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937B1 - Adjustable backrest chair - Google Patents
Adjustable backrest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3937B1 KR100743937B1 KR1020060052486A KR20060052486A KR100743937B1 KR 100743937 B1 KR100743937 B1 KR 100743937B1 KR 1020060052486 A KR1020060052486 A KR 1020060052486A KR 20060052486 A KR20060052486 A KR 20060052486A KR 100743937 B1 KR100743937 B1 KR 100743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frame member
- shell member
- seated person
- lum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등받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부재(10)와, 등판프레임부재(20)와, 상기 등판프레임부재(20)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등판쉘부재(30)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30)를 상기 등판프레임부재(20)에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승하강가이드수단(40)과, 상기 가변등판쉘부재(30)에 장착되며 쿠션재로 형성되고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51)가 돌출 형성된 등지지판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수단(40)은 등판프레임부재(20)에 구비되며 승,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홈(41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부(41)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3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41)의 레일홈(41a)에 결합하여 승, 하강하는 이동가이드블록부(42)와, 상기 이동가이드블록부(42)의 위치를 고정하고, 해제하여 승,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록킹부(43)를 포함함으로써, 착석자의 요추부 위치에 따라 등지지판부재(50)의 요추지지부(51)를 승, 하강시켜 정확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착석 시 편안함과 안락감을 증대시키고 장기간 착석 시에 발생하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ack chair, seat member 10, back frame member 20, variable back shell member 30 to be coupled to the back frame member 20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Elevating guide means 40 for coupli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30 to the back frame member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mounted to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30 and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and seated. Lumbar support portion 51 for supporting the lumbar spine of the ruler includes a back support plate member 50 protruding, the lifting means 40 is provided on the back frame member 20, the rail groove 41a for guiding the lifting, lowering And a guide rail portion 41 formed on the guide rail portion 41 and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30 coupled to the rail groove 41a of the guide rail portion 41 to move up and down, and to move up and down. Lock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guide block 42, and release to control the rising and falling position By including the portion 4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person to raise and lower the lumbar support portion 51 of the back support plate member 50 to accurately support by the seated person increases the comfort and comfort when sitting and occurs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The effect is to reduce the fatigue.
또한, 착석자의 요추부를 정확히 지지하여 보호하고, 착석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어 착석자의 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리디스크와 같이 잘못된 착석자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supports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person correctly and protects the seating position, and protects the seated person's back from external shock and prevents the disease that may be caused by the wrong seating posture such as the waist disc. will b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등받이형 의자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ckrest chair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ploded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등판 승하강 수단을 분해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limbing devic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등판 승하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7a to 7c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
10 : 시트부재 20 : 등판프레임부재10
30 : 가변등판쉘부재 40 : 승하강수단30: variable back shell member 40: lifting and lowering means
41 : 가이드레일부 42 : 이동가이드블록부41: guide rail portion 42: moving guide block portion
43 : 록킹부 44 : 제 1 물림부43: locking portion 44: first bite portion
45 : 록킹블록 46 : 록킹레버45: locking block 46: locking lever
47 : 스프링부재 50 : 등지지판부재47: spring member 50: back support plate member
51 : 요추지지부51 lumbar support
본 발명은 가변 등받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높이를 착석자의 요추부에 맞게 조절하여 착석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안락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ack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rest to fit the lumbar part of the seated person and reduce the fatigue of the seated person and increase comfort.
일반적으로 의자는 몸을 뒤로 기댈 수 있도록 하거나,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착석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책상에서 각종 작업을 할 경우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신체 거치수단인 것이다.In general, a chair is a body mounting means that allows a seated person to rest in a lean back or to sit on a chair, or to sit in a comfortable position when performing various tasks at a desk.
이 의자는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1)와, 이 시트(1)의 뒷편에 세워져 장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를 포함한다.This chair typically includes a seat 1 on which a seated person can sit, as shown in FIG. 1, and a
이 등받이(2)는 통상 합판 또는 합성수지소재의 베이스등판(2b)과,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등판(2b)의 등받이면에 부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쿠션등판(2a)을 포함한다.The
상기 등받이(2)는 베이스등판(2b)에 쿠션등판(2a)이 부착 고정된 후 천으로 포장하여 마감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The
근래의 등받이형 의자는 상기 쿠션등판(2a)의 일면에 착석자의 요추부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2c)가 돌출 형성된다.Recently, the backrest type chair has a lumbar support portion (2c) for supporting the lumbar portion of the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cushion back plate (2a) protruding.
