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963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963B1
KR100743963B1 KR1020060033597A KR20060033597A KR100743963B1 KR 100743963 B1 KR100743963 B1 KR 100743963B1 KR 1020060033597 A KR1020060033597 A KR 1020060033597A KR 20060033597 A KR20060033597 A KR 20060033597A KR 100743963 B1 KR100743963 B1 KR 10074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terminal
user
information
search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1024A (en
Inventor
윤성임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모바일 터미널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는 검색 질의어 관리부,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컨텐츠 중 검색 질의어에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관리부,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모바일 터미널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포맷으로 재구성하는 상황정보 관리부 및 상황정보 관리부에서 재구성된 서비스 컨텐츠를 모바일 터미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rvice content, the search query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search query for searching the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earch query of the service content stored in the service storage unit Situational awareness including a search management unit for retrieving the service content matched to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onstructing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 to the service forma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a servic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nstructed servic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Provide a service system.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발견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도중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nd using a search query based o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find and provide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 and to provide a continuous service even when the user moves while using the service. can do.

상황인식 서비스, 검색 질의어 Context awareness service, search query

Description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Context-aware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llecting user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ing a corresponding service while moving.

상황 인식(Context Awareness) 서비스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을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중 대표적인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은 장소(Anywhere)나 시간(Any time) 또는 장치(Any device)에 전혀 구애 받지 않는 자유로운 네트워크의 이용을 지향하는 미래 정보 사회의 핵심 패러다임이다. Context Awareness service is representative of customized services using ubiquitous computing. Ubiquitous computing is a key paradigm of the future information society that aims to use a free network that is free from anywhere, any time or any device.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인간 생활을 둘러싼 모든 환경요소를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된 형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이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란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는 상태에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구축을 위해서는 실생활에 이용되는 모든 전자기기에 컴퓨팅과 통신 기능이 부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곧 각 기기가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반도체와 이를 내장한 전자기기의 성능은 하루가 다르게 향상되는 반면, 그 가격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의 보급도 점차 활성화 되어감에 따라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구현을 위한 환경이 점차 갖추어져 가고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개막은 더 이상 미래시점의 특정 사건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 즉, 집 밖에서 팔목에 찬 시계를 이용하여 집 안의 난방기구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한다거나, 혹은 집 안의 특정 상황을 원격으로 보고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Ubiquitous computing provides various services in the form of user-centered personalization by connecting all environmental elements surrounding human life by wire or wireless network. In other words, ubiquitous computing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freely access a network regardless of a computer or network without being aware of a place. In order to construct such ubiquitous computing, comput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must be added to all electronic devices used in real life, which means that each device has a unique address and is connected to a broadband network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erformance of semiconductors and embedded electronic devices is improving day by day, but the price is falling rapidly, and as the spread of wireless Internet is gradually activated, the environ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is gradually being prepared. have. The opening of the ubiquitous era is no longer a specific event in the future, but a reality. That is,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in the home by using a wrist watch on the outside of the home, or to remotely report a specific situation in the home.

