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497B1 -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497B1
KR100742497B1 KR1020050133089A KR20050133089A KR100742497B1 KR 100742497 B1 KR100742497 B1 KR 100742497B1 KR 1020050133089 A KR1020050133089 A KR 1020050133089A KR 20050133089 A KR20050133089 A KR 20050133089A KR 100742497 B1 KR100742497 B1 KR 10074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mb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480A (ko
Inventor
안병익
남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13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4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음성호 접속을 위한 음성호 처리 프로세서,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발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 등의 각종 기능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정보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이하,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이 DMB 데이터내에 포함된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DMB 모듈;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이벤트로 수신하는 모바일 플랫폼(Mobile Platform);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며, 상기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해당하는 상기 기능 모듈에 요청하기 위한 DMB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DMB 방송의 수신과 동시에 웹사이트 접속, 음성호 처리, 단문메시지 발송과 같은 서비스의 병행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 양방향 서비스, 무선인터넷, 중개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its method for connecting bi-directiona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의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방송센터 12 : 송신탑
13 : DMB 단말 14 : 모바일망
15 : 인터넷 200 : DMB 에이전트
231 : 파싱부 232 : 서비스 실행 요청부
233 : DMB 연동부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방송 신호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단말(이하, DMB 단말)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송과 무선인터넷 간의 양방향 서비스를 중개하여, 부가적인 기능의 확장을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음성·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용·차량용 수신기(DMB 단말)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서, 흔히 "손 안의 TV"라 불린다.
DMB 기술은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을 추가하여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특히, DMB는 이동 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하여 CD·DVD급의 고음질·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DMB의 종류는 크게 위성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출하는 위성 DMB와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지상파 DMB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지상파 DMB 단말은 BIFS(Binary Format for Scene), BWS(Broadcast WebSite), Musicam 등과 같은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가 다운링크(Downlink)만 제공하는 단방향 서비스 인 것과 달리, 지상파 DMB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다운링크(Downlink)와 업링크(Uplink)가 모두 가능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BIFS(Binary Format for Scene)는 지상파 DMB의 동영상 서비스와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이고, BWS(Broadcast WebSite)는 방송 전송 프로토콜(MOT)을 통하여 웹 사이트 내용을 다운로드 받아 로컬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규격이다. 또한, Musicam은 양방향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이다.
이러한 양방향 데이터방송 기술은 DMB 단말을 통하여 TV를 보면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즉,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음식 정보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현재 방송되고 있는 음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드라마 시청 중에 화면에 뜬 뉴스속보의 보다 자세한 내용을 검색할 수도 있으며, 시사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제보하거나 시청자 의견을 검색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양방향 데이터방송 기술을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DMB 단말에서 직접 방송 스트림을 해석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확장 기능에 대한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DMB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처리 모듈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DMB 단말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보다 신속하게 확장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의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송과 무선인터넷 간의 양방향 서비스를 중개하여, 부가적인 기능의 확장을 용이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 재생모듈과,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에서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양방향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한 접속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파싱하여 해석하기 위한 파싱부;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해당 기능 모듈에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요청부; 및 상기 서비스의 실행중에 방송 수신을 요청받고, 이 요청을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기능 모듈은, 브라우저 프로그램,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 음성 호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는 웹사이트 접속, 음성호 접속, 단문메시지 발송, 멀티미디어메시지 발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은, 상기 방송 데이터의 태그 정보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접속 정보를 이벤트 발생을 통하여 상기 파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의 무선통신단말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이 방송 신호내에 포함된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송신호 재생수단;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방송신호 재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플랫폼(Mobile Platform);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며, 상기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해당하는 기능 모듈에 요청하기 위한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의 수신과 동시에 웹사이트 접속, 음성호 처리, 단문 메시지 발송과 같은 서비스의 병행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이벤트 형식으로 수신하고, 이를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 이벤트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의 방송 수신과 동시에 여러가지 다른 서비스를 병행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은,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내에 포함된 태그정보로부터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를 모바일 플랫폼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고, 이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무선통신단말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은,
방송 신호내에 수록되어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접속 정보를 이벤트의 형태로 전달받는 절차,
상기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는 절차, 및
이렇게 해석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기능 모듈을 호출하고, 해당 기능 모듈에 상기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절차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상파 DMB 방송 시스템은 방송센터(11), 송신탑(12), DMB 단말(13), 모바일망(14) 및 인터넷(15)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센터(11)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디지털 방식의 DMB 방송 신호로 변조하여, 지상에 설치된 송신탑(12)을 통하여 송출한다.