이 요추지지부(2c)는 착석자의 요추부를 지지하여 착석자가 시트(1)에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앉는 자세를 교정하고 그 자세를 편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기간 오래 앉을 경우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등받이형 의자는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착석자의 요추부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ckrest chair ha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part supporting the lumbar part of the seated person can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eated person.
즉, 요추지지부는 일반적인 인체형상을 고려하여 형성되어져 각각 개개인의 요추부에 맞는 형성과 위치로 위치될 수 없어 착석자에 따라서 부분적인 요추부의 지지만 되어 그 효과가 미비하고 착석자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That is, the lumbar support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human body shape and can not be positioned in the form and position of each individual lumbar region, but depending on the occupant, the lumbar support is partially partial, but the effect is insufficient and does not give satisfaction to the occupant. This was there.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부재에 구비되는 요추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착석자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맞게 요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등받이형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backrest-type chair capable of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 of each seated pers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provided in the backrest member.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재와, 이 시트부재의 후측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등판프레임부재와, 상기 등판프레임부재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등판쉘부재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를 상기 등판프레임부재에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승하강가이드수단과;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에 장착되며 쿠션재로 형성되고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등지지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은 등판프레임부재에 구비되며 승,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레일홈에 결합하여 승, 하강하는 이동가이드블록부와, 상기 이동가이드블록부의 위치를 고정하고, 해제하여 승,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달성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member seated by the seat, a back frame member standing up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seat member, and a variable back shell member coupled to the back frame member to be movable up and down; Elevating guide means for coupling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o the back frame member to be movable up and down; It is mounted to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is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and includes a back support plate member protruding lumb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lumbar spine of the seated,
The lifting and lowering guide means is provided on the back frame member and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portion formed with a rail groov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is provided with the variable ramp shell member and coupled to the rail groove of the guide rail portion to move up and down.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guide block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guide block portion, and release to control the rising and lowering position.
즉, 상기 가변등판쉘부재는 등판프레임부재에 등판 승하강 수단으로 상, 하 이동가능하여 그 위치가 조절되므로, 이 가변등판쉘부재의 위치에 따라 등지지판부재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요추지지부를 착석자의 개개인의 위치에 맞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movable up and down by the back and forth lifting means to the back frame member, so its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 support plate memb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so that the lumbar support part is seated. It can b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individual of the chil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시트부재의 후측으로 등판프레임부재가 장착되고, 이 등판프레임부재의 등접촉면에는 가변등판쉘부재와, 등지지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back frame member is mount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member, and the back contact surface of the back frame member is provided with a variable back shell member and a back support plate member.
도 3은 본 발명의 등받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로서, 등판프레임부재와, 가변등판쉘부재, 등판지지판부재, 등판 승하강 수단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ck frame member,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the back support plate member and the back lifting means are disassembled.
도 4는 본 발명의 등판 승하강 수단을 분해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로서, 가변등판쉘에 구비되는 가이드블록과, 록킹레버를 분리시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larged part of the back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guide block and the locking lever provided in the variable back shell are separated and enlarged.