상황인식 서비스는 '인간은 지능을 가지고 주변 상황정보에 기반하여 서로대화를 나누며 결정을 내린다.'는 사실에 기초한 서비스이다. 즉, 상황인식 서비스란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구현하는 전자기기들이 수시로 변화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 주변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기호 및 신체 상태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is a service based on the fact that 'human beings have intelligence and make decisions based on surrounding situati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is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user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the user's surrounding situation that changes from time to time by the electronic devices that implement ubiquitous computing. In order to implement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 technology for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user's preferences and physical state, and providing the most suitable service content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s required.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한국특허출원 2003-0094805 '온톨로지 기반의 애드 혹 서비스 검색 시스템 및 방법'(2003.12.22)과 2003년 11월 IEEE MDM(Mobile Data Management)' 04 Proceedings에 게재된 'Towards Pluggable Discovery Frameworks for Mobile and Pervasive Applications'가 있다. 이중, 한국특허출원 2003-0094805는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질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검색하나 사용자의 주변상황의 판단을 통한 특정 시점의 상황정보 기반 검색 질의어를 통한 서비스 검색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Towards Pluggable Discovery Frameworks for Mobile and Pervasive Applications'에 게재된 내용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그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장치정보를 이용하는 기술이나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도중 이동을 하는 경우,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과는 거리가 있다.In the related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2003-0094805 'Ontology-based Ad Hoc Service Search System and Method' (Dec. 22, 2003) and 'Towards Pluggable Discovery' published in IEEE MDM (Mobile Data Management) 04 Proceedings in November 2003 Frameworks for Mobile and Pervasive Applications'. Among thes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0094805 searches for a service by using an ontology-based search query, but is far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service search through contextual information-based search query at a specific point of time by judg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user. There i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ublished in the 'Towards Pluggable Discovery Frameworks for Mobile and Pervasive Applications' refers to the technology that us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de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rvice that was being used when the user moves while using the service.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중에도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적합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service suitable for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hile on the mov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저장부, 검색 질의어 관리부, 검색 관리부, 상황정보 관리부 및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서비스 저장부는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 질의어 관리부는 모바일 터미널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한다. 검색 관리부는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컨텐츠 중 검색 질의어에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황정보 관리부는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모바일 터미널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포맷으로 재구성한다. 서비스 제어부는 상황정보 관리부에서 재구성된 서비스 컨텐츠를 모바일 터미널로 전송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service storage unit, a search query manager, a search manager, a context information manager, and a service controller. The service storage unit stores service content, and the search query manager generates a search query for searching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earch manager searches for service contents matching the search query among the service contents stored in the service storage, and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r reconfigures the searched service contents into a service forma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The servic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onstructed service content in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상기 상태정보 및 모바일 터미널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터미널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포맷으로 재구성한 후, 상기 모바일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 service method of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includes collect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generating a search query for searching for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applying the search query to the status information. Retriev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content and reconstructing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 into a service forma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ervic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 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module described herei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모바일 터미널(100),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및 컨텐츠 서버(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0,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nd a content server 300.

모바일 터미널(100)은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터미널(100)은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추고,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나 로봇,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혹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터미널(100)을 통해 서비스에 로그온 한다. 이때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은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춘 장치나 로봇,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혹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거나 전원이 켜지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장치, 로봇,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혹은 단말의 특정 기능키가 푸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모바일 터미널(100)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모듈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로그온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with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system 200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a user recognition function, and may be included in a device or a robot, a vehicle including a vehicle, or a user terminal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The user logs on to the service via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service logon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by a vehicle including a device, a robot, or a vehicle having a user recognition function, or by a user terminal detecting a user's voice or powered on, or by a user including a vehicle, a robot, or a vehicle. This is achieved by pushing a specific function key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to recognize a user who logs on to a service using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module.

