a menu of a corresponding service each time or repeatedly press a corresponding function key in which a text is set.

더나아가, 이동통신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휴대용 단말기의 개발에 힘입어 휴대폰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검색 및 업무수행, 네트워크 게임 등이 가능해지고, 휴대용 게임기에 있어서도 오프라인(Off-line)상태의 게임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온라인(On-line)게임이 가능한 휴대용 게임기가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키패드를 이용한 메뉴 네비게이션은 아이콘 배열이나 메뉴선택에 있어서 윈도우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Furthermore,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field and development of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earch data, perform work, and network game using internet through mobile phone. In addition, portable game machines capable of playing online games through internet access are being developed. Since menu navigation using a keypad is not suitable for window systems in icon arrangement or menu selection, an input device that functions as a mouse of a computer is required for a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such a function.

이러한 입력장치로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입력신호를 보내는 터치스크린과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둥근 공을 움직여서 그 움직인 거리만큼 화면상에 커서를 이동하는 트랙볼 등이 사용되고 있다.As such an input device, a touch screen that sends an input signal by applying pressure to the screen as shown in FIG. 1A and a track ball that moves a cursor on the screen by moving a round ball and moving the ball as shown in FIG. 1B are used. have.

도 1a는 터치스크린타입의 커서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으로서, 소정 형상의 하우징(109)과, 하우징(109)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다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정보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스크린(103)과, 터치스크린(103)의 상측면을 보호하고 다수기능을 부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한 커버(107)와, 커버(107)의 안측면에 구비된 키패널(101)과, 터치스크린(103)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아이콘에 대응하는 선택사항이나 해당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구동펜(105)으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1A illustrates a mobile phone having a touch screen-type cursor input device, and includes a housing 109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tou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9 to display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perform information input. A screen 103, a cover 107 provided to protect the upper side of the touch screen 103 and additionally input a plurality of functions, and a key panel 101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107. And a driving pen 105 configured to execute a selection or a correspond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con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3.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03)타입의 커서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로 인해 터치스크린(103)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터치스크린(103)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역시 작아지게 되어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로는 터치스크린(103)상의 아이콘을 정확하게 터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은 아이콘을 정확히 선택하기 위해서는 구동펜(105)과 같이 가는 펜 형태의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ursor input device of the touch screen 103 type becomes smaller in size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c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3 also become smaller.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ouch an icon on the touch screen 103 with the body part, a thin pen-shaped tool such as the driving pen 105 must be used to accurately select a small icon.

도 1b는 트랙볼타입의 커서조작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으로서, 안측면에 스크린(111)을 갖는 커버(119)와, 커버(119)와 대향되도록 체결되며 오픈 시 다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널(113)을 구비한 본체(121)와, 본체(121)의 일측단에는 스크린(111)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트랙볼(115)로 구성됨을 나타낸다. 또한, 커버(119)에는 트랙볼(115)과 대향되는 곳에 트랙볼홈(117)을 구비하여 커버(119) 및 본체(12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FIG. 1B illustrates a mobile phone having a trackball type cursor operating device, the cover 119 having a screen 111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key panel fastened to face the cover 119 and input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upon opening. The main body 121 having the main body 121 and the track ball 115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111 are shown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21. In addition, the cover 119 is provided with a track ball groove 117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track ball 115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cover 119 and the main body 121.

사용자는 트랙볼(115)을 구동시켜 스크린(111)에 표시되는 커서(123)를 움직여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지시한 후, 키패널(113)의 특정키를 동작시킴으로써 아이콘에 대응하는 선택사항이나 해당 명령이 실행되도록 한다.        The user drives the trackball 115 to move the cursor 123 displayed on the screen 111 to instruct one icon among a plurality of icons, and then selects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icon by operating a specific key of the key panel 113. The command or the corresponding command to be executed.

이러한 커서 입력장치의 내부구성 블록도인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ursor inpu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일반적인 커서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cursor input device.

도 2를 보면, 커서 입력장치는 조작키(11)를 조작해서 인터넷 단말의 화면상의 복수 링크 장소로 커서를 이동하고 실행키(12)를 조작해서 링크 장소의 링크 정보를 처리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ursor input device manipulates the operation key 11 to move the cursor to a plurality of link locations on the screen of the Internet terminal, and manipulates the execution key 12 to process link information of the link location. It is.