도 5는 본 발명의 등판 승하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clim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a는 등판쉘부재가 승강될 경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b 내지 도 7c는 가변등판쉘부재가 하강될 경우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A shows an operating state when the back shell member is lifted, and FIGS. 7B to 7C show an operating state when the variable back shell member is lowered.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부재(10)는 일정 강성을 가지는 시트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사용자가 앉을 경우 푹신한 느낌을 가지는 쿠션재를 천이나 합성수지재로 포장하는 구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 직하며 이 외 판형상의 시트패널로 제조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S. 2 to 3, the
또 이 시트프레임의 하부에는 시트부재(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재(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is provided with a
이 다리부재(60)는 지면을 지지하는 의자다리부(61)와, 이 의자다리부(61)의 상부로 상기 시트프레임에 연결되며 시트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62)를 포함한다.The
이 시트부재(10)의 후측에는 등판프레임부재(20)가 세워지며, 이 등판프레임부재(20)는 틸팅가능한 구조로 시트부재(10)의 후 측으로 세워져 장착되며, 이 틸팅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여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생략하였으며 등판프레임부재(20)의 각도를 착석자의 자세에 맞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The
이 등판프레임부재(20)에는 가변등판쉘부재(30)와 등지지판부재(50)가 장착되며, 이 등판프레임부재(20)에 가변등판쉘부재(30)는 승하강가이드수단(40)으로 상, 하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된다.The back
또 상기 등지지판부재(50)는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인체 요추부의 곡선과 대응되는 곡선을 가지고 돌출되는 요추지지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우레탄스폰지재로 제조되며, 이외 쿠션을 가지고 착석자의 등판을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back
승하강가이드수단(4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부재(20)에 구비되며 승, 하강을 안내하는 레일홈(41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부(41) 와, 상기 가변등판쉘부재(3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41)의 레일홈(41a)에 결합하여 승, 하강하는 이동가이드블록부(42)와, 상기 이동가이드블록부(42)의 위치를 고정하고, 해제하여 승,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록킹부(4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is provided on the
상기 가이드레일부(41)는 등판프레임부재(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이동가이드블록부(42)도 가변등판쉘부재(3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부(41)로 결합하도록 한다.The
이 이동가이드블록부(42)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등판쉘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패널(42a)과, 상기 장착패널(42a)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41)의 레일홈(41a)에 결합하여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42b)과, 상기 장착패널(42a)에 결합하여 가변등판쉘부재(30)의 승하강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블록(42c)을 포함한다.The
또 상기 록킹부(43)는 가이드레일부(41)의 레일홈(41a) 내부면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치가 간격을 두고 다 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 1 물림치부(44)와, 일면에 상기 제 1 물림치부(44)에 물리는 제 2 물림치부(45a)가 형성되며, 이 제 2 물림치부(45a)가 제 1 물림치부(44)에 물리도록 상기 이동가이드블록부(42)로 관통하여 결합하는 록킹블록(45)과, 상기 이동가이드블록부(42)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록킹레버(46)와, 상기 록킹레버(46)에 장착되며 일 단이 상기 록킹블록(4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 물림치부(44)의 치는 하부를 향해 경사져 돌출되고, 제 2 물림치부(45a)의 치는 이에 대응되게 물리도록 상부를 향해 경사져 돌출된다.The teeth of the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물림치부(44)의 치는 상부를 향해 경사져 돌출되고, 제 2 물림치부(45a)의 치는 이에 대응되게 물리도록 하부를 향해 경사져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teeth of the
상기 스프링부재(47)는 상기 록킹레버(46)에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장착되고, 그 단부가 상기 록킹블록(45)이 판스프링(47a)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외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다른 스프링도 사용이 가능하다.The
그리고 상기 등판프레임부재(20)의 후 측에는 승하강가이드수단(40)을 커버하는 커버패널(21)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가이드수단(4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승하강 수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rear side of the
한편, 상기한 승하강가이드수단(40)에 의해 가변등판쉘부재(30)가 승하강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ack
가변등판쉘부재(30)는 판스프링(47a)이 록킹블록(45)의 제 2 물림치부(45a)가 제 1 물림치부(44)에 물린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The variable
이 상태에서 착석자가 가변등판쉘부재(30)를 자신의 요추부에 맞게 위치하기 위해 승강시킬 경우에는 가변등판쉘부재(30)를 잡고 들어올리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seated person is raised and lowered to position the variable back
상기 록킹블록(45)은 상기 제 2 물림치부(45a)의 치가 상부로 경사져 하부로 경사진 제 1 물림치부(44)의 치에 물려있으므로 그 경사면을 따라 판스프링(47a)을 밀면서 후퇴하여 이동하는 것이다.The locking
이 록킹블록(45)은 이동하면서 판스프링(47a)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물림치 부(45a)의 치가 제 1 물림치부(44)의 치에 물려 록킹되고, 다시 해제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가변등판쉘부재(30)의 승강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locking
반대로 착석자가 가변등판쉘부재(30)를 자신의 요추부에 맞게 위치하기 위해 승강시킬 경우에는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레버(46)를 회동시켜 판스프링(47a)의 단부를 들어올리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ated person lifts and moves the variable back
이렇게 록킹레버(46)가 회동되면 록킹블록(45)이 판스프링(47a)와 함께 뒤로 밀려 이동하여 제 2 물림치부(45a)의 치가 제 1 물림치부(44)의 치에서 분리되어 가변등판쉘부재(30)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locking
이 상태에서 착석자의 요추부에 맞게 가변등판쉘부재(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다시 록킹레버(46)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록킹블록(45)의 제 2 물림치부(45a)를 제 1 물림치부(44)에 물리게 하여 그 조정된 등판쉘의 위치를 록킹하면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한편 상기 승하강가이드수단(40)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 측으로 10 ~ 15 사이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12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is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an inclination between 10 to 15 to the side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ed person's back and preferably have an angle of 12 degrees.
