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453B1 -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4453B1 KR100744453B1 KR1020027011593A KR20027011593A KR100744453B1 KR 100744453 B1 KR100744453 B1 KR 100744453B1 KR 1020027011593 A KR1020027011593 A KR 1020027011593A KR 20027011593 A KR20027011593 A KR 20027011593A KR 100744453 B1 KR100744453 B1 KR 100744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ing
- pillars
- measured
- posture
- 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28—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자세에서 시체에 대한 불균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로 측정될 사람의 신체 각각의 영역을 측정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베이스요소(10)와 두 개의 저울(11, 12) 및 조정 장치(2)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와 관계있다. 조정 장치(2)는 측정 및 고정 요소(21, 22, 23)가 수직으로 전치 가능한 방법으로 배열된 베이스 요소에 고정된 두 개의 수직기둥(20, 20')으로 구성된다. 제 2 측정 및 고정 요소는 고관절과 제 3 측정 및 고정요소를 측정 및 고정하고 견갑부를 측정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공급된다. 측정될 사람의 뒤꿈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베이스 요소에 공급된다. 또한 제 1 측정 및 고정요소가 무릎을 측정하고 고정하기 위해 발의 측면에 대한 횡방향 변부를 갖고 있다. 제 2 측정 및 고정요소와 제 3 측정 및 고정요소는 또한 횡단면에서 개개의 신체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문에 따라,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릇된 자세를 가진 사람은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에 불규칙하게 부하를 걸고, 그로 말미암아 가장 자주 변하는 신체 부위에 고통을 호소한다. 상기 기술의 공지된 상태에 따르면 다양한 장치들은 그릇된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른바 고관절 수준기(hip spirit levels)는 베이스 본체 또는 그 속에서 피벗회전으로 이동 가능한 두 개의 림부분(limbs) 또는 첨두(nib)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준기 또는 기포관(bubble tube) 각 경우에 있어서 통합된다. 신체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될 사람은 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직립해야만 한다. 진단을 수행하는 사람은 그리고나서 후방으로부터 몸통 위에 고관절 높이에서 고관절 수준기를 잡는다. 동시에 피벗 회전할 수 있는 림부분은 양쪽 관골(hip bone)에 놓인다. 수평봉으로부터 수준기의 기포관의 편향으로, 비스듬한 상태에서 환자가 골반구조를 유지하는지 여부와 범위를 진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스듬한 상태는 다리수축(leg shortening)으로 묘사되는데 있어서 이것은 짧은 다리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보다 자주, 대개 근육 또는 인대의 과다한 신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명백한 다리수축의 원인은 타격 또는 근골격계에 대한 짧고 그릇된 하중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시점의 기술수준에 따른 다리수축을 측정하기 위한 고관절 수준기는 특허 CH-A-671'330으로 알려졌다.
기술적 수준에 따라 고관절 수준기는 몇몇 핸디캡을 가지고 있다. 골반의 전이로 신체는 비스듬한 상태를 보상한다. 그러므로 고관절 수준기는 이미 부분적으로 보상된 비스듬한 상태를 측정하고, 다리와 골반의 유효하고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는 판독이 틀린 범위에서, 힘겹게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해야 한다. 게다가 관골의 자세는 특히 비대한 사람들에게 용이하게 측정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측정이 종종 적절한 간호와 주의로 수행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측정 장치들은 환자가 각 경우에 한쪽 발로 측정저울에 올라가 다리들의 그릇된 하중을 직접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허 FR-A-2,491,754는 다리수축을 측정하기 위한 그러한 장치를 묘사한다.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판에 환자가 각 발로 위치하는데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접합요소가 무릎과 골반에 압력을 가한다. 두 개의 판의 상이한 무게하중이 기록되고 같은 하중이 기록될 때까지 판들은 상호적으로 들어올려지거나 낮춰진다. 그래서 두 판 높이에 있어서의 차이는 다리의 수축을 보여준다.
특허 US-A-5,088,504는 골반전이와 무게하중이 각 다리에 대해 확인된 측정 장치를 발표한다. 측정 장치는 베이스와 그곳에 부착된 수직 이축(trunnion)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에 두 개의 저울이 배열되는 점에서 환자의 뒤꿈치에 대한 받침대(abutment)를 구비하고 있다. 골반전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요소가 수직 이축에 전치가능하게 배열되는데 있어서, 측정요소는 높이를 정하기 위한 수직변위봉(vertical displacement rod)과 골반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으로 전치 가능한 두 개의 받침대 바(abutment bars)로 구성된다. 측정을 위해 환자가 수직 이축에 대해 베이스에 등을 자유롭게 위치시킨다.
특허 US-A-4,033,329에서 뒤꿈치에 받침대를 위치시키지 않는 유사한 측정 장치를 묘사한다. 측정의 신뢰성 있는 재현은 기준점의 부재로 불가능하다.
특허 WO-A-95/35063은 두 개의 저울 및 두 개의 측정 및 고정 요소에 배열된 수직 이축을 갖추고, 골반과 어깨를 위한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측정을 위해 환자는 수직 이축에 얼굴을 대고 서는데 있어서 저울에 뒤꿈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요소가 있다.
본 출원의 특허 AT-U-002,239로부터 두 개의 저울을 가진 베이스요소와 측정될 개인의 신체지점을 위치시키기 위한 조정장치로 구성된 신체에 대한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정장치는 베이스요소에 배열된 수직 이축으로 구성되는데 이축 고정요소가 수직 전치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데 있어서 제 1 고정요소는 고관절의 고정을 위해 있으며, 제 2 고정요소는 상체의 고정을 위해 존재한다. 베이스요소에 측정될 사람의 뒤꿈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있다. 저울들은 교정값(calibration value)에 대해, 또는 서로에 대해 눈금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3 고정요소가 발의 측면에 대한 측면 받침대뿐만 아니라 무릎의 고정에 대해서도 존재한다. 뒤꿈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수직 이축에 인접하는 측면에 배열되는데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수직 이축이 측정될 사람의 중앙부 신체곡선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결정축을 형성한다.