모바일 터미널(100)은 사용자의 신체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이 이루어지면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와 사용자의 신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들을 수집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의 혈압이나 맥박, 체온 및 분당 호흡수와 같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물론, 일정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보행수와 같은 사용자의 활동정보와 사용자 주변의 소음이나 먼지, 기온, 습도 및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와 같은 사용자의 주변 환경정보 및 사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직업,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 장르 및 사용자의 유료 서비스 가입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사용자의 활동정보, 사용자의 주변 환경정보 및 사용자 개인정보를 상태정보라고 칭한다. 모바일 터미널(100)은 위에 나열한 상태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도 있고, 나열한 상태정보 중 일부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상태정보의 수집을 위해 모바일 터미널(100)은 수집하려는 상태정보에 해당되는 센서들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들 센서에 수집되는 상태정보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한편, 모바일 터미널(100)의 원활한 상태정보의 수집을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나 자신이 착용하는 의복에 상태정보 감지모듈을 부착하여야 한다. 이때, 상태정보 감지모듈은 복수의 센서와 이들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상태정보를 모바일 터미널(1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상태정보 중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사용자의 활동정보는 사용자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센서로는 감지가 불가능한 정보들이므로, 이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 감지모듈 이용은 필수적이다. 한편, 모바일 터미널(100)은 상태정보 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상태정보의 수집을 위해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when the user logs on to the servic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ffect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the user's body by using the plurality of sensors. Collect the factors that are ther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not only the user's body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blood pressure or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breathing rate per minute, but also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walking time for a certain time and the noise around the user Collectively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urroundings, such as dust, temperature, humidity, and brightness, which indicates light and dark levels, and user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e of birth, gender, occupation, the user's preferred service genre, and whether the user subscribes to paid services. will b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re referred to as status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llect all of the above state information, or may collect only some of the above state information. In order to collect the status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should hav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nd the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se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coll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should attach the state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to his body or clothing worn by him. In this case, the state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se sensors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aforementioned state informati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are information that cannot be detected by a sensor space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and thus, the user's use of the state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is essential to collect these information.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use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module to collect status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tatus information sensing module.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모바일 터미널(100)로부터 상태정보는 물론, 모바일 터미널(100)의 서비스 능력과 운용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여 모바일 터미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모바일 터미널(100)의 서비스 능력이란 모바일 터미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컨텐츠의 종류나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모바일 터미널(100)을 구성하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 모바일 터미널(100)이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내에 저장되는, 장치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나 이동국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를 읽어들여 단말의 제조사나 단말의 지원 서비스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장치 일련번호나 이동국 식별번호와 부합되는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 컨텐츠의 종류와 그 서비스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바일 터미널(100)이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춘 장치나 로봇 혹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인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사용자 단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일종의 일련번호를 통해 그 장치나 로봇 혹은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collects the service capability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well a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service contents,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 service. Here, the service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fers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service content that can be serviced to a us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which is a system configuring the mobile terminal 100. Depends o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user termina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reads a device serial number (ESN) or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You can easily find the support service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er or the terminal. To this end,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rvice from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a terminal corresponding to a device serial number or a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this,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may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type of servic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service method by using the user terminal.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device having a user recognition function or a vehicle including a robot or a car, as 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user termina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uses the device through a kind of serial number. It can also identify the servic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vehicle, including a robot or a car.