링크 좌표 산출부(24)는 조작키(11)의 조작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에 존재하는 화면상의 복수 링크 장소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거나 또는 조작키(11)의 계속 조작을 정지시켰을 때의 커서의 위치에 대해서 전 방향에 존재하는 화면상의 복수 링크 장소의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커서 좌표 산출부(23)는 조작키(11)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상의 커서의 위치 좌표를 산출한다. 최소 거리 산출부(25)는 링크 좌표 산출부(24)에서 산출된 복수 링크 장소의 각 위치 좌표와 커서 좌표 산출부(23)에서 산출된 커서의 위치 좌표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거리가 최소가 되는 링크 장소를 산출한다. 커서 이동부(26)는 최소 거리 산출부(25)에서 산출된 링크 장소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The link coordinate calculation unit 24 calculat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link locations on the screen existing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key 11 or stops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11. The position coordinates of a plurality of link locations on the screen existing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are calculated. The cursor coordinate calculation unit 23 calculat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ursor on the scree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key 11. The minimum distance calculation unit 25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link locations calculated by the link coordinate calculation unit 24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ursor calculated by the cursor coordinate calculation unit 23, and the distance is minimum. Calculate the link location. The cursor moving unit 26 moves the cursor to the link location calculated by the minimum distance calculating unit 25.

도 3a는 도 2의 조작키의 이동 경로이다.       3A is a movement path of the operation key of FIG. 2.

도 3a를 참고하면, 링크(3)의 위치에서 조작키를 a지점까지 이동한 경우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a시점에서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내에 포함되고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은 링크(6)이다. 따라서, 조작키는 링크(3)에서 a지점까지 움직였지만, 웹브라우저 상의 커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에서 링크(6)로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operation key is moved from the position of the link 3 to the point 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it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t the point of time and positioned at the closest distance. Link 6. Thus, the operation key has moved from the link 3 to the point a, but the cursor on the web browser moves from the link 3 to the link 6 as shown in FIG. 3B.

이러한 종래의 커서 입력장치중 터치스크린타입의 경우, 구동펜(105)을 휴대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동펜의 분실염려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형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적인 메뉴 네비게이션에는 적당하지만 게임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도구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항목이 가려지게 되므로 적당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만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동간 사용시 안정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트랙볼타입의 경우 트랙볼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가 어렵고, 트랙볼이 구르는 거리와 속도에 따라 커서의 이동거리가 변하므로 감도가 떨어지고 제어가 어려우며, 트랙볼을 타고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므로 고장이 잦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트랙볼 방식의 커서 입력장치는, 마우스에 있어서 왼쪽 및 오른쪽 버튼과 같이 아이콘을 조작하는 역할을 하는 조작키가 키패널에 위치한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 트랙볼과 조작키가 키패널상에 인접하여 집중되어 있으므로 양손을 사용하여 조작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조작키를 입력장치로 하는 경우 상하죄우키를 90도의 각으로 인지하고 계산하여 방향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으나, 360도 각을 방향으로 인식할 수는 없었다.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type of the conventional cursor input device, carrying the driving pen 105 is not only very inconvenient but also may cause loss of the driving pen.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is suitable for general menu navigation, but in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a game, an item displayed by a tool for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obscured. Since only the hand supports it, the us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stability when using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ackball type,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large volume of the trackball,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urs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speed at which the trackball is roll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frequent failures. In addition, in the trackball type cursor input device, an operation key that functions to operate an icon like a left and right button in a mouse is often located in a key panel. In this case, the trackball and an operation key are adjacent to the key panel. Because it is concentrated, it was inconvenient to operate using both hands.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key of FIG. 2 is used as an input device, the upper and lower sinusoids are recognized at an angle of 90 degrees and calculated to recognize a direction, but the angle of 360 degrees cannot be recognized as a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커서 입력장치에 360도 방향으로 커서이동이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한 커서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cursor input device because the cursor can be moved in the 360-degree direction to the cursor input devi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서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원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커서가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는 커서이동 키와, 커서이동키가 눌려진 압력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며 광을 출사하는 커서이동핀, 및 커서이동핀의 출사광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urso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ursor input device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a key input to apply a press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to move the cursor in all directions And a cursor moving pin which form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rection in which the cursor moving key is pressed, and emits light, and an image sensor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emitted light of the cursor moving p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커서이동핀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이미지센서에서 센싱되도록 투과하기 위한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ens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cursor moving pin to be sensed by the imag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서이동키는 원형의 원주를 따라 누름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sor movement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iec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서이동핀은 그 내부에 광을 출사하기 위한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출사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sor mov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emitting body for emitting light therein and a hole for emitt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센서는 포인트형상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 point-shaped imag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커서입력장치는휴대용 단말기의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원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커서가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는 커서이동키와, 커서이동키가 눌려진 압력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커서이동핀, 및 커서이동핀의 원뿔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curso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rsor input device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a key input for applying a press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to move the cursor in all directions Cursor movement key for performing a, a cone-shaped cursor moving pin to for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rection the cursor movement key is pressed, and an image sensor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cone of the cursor moving p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서이동키는 원형의 원주를 따라 누름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sor movement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iec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센서는 원뿔형상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 conical image.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4 to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이다. 4 i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urs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상부케이스는 화면출력을 위한 스크린(20)과 스크린(20)에 메뉴 등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30)가 위치하며, 하부케이스는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널(10)을 구비한다. 키패널(10)의 하부로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40)가 돌출되게 위치하며, 이 커서입력장치(40)는 상하좌우뿐 아니라 360도 방향에 대해 커서입력이 가능한 장치이다. 커서입력장치(40)는 원형의 버튼형상으로 외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면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upper case has a screen 20 for outputting a screen and a cursor 30 for selecting a menu, etc. on the screen 20, and the lower case has a key panel 10 including numeric keys. It is provided. The cursor input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key panel 10, and the cursor input device 40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cursor in a 360 degree direction as well as up, down, left, and right. Cursor input device 40 is a circular button shape is a structure to move the cursor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along the outer periphery.

