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278B1 -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278B1
KR100745278B1 KR1020050123717A KR20050123717A KR100745278B1 KR 100745278 B1 KR100745278 B1 KR 100745278B1 KR 1020050123717 A KR1020050123717 A KR 1020050123717A KR 20050123717 A KR20050123717 A KR 20050123717A KR 100745278 B1 KR100745278 B1 KR 10074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olor space
level
spac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689A (ko
Inventor
윤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2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기기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휘도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Y신호(휘도신호) 레벨에 따라 다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영상의 휘도 레벨에 따라 다른 CSC가 적용되므로 다양한 신호 레벨이 입력되더라도 최적의 CSC가 적용되어 화질 열화가 방지할 수 있다.
티브이, 휘도, Y신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CSC)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he optimum high-definition in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 외부 입력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Y신호 레벨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 105 : 디멀티플렉서
110 : 오디오 처리부 115 : 스위칭부
120 : 비디오/싱크 처리부 125 : ADC
130 : 비디오 처리부 135 : 표시부
140 : HDMI 수신부 200 : Y레벨 판단부
210 : 로컬 메모리 220 : CSC(Color Space Conversion)부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영상을 보는 경우, 그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의 신호 규격 및 이를 궁극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당히 다양하다.
상기 비디오 신호 규격으로는 종래의 아날로그 TV 신호(NTSC, PAL등), VCR, PC신호를 비롯하여 최근의 디지털 티브이 신호 등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서 서로 다른 많은 규격이 존재한다.
디지털 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디지털 티브이가 많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이런 다양한 비디오 규격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공정의 발전으로 SOC이 실현가능하게 되면서 이런 여러가지의 복잡한 기능들이 모두 하나의 칩으로 구현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전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되었다. 또한, 유럽에서는 스웨덴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스트림(stream)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정보는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um)의 HTML,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의 XDML과, DASE의 Xlet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디지털 티브이는 종래의 아날로그 티브이와는 달리 하나의 규격에서 멀티 포맷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미국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ATSC 규격은 18개의 비디오 포맷을 규정하고 이중에서 방송국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원하는 포맷을 선택하여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양한 포맷의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는 다양한 입력 포맷을 지원해야 한다. 즉, 자신이 디스플레이 장치 포맷에 맞도록 다양한 입력 포맷을 정해진 출력 포맷으로 포맷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다.
기존의 LCD, DLP 프로젝션이나 PDP와 같은 티브이에는 외부 입력으로 많은 장비나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를 연결한다. 이때, 사용자가 일반 지상파나 유선 방송을 시청한 다음, 외부 입력으로 전환하면 섬세한 소비자라면 화질 차이를 쉽게 느낄 수가 있을 것이다. 가령 SD급 지상파의 DTV를 시청하다가 HDMI DVD 플레이어 로부터 HD급 출력을 연결하고, 티브이의 HDMI로 전환하면 화질 열화가 쉽게 느껴진다. 이러한 경우 원 영상의 화질 자체가 이미 촬영때부터 차이가 나도록 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는 경우이다.
그러나 같은 PC나 HDMI출력 장비라 하더라고 티브이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다소 차이가 생겨 티브이 내부에서 이것을 감안하고 화질 처리를 별도로 해주어야하나 지금까지는 외부 장치에서의 편차를 거의 무시하고 모든 입력 신호를 표준과 같다고 간주하고 동일하게 신호를 처리해서 화질 열화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장치를 티브이에 연결했을 때 최적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DMI/DV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Digital video interactive)를 지원하는 외부 장치를 티브이에 연결했을 때, 영상의 휘도 레벨에 따라 다른 CSC(Color Space Conversion)를 적용하여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기기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휘도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Y신호(휘도신호) 레벨에 따라 다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Y신호 레벨은 Y신호의 저계조 레벨 또는 고계조 레벨이다.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영상을 뮤트(mute)시킨후, VBI 구간이 보이도록 수평 오프셋과 수직 오프셋을 쉬프트시키고, 상기 쉬프트된 영상을 정지시켜 그 상태를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판단하고, 상기 쉬프트된 영상을 복원하고 뮤트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읽은 Y신호 레벨이 0이면, RGB 25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하고, 16이면, RGB23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한다.