모든 이러한 측정 장치들은 이미 측정이 정확한 진단에 대한 불충분한 자료를 산출하는 핸디캡을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보다 단순한 장치로는 신체 전체의 자세를 고려하지 않고, 보다 고급 장치로는 신체자세의 편향이 평면적인 방식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부러짐과 뒤틀림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그릇된 자세와 수축이 명백히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골반의 뒤틀림이 장골(ilium)과 대퇴골(femur)의 그릇된 자세를 이끄는 것과 같다. 이미 공지된 장치들이 전두면(frontal plane)내에서 평면적인 편향을 발견하기 때문에, 비록 대퇴골의 어떠한 길이 변화도 없지만 뒤틀림과 같은 그릇된 자세는 대퇴골의 수축 또는 신장으로 진단될 수 있다. 같은 방식을 견갑대(shoulder girdle)의 뒤틀림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한 자료의 평면적인 베이스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정확히 계획되고 수행되어야 하는 필요한 치료법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직립자세에서 신체에 대한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단순하지만 모든 공간적 방향에서 편향을 명백히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전자 또는 레이저 감지기와 정보탐지와 정보전송 수단 그리고 전자 정보처리 수단과 함께 매우 알기 쉽게 제공되는 측정 장치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 9 항 및 제 10 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뿐만 아니라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측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들은 종속항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해법이 환자가 측정하는 동안 자연스러운 자세로 서있게 하는데 있어서, 3차원에서의 완벽한 신체자세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최소한 대략 환자 신체의 전체길이에 걸쳐 행해지는 위치 보조기구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각적 위치 보조기구는 환자가 기대지 못하는 최소한 두 개의 수직 이축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 수직 이축에는 두개 이상, 선호적으로 세 개의 수직으로 전치 가능한 측정요소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측정 장치는 측정될 사람이 최적 위치에, 준 고정으로, 자연스러운 자세를 굽히지 않고 고정되는 방법으로 조정 장치를 구성한다. 동시에 측정될 사람은 수직 이축에 대해 중심이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저울을 대신해 정적 중심에서 상이한 무게 하중과, 측정요소를 대신해 다리, 고관절 및 견갑대 영역에서 그릇된 자세가 측정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자유 상태에서 측정될 시 범자를 위해 하기에 설명될 것처럼 허용된다. 동시에, 측정될 사람은 자유로 고정되는데, 상술하면 중심을 맞추지 않은 상태이다.
두개의 무게 저울은 분명한 해석을 만드는데, 어떠한 그릇된 하중도 상위함으로서 측정을 수행할 사람에게 쉽게 이해될 방식으로 단순히 가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장치로서 특허 AT-U-002,239로 이미 공지된 장치와 같이, 환자가 차동으로 자신의 오른쪽 또는 왼쪽 발을 올려놓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상술하면 골반의 대응하는 측면들과 같다. 환자는 체중계에 서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비교적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골반, 견갑대, 두부 및 척추의 구부러짐에 대한 발견을 허용한다. 어깨의 편향 정도도 수평봉에 대하여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에서 다리(구어로 내반슬(bow legs) 또는 외반슬(knock-knees))의 자세 편향이 측정될 수 있다.
선호된 실시예에서 저울들은 장치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몇몇 측정 단계들이 신체 자세를 완벽히 측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학습 후에 환자는 외부의 도움 없이 약간의 측정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많은 그릇된 신체자세가 단지 특별한 체조운동만으로 외과수술 없이 교정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적 측정은 매우 이로운데 그것은 환자가 차례로 치료법의 성공을 입증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신체를 정확하고 완벽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가 필요하다. 측정이 정확한 진단을 위한 기초를 만들기 때문에 정확하고 재연 가능한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특별한 의학적 기술을 갖고 있 을 필요는 없다.
첨부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도시되는데 하기 묘사에서 분명해진다.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의 용어들은 해부학에 관련된 용어들을 이용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의 용어들은 해부학에 관련된 용어들을 이용한다.
도 1은 측정 장치를 전방으로부터 비스듬히 도시한 도면.
삭제
도 2는 측정 바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한 도면.
도 3은 환자의 어깨부분을 측정하는 고정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환자가 어깨를 돌린 상태를 실선으로 도시하고 제 3 고정요소의 구성위치에서 측정장치를 개략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고정상태에 있는 환자의 발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페이지.
도 5는 고정상태에 있는 환자의 발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페이지.
삭제
* 부호설명 *
1 : 측정 장치 2 : 조정장치
10 : 베이스 11, 12 : 무게 저울
13 : 후방의 받침대 스트립 14 : 중앙의 받침대 스트립
20, 20': 수직기둥 21, 22, 23 : 측정 및 고정요소
30: 접근 체결쇠 32, 33 : 림부분
34, 35 ; 손잡이 41, 210 : 베이스 블록
50 : 측정바 211 : 가로기둥
삭제
213, 215, 223, 223' : 앵글요소 214 : 시상기둥
216 : 전면봉 220 : 베이스 블록
221 : 가로기둥 224, 224', 234, 234': 시상기둥
도시된 실시예는 두 개의 무게 저울(11,12)을 갖는 베이스(10)와 조정장치(2)로 구성된다.
측정장치의 베이스(10)는 서로 옆으로 좌우에 배열된 무게저울(11,12)들을 가진다. 무게저울은 종래기술을 따르거나 특수제조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체중계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각 무게저울은 무게하중을 절대값으로 표시하고, 독립적인 교정값에 대해 무게저울의 눈금이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무게저울이 가지는 무게하중들의 차이가 공통의 표시장치(display)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저울은 서로에 대해 눈금을 교정할 수 있다. 교정(calibration)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거나 관련 교정작업과 함께 제조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하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자저울들이 중앙 데이타 수집 및 평가장치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특수 소프트웨어에 의해 판독값들이 수집, 평가 및 가시화된다. 데이타전송은 케이블(cable)에 의해 이루어진다. 케이블의 이용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장애를 가지면, 라디오 또는 적외선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두 개의 무게저울들은 베이스에 구성된 공통의 하우징(housing)내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게저울들이 장치내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거나 함께 배열되고 분리가능하게 제공된다.
베이스(10)는 각 경우에 측정될 사람의 한쪽 발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중앙면을 따라 이어진 중앙의 받침대 스트립(14) 및 측정될 사람의 발과 접촉되어야 하는 후방의 받침대 스트립(13)을 포함한다. 받침대스트립(14)은 두 개의 무게저울(10,11)들사이의 영역에 배열된다. 받침대스트립(14)은 발들이 서로 가능한 가까이 놓여 질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받침대스트립의 폭 따라서 발들의 거리는 3cm 내지 5cm 또는 약 4 cm 가 선호된다.