한편, 모바일 터미널(100)의 운용정보는 모바일 터미널(100)의 구동상태와 모바일 터미널(10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모바일 터미널(100)의 구동상태는 모바일 터미널(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바일 터미널(100)이 전력공급의 중단이나 혹은 내장 배터리의 방전으로 동작불능 상태이거나, 모바일 터미널(100)의 상태정보의 일부나 전체 상태정보의 수집의 중단과 같은 이상상태의 발생을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물론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수집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모바일 터미널(100)로부터 이상상태의 발생을 통보 받으면, 진행 중이던 서비스를 중단하고 모바일 터미널(100) 관리자에게 이를 알린다. 모바일 터미널(10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버전은 앞서 언급한 모바일 터미널(100)의 서비스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동일한 사양의 모바일 터미널(100)일지라도 내장 소프트웨어 버전이 구형 버전이냐, 신형 버전이냐에 따라 모바일 터미널(100)의 서비스 능력은 현격한 차이를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터미널(100)의 서비스 능력과 운용정보를 식별정보라고 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ersion of the softwar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riv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dicat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is normally operated.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operable due to the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or the discharge of the built-in battery, 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is collected to notify the user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a part of the status information or the stop of collecting the entire status information. Whe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is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stat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t stops the service in progress and informs the administrat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ftware version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losely related to the service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ntioned above. Even if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same specification, the service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built-in software version is an old version or a new vers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rvice capability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모바일 터미널(100)로부터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모바일 터미널(100)이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전송을 시작하면,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을 감지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수집을 위한 규칙을 설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황정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규칙의 설정은 기본 데이터 포맷의 설정과 수집주기의 설정으로 이루어진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모 바일 터미널(100)으로부터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최초 전송 시 수신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기본 데이터 포맷으로 설정하여, 최초 전송 이후의 상태정보 데이터와 식별정보 데이터를 기본 데이터 포맷과 동일한 디코딩 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수신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복수의 모바일 터미널(100)과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과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의 내부 데이터 처리량을 기반으로 모바일 터미널(100)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주기를 설정하여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collects stat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alyzes the information, and provides appropriate service content.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detects the user's service logon by receiving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starts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ets a rule for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llects the situ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At this time, the setting of the collection rule consists of setting the basic data format and setting the collection period.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ets the type of data received at the first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basic data format, and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data and identification data after the initial transmission. The same decoding method as that of the data format is applied first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of the received data. Meanwhile,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ets a data collection perio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nd the internal data throughput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Collect statu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수신한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기 전에 먼저 수신한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분석한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사용자의 유료 서비스 가입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권한을 판단한다.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가 성인용 컨텐츠 이거나, 남성 혹은 여성의 특정 성에 국한되는 컨텐츠라서 사용자에게 해당되지 않는다거나 혹은 상태정보에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가 유료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인데 사용자는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등의 각각의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들 각각의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범위를 조정하거나 혹은 모바일 터미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컨텐츠의 이용권한이 없음을 통보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nalyzes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fore searching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nalyzes the stat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user's gender or age or whether the user subscribes to the paid service, and determines the user's service use authority based on this. If the user is a minor, the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s adult content, or the content is limited to a specific gender of a male or female, so that the service content does not correspond to the user or the service content matching the state information is provided for a fee. There may be cases in which the user does not subscribe to the paid service.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djusts the search range of the service content as each of these cases occurs, or informs the user that there is no permission to use the service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erminates the service.