상기 판단된 Y신호 레벨에 따라 다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Y신호 레벨이 RGB 25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RGB 255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여 출력하고, RGB 23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RGB235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으면, 해당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하여 컬러 스페이스 변환을 수행하는 비디오 처리부,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해당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하는 Y레벨 판단부, 상기 Y 레벨 판단부에서 VBI 구간 추출을 위하여 쉬프트한 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 상기 Y레벨 판단부에서 선정된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Y레벨 판단부는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한다. 상기 외부 장치는 HDMI 또는 DVI 입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개 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처리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 시간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 즉,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 신호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105), 상기 디멀티플렉서(105)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신장/복원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110), 상기 디멀티플렉서(105)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15), 비디오/싱크 처리부(120), 상기 비디오/싱크 처리부(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125),상기 ADC부(125)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휘도 및 색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처리부(130),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35),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장치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행을 위한 HDMI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115)는 외부 입력 신호 또는 티브이 신호를 선택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A/V 스위치(117), 컴포넌트 또는 PC 입력을 수신하는 비디오 스위치(118)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입력 신호는 PC, DVD 플레이어, VCR, 캠코더 등의 각종 외부 영상 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외부 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신호를 말한다.
상기 비디오/싱크 처리부(120)는 아날로그 신호인 NTSC RF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의 경우에는 바이패스시키고, 디지털 신호인 DTV신호와 DVD신호인 Y, Pb, Pr신호는 Y, Cr, Cb신호로 변환하고, PC신호인 R, G, B신호는 Y, Cb, Cr신호로 매트릭스 컨버젼한다.
상기 ADC부(125)는 상기 비디오/싱크 처리부(120)에서 Y, Cb, Cr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ADC부(125)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NTSC신호의 경우는 YUV신호를 RGB신호로 포맷 변환하고, DTV신호와 DVD신호 및 PC신호의 경우는 YCbCr신호를 RGB 신호로 포맷 변환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포맷 변환된 RGB신호를 각 신호원의 R, G, B영역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RGB영역간의 색 재현 영역 차이에서 발생하는 색 오차 뿐 아니라 각 신호원의 신호 감마, 기준 백색과 디스플레이의 감마 및 기준 백색 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색 오차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ADC부(125) 또는 HDMI 수신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의 신호레벨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화질 처리를 별도로 수행하여 화질 열화를 없앤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영상의 신호레벨은 Y신호(휘도신호)의 저계조 레벨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ADC부(125) 또는 HDMI 수신부(140)로부터 입력되는 Y(휘도)신호의 저계조 레벨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레벨에 따라 컬러 스페이스 변환(CSC, color space conversion)을 수행한다. 즉,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입력되는 영상의 VBI를 메모리에 저장했다가 Y신호의 저계조 레벨을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컬러 스페이스 변환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가 입력 영상별로 Y신호의 저계조 레벨을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컬러 스페이스 변환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Y레벨 판단부(200), 로컬 메모리(210), CSC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Y레벨 판단부(200)는 상기 ADC부(125) 또는 HDMI 수신부(140)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그 영상의 Y신호 저계조 레벨을 판단한다.
즉, 상기 Y레벨 판단부(200)는 상기 ADC부(125) 또는 HDMI 수신부(140)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해당 영상을 뮤트(mute)시키고 VBI구간 추출을 위하여 해당 영상을 쉬프트시켜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런다음 상기 Y레벨 판단부(200)는 상기 로컬 메모리(210)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값을 읽어서 Y신호의 저계조 레벨이 '0'인지 '16'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CSC부(220)에 전송한다.