상기 두 개의 무게저울(10,11)들이 신체에 대한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발이 독립적인 무게저울에 올라서기 때문에, 각 무게저울들은 대응하는 발에 대한 무게하중을 표시하여, 골반의 상응하는 측면에 대한 무게하중을 표시한다. 그릇된 자세로 서 있을 때, 두 개의 무게저울들은 서로 다른 무게하중들을 표시한다. 측정하는 사람이 서로 다른 무게하중들을 이해한다. 서로 다른 무게하중으로부터, 환자의 명백한 다리수축이 간단한 계산공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종종 그릇된 하중의 확인작업으로 충분하다. 측정작업이 간단하게 수행되고 평가되며, 환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환자의 개별 신체부위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정확하고 재생가능한 측정값을 제공하는 또 다른 조정수단이 측정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조정장치(2)는 평행한 두 개이상의 수직기둥(vertical struts)(20,20')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둥위에 고정요소(21,22,23)들이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체 세 개의 신체부위들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고 측정하기 위해 세 개의 고정요소들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신체부위들이 측정되고 고정될 수 있고, 고정요소들은 본질적으로 항상 동일하게 구성된다. 대퇴부(thigh)와 무릎부위를 측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21)만이 기본 구조를 벗어난다.
직립으로 서 있는 수직기둥(20,20')들이 베이스(10)위에 배열된다. 수직기둥(20,20')은 정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후방면을 구성하고, 중간면에 대해 대략 등거리에 구성된다. 고정요소(21,22,23)들과 같이 수직기둥(20,20')은 관(tube)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수직기둥(20,20')위에 한 개이상의 접근체결쇠(30)가 부착되고, 상기 접근체결쇠(30)에 구성되고 수평으로 배열된 후방 베이스요소(31)들이 손잡이(34,35)들을 가지고 측면으로 돌출한 두 개의 림(32,33)들을 포함한다. 접근체결쇠(30)는 수직기둥(20,20')을 따라 수직위치에 배열되고 다양한 수직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접근체결쇠(30)에 의해 측정장치(1)위에 측정될 사람의 고정작업이 단순화되고, 초기의 위치설정단계에서 사람을 고정하여 접근체결쇠(30)가 없어서 사람이 고정요소(22,23)들을 붙잡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고정요소(21)에 의해 다리와 무릎이 고정되고 측정되며, 상기 고정요소(21)가 수직기둥(20,20')위에서 베이스(10) 및 제 2 고정요소(22)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고정요소(21)는 수직기둥(20,20')위에서 수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블록(2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210)은 한 쌍의 후방 가로기둥(211)을 가진다. 가로기둥(211)은 앵글요소(213)를 통해 한 쌍의 제 2 측면 시상기둥(214)을 가지고, 상기 시상기둥(214)들은 상기 가로기둥(211)들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다음에 앵글요소(215)를 통해 전면봉(216)을 가지며, 전면봉은 시상기둥(2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안정성을 위하여,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은 두 개의 관으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과 전면봉(216)은 수평면내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면내에서 시상기둥(214)이 횡단하여 이동하고 전면봉(216)이 수직기둥(20,20')들에 대해 시상으로 이동하도록 앵글요소(213,215)들이 구성된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의 길이에 의해 변위가 제한된다. 앵글요소(213,215)는 원하는 위치에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 또는 전면봉(216)을 구속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과 전면봉(216)이 눈금(scaling)을 가져서,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위에서 상기 앵글요소(213,215)들이 매우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하기 측정바(5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면봉(216)위에 눈금이 제공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읽힌다. 정보가 직접 전자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때, 눈금은 전자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앵글요소는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에서 앵글요소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판독수단을 가진다. 무게저울(11,12)과 유사하게 상기 측정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타수집장치에 전달되거나 앵글요소(213,215)내에 통합된 표시장치위에 표시된다. 베이스블록(210)은 나사 및/또는 체결쇠와 같은 종래의 잠금수단에 의해 수직기둥(20,20')의 모든 수직위치에서 원하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21)와 대조적으로, 제 2 고정요소(22)는 측정장치(1)의 중앙면에 대해 좌우대칭구조를 가진다. 고정요소(21)와 유사하게 고정요소(22)의 베이스블록(220)은 수직기둥(20,20')위에 수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되고 베이스블록(220)은 한 쌍의 후방 가로기둥(221)들을 가진다. 가로기둥(221,221')의 양쪽단부에 전치가능한 앵글요소(223,223')들이 배열된다. 앵글요소(223,223')들은 전방으로 돌출하는 시상기둥(224,224')을 가진다. 시상기둥(224,224')들은 눈금을 가지고, 종래기술의 잠금수단을 가진 앵글요소(223,223')에 의해 수직기둥(20,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시상기둥(224,224')들에 대해 피벗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한 개이상의 측정바(50)가 부착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측정바(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다란 직사각형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바(50)의 단부들 및 중간지점에 내경(51)들이 형성된다. 상기 측정바(50)가 시상기둥(224)위에서 낮은 저항으로 피벗회전되고 이동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피벗위치에 유지되도록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경(51)들의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측정바(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 개의 내경(51)으로 부터 옆에 위치한 내경으로 삽입되어 상기 측정바(50)의 길이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내경들이 측정바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22)는 우선 골반을 고정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기둥(20,20')위에 제 1 고정요소(21)와 접근체결쇠(30)사이에 배열된다. 제 2 고정요소(22)위에 종래기술의 고관절 수준기가 수직기둥(20,2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3 고정요소(23)는 상체의 고정과 측정을 위해 이용되고, 수직기둥(20,20')위에서 접근체결쇠(30)위에 배열된다. 상기 고정요소(23)는 제 2 고정요소(22)와 동일한 기본구조를 가지고, 측정바(50)를 가진다. 제 3 고정요소의 측정바들은 견갑대의 비틀림을 측정하고 어깨위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바들은 앵글측정수단을 가진다. 도 4를 참고할 때, 수평에 대해 어깨위치의 편향을 측정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참조 선(reference line)이 시상기둥에 부착되고 측정바에 앵글눈금이 부착되어, 측정바의 피벗각이 측정될 수 있다.
머리 특히, 얼굴 및 목의 비대칭을 측정하기 위해, 전면봉(216)을 가진 앵글요소(215)가 시상기둥(234,234')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기둥(20,20')들사이에 측정요소(40)가 부착되고, 상기 측정요소(40)는 척추의 만곡을 측정하기 위해 한 개이상의 측정핀(43)을 가진다. 측정핀(43)은 수직기둥(20,20')위에 수직방향에서 전치가능한 베이스블록(41)내에 횡단 및 시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된다. 측정핀이 눈금을 가져서, 후방의 받침대 스트립(13)에 의해 형성된 후방의 정면에 대해 측정핀의 끝부분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면에 대한 척추의 편향은 베이스블록(41)에 수직으로 변위발생가능하게 고정된 측정핀(43)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변위는 측정핀(43)을 배복으로 운반하는 운반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블록(41) 또는 운반대(42)의 눈금에 의해 수직변위가 측정된다. 핀(43')을 가진 또 다른 측정요소(40')가 수직기둥(20,20')위에서 제 3 고정장치(23)위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측정요소에 의해 경추 및 두부(head) 자세의 다양한 변수가 측정되고, 신체크기가 측정될 수 있다.