한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모바일 터미널(100)의 이상상태 발생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을 진행 하거나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 없이 모바일 터미널(100)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naly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ccurs, and accordingly proceeds to the search of the service content or to the administrat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thout searching the service content Notify and close the service.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수신한 상태정보와 식별정보 중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데, 이때 생성된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내에 저장되어 있다면, 이에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만약,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컨텐츠 서버(300)로 검색 질의어를 전송하여 필요한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한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generates a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arches for service 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 In this case, the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earch query is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If it is stored in the system 200, the service content matching the search is provided to the user. If the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is not stored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the search query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300 to request the search of the required service content.

컨텐츠 서버(300)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에 필요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 사업자 혹은 상황인식 서비스 컨텐츠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는 모두 유료 컨텐츠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컨텐츠 서버(300)로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료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과 무료 서비스만을 이용하는 회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의 수를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The content server 300 is for providing service contents necessary for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system 200, and may be oper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a service provider that specializes in context awareness service content. Accordingly, the servic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server 300 may be all paid content. Accordingly,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may recognize a list of service contents corresponding to a search query to a user who does not subscribe to the paid service. Although not stored in the service system 200, the service server 200 may not request the service content, and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service content does not exist to notify the user. Through this, the quality of the service provided to the member who subscribes to the paid service and the member using only the free service may be different,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members who use the paid service will be increased.