상기 DMB 단말(13)은 송신탑(12)을 통하여 송출되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DMB 모듈과 모바일망(14)과 연동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인터넷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DMB 단말(13)로서는 이동통신 단말, 텔레매틱스 단말, PDA, 무선랜 단말(노트북) 등이 채택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13)은 무선 인터넷 환경을 지원하는 CPU 코어, 호 처리를 위한 모뎀칩 프로세서, 운영체제 모듈,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계층 모듈로 이루어지는 무선 핸드셋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13)은 방송센터(11)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를 플랫폼 기반에서 해석하여 처리하기 위한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즉 DMB 에이전트(20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13)의 기능적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13)은 단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계층(단말 H/W, S/W)(110), 포팅레이어(WIPI HAL)(120) 및 모바일 플랫폼(WIPI)(130)으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조립체(100),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기 위한 단말 어플리케이션(단말 APP)의 일종인 방송신호 재생모듈(예를 들어, DMB 모듈)(300), DMB 방송 서비스와 다른 모바일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호 처리, SMS, MMS, 매직엔 등)를 연동시키기 위한 에이전트 장치로서의 DMB 에이전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하드웨어 계층(단말 H/W)은 이동국 프로세서(MSP) 및 이동국 모뎀(MSM) 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 계층(단말 S/W)은 단말기 운영체제(O/S),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포팅레이어(120)는 플랫폼의 하드웨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상화 계층으로서 상위 계층들이 포팅레이어(120) 위에서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110)와는 무관하게 동작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130)은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 계층 및/또는 플랫폼 계층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의 처리를 담당하는 이벤트 관리자(미도시)와, 상기 이벤트 관리자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에 근거하여 단말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DMB 모듈)과 통신하는 플랫폼 엔진(미도시) 및 플랫폼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플랫폼 DLL)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관리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300)로부터 전달되는 요청을 이벤트(event)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이벤트를 상기 플랫폼 엔진에 전달한다.
도 2의 경우, 상기 모바일 플랫폼(130)의 예로서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포럼의 WIPI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플랫폼(130)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마이크로 시스템의 J2ME, 퀄컴의 BREW 등도 채택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방송 신호의 일종으로서 DMB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DM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모든 무선 방송 표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DMB 에이전트(200)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130)을 기반으로 개발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플랫폼 APP)의 일종으로서, 상기 플랫폼 DLL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DMB 에이전트(200)는 DMB 방송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단말기 고유 기능(예를 들어, 음성호 처리, SMS, MMS 등)을 연동시키는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이다. 즉, 상기 DMB 에이전트(200)는 수신한 DMB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태그(예를 들어, URL tag, anchor tag)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이벤트(예를 들어, 웹사이트 접속, 음성호 접속, 단문 메시지 발송 등)를 실행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속 정보"는 각종 자원을 표시하기 위한 표준화된 논리 주소(URL)나 특정한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호 접속, 단문 메시지 발송 등)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예를 들어, 기능 모듈의 식별정보, 수신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정보가 특정 무선 웹사이트의 논리 주소(URL)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DMB 에이전트(200)는 이 URL을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전달해서 상기 DMB 단말(13)을 해당 웹사이트로 접속시킨다.
또한, 상기 접속 정보가 지정된 착신번호로의 단문 메시지 발송인 경우, 상 기 DMB 에이전트(200)는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신번호를 상기 지정된 착신번호로 자동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절차만으로 간편하게 상기 지정된 착신번호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DMB 에이전트(20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DMB 방송을 요청받으면, 그 정보를 DMB 모듈(300)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방송 스트림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무선 웹사이트와의 접속중에 웹페이지내에 특정한 DMB 방송 채널이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로부터 방송 데이터의 수신 요청이 존재하면,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는 이 요청을 DMB 에이전트(200)에게 전달하고, DMB 에이전트(200)는 이 요청을 다시 DMB 모듈(300)로 전달함으로써 지정된 방송 채널로부터 해당하는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은 무선 인터넷의 접속중에도 DMB 방송을 병행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DMB 에이전트(200)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에서 DMB 모듈과 무선인터넷 모듈을 상호 인터페이스함으로써 방송 서비스와 통신 서비스를 서로 연동시킨다.