사용자는 커서입력장치(40)의 외주를 따라 360도 방향중 원하는 커서(30)의 이동방향으로 눌러서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스크린(20)에 표시되는 커서(30)를 움직여 원하는 아이콘을 지시한 후, 키패널(10)의 특정키를 동작시킴으로써 아이콘에 대응하는 선택사항이나 해당 명령이 실행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커서입력장치(40)의 외주면을 따라 360도 방향으로 커서(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sired cursor 30 in the 360 degre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rsor input device 40. Then, after moving the cursor 30 displayed on the screen 20 to indicate a desired icon, by operating a specific key of the key panel 10, a selection or a corresponding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con is executed. That is, the user may move the cursor 30 in the 360 degre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sor input device 40.

이러한 커서입력장치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A-A단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To describe the cursor input device in more detail, the A-A sec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도 5를 참고하면, 커서입력장치(40)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기 위한 원형의 커서이동키(41)와, 커서이동키(41)에 대응하여 움직이며 광을 출사하는 커서이동핀(42)과 커서이동핀(42)으로부터의 광을 집광하여 투과하는 렌즈(43), 및 렌즈(43)를 투과한 광을 센싱하기 위한 이미지센서(4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ursor input device 40 includes a circular cursor move key 41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user, a cursor move pin 42 that mov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cursor move key 41, and emits light. And a lens 43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the light from the moving pin 42, and an image sensor 44 for sens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43.

도 5에서, 커서이동키(41)는 원형으로 360도 전방향에 대해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형버튼이다. 즉, 커서이동키(41)는 원형의 원주를 따라 누름편을 형성한다. 또한, 커서이동핀(42)은 원뿔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발광체를 구비하고, 원뿔의 끝단에는 광을 출사하는 홀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체는 레이저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발광소자를 사용하고, 홀을 통화하는 출사광은 렌즈(43)쪽으로 출사한다. 커서이동핀(42)은 커서이동키(41)의 배면에 부착되어 커서이동키(41)의 압력에 따라 대응하여 움직인다. 이때, 커서이동핀(42)이 움직임에 따라 광을 출사하는 홀에서의 출사광의 출사방향도 변하게 된다. 이러한 출사광은 렌즈(43)를 통해 집광되어 이미지센서(44)에 광스폿형태로 집광된다. 따라서, 이미지센서(44)에는 포인트 형태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포인트영상을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스크린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Fig. 5, the cursor movement key 41 is circular and can apply pressure in all directions 360 degrees, and thus is a circular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That is, the cursor movement key 41 forms a pressing piece along a circular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cursor moving pin 42 has a light-emitting body in the shape of a cone, and a hole for emitting light at the end of the cone. The light emitting body may use a laser diode, in addition to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hole is emitted toward the lens 43. The cursor moving pin 42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sor moving key 41 and moves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cursor moving key 41. At this time, as the cursor movement pin 42 moves,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in the hole for emitting the light also changes. The emitted light is collected through the lens 43 and collected in the form of a light spot on the image sensor 44. Therefore, the image sensor 44 can obtain an image in the form of a point. Then, the cursor on the screen can be moved by converting the point image into a coordinate value.