컨텐츠 서버(300)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의 요청에 따라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에 전달한다. 만약, 임의의 컨텐츠 서버(300)에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다수의 컨텐츠 서버(300)를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또한, 임의의 컨텐츠 서버(300)에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가 존재하여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이 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다른 컨텐츠 서버(300)에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추가로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덧붙여,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내부에서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발견하는 경우에도 컨텐츠 서버(300)로 서비스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상태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도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이나 각각의 컨텐츠 서버(300)가 저장하는 서비스 컨텐츠의 질이나 내용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content server 300 searches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query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nd transfers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If there is no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in the arbitrary content server 300, the contextual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equentially searches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300. In addition, even when a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query exists in an arbitrary content server 300 and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receives it,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earches for another content server 300. The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query may be additionally requested. In additio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content to the content server 300 even when the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is found in the context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This is because even i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is the same, the quality or content of the service contents stored by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or the respective content server 300 may be different,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service to the user. will be.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에 맞게 조합하고 적응시킨다. 여기에서, 서비스의 조합(Composition)은 검색된 다수의 서비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가 단일 서비스 컨텐츠로는 상태정보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때 둘 이상의 서비스 컨텐츠를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서비스의 적응(Adaptation)은 식별정보에 적합하도록 서비스 컨텐츠의 포맷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 템(200)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서비스 컨텐츠를 모바일 터미널(100)로 전송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정보에 맞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The contextual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combines and adapts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s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the composition of the service may be configured to reconstruct two or more service contents into one service content when at least one service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retrieved service contents cannot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state information using a single service content. The adaptation of the service is to change the format of the service content to su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system 200 transmits the service content generat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reby the user is provided with a personalized service according to his status information.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서비스 컨텐츠의 제공 후에도 모바일 터미널(100)을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모바일 터미널(100)은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추고,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나 로봇, 자동차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혹은 사용자 단말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received the service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without deleting the service content even after providing the service content. The mobile terminal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r recognition function and is a vehicle or a user terminal that includes a device, a robot, or a vehicle that the user can carry and mov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receive a continuous service while moving. do.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은 서비스 제어부(210), 상황정보 관리부(220), 서비스 저장부(230) 및 서비스 검색부(2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includes a service control unit 210, a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 service storage unit 230, and a service search unit 240.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을 통한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 이후,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 내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이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전송을 시작하면,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을 감지하고,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수집과 관련된 수집규칙을 설정하여, 설정된 수집규칙에 따라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상황정보 관리부(220)에 전달하고, 상황정보 관리부(220)로부터 식별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이 정상상태 동작 중이면, 서비스 검색부(240)에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한다. 서비스 제어부(210)는 상황정보 관리부(220)가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오면, 이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며, 서비스 검색부(240)로부터 서비스 검색 권한이 없음을 통보 받으면, 이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 전송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편, 서비스 제어부(210)는 상황정보 관리부(220)로부터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 전송한다. The service controller 210 controls various operations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200 after the user logs on to the serv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starts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s the user's service logon, and sets a collection rule related to the collec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 stat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 collection rules.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nd receives an analysis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operating in a normal state, the service search unit 240 requests a search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informs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administrator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nd informs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that the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f the search unit 240 is notified that there is no service search authority,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and terminates the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service content retrieved from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서비스 제어부(210)가 전달하는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한 것이 감지되면 서비스 제어부(210)에 이를 알리고, 오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수신한 상태정보를 서비스 검색부(240)로 전달한다.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서비스 검색부(240)로부터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면, 이를 상태정보에 맞게 조합하고, 식별정보에 맞게 적응시켜 서비스 제어부(210)로 전달한다.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and analy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notify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if an error is detected and receives the error if it is not detected. The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arch unit 240. When the contextu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receives the service content retrieved from the service search unit 240, the contextu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combines the service content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dapts it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livers the service content to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서비스 저장부(230)는 컨텐츠 서버(도 1의 300)가 제공한 서비스 컨텐츠는 물론, 서비스 검색부(240)에 기제공한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한다. 서비스 저장부(230)는 서비스 검색부(240)로부터 검색 질의어와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면, 이에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황정보 관리부(220)로 전달한다. 한편, 서비스 저장부는 컨텐츠 서버(도 1의 300)로부터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한 후, 서비스 검색부(240)로 전달한다.The service storage unit 230 stores the servic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server 300 of FIG. 1 as well as the service content previously provided to the service searcher 240. When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receives a list of service contents matching the search query from the service search unit 240,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service contents and transmits the service contents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ce storage unit receives the servic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300 of FIG. 1), and stores it,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arch unit 240.

서비스 검색부(240)는 상태정보에 기반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서비스 저장부(230)나 컨텐츠 서버(도 1의 300)에서 검색하여, 상황정보 관리부(220)에 전달한다. 서비스 검색부(240)는 검색 관리부(242)와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로 구성된다. The service search unit 240 generates a search query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service content in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or the content server (300 of FIG. 1), and transmits the service content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 The service searcher 240 includes a search manager 242 and a search query manager 244.