일반적으로, DMB 단말(13)은 BIFS(Binary Format for Scene), BWS(Broadcast WebSite), Musicam 등의 포맷을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S의 경우는 앵커 태그(anchor tag)를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B 모듈(300)은 이 앵커 태그(anchor tag)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DMB 에이전트(200)로 전달한다. 이때, DMB 모듈(300)이 추출한 접속 정보의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걸기 tel = 전화번호
SMS 보내기 sms = 전화번호&data&...
MMS 보내기 mms = 전화번호&data&...
브라우저 연동 http://www.aaa.bbb
WIPI App 연동 app=app_id:payload
OEM App 연동 oem=OEM_app_it:payload
DMB 에이전트(200)는 이러한 접속 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추출한 접속 정보가 "tel = 전화번호" 인 경우에는 DMB 단말(13)의 음성호 처리 프로세서(call processor)를 호출하여 전화 걸기를 시도하고, 추출한 접속 정보가 "app=app_id:payload"인 경우에는 해당 플랫폼 어플리케이션(app_id)을 구동하여 페이 로드(payload)를 전달한다.
여기서, DMB 에이전트(200)는 플랫폼의 라이브러리(플랫폼 DLL)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의해 쉽게 확장할 수 있다.
또한, DMB 모듈(300)과 DMB 에이전트(200) 간의 정보 전달은 이벤트(event)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DMB 모듈(300)은 DMB 방송 데이터에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태그 정보(URL tag, anchor tag)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벤트 형식으로 플랫폼(1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플랫폼은 DMB 에이전트(200)로 이벤트 발생을 알린다. 그러면, DMB 에이전트(200) 는 상기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고,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해당하는 기능 모듈을 실행시킨 후, 작업이 종료되면 이전 상태(DMB 방송 수신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이벤트를 통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DMB 모듈(300)과 DMB 에이전트(200) 간의 정보 전달시 발생할 수 있는 블로킹(blocking)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DMB 에이전트(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에이전트(200)는 DMB 모듈(300)로부터 전달받은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기 위한 파싱부(231), 이 파싱부(231)의 파싱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대응하는 기능 모듈(예를 들어, 브라우저, 음성호 처리 프로세서,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 등)에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요청부(232),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DMB 방송 데이터의 수신을 요청받아 DMB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DMB 연동부(233)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MB 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서비스와의 연동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DMB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접속 정보가 특정한 웹사이트의 URL인 경우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가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호 처리, 단문 메시지 발송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 론이다.
DMB 모듈(300)이 태그 정보(URL tag, anchor tag)가 포함된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면(S401), 이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예를 들어, 웹사이트 주소)를 추출하고(S402), 이를 이벤트의 형태로 모바일 플랫폼(130)의 이벤트 관리자(미도시)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벤트 관리자는 이 접속 정보를 DMB 에이전트(300)에게 다시 이벤트로 전달한다.(S403).
모바일 플랫폼(130)의 이벤트 관리자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한 DMB 에이전트(200)는 이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한다.(S404) 이때, 해당 접속 정보가 특정 웹사이트의 주소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DBM 에이전트(200)의 서비스 실행 요청부(232)는 이 웹사이트 주소를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S405)
상기 서비스 실행 요청부(232)로부터 특정 웹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전달받은 브라우저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406).
이후,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면, 상기 브라우저는 DMB 에이전트(200)의 서비스 실행 요청부(232)로 해당 서비스의 종료를 알리고(S407), DMB 에이전트(200)는 이를 다시 DMB 모듈(300)로 통보한다(S408). 이에 따라, DMB 모듈(300)은 이전 상태(이전 방송 화면)로 복귀하게 된다(S409).