이는 등지지판부재(50)가 수직으로 승하강할 경우 요추지지부(51)가 착석자의 요추부 라인을 따라 정확히 위치될 수 없으므로 착석자의 요추부 라인에 요추지지부(51)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따라서 등지지판부재(50)는 승하강가이드수단(40)으로 승강될 경우 약간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승강되고 하강될 경우 약간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하강되어 요추 지지부(51)가 착석자의 요추부 라인을 따라 정확히 이동하여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back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착석자의 요추부 위치에 따라 등지지판부재의 요추지지부를 승, 하강시켜 정확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착석 시 편안함과 안락감을 증대시키고 장기간 착석 시에 발생하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umbar part of the seated person, the lumbar support part of the back support plate member is lifted and lowered to accurately support the seated person, thereby increasing the comfort and comfort when seated and reducing the fatigue caused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It works.
또한, 착석자의 요추부를 정확히 지지하여 보호하고, 착석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어 착석자의 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리디스크와 같이 잘못된 착석자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supports the lumbar region of the seated person correctly and protects the seating position, and protects the seated person's back from external shock and prevents the disease that may be caused by the wrong seating posture such as the waist disc. will b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486A KR100743937B1 (en) | 2006-06-12 | 2006-06-12 | Adjustable backrest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2486A KR100743937B1 (en) | 2006-06-12 | 2006-06-12 | Adjustable backrest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3937B1 true KR100743937B1 (en) | 2007-07-30 |
Family
ID=3849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2486A Active KR100743937B1 (en) | 2006-06-12 | 2006-06-12 | Adjustable backrest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393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832B1 (en) | 2009-08-31 | 2010-05-28 | 양병헌 | Support apparatus equipped with back for spine |
KR20230010860A (en) * | 2021-07-12 | 2023-01-20 | (주)광일체어 | A chair with a backrest to which a self-tilting intermittent structure is applie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3355Y1 (en) | 2003-05-20 | 2003-08-14 | 이철웅 | The back of a chair equipped high and gap adjustment |
-
2006
- 2006-06-12 KR KR1020060052486A patent/KR1007439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3355Y1 (en) | 2003-05-20 | 2003-08-14 | 이철웅 | The back of a chair equipped high and gap adjustm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832B1 (en) | 2009-08-31 | 2010-05-28 | 양병헌 | Support apparatus equipped with back for spine |
KR20230010860A (en) * | 2021-07-12 | 2023-01-20 | (주)광일체어 | A chair with a backrest to which a self-tilting intermittent structure is applied |
KR102527958B1 (en) | 2021-07-12 | 2023-05-04 | (주)광일체어 | A chair with a backrest to which a self-tilting intermittent structure is appli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68195B2 (en) |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 |
US11110017B2 (en) | Reclining armchair with lifting seat and extending footrest | |
CN112220261A (en) | Seat capable of preventing long-time sitting problem | |
KR20200110966A (en) | Structure of chair lumbar supporter | |
US5213395A (en) | Adjustable seating assembly | |
KR100743937B1 (en) | Adjustable backrest chair | |
KR100886181B1 (en) | Chair for the disabled | |
CA1324313C (en) | Rocking chair | |
KR200465611Y1 (en) | Sliding structure of seat for chair | |
KR100991359B1 (en) | Chair with protruding back plate to support lumbar spine | |
JP3137036U (en) | Chair | |
JP3189545U (en) | Chairs and chair sets | |
KR100708303B1 (en) | Chair with adjustable back | |
EP2419069B1 (en) |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 |
EP1993406B1 (en) | Rotary device for a foot and leg rest | |
JP3105880U (en) | Sitting chair | |
KR101384102B1 (en) | chair | |
KR102557721B1 (en) | A tilting chair | |
WO2008054225A1 (en) | Chair | |
JP4563111B2 (en) | Chair backrest | |
JP5826528B2 (en) | Chair bed | |
KR200237319Y1 (en) | Comfort sofa | |
KR200372229Y1 (en) | Sofa using as bed | |
AU640409B2 (en) | Improved adjustable seating assembly | |
JP3057784U (en) | Upper back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