한 개이상의 수직기둥(20,20')들이 눈금을 가지고, 눈금의 영점이 눈금저울에 의해 형성된 기립면에 배열된다. 눈금은 시각적으로 읽을 수 있는 공지된 형태이거나 전자기적으로 부호화된 형태이다. 앵글요소와 유사하게, 베이스블록(210,220,230,41)은 데이타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판독표시장치를 가진다. 고정요소(21,22,23) 및 측정요소(40)의 수직위치는 언제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베이스블록(210,220,230,41)은 수직기둥(20,20')위에서 특정 수직위치에 공지기술의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고관절 수준기가 고관절을 위한 제 2 고정요소(22)의 구성영역에 부착된다. 경미하게 구부러진 봉형상의 베이스본체 및 베이스본체위에서 양쪽 측면에 배열되고 피벗운동가능한 림(limb)부분들을 가진 공지기술의 고관절 수준기가 제공된다. 수평에 대해 수준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한개이상의 기포관이 상기 베이스본체내에 포함된다. 상기 림부분들은 공지된 수준기의 림부분들보다 길게 구성되어, 고관절 수준기가 환자의 몸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비대한 사람의 고관절 앞부분까지 림부분들이 돌출될 수 있다. 고관절 수준기는 예를 들어 수직기둥(20,20')들위에서 제 2 고정요소(22)위에 전치가능하고 잠금가능하게 고정된다. 고관절 수준기는 제 2 베이스블록(220)위에 배열되고 베이스블록과 함께 전치가능하다.
수직기둥(20,20')의 최상부에 전치가능하고 신체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바가 배열되고, 수직기둥들에 부착된 눈금이 이용된다. 그릇된 자세를 교정한 환자가 똑바로 서서 상대적으로 더 커보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신체크기가 측정된다.
본 발명의 측정절차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약 5 분내에 숙련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신속한 기록작업이 예를 들어 하기 단계들로 구성된다.
1.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측정될 사람이 베이스(10)에서 자유롭게 수직기둥(20,20')에 등을 대고 서 있거나 두 개의 무게 저울(11,12)위에 선다. 오른발은 오른쪽 무게저울(12)에 놓이고 왼발은 왼쪽 무게저울(11)에 놓인다.
두 개의 무게저울들은 베이스에 구성된 공통의 하우징(housing)내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게저울들이 장치내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거나 함께 배열되고 분리가능하게 제공된다.
베이스(10)는 각 경우에 측정될 사람의 한쪽 발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중앙면을 따라 이어진 중앙의 받침대 스트립(14) 및 측정될 사람의 발과 접촉되어야 하는 후방의 받침대 스트립(13)을 포함한다. 받침대스트립(14)은 두 개의 무게저울(10,11)들사이의 영역에 배열된다. 받침대스트립(14)은 발들이 서로 가능한 가까이 놓여 질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받침대스트립의 폭 따라서 발들의 거리는 3cm 내지 5cm 또는 약 4 cm 가 선호된다.
상기 두 개의 무게저울(10,11)들이 신체에 대한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발이 독립적인 무게저울에 올라서기 때문에, 각 무게저울들은 대응하는 발에 대한 무게하중을 표시하여, 골반의 상응하는 측면에 대한 무게하중을 표시한다. 그릇된 자세로 서 있을 때, 두 개의 무게저울들은 서로 다른 무게하중들을 표시한다. 측정하는 사람이 서로 다른 무게하중들을 이해한다. 서로 다른 무게하중으로부터, 환자의 명백한 다리수축이 간단한 계산공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종종 그릇된 하중의 확인작업으로 충분하다. 측정작업이 간단하게 수행되고 평가되며, 환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환자의 개별 신체부위들의 위치를 고정하고, 정확하고 재생가능한 측정값을 제공하는 또 다른 조정수단이 측정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조정장치(2)는 평행한 두 개이상의 수직기둥(vertical struts)(20,20')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둥위에 고정요소(21,22,23)들이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체 세 개의 신체부위들을 부분적으로 고정하고 측정하기 위해 세 개의 고정요소들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신체부위들이 측정되고 고정될 수 있고, 고정요소들은 본질적으로 항상 동일하게 구성된다. 대퇴부(thigh)와 무릎부위를 측정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21)만이 기본 구조를 벗어난다.
직립으로 서 있는 수직기둥(20,20')들이 베이스(10)위에 배열된다. 수직기둥(20,20')은 정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후방면을 구성하고, 중간면에 대해 대략 등거리에 구성된다. 고정요소(21,22,23)들과 같이 수직기둥(20,20')은 관(tube)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수직기둥(20,20')위에 한 개이상의 접근체결쇠(30)가 부착되고, 상기 접근체결쇠(30)에 구성되고 수평으로 배열된 후방 베이스요소(31)들이 손잡이(34,35)들을 가지고 측면으로 돌출한 두 개의 림(32,33)들을 포함한다. 접근체결쇠(30)는 수직기둥(20,20')을 따라 수직위치에 배열되고 다양한 수직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접근체결쇠(30)에 의해 측정장치(1)위에 측정될 사람의 고정작업이 단순화되고, 초기의 위치설정단계에서 사람을 고정하여 접근체결쇠(30)가 없어서 사람이 고정요소(22,23)들을 붙잡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고정요소(21)에 의해 다리와 무릎이 고정되고 측정되며, 상기 고정요소(21)가 수직기둥(20,20')위에서 베이스(10) 및 제 2 고정요소(22)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고정요소(21)는 수직기둥(20,20')위에서 수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블록(2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210)은 한 쌍의 후방 가로기둥(211)을 가진다. 가로기둥(211)은 앵글요소(213)를 통해 한 쌍의 제 2 측면 시상기둥(214)을 가지고, 상기 시상기둥(214)들은 상기 가로기둥(211)들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다음에 앵글요소(215)를 통해 전면봉(216)을 가지며, 전면봉은 시상기둥(2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안정성을 위하여,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은 두 개의 관으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과 전면봉(216)은 수평면내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면내에서 시상기둥(214)이 횡단하여 이동하고 전면봉(216)이 수직기둥(20,20')들에 대해 시상으로 이동하도록 앵글요소(213,215)들이 구성된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의 길이에 의해 변위가 제한된다. 앵글요소(213,215)는 원하는 위치에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 또는 전면봉(216)을 구속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과 전면봉(216)이 눈금(scaling)을 가져서,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위에서 상기 앵글요소(213,215)들이 매우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하기 측정바(5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면봉(216)위에 눈금이 제공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읽힌다. 