이러한 커서입력장치의 사시도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다. 6 and 7 show perspective views of such a cursor input device.

도 6a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s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고하면, 커서입력장치(40)의 커서이동키(41)가 조작되지 않고 수평상태일 때의 상태를 보여준다. 커서이동키(41)의 화살표는 압력을 가하는 방향이 360도 모두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이동키(41)를 조작하지 않은 경우는 발광체로부터 발광된 광은 커서이동핀(42)의 정 중앙을 통해 출사광으로 홀을 통과해 렌즈(43)의 정가운데를 입사한다. 렌즈(43)의 정가운데를 입사한 입사광은 렌즈(43)를 통과해 이미지센서(44)에 정가운데에 센싱된다. Referring to FIG. 6A, the state when the cursor movement key 41 of the cursor input device 40 is not operated and is in a horizontal state is shown. The arrow of the cursor movement key 41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is all 360 degrees. When the cursor movement key 41 is not operated to move the curs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passes through the hole as the outgoing light through the center of the cursor moving pin 42 and enters the center of the lens 43. .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center of the lens 43 passes through the lens 43 and is sens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sensor 44.

이렇게 하여 획득된 이미지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정 가운데에 광스폿이 센싱되므로 획득된 영상도 가운데에 포인트 형상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상태는 커서의 이동을 위한 조작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e image thus obtained is as shown in FIG. 6B. That is, since the light spot is sens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the obtained image is also shown as a point shape in the center. This state may indicate that no operation for moving the cursor is performed.

한편, 커서의 이동을 위한 커서이동키(41)가 조작된 경우는 도 7a 및 7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ase where the cursor movement key 41 for the movement of the cursor is manipula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7a and 7b.

도 7a는 본 발명의 커서입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rso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커서이동키(41)의 왼쪽상부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사용자가 커서이동키(41)의 왼쪽상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커서이동핀(42)은 그 압력만큼 이동하여 일정 각도로 휘게 된다. 이때, 발광체로부터의 발광된 광이 홀을 통해 출사되어 렌즈(43)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44)에 센싱된다. 이때의 영상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7A, a state in which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cursor movement key 41 is shown. At this time,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upper left of the cursor movement key 41, the cursor movement pin 42 moves by the pressure and b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emitted through the hole and passed through the lens 43 to be sensed by the image sensor 44. The image at this time is as shown in Fig. 7b.

도 7b는 도 7a의 사용상태에서 의해 획득된 영상이 포인트로 나타난다.7B shows an image obtained by the use state of FIG. 7A as a point.

도 7b를 보면, 이때 얻어진 영상은 포인트(P1) 형상으로 우측 상부로 치우쳐진다. 즉, 포인트 P1은 x축과 y축으로 이동하여 좌표값(x, y)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의 D는 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하던 포인트가 이동한 좌표로부터 커서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에 의한 좌표계산을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7B, the image obtained at this time is biased toward the upper right in the shape of a point P1. That is, the point P1 can be moved along the x and y axes to obtain coordinate values (x, y), where D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Therefore, the cursor can be moved by calculat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cursor from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located at the center. It is apparent that the coordinate calculation by such a point can be implemented using a known techniqu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서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so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이동핀(42)이 원뿔의 형상으로 하며, 이미지센서(44)에서 얻어지는 원뿔의 영상으로 커서를 이동한다. 즉, 커서이동키(41)의 왼쪽상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커서이동핀(42)은 그 압력만큼 이동하여 일정 각도로 휘게 된다(점선표시). 그러면 이미지센서(44)에는 원뿔의 영상이 획득된다. 이는 도 8b에 도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ursor moving pin 42 has a cone shape, and moves the cursor to an image of a cone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44. That i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cursor movement key 41, the cursor movement pin 42 moves by the pressure and b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dotted line display). The image sensor 44 then obtains an image of a cone. This is shown in Figure 8b.