상기 로컬 메모리(210)에는 Y신호의 레벨에 따른 컬러 스페이스 변환 매트릭스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컬 메모리(210)에는 상기 Y 레벨 판단부(200)에서 VBI 구간 추출을 위하여 쉬프트된 상태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Y레벨 판단부(200)는 화면상에서의 위치를 VBI구간에 들어가도록 윈도우 오프셋을 (0,0)으로 설정해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메모리값을 읽으면, Y신호의 레벨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CSC부(220)는 상기 Y레벨 판단부(20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영상을 컬러 스페이스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Y레벨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Y신호 저계조 레벨이 '0'이면, 상기 CSC부(220)는 해당 영상을 RGB255를 적용하여 CSC를 수행하고, 상기 판단된 Y신호 저계조 레벨이 '16이면, 해당 비디오를 RGB235를 적용하여 CSC를 수행한다.
이는 디지털 티브이와 연결된 외부 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Y레벨은 0-255 또는 16-235로 출력되기 때문에 Y신호 저계조 제벨이 '0'이면, 해당 신호는 0-255로 입력되는 신호라고 판단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RGB255를 적용하여 CSC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Y신호 저계조 레벨이 '16'이면, 해당 신호는 16-235로 입력되는 신호라고 판단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RGB255를 적용하여 CSC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Y신호의 고계조 레벨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레벨에 따라 컬러 스페이스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티브이에서 입력 신호가 YCbCr이면, 상기 비디오 처리부(130)는 SD급 영상인 경우에는 Y601포맷의 CSC로, HD급 영상인 경우에는 Y709포맷의 CSC로 변환해준다.
그리고 튜너(100), 외부 입력으로 들어오는 신호에 대해서는 원 신호 그대로 처리한다. 반면에 컴포넌트/RGB입력은 SD급일 경우, Y신호 휘도에 따라서 CSC 매트 릭스가 미리 정해져 있다.
HDMI인 경우에는 RGB로 CSC되고, 이때 대부분의 RGB를 PC형태로 간주해서 RGB255형태로 CSC변환을 한다. 즉, Y신호 레벨이 저계조 0, 고계조 255인 형태로 변환한다. 그러나 장비의 제조자 또는 회사마다 출력 휘도 신호가 0-255, 16-235형태로 섞여서 들어오기 때문에 16-235레벨을 0-255레벨로 무조건 처리하면, 화면의 저계조가 구분이 안되거나 고계조가 포화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Y신호 레벨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레벨에 따라 다른 CSC를 적용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에서 외부 입력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티브이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S300), 상기 수신된 영상의 sync 변화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02).
즉,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수신된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기 위하여 각 영상에 대하여 sync 변화를 이용하여 영상의 변화를 감지한다.
단계 302의 판단결과 sync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한다(S304). 상기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04의 수행후,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판단된 Y신호 레벨에 따라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여(S306),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S308).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Y신호 레벨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티브이는 영상이 수신되면(S400), 상기 수신된 영상을 뮤트(mute)시킨다(S402). 즉,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Y신호 레벨 판단을 위하여 VBI 구간이 나타나는 것을 사용자가 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영상을 mute시킨다.
단계 402의 수행후,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VBI구간 추출을 위하여 도 5a와 같은 영상을 도 5b와 같이 쉬프트시킨다(S404). 즉,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외부입력 오프셋의 위치를 VBI가 완전히 보일때까지 수평 오프셋, 수직 오프셋을 조절한다.
여기서, 도 5a는 원 영상을 나타내고, VBI구간이 보이게 수평 오프셋/수직 오프셋을 쉬프트시키면 도 5b와 같이 된다.
단계 404의 수행 후,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쉬프트된 영상을 정지시켜 그 상태 그대로 로컬 메모리에 저장한다(S406).
단계 406의 수행 후,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는다(S408). 즉,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화면상에서의 위치를 VBI구간에 들어가도록 윈도우 오프셋을 (0,0)으로 설정해서 해당되는 메모리값을 읽는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은 VBI구간중에서 22번째 구간일 수 있다.
단계 408에서 읽은 Y신호 레벨이 0이면(S410),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RGB 255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이 적용되도록 한다(S412).
단계 412의 수행 후,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VBI 구간 처리를 위해 쉬프트한 영상을 원상태로 복원하고(S414), 상기 영상의 뮤트를 해제한다(S416). 그러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상기 판단된 RGB 255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을 컬러 스페이스 변환한다.