정보가 직접 전자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때, 눈금은 전자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앵글요소는 가로기둥(211) 및 시상기둥(214)에서 앵글요소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판독수단을 가진다. 무게저울(11,12)과 유사하게 상기 측정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타수집장치에 전달되거나 앵글요소(213,215)내에 통합된 표시장치위에 표시된다. 베이스블록(210)은 나사 및/또는 체결쇠와 같은 종래의 잠금수단에 의해 수직기둥(20,20')의 모든 수직위치에서 원하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21)와 대조적으로, 제 2 고정요소(22)는 측정장치(1)의 중앙면에 대해 좌우대칭구조를 가진다. 고정요소(21)와 유사하게 고정요소(22)의 베이스블록(220)은 수직기둥(20,20')위에 수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되고 베이스블록(220)은 한 쌍의 후방 가로기둥(221)들을 가진다. 가로기둥(221,221')의 양쪽단부에 전치가능한 앵글요소(223,223')들이 배열된다. 앵글요소(223,223')들은 전방으로 돌출하는 시상기둥(224,224')을 가진다. 시상기둥(224,224')들은 눈금을 가지고, 종래기술의 잠금수단을 가진 앵글요소(223,223')에 의해 수직기둥(20,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시상기둥(224,224')들에 대해 피벗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한 개이상의 측정바(50)가 부착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측정바(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다란 직사각형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바(50)의 단부들 및 중간지점에 내경(51)들이 형성된다. 상기 측정바(50)가 시상기둥(224)위에서 낮은 저항으로 피벗회전되고 이동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피벗위치에 유지되도록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내경(51)들의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측정바(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 개의 내경(51)으로 부터 옆에 위치한 내경으로 삽입되어 상기 측정바(50)의 길이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내경들이 측정바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22)는 우선 골반을 고정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기둥(20,20')위에 제 1 고정요소(21)와 접근체결쇠(30)사이에 배열된다. 제 2 고정요소(22)위에 종래기술의 고관절 수준기가 수직기둥(20,20')에 조립될 수 있다.
제 3 고정요소(23)는 상체의 고정과 측정을 위해 이용되고, 수직기둥(20,20')위에서 접근체결쇠(30)위에 배열된다. 상기 고정요소(23)는 제 2 고정요소(22)와 동일한 기본구조를 가지고, 측정바(50)를 가진다. 제 3 고정요소의 측정바들은 견갑대의 비틀림을 측정하고 어깨위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바들은 앵글측정수단을 가진다. 도 4를 참고할 때, 수평에 대해 어깨위치의 편향을 측정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참조 선(reference line)이 시상기둥에 부착되고 측정바에 앵글눈금이 부착되어, 측정바의 피벗각이 측정될 수 있다.
머리 특히, 얼굴 및 목의 비대칭을 측정하기 위해, 전면봉(216)을 가진 앵글요소(215)가 시상기둥(234,234')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기둥(20,20')들사이에 측정요소(40)가 부착되고, 상기 측정요소(40)는 척추의 만곡을 측정하기 위해 한 개이상의 측정핀(43)을 가진다. 측정핀(43)은 수직기둥(20,20')위에 수직방향에서 전치가능한 베이스블록(41)내에 횡단 및 시상으로 전치가능하게 고정된다. 측정핀이 눈금을 가져서, 후방의 받침대 스트립(13)에 의해 형성된 후방의 정면에 대해 측정핀의 끝부분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면에 대한 척추의 편향은 베이스블록(41)에 수직으로 변위발생가능하게 고정된 측정핀(43)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변위는 측정핀(43)을 배복으로 운반하는 운반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블록(41) 또는 운반대(42)의 눈금에 의해 수직변위가 측정된다. 핀(43')을 가진 또 다른 측정요소(40')가 수직기둥(20,20')위에서 제 3 고정장치(23)위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측정요소에 의해 경추 및 두부(head) 자세의 다양한 변수가 측정되고, 신체크기가 측정될 수 있다.
한 개이상의 수직기둥(20,20')들이 눈금을 가지고, 눈금의 영점이 눈금저울에 의해 형성된 기립면에 배열된다. 눈금은 시각적으로 읽을 수 있는 공지된 형태이거나 전자기적으로 부호화된 형태이다. 앵글요소와 유사하게, 베이스블록(210,220,230,41)은 데이타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판독표시장치를 가진다. 고정요소(21,22,23) 및 측정요소(40)의 수직위치는 언제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베이스블록(210,220,230,41)은 수직기둥(20,20')위에서 특정 수직위치에 공지기술의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고관절 수준기가 고관절을 위한 제 2 고정요소(22)의 구성영역에 부착된다. 경미하게 구부러진 봉형상의 베이스본체 및 베이스본체위에서 양쪽 측면에 배열되고 피벗운동가능한 림(limb)부분들을 가진 공지기술의 고관절 수준기가 제공된다. 수평에 대해 수준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한개이상의 기포관이 상기 베이스본체내에 포함된다. 상기 림부분들은 공지된 수준기의 림부분들보다 길게 구성되어, 고관절 수준기가 환자의 몸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비대한 사람의 고관절 앞부분까지 림부분들이 돌출될 수 있다. 고관절 수준기는 예를 들어 수직기둥(20,20')들위에서 제 2 고정요소(22)위에 전치가능하고 잠금가능하게 고정된다. 고관절 수준기는 제 2 베이스블록(220)위에 배열되고 베이스블록과 함께 전치가능하다.
수직기둥(20,20')의 최상부에 전치가능하고 신체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바가 배열되고, 수직기둥들에 부착된 눈금이 이용된다. 그릇된 자세를 교정한 환자가 똑바로 서서 상대적으로 더 커보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신체크기가 측정된다.
본 발명의 측정절차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약 5 분내에 숙련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신속한 기록작업이 예를 들어 하기 단계들로 구성된다.
1.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측정될 사람이 베이스(10)에서 자유롭게 수직기둥(20,20')에 등을 대고 서 있거나 두 개의 무게 저울(11,12)위에 선다. 오른발은 오른쪽 무게저울(12)에 놓이고 왼발은 왼쪽 무게저울(11)에 놓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시범자의 크기에 맞춰진 고정요소(21, 22, 23)들은 대략 무릎, 고관절 및 어깨 높이에 놓인다.
