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12B1 -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 Google Patents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2312B1 KR100742312B1 KR1020060048942A KR20060048942A KR100742312B1 KR 100742312 B1 KR100742312 B1 KR 100742312B1 KR 1020060048942 A KR1020060048942 A KR 1020060048942A KR 20060048942 A KR20060048942 A KR 20060048942A KR 100742312 B1 KR100742312 B1 KR 1007423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d
- hot water
- water
- valve
- h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cold water heater
도 2는 선 등록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t water valve of the pre-registered cold water heater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밸브의 배면사시도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 hot water valv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밸브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d and hot water valv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밸브를 온수밸브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t and cold water valv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to a hot water valve,
a는 취수레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온수를 공급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a is a state in which the hot water is supplied by rotating the intake lever counterclockwise,
b는 취수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온수를 연속하여 공급받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b is a state in which the ho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by rotating the intake lever clockwise,
c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취수레버가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c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take lever rotated clockwise is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사시도이고,a is a perspective view,
b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b is a state of use sectional drawin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사시도이고,a is a perspective view,
b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b is a state of use sectional draw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지지부 200: 온수공급부100: support 200: hot water supply
300: 공급제어부 400: 만곡면300: supply control unit 400: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냉온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수레버의 회전동작을 제어하여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냉온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lve for controlling the continuous supply of hot and cold water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intake lever to block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hot water to reduce the waste of cold and hot water.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의 발달로 현대사회는 풍요로운 문명의 혜택을 향유하고 있으나, 산업화에 따른 막대한 에너지의 사용으로 환경은 점점더 오염돼 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질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관공서, 직장 및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modern society enjoys the benefits of abundant civilization, but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ly polluted by the enormous use of energy due to industrialization. Among them, water pollution has reached a serious level, In the workplace and at home, it is possible to drink clean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urifier.
상기 정수기는,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필터로 여과하는 냉.온정수기와, 정수된 물이 일정량 저장된 물통을 사용하는 냉온수기로 구분되고, 상기 냉.온정수기와 냉온수기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 중 냉온수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내장한 함체상의 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수와 온수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냉온수밸브(20)(2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냉온수밸브(20)(20')의 하부에 냉온수밸브(20)(20')에서 각각 떨어진 물을 저장하여 배수시키는 물받이(30)가 구비된다.The water purifier may be divided into a cold / hot water purifier for filtering water supplied to a water pipe with a water purifying filter, and a cold / hot water purifier using a bucket of purified water stored therein. Built-in can be conveniently drinking cold water and hot water su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cold and
또한, 상기 냉온수밸브(20)(20')를 본건 출원인이 2005년 실용신안 제11636호로 출원하여 제390713호로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탱크에 온수밸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함과 동시에 지지리브(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몸체(311)가 복원스프링(320)을 가압하면서 작동공간(253)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한다.In addition, the applicant for the cold and
이때, 상기 취수레버(280)는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을 중심으로 고정캡(27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작동부재(250)는 가압스프링(260)을 가압하면서 취수레버(28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50)의 걸림턱(225)에 걸리게 되므로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도 지지리브(13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어부재(310)가 작동부재(25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실리콘패킹(210)이 결합된 이동부재(22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었다.In the heating apparatus through the
또한, 상기 온수의 연속으로 공급받으려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부재(250)가 실리콘패킹(210)이 결합된 이동부재(22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취수레버(280)의 일측면이 고정캡(270)의 상면에 밀착된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온수의 연속공급이 가능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eive the continuous supply of hot water, by rotating the
그러나 상기의 과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저장할 때, 공급제어부의 가압부재와 온수공급부의 취수레버를 가압하여 온수를 공급받을 때 보다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으로 저장부재에 저장된 온수가 엎질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toring hot water continuously supplied by the above process, the ho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is spilled because the user does not pay more attention than when the hot water is supplied by pressurizing the pressurizing member of the supply control unit and the intake lever of the hot water supply unit. There wa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또한, 연속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필요 이상으로 공급받아 버림으로써, 온수의 낭비는 물론, 온수를 생성하도록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에너지가 낭비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by receiving the hot water continuously supplied more than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waste of hot water, but also the energy supplied to the heating device to generate hot water is wasted to generate economic losses.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장치나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연속으로 공급받을 경 우에도 취수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냉온수를 공급받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냉온수를 차단하여 냉온수의 생성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general defects, and its object is that the hot and hot water is supplied only when the intake lever is pressurized even when the hot and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device or the heating device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lve that blocks the continuous supply of hot and cold water, which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focusing the user's attention and cuts off unnecessary hot and cold water to reduce energy loss due to the generation of cold and hot wat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에 있어서,In the valve for supplying the cold and hot water produced by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상기 냉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의 가압부재가 가압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킨 취수레버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취수레버를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원시켜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정캡에 밀착되는 취수레버의 후방에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water intake lever rotated forward while the pressurizing member of the supply control unit is pressed in order to receive the cold and hot water is released, the water intake lever is restored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to closely contact the fixed cap to block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hot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urved surface in the rear of the intake lever.