검색 관리부(242)는 상황정보 관리부(220)에 기제공한 서비스 컨텐츠 목록과 컨텐츠 서버(도 1의 300)가 제공한 서비스의 목록을 저장한다. 검색 관리부(242)는 상황정보 관리부(22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서비스 컨텐츠 검색 요청으로 인식하고, 수신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또는 유료 서비스 가입여부에 따른 서비스 이용 권한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서비스 이용 권한이 없으면, 이를 서비스 제어부(210)에 알리고, 서비스 검색 권한이 있으면,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에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검색 관리부(242)는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로부터 수신한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검색 질의어와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서비스 저장부(230)로 전달하거나 검색 질의어를 컨텐츠 서버(도 1의 300)로 전송한다. 한편, 검색 관리부(242)는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해당 상태정보 및 검색 질의어와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으로 저장하고, 상황정보 관리부(220)에 전달한다. The search manager 242 stores a list of service contents previously provided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r 220 and a list of services provided by the content server 300 (see FIG. 1). When the search management unit 242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it recognizes this as a service content search request, and use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 us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gender, age or paid service subscription of the user. To jud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no service use right, it is notified to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and if there is a service search right, the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rch query management unit 244. The search manager 242 determines whether a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received from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exists, and delivers the service content list matching the search query to the service storage 230 or sends the search query. It transmits to the content server (300 of FIG. 1). On the other hand, the search manager 242 receives the searched service content, stores it as a list of service contents matching the correspond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search query, and transmits it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r 220.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는 검색 관리부(242)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에 해당되는 검색 질의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이를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이를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한다.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arch manager 242, and if present, transmits the search query to the search manager 242. After generating and storing a search query, the search query is transmitted to the search manager 24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부터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전송이 시작되면, 이를 사용자의 서비스 로그온으로 감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시작한다(S401).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와 식별정보의 데이터 형태를 이용하여 기본 데이터 포맷을 설정하고, 복수의 모바일 터미널(100)과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과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200)의 내부 데이터 처리량을 기반으로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부터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수집주기를 설정하는, 수집규칙의 설정을 실시한다(S402). 서비스 제어부(210)는 수신한 상태정보와 식별정보를 상황정보 관리부(220)로 전달하고(S403),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S404),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한다(S405). 만약,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면, 이를 서비스 제어부(210)에 알리고(S406),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부(210)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의 비정상 동작을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 관리자에게 통보하고(S407), 서비스를 종료한다(S408). 한편, 판단 결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이 정상상태로 동작하고 있다면,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서비스 제어부(21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서비스 검색부(도 2의 240)의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한다(S409). 검색 관리부(242)는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 서비스에 로그온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권한을 판단한다(S410). 만약, 상태정보에 부합되는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허가되지 않 은 서비스라면, 이 같은 사실을 서비스 제어부(210)에 알리고(S411), 서비스 제어부(210)는 이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 통보한 후(S412), 서비스를 종료한다(S413). 한편,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정보에 해당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있으면, 상황정보 관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로 전달한다(S414).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는 수신한 상태정보와 매칭되는 검색 질의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415).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에 상태정보에 해당되는 검색 질의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는 상태정보에 부합되는 새로운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 후(S416),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한다(S418). 만약,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에 상태정보에 해당되는 검색 질의어가 존재하면, 새로운 검색 질의어의 생성없이, 검색되는 검색 질의어를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한다(S418). 검색 관리부(242)는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로부터 검색 질의어를 수신하면, 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419), 존재하지 않으면, 컨텐츠 서버(300)로 검색 질의어를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고(S420), 컨텐츠 서버(300)는 수신한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여(S421), 이를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로 전송한다(S425). 검색 질의어 관리부(244)는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하고(S426), 이를 검색 관리부(242)로 전달한다(S427). 검색 관리부(242)는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한 후(S428), 상황정보 관리부(220)로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전달한다(S429). 한편, 검색 관리부(242)에 검색 질의어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면, 검색 관리부(242)는 해당 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서비스 저장부(230)로 전달하고(S422), 서비스 저장부(230)는 수신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에 해당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여(S423), 이를 상황정보 관리부(220)로 전달한다(S428).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서비스 저장부(230) 또는 검색 관리부(24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의 조합이 필요한지 판단하고(S430), 이 결과, 서비스 컨텐츠의 조합이 필요하면, 서비스 컨텐츠의 조합을 실시하여 서비스를 재구성한 후(S431), 식별정보에 맞게 적응시킨다(S433). 만약, 판단 결과, 서비스 컨텐츠의 조합이 필요 없으면, S431 단계를 생략한 채(S432), 서비스 컨텐츠를 식별정보에 맞게 적응시키는 서비스 적응 단계를 실시한다(S433). 상황정보 관리부(220)는 S433 단계를 통해 식별정보에 적응시킨 서비스 컨텐츠를 서비스 제어부(210)로 전달하고(S434), 서비스 제어부(210)는 이를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로 전송한다(S435).3 is a flowchart of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started, the service controller 210 detects this as a service logon of the user and starts a series of processes for providing a service (S401). .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sets a basic data format by using the data type of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and the amount and situation recognition of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Based on the internal data throughput of the service system 200, a collection rule for setting a collection cycle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FIG. 1) is set (S402).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S403),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S404), and analy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in normal operation (S405). I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not operating normally, it is notified to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S406), and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receiving the received abnorm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The administrat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notified (S407), and the service is terminated (S408).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f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is operating in a normal state,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searches the service search unit (240 of FIG. 2)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The control unit 242 transmits (S409). When the search manager 242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the search manager 242 analyzes the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service use authority of the user who logs on to the service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S410). If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s not authorized by the user,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informs the facts like this (S411), and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notifies this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FIG. 1). After that (S412), the service is terminated (S413).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r 220 is transferred to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S414).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searches whether there is a search query matchi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S415). If the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generates a new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stores the new search query (S416), and then searches the search manager 242. To be delivered (S418). If a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exists in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the search query is searched for without being generated, and the search query 242 is transferred to the search manager 242 (S418). When the search manager 242 receives the search query from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the search manager 242 determines whether a corresponding service content list exists (S419), and if not, transmits the search query to the content server 300. The service content request is provided (S420), and the content server 300 searches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query (S421), and transmits it to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S425). The search query manager 244 stores the received service content (S426) and transfers it to the search manager 242 (S427). The search manager 242 generates and stores a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rvice content (S428), and then transfers the searched service content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r 220 (S429).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in the search manager 242, the search manager 242 delivers the service content list to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S422),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The service searches for the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rvice content list (S423) and delivers it to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S428). The contextu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determines whether a combination of service contents received from the service storage unit 230 or the search managing unit 242 is required (S430), and as a result, if a combination of service contents is required, the combination of service contents is determined. After the service is reconfigured (S431), it is adap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433). 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mbination of the service contents is not necessary, the service adaptation step of adapting the service contents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without the step S431 (S432) (S433).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transmits the service content adap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in step S433 (S434), and the service control unit 210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FIG. 1) ( S435).