2. 자유상태에서 발의 위치는 도 5에 보이는 것과 같고 발바닥의 회전이 측정된다. 도 5는 측정결과의 기록을 위해 실제 측정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정보 페이지 중 제 1 정보페이지이다. 정보 페이지들에 의해 측정단계들이 누락되지 않도록 정보페이지들이 측정하는 동안 가이드로서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발들의 자유상태로 부터 발들이 받침대 스트립(13,14)위에 위치된다. 자유상태 또는 자세에서 시범자는 시상기둥(224, 224',234,234')에 의해 고정된다. 시범자는 동시에 수직기둥에서 중심을 맞추지 않고 후방 엉치와 어깨영역을 베이스 블록(220,230) 또는 가로기둥(221,231)의 일부분에 접촉시킨다.
3. 고관절의 측면 위치가 기록된다.
4. 어깨의 측면 위치가 기록된다.
5. 다리의 편향이 양쪽 저울로부터 판독된다.
6. 두부 위치의 측면 편향이 측정된다.
7. 목 위치의 측면 편차가 측정된다.
8. 어깨의 위치가 도 4에 따라 측정된다.
이제 어깨와 고관절 중심이 맞춰지고 제 1 고정요소의 전면봉으로 무릎이 뻗은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중심이 맞춰진 상태에서 골반 경사가 측정된다. 이를 위해 고관절 수준기는 제 2 고정요소(22)위에서 수직기둥(20,20')에 체결되고 명백한 다리 수축이 공지된 방식으로 측정된다.
상기 신속하거나 단시간의 기록과 대조적으로, 약 15분 동안 지속되는 보다 상세하거나 "광범위한" 기록으로 상당한 측정이 수행되고 더 많은 측정요점 및 크기가 기록된다. 처음에 시범자가 측정 장치에 자유롭게 서고 상기 단계 1 내지 7을 따라 측정된다. 다음 단계에서 하기 측정작업들이 유리하게 수행된다.
9. 손의 자세가 측정되고,
10. 발 길이의 차이가 측정된다.
10. 발 길이의 차이가 측정된다.
다리의 굽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11. 내반슬
12. 외반슬 및
13. 대퇴부 편향
14. 무릎 편향
15. 종아리 편향이 측정된다.
고정요소(21)는 바람직한 무릎, 대퇴부 또는 더 낮은 위치의 다리로 옮겨진다. 전면봉(216)위에서 이동가능하고 후방으로 피벗회전하는 한 개이상의 측정바(50)에 의해, 다리의 내부와 외부에서 중앙면으로부터의 편향이 측정된다.
또 다른 측정작업에서
16. 슬개골 높이
17. 크기
18. 두부 자세
19. 목
20. 견갑골 하위 또는 전흉부 높이
21. 허리
22. 엉치
23. 슬관절
24. 슬관절 결손
25. 연추선 귀-고관절-복사뼈
26. 도 3에 도시된 어깨관절의 회전이 측정된다.
상기 측정작업과 함께 시상기둥(234, 234')에서 측정바(50)가 이용된다. 받침대 스트립(13)에 의해 형성된 후방 전두면에 대한 측정점의 거리(D,D')가 측정된다. 상기 측정값들과 함께 시상기둥(234,234')의 측면위치들 상기 측정 또는 판독은 어깨관절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측정된 중앙면에 대한 어깨의 측면거리(d,d')들은 대략 동일하다. 종래기술의 장치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회전은 비대칭으로 인식된다. 단지 측정바(50)를 적용하여 회전이 인식되고 정확히 측정될 수 있다.
27. 골반회전
28. 골반부 자세
29. 손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시상기둥(224,224')에서 측정바(50)가 유사하게 이용된다.
또한 발의 다음 기형이 평가된다.
30. 갈퀴형 발가락
31. 무지(hallux)
32. 평발
33. 편평족(flatfoot)
34. 외반슬(ps valgus)
35. 편평발(flat foot)
이제 다시 어깨와 고관절을 중앙에 두고 고관절 수준기로 골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면봉(216)이 이용된다.
공지된 대로 어떠한 골반경사라도 짧은 다리의 발바닥아래의 작은 판을 누른다. 하나 이상의 측정 순서에 대한 각 경우에 있어서 유리하게 각각의 측정 결과가 즉시 기록되는 정보 기록 페이지를 준비한다. 이미 언급된 것처럼 이러한 정보 페이지는 경험이 없는 사용자가 손쉽게 정확한 순서로 측정을 수행하고 개개의 측 정이 소홀히 되지 않게 한다. 판독은 페이지 대신 평가되고 진단용으로 사용되거나 또한 컴퓨터에 입력되고 또한 처리된다. 그것은 또한 컴퓨터에서 정보를 즉시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환자가 자신들의 그릇된 자세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장치는 환자가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치료상의 향상을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만약 장기적인 치료에서 그릇된 자세를 이끄는 근육 강화를 경감시키려고 한다면 환자 자신은 치료의 성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가 성공적일 때 환자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뿐 아니라 또 다른 치료법으로 자극받을 것이다.
다리의 회전, 골반, 고관절 전치 및 골반 높이 상태는 상체 및 하체의 다양하고 분명치 않은 보상자세를 만든다. 비록 사지 또는 다리뼈가 짧아지지 않을지라도 종래에 2차원 측정법으로 알려진 그러한 회전이 다리수축으로 측정된다. 정적 중앙점에 대해 모든 삼차원 공간축을 따른 편향의 정확한 검출만이 이에 바탕을 둔 정확한 진단 및 올바른 치료를 하게 한다.