만약, 단계 408에서 읽은 Y신호 레벨이 16이면(S418), 상기 디지털 티브이는 RGB 223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이 적용되도록하고(S420), 단계 414과 단계 416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입력 신호의 Y레벨에 따라 Y601, Y709, RGB 235, RGB 255로 자동적으로 CSC를 적용하게 되어서 저계조의 영상이 구분이 되지 않거나 고계조의 영상이 포화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장치를 티브이에 연결했을 때 최적의 화질이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DMI/DVI를 지원하는 외부 장치를 티브이에 연결했을 때, 영상의 휘도 레벨에 따라 다른 CSC가 적용되므로 다양한 신호 레벨이 입력 되더라도 최적의 CSC가 적용되어 화질 열화가 방지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외부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기기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휘도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Y신호(휘도신호) 레벨에 따라 다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HDMI입력을 가지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면, sync 변화가 되었다는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나서 해당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신호 레벨은 Y신호의 저계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신호 레벨은 Y신호의 고계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뮤트(mute)시킨후, VBI 구간이 보이도록 수평 오프셋과 수직 오프셋을 쉬프트시키는 단계;
    상기 쉬프트된 영상을 정지시켜 그 상태를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쉬프트된 영상을 복원하고 뮤트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는 다는 것은 화면상에서의 위치를 VBI구간에 들어가도록 윈도우 오프셋을 (0,0)으로 설정해서 해당되는 메모리값을 읽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구간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읽은 Y신호 레벨이 0이면, RGB 25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하고, 16이면, RGB23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Y신호 레벨에 따라 다른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Y신호 레벨이 RGB 25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RGB 255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여 출력하고, RGB 235의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이 적용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을 RGB235로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10. 외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으면, 해당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하여 컬러 스페이스 변환을 수행하는 비디오 처리부;
    상기 비디오 처리부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부는
    해당 영상의 Y신호 레벨을 판단하고,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하는 Y레벨 판단부;
    상기 Y 레벨 판단부에서 VBI 구간 추출을 위하여 쉬프트한 상태의 영상을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
    상기 Y레벨 판단부에서 선정된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적용하여 해당 영상을 컬러 스페이스 변환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Y레벨 판단부는 상기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 의 Y신호 레벨을 읽어서 그 Y신호 레벨에 해당하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전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HDMI 또는 DVI 입력을 가지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화질 구현이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0050123717A 2005-12-15 2005-12-15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17A KR100745278B1 (ko) 2005-12-15 2005-12-15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17A KR100745278B1 (ko) 2005-12-15 2005-12-15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89A KR20070063689A (ko) 2007-06-20
KR100745278B1 true KR100745278B1 (ko) 2007-08-01

Family

ID=3836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17A KR100745278B1 (ko) 2005-12-15 2005-12-15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2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885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신호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화질조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885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신호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화질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89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1041B1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750386B2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US20080055464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resolution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to use the same
JPH10210485A (ja) Pcモニタ兼用のマルチ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45278B1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최적 화질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1533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성 모드 자동 조정 방법
KR10039107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장치:
JP7397730B2 (ja) 映像処理装置、テレビ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JP7417444B2 (ja) 映像処理装置、テレビ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CN112673643B (zh) 画质电路、图像处理装置及信号特征检测方法
KR100627895B1 (ko) 텔레비전의 부화면 크기 및 줌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598948B1 (ko) 텔레비전의 화면 줌 조절방법
KR100708375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디지털 영상 처리방법
KR2000006644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30042139A (ko)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0280184B1 (ko) 캡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3043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화면을 통한 mms 서비스 수신장치
KR100277951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KR100242113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한글자막삭제장치
KR10040421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출력 장치
KR20070002970A (ko) Pip 텔레비전의 동시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KR20080001364A (ko) 텔레비전의 음향효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10200189A (ja) 受信機
KR20010002202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부가 데이터 표시장치
KR20000004307A (ko) 다입력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비디오 및 동기 스위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