상기에서는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만을 예로써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되는 서비스의 제공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하는 상태정보 감지모듈에 구비되는 센서나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에 구비되는 센서들을 알맞게 변경하여 해당 상태정보를 수집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폭넓은 서비스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상태정보 감지모듈이나 모바일 터미널(도 1의 100)에 음성감지와 관련된 센서들을 구비하고, 이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발성음의 고저 및 사용자 발음의 정확도를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발음교정을 위한 서비스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only the case where the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health is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n FIG. 1) and the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related to the user's health. It is not.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f th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by changing the sensor provided in the state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worn by the user or the sensor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1) accordingly, A wide range of service categorie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a state information sensing module or a mobile terminal (100 in FIG. 1) includes sensors related to voice detection, and using the sensors to detect the height of the user's voice and the accuracy of the user's pronunciation, based on the user's pronunci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for calib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나 주변환경에 가장 적합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발견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도중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generating and using a search query based on the user's state information, the user can find and provide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s state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f you do, you can still provide services.

Claims (14)

모바일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A ser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service contents; 상기 모바일 터미널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는 검색 질의어 관리부;A search query manager for generating a search query for searching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서비스 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컨텐츠 중 상기 검색 질의어에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관리부;A search manager to search for service contents matching the search query among the service contents stored in the service storage unit; 상기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터미널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포맷으로 재구성하는 상황정보 관리부; 및A context information manager reconfiguring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s into a service forma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상황정보 관리부에서 재구성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터미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The servic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nstructed service content in the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the mobile terminal 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색 질의어는 상기 모바일 터미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And the search query is generat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황정보 관리부에서 상기 모바일 터미널의 비정상 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터미널의 비정상 작동을 모바일 터미널 관리자에게 알리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detects abnorm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rvice control unit informs the mobile terminal manager of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색 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없음을 상기 모바일 터미널에 알리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If the search manager determines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use the service, and stops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황정보 관리부는 검색된 상기 서비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가 단일 서비스 컨텐츠로는 상기 사용자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둘 이상의 서비스 컨텐츠를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The contextu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mbines two or more service contents into one service content when at least one service content of the searched service contents cannot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state information with a single service content. Context-aware servi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바일 터미널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송수단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And the mobile terminal is included in a device carried by the user or a vehicle used by the user. 모바일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의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metho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a)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모바일 터미널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a) collect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는 단계;(b) generating a search query word for searching for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c)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c) searching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by using the search query word; And (d) 상기 검색된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터미널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포맷으로 재구성한 후, 상기 모바일 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 (d) reconstructing the retrieved service content into a service forma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ting the servic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 사이에,Between step (a) and step (b), (i) 수집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터미널이 정상작동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i)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operating normally by using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i) 상기 모바일 터미널이 정상작동 중이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ii)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right to use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normal operation; And (iii) 상기 (ii)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있으면 상기 (b) 단계를 진행하고, 없으면 상기 (ii) 단계의 판단 결과를 상기 모바일 터미널로 보고하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iii)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ii) indicates that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the service, proceed to step (b); if not, repor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ii) to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Terminating; 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i) 단계에서,In the step (i), 판단 결과, 상기 모바일 터미널이 비정상 작동중이면,If the determination resulted in abnorm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모바일 터미널 관리자에게 상기 판단 결과를 통보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And notifying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mobile terminal manager, and ending the ser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ii) 단계에서,In the step (ii),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없으면,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permission to use the service, 상기 모바일 터미널에 상기 판단 결과를 통보하고,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And notifying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erminating a servic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b) 단계는,In step (b), (b1)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에 상기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검색 질의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b1) searching whether the search quer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And (b2) 상기 (b1)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검색 질의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질의어를 생성하는 단계;(b2) generating a search query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f the search query is not sto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b1); 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c) 단계는,In step (c), (c1)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c1) determining whether a service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word exists; And (c2) 상기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면, 상기 서비스 컨텐츠 목록과 매칭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c2) searching for service content matching the service content list if the service content list exists; 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c1) 단계에서,In the step (c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추가 서비스 컨텐츠를 보유하는 컨텐츠 서버에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서비스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And if the service content list does not exist, requesting a content server holding additional service content to search for ser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wor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서,Between step (c) and step (d), 검색된 상기 서비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가 단일 서비스 컨텐츠로는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둘 이상의 서비스 컨텐츠를 하나의 서비스 컨텐츠로 조합하는 단계;Combining at least two service contents into one service content when at least one service content of the searched service contents cannot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with a single service content; 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060033597A 2005-12-08 2006-04-13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KR1007439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0151 2005-12-08
KR1020050120151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024A KR20070061024A (en) 2007-06-13
KR100743963B1 true KR100743963B1 (en) 2007-07-30

Family

ID=3835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97A KR100743963B1 (en) 2005-12-08 2006-04-13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9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0137B2 (en) 2011-06-29 2016-07-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rdering metric for a multi-dimensional contextual query
CN116261867A (en) * 2021-10-09 2023-06-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Sens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9964A1 (en) 1998-12-29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network devices
KR20040080663A (en) * 2003-03-12 2004-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function of ubquitous service and a method processing thereof
KR20050026731A (en) * 2003-09-06 2005-03-1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its method for space information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KR20060068518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context aware system and its method with ubiquitous sensor network
KR20060072672A (en) * 2004-12-23 2006-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context awareness
KR20070009134A (en)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ntext data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9964A1 (en) 1998-12-29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network devices
KR20040080663A (en) * 2003-03-12 2004-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function of ubquitous service and a method processing thereof
KR20050026731A (en) * 2003-09-06 2005-03-1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its method for space information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KR20060068518A (en) * 2004-12-16 2006-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context aware system and its method with ubiquitous sensor network
KR20060072672A (en) * 2004-12-23 2006-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context awareness
KR20070009134A (en)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ntext data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024A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11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ing patient procedures
CN106201553B (en) In the control method of desktop pushing application program,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0507881C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izing device in remote virtual machine
KR100776800B1 (en) Method and system (apparatus) for user specific service using intelligent gadget
US20100042827A1 (en)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CN107750466A (en) Use equipment near synchronized cue pairing
KR1007729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service
CN103870310A (en) Program compil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WO2015006080A1 (en) Physical environment profiling through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US20120124136A1 (en) Context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by sharing context information between one or more terminals
CN111597542B (en) Verific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3151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formation for customized content provision service
CN107666515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679072A (en) Us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301052A (en) The display methods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help information
CN107231434A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device
KR1007820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context based dynamic service composition
CN101924994A (en) Information push server and information push method
KR1007439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Aware Service
KR20050045797A (en) The terminal, the system of managing log data and the method which manages log data
CN105760777B (en) A kind of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platform
CN107566398B (en) Flow control methods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10027809A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context-based communication service
KR100628380B1 (en)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for realizing Ubiquitous System
KR101975537B1 (en) SERIAL TO LoRa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