Claims (10)
- 두 개의 무게저울(11,12)들을 포함하고, 측정되어야 하는 개별 신체부위들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조정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장치(2)는 고관절 및 어깨영역을 고정하고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 2 및 제 3 고정요소(22,23)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22,23)들은 이동가능한 가로기둥(221,231) 및 상기 가로기둥위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시상기둥(224,234)들을 포함하며, 상기 무게저울들을 포함하는 베이스(10)에 사용자의 뒷꿈치를 위치설정하고 후방면을 형성하는 받침대스트립(13,14)들이 구성되고,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10)에 있어서,측정되어야 하는 신체의 중심선을 형성하는 위치설정축이 두 개이상의 수직기둥(20,20')들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고정요소(22,23)들을 가져서 상기 고정요소(22,23)들에 의해 신체부위들의 위치들이 정면 및 가로면내에서 측정되며, 상기 시상기둥(224,224',234,234')들의 축들을 따라 피벗회전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측정바(50)들이 상기 시상기둥들위에 부착되고, 상기 가로기둥(221,221',231,231')들 및 시상기둥(224,224',234,234')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로면내에서 신체부위의 위치가 상기 가로기둥들 및 시상기둥들과 함께 측정바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무릎부위를 고정하고 측정하기 위한 고정요소(21)가 가로기둥(211) 및 가로기둥(211)위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시상기둥(214)을 포함하고, 상기 시상기둥(214)은 전면봉(216)을 가지며, 피벗운동가능하게 이동하는 한 개이상의 측정바(50)가 전면봉의 축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가로기둥(211,221,231)들이 각각 베이스블록(210,220,230)에 의해 수직기둥(20,20')들위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시상기둥(214,224,224',234,234')들이 가로기둥(211,221,231)들위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전면봉(216) 또는 시상기둥(214,224,224',234,234')을 수용하기 위한 한 개이상의 내경(51)이 상기 측정바(50)에 구성되고, 상기 전면봉(216)과 시상기둥(224,224',234,234')이 참조 선을 가지며, 측정바(50)가 내경(51)을 둘러싸는 앵글눈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수직기둥(20,20')들, 시상기둥(214,224,224',234,234')들 및 전면봉(216)이 길이눈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길이눈금이 가시적으로 판독되거나 전자기적으로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베이스블록(210,220,230)들 및 앵글요소(213,215,223,223',233,233')들이 길이눈금을 판독하기 위한 광학 및 전자기적 판독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22)의 상부영역에서 접근체결쇠(30)가 수직기둥(20,2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측정장치에 의해 신체의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제 1 단계에서, 자유롭게 서있는 사용자의 발들이 받침대스트립(13,14)들위에 위치하고b) 제 2 단계에서, 자유로운 상기 위치 또는 자세에서 사용자가 시상기둥(224,224',234,234')들에 의해 고관절영역 및 어깨영역내에 고정되며,c) 제 3 단계에서, 측정바(50)들에 의해 결정되는 측정점(P,P')들에 의해 고관절영역 및 어깨영역내부의 회전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측정장치에 의해 신체의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제 1 단계에서 자유롭게 서있는 사용자의 발들이 받침대스트립(13,14)들위에 위치하고,b) 제 2 단계에서, 자유로운 상기 위치 또는 자세의 사용자가 시상기둥(224, 224',234,234')들에 의해 고관절영역 및 어깨영역내에 고정되며,c) 제 3 단계에서, 중앙면에 대한 척추의 편차가 측정핀(43)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의 그릇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H431/00 | 2000-03-06 | ||
CH4312000 | 2000-03-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6602A KR20020086602A (ko) | 2002-11-18 |
KR100744453B1 true KR100744453B1 (ko) | 2007-08-01 |
Family
ID=451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1593A KR100744453B1 (ko) | 2000-03-06 | 2000-05-03 |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6962568B1 (ko) |
EP (1) | EP1408833B1 (ko) |
JP (1) | JP4489337B2 (ko) |
KR (1) | KR100744453B1 (ko) |
CN (1) | CN100333691C (ko) |
AT (1) | ATE348569T1 (ko) |
AU (2) | AU3954100A (ko) |
CA (1) | CA2400393C (ko) |
DE (1) | DE50013891D1 (ko) |
DK (1) | DK1408833T3 (ko) |
ES (1) | ES2278599T3 (ko) |
WO (1) | WO200106600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7997A (ko) | 2021-06-15 | 2022-12-22 |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자가운동 측정 및 코칭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79982B (en) * | 2001-09-19 | 2003-10-29 | Emily Bouffler | Posture indicating apparatus |
US20050183894A1 (en) * | 2004-02-24 | 2005-08-25 | Jean-Pierre Lair | Weigh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
DE102005031185A1 (de) * | 2005-07-01 | 2007-01-04 |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 Orthopädietechnisches Hilfsmittel, insbesondere Prothese für eine Extremität |
DE102006019762A1 (de) * | 2006-04-28 | 2007-11-08 | Birgit Ammeling | Verfahren zur Erfassung der menschlichen Körperstatik |
US7526071B2 (en) * | 2007-04-06 | 2009-04-28 | Warsaw Orthopedic, Inc. |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balance and position analysis |
JP4885795B2 (ja) * | 2007-05-29 | 2012-02-29 | 太郎 見木 | 身体傾斜角計測器および身体ねじれ角計測器 |
JP5141468B2 (ja) * | 2008-09-22 | 2013-02-13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胴体縦横幅測定ユニットおよび内臓脂肪測定装置 |
US8685093B2 (en) | 2009-01-23 | 2014-04-01 | Warsaw Orthopedic,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treating, or tracking spinal disorders |
US8126736B2 (en) | 2009-01-23 | 2012-02-28 | Warsaw Orthopedic,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treating, or tracking spinal disorders |
FR2964029B1 (fr) * | 2010-08-25 | 2012-08-17 | Herve Menard | Appareil de biometrie pour mesurer un dejettement du bassin d'un patient |
US9737237B2 (en) * | 2012-01-03 | 2017-08-22 | Jack L. Marovets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orthotics needed to correct for differences in leg length |
KR101337361B1 (ko) | 2012-03-29 | 2013-12-06 | 김재화 | 무릎관절 회전각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측정 방법 |
CN104095651B (zh) * | 2013-04-02 | 2016-01-13 | 中慧医学成像有限公司 | 三维超声成像系统 |
KR101464314B1 (ko) | 2013-04-22 | 2014-11-21 | 서영진 | 체형의 변위상태 측정장치 |
DE202013104953U1 (de) * | 2013-11-05 | 2014-03-12 | Lorenz Kunststofftechnik Gmbh | Lattenrost-Messvorrichtung |
CH710363B1 (de) | 2014-11-13 | 2018-08-15 | Styfologie Center Gmbh | Personenliege mit Erfassungseinrichtung für die Körperstatik für bildgebende medizinische Untersuchungsgeräte. |
EP3106091B1 (en) * | 2015-06-15 | 2018-10-03 | Sponsor S.r.l. | Apparatus for assessing the functional dysmetria of the lower limbs |
CN104939833A (zh) * | 2015-06-24 | 2015-09-30 | 浙江科技学院 | 身体形态简易测量仪 |
CN110013254A (zh) * | 2018-01-08 | 2019-07-16 | 上海佳瑞成医疗器械有限公司 | 盆骨测量仪及测量方法 |
CN108703754B (zh) * | 2018-06-12 | 2021-04-27 | 深圳市中航生命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表面肌电仪的脊柱测量装置 |
CN109029672B (zh) * | 2018-07-12 | 2024-02-20 | 中山市金利电子衡器有限公司 | 一种智能体脂称 |
KR102231899B1 (ko) * | 2018-09-21 | 2021-03-25 | 주식회사 오투랩 | 다이나믹 밸런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US10555690B1 (en) * | 2019-06-03 | 2020-02-11 | Fatma Al-Askar | Standing posture measuring device |