이처럼, 본 발명은 DMB 단말(13)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접속 정보 해석 및 처리 모듈을 플랫폼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태그 정보 정규화에 의한 확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모듈을 중앙집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DMB 단말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송과 무선인터넷 간의 양방향 서비스를 중개함으로써, 부가적인 기능의 확장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송신호 재생모듈과,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에서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양방향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한 접속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파싱하여 해석하기 위한 파싱부;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해당 기능 모듈에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요청부; 및
    상기 서비스의 실행중에 방송 수신을 요청받고, 이 요청을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브라우저 프로그램,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 음성호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가 웹사이트 접속, 음성호 접속, 단문메시지 발송, 멀티미디어메시지 발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은,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접속 정보를 이벤트 발생을 통하여 상기 파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장치.
  4.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단말로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고, 이 방송 신호내에 포함된 태그 정보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송신호 재생수단;
    단말기 기본 소프트웨어상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방송신호 재생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플랫폼(Mobile Platform);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며, 상기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해당하는 기능 모듈에 요청하기 위한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이벤트 형식으로 수신하고, 이를 상기 에이전트 장치에 이벤트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장치는, 플랫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업그레드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장치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접속 정보를 파싱하는 수단,
    상기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기능 모듈에 상기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수단, 및
    상기 서비스의 실행중에 상기 기능 모듈로부터 방송 수신 요청을 접수하고, 이를 상기 방송신호 재생모듈에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8. 무선통신단말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다른 서비스를 병행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방송 센터로부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내에 포함된 태그정보로부터 각종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를 모바일 플랫폼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파싱하여 해석하고, 이 접속 정보가 지시하는 서비스의 실행을 대응하는 기능 모듈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실행이 종료됨에 따라, 방송 수신 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실행중에, 해당하는 기능 모듈로부터 방송 수신 요청을 접수하고, 요청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음성 호 처리 프로세서,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프로그램, 단문메시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방법.
KR1020050133089A 2005-12-29 2005-12-29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KR10074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89A KR100742497B1 (ko) 2005-12-29 2005-12-29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89A KR100742497B1 (ko) 2005-12-29 2005-12-29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80A KR20070070480A (ko) 2007-07-04
KR100742497B1 true KR100742497B1 (ko) 2007-07-24

Family

ID=3850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089A KR100742497B1 (ko) 2005-12-29 2005-12-29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1A (ko) 2014-01-28 2015-08-05 (주)티비아이텍 모바일 전이중 양방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365A (ko) * 2004-09-09 2006-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연동을 위한 정보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365A (ko) * 2004-09-09 2006-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연동을 위한 정보전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901A (ko) 2014-01-28 2015-08-05 (주)티비아이텍 모바일 전이중 양방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80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154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and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US20070282925A1 (en) Backup System and Backup Method
CN101369859A (zh) 一种手机电视电子业务指南信息的获取方法和系统
KR100712228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dmb/이동통신망 연동 플랫폼과,그를 이용한 dmb/이동통신망 통합 수신 단말 및 그 방법
US20060067320A1 (en) Method of transferring messages
KR101041210B1 (ko)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방법 및 장치
KR100701004B1 (ko) 디엠비와 이동통신 간의 망 연동을 위한 디엠비/이동통신통합서비스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80419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media products
WO2008115142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media products
KR100742497B1 (ko) 무선통신단말의 양방향 서비스 중개장치 및 그 방법
EP1411723A1 (en) Program; related information fetch system and method
US20080295135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WO2007007981A1 (en) Cell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cell broadcasting service therefor
JP2004304429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システムに利用可能な放送受信装置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KR101234717B1 (ko) 셋탑박스를 이용한 방송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셋탑박스
CN102065328B (zh) 接收中国移动多媒体广播数据的系统、方法及移动终端
EP1774778A1 (en) Dmb/mobile telecommunication integrated servic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linkage between dmb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KR100738925B1 (ko) Dmb 데이터 방송에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방법 및시스템
EP1952565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media products
KR100777821B1 (ko) 애플리케이션 컨트롤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애플리케이션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476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이브 스크린 컨텐츠를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04740B1 (ko) 프록시서버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송컨텐츠의 정보제공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0908B1 (ko) 영상 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실시간 tv 방송 시청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57696B1 (ko) 양방향 통신 및 무선 방송 전송을 위한 시스템을 제어하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