도 8b는 도 8a의 사용상태에서 획득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B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image acquired in the use state of FIG. 8A.

도 8b를 보면, 이때 얻어진 영상은 원뿔의 형상이며 원뿔의 끝단의 포인트(P2)를 얻을 수 있으며 이때 포인트(P2)는 우측 상부로 치우쳐진다. 즉, 포인트 P2은 x축과 y축으로 이동하여 좌표값(x, y)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의 D는 속도에 비례한다. 이렇게 하여 중앙에 위치하던 포인트가 이동한 좌표로부터 커서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the obtained image is in the shape of a cone, and a point P2 at the end of the cone can be obtained, and the point P2 is deviated to the upper right side. That is, the point P2 can be moved along the x and y axes to obtain coordinate values (x, y), where D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In this way, the cursor can be moved by calculat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cursor from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located at the center.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커서 입력장치에 360도 방향으로 커서이동이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키입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cursor in the direction of 360 degrees to the cursor input device, so that key input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Claims (8)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있어서, In the cursor input device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원형의 원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커서가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도록 원형의 원주를 따라 누름편을 형성하는 커서이동키;Cursor movement key to form a pressing piece along the circular circumference to perform a key press to apply pressure along the circular circumference to move the cursor in all directions; 상기 커서이동키가 눌려진 압력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며 광을 출사하는 커서이동핀; 및A cursor moving pin which form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rection in which the cursor moving key is pressed and emits light; And 상기 커서이동핀의 출사광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And an image sensor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outgoing light of the cursor moving pi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는 The device is 커서이동핀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이미지센서에서 센싱되도록 투과하기 위한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And a lens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cursor moving pin to be sensed by the image senso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커서이동핀은 Cursor moving pin 그 내부에 광을 출사하기 위한 발광체와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출사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And a hole for emitt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er and a hole for emitting light from the emitter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센서는 The image sensor 포인트형상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Cursor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 point-shaped image.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입력장치에 있어서, In the cursor input device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원형의 원주를 따라 압력을 가하여 커서가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는 커서이동키;Cursor movement key for performing key input to apply press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le so that the cursor can move in all directions; 상기 커서이동키가 눌려진 압력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는 원뿔형상의 커서이동핀; 및A cone-shaped cursor moving pin form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rection in which the cursor moving key is pressed; And 상기 커서이동핀의 원뿔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And an image sensor for acquiring an image of a cone of the cursor moving pin.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커서이동키는 원형의 원주를 따라 누름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The cursor movement key is a cursor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ressing piece along a circular circumferenc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미지센서는 The image sensor 원뿔형상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입력장치.Cursor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acquiring a conical image.
KR1020050084160A 2005-09-09 2005-09-09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KR100746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60A KR100746210B1 (en) 2005-09-09 2005-09-09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60A KR100746210B1 (en) 2005-09-09 2005-09-09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04A KR20070029404A (en) 2007-03-14
KR100746210B1 true KR100746210B1 (en) 2007-08-03

Family

ID=3810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160A KR100746210B1 (en) 2005-09-09 2005-09-09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2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983A (en)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Pointing device
JP2002318661A (en) * 2001-04-20 2002-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983A (en) 2000-08-21 2002-02-28 Hitachi Ltd Pointing device
JP2002318661A (en) * 2001-04-20 2002-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404A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3338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8314773B2 (en) Mouse having an optically-based scrolling feature
KR101666995B1 (en) Multi-telepointer, virtual object display device, and virtual object control method
TWI290690B (en)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US20040104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366540B2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s pointing device
US20080186287A1 (en) User input device
JP2007518182A (en) Versatile optical mouse
KR20130038523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use function
KR100746210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KR10134446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KR1007174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KR20080017194A (en) Wireless mous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830172B2 (en) Sel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ositioning operation
KR20040018050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ouse function
KR10109592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urser in mobile terminal
KR20030006217A (en) Apparatus for operating cursor in mobile terminal
KR20090030115A (en) Apparatus for shifting curser using touch sensor
JP2001142613A (en) Input device
JP2021043658A (en) Operation input device
JP2002182845A (en) Input device
KR20020014553A (en) Wireless mouse combined ball mouse and trackball mouse
JP2000148389A (en) Coordinates input auxiliary device and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