CN111956378B (zh) * | 2020-08-20 | 2022-08-09 |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 一种骨科用高低肩检测纠正装置 |
CN112587095A (zh) * | 2020-12-11 | 2021-04-02 | 江苏卧尔康家居用品有限公司 | 一种检测人体脊椎是否正中的检测设备 |
CN112577580A (zh) * | 2020-12-11 | 2021-03-30 | 江苏卧尔康家居用品有限公司 | 一种检测人体脊椎是否正中的检测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35063A1 (en) * | 1994-06-17 | 1995-12-28 | Sponsor S.N.C. Di Grassi & C. | Biomedical apparatus particularly for measuring anisomelia of the lower limbs |
DE19712229A1 (de) * | 1996-03-26 | 1997-10-30 | Otto Morger | 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Fehlbelastung eines menschlichen Körpers in aufrechter Haltung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55285A (en) * | 1969-04-24 | 1976-05-11 | Ernst Moeckl | Device for measuring posture-determining parameters of a human body |
FR2070280A5 (ko) | 1969-11-12 | 1971-09-10 | Pons Martin | |
US4033329A (en) | 1976-05-03 | 1977-07-05 | National Upper Cervical Chiropractic Research Association, Inc. | Machine for determining vertebrae locations in the human body |
FR2491754A1 (fr) | 1980-10-15 | 1982-04-16 | Loic David | Procede et appareil pour mesurer les differences de longueur entre les membres inferieurs |
CH671330A5 (en) | 1986-04-30 | 1989-08-31 | Andre Baehler | Length difference measuring device for patient left and right legs - detects difference in height of both hip joints via corresponding struts |
US5088504A (en) | 1990-10-23 | 1992-02-18 | National Upper Cervical Chiropractic Research Assn. | Machine and method for measuring skeletal misalignments |
DE4320270C1 (de) * | 1993-06-18 | 1995-01-12 | Cross Edward Nelson | Vorrichtung zum Messen von Fehlhaltungen des menschlichen Körpers |
US5443079A (en) | 1993-10-21 | 1995-08-22 | Greenawalt; Kent S. | Adjustable chiropractic diagnostic apparatus |
WO1995035083A1 (en) | 1994-06-20 | 1995-12-28 | Care Dimension A/S | A hoist or lift for lifting a disabled or handicapped person |
-
2000
- 2000-03-05 US US10/220,869 patent/US696256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03 WO PCT/CH2000/000246 patent/WO2001066009A1/de active IP Right Grant
- 2000-05-03 KR KR1020027011593A patent/KR1007444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5-03 DK DK00918655T patent/DK1408833T3/da active
- 2000-05-03 EP EP00918655A patent/EP1408833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03 CN CNB00819291XA patent/CN10033369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5-03 DE DE50013891T patent/DE5001389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03 ES ES00918655T patent/ES227859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5-03 AT AT00918655T patent/ATE348569T1/de active
- 2000-05-03 AU AU3954100A patent/AU3954100A/xx active Pending
- 2000-05-03 JP JP2001564667A patent/JP448933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5-03 AU AU2000239541A patent/AU2000239541B2/en not_active Ceased
- 2000-05-03 CA CA002400393A patent/CA240039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35063A1 (en) * | 1994-06-17 | 1995-12-28 | Sponsor S.N.C. Di Grassi & C. | Biomedical apparatus particularly for measuring anisomelia of the lower limbs |
DE19712229A1 (de) * | 1996-03-26 | 1997-10-30 | Otto Morger | 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Fehlbelastung eines menschlichen Körpers in aufrechter Haltu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7997A (ko) | 2021-06-15 | 2022-12-22 |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자가운동 측정 및 코칭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08833B1 (de) | 2006-12-20 |
CA2400393C (en) | 2009-07-14 |
JP2003525678A (ja) | 2003-09-02 |
ATE348569T1 (de) | 2007-01-15 |
EP1408833A1 (de) | 2004-04-21 |
CA2400393A1 (en) | 2001-09-13 |
WO2001066009A1 (de) | 2001-09-13 |
DK1408833T3 (da) | 2007-04-10 |
CN1450878A (zh) | 2003-10-22 |
US6962568B1 (en) | 2005-11-08 |
DE50013891D1 (de) | 2007-02-01 |
AU2000239541B2 (en) | 2005-06-23 |
AU3954100A (en) | 2001-09-17 |
KR20020086602A (ko) | 2002-11-18 |
ES2278599T3 (es) | 2007-08-16 |
JP4489337B2 (ja) | 2010-06-23 |
CN100333691C (zh) | 2007-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4453B1 (ko) |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 |
Kippers et al. | Toe-touch test: a measure of its validity | |
Day et al. | Effect of pelvic tilt on standing posture | |
Lea et al. | Range-of-motion measurements. | |
Youdas et al. |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lumbar spine sagittal mobility obtained with the flexible curve | |
Frost et al. | Reliability of measuring trunk motions in centimeters | |
Chansirinukor et al. | Effects of backpacks on students: measurement of cervical and shoulder posture | |
KR940000855B1 (ko) | 골격의 입체적 분석을 위한 입체 디지타이저 | |
Cameron et al. | Relationship between active knee extension and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measurements | |
US6387061B1 (en) | Posture and weight distribution analyzer | |
Hartman et al. | Norm-referenced and criterion-referenc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ck-saver sit-and-reach | |
Alviso et al. | Intertester reliability for measuring pelvic tilt in standing | |
EP0710466A1 (en) | An orthopaedic measurement and display system | |
Grew et al. | The physical effect of lumbar spinal supports | |
Moriguchi et al. | Reliability of intra-and inter-rater palpation discrepancy and estimation of its effects on joint angle measurements | |
Delisle et al. | Effect of pelvic tilt on lumbar spine geometry | |
US20020014017A1 (en) | System using anthropometric frame for measurement of bony spatial relationships | |
WO1989007418A1 (en) | Human limb measuring system and method | |
US2004004429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eg length in an upright position | |
Smidt et al. | Iowa anatomical position system: a method of assessing posture | |
Eichler | Methodological errors in documenting leg length and leg length discrepancies | |
GB2300919A (en) | Leg length inequality meter | |
CN209360715U (zh) | 一种全长位dr机的辅助检测装置 | |
Chen | Accuracy and repeatability of the stick marker technique for external measurement of the sacral angle during trunk flexion (IJIE 99-27) | |
Hellsing | Passive Lumbar Mobility: A prospective study of back pain in young men during their military ser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