또한 본 발명은,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lve for supplying the cold and hot water produced by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상기 냉온수를 연속하여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의 가압부재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취수레버의 전방 회전을 제어하여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정캡에 밀착되는 취수레버의 후방에 회전제어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receive the hot and cold water continuously, th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is integrated in the rear of the intake lev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cap to block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hot water by controlling the front rotation of the intake lever that rotates while the pressurizing member of the supply control unit is pressuriz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밸브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밸브의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 hot water valv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d / hot water valv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가 가압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킨 취수레버(28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취수레버(280)를 복원스프링(260)의 복원력으로 복원시켜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정캡(270)에 밀착되는 취수레버(280)의 후방에 만곡면(400)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lve for supplying the hot and col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the
이때, 상기 만곡면(400)은, 상기 고정캡(27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 회전축(250')의 거리보다 넓은 직경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 및 사용과정을 설명하는데, 본건 출원인이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90713호로 등록받은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combination process and a us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hot water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heaters filed by the applicant and register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90713.
먼저, 작동부재(250)가 결합되어 고정캡(270)에 밀착되는 취수레버(280)의 후방에 만곡면(400)을 형성하는데, 상기 만곡면(400)은 취수레버(280)와 결합되는 작동부재(250)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다.First, the
상기 만곡면(400)이 형성된 취수레버(280)를 지지부(100)에 안착되어 공급제어부(300)를 수용하는 온수공급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캡(270)이 착탈가능하게 지지부(100)의 상면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캡(270)의 상부로 돌출되 는 작동부재(250)의 상단에 회전축(25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이를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된 배출관(미도시)에 냉온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하여 결합하면 된다.The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밸브를 통해 냉온수를 공급받으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함과 동시에 지지리브(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제어부재(310)의 몸체(311)가 복원스프링(320)을 가압하면서 작동공간(253)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한다.To receive the cold and hot water through the valve coupled in the above process, as shown in Figure 5a, while pressing the
이때, 상기 취수레버(280)는 작동부재(250)의 작동축(256)을 중심으로 고정캡(27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작동부재(250)는 가압스프링(260)을 가압하면서 취수레버(28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50)의 걸림턱(225)에 걸리게 되므로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도 지지리브(13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어부재(310)가 작동부재(25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실리콘패킹(210)이 결합된 이동부재(22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압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250)가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22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220)에 결합된 실리콘패킹(210)이 지 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폐쇄하여 온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In the heating apparatus through the
또한, 상기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연속으로 공급받기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하여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키면, 만곡면(400)이 고정캡(27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취수레버(280)에 의해 작동부재(250)가 가압스프링(260)을 가압하면서 상승함과 동시에 제어부재(310)의 걸림돌기(313)가 이동부재(250)의 걸림턱(225)에 걸리게 되므로 복원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도 지지리브(13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리콘패킹(210)이 결합된 이동부재(22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개방되는 수직유로(112)를 통해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eive the hot water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continuously, as shown in FIG. 5B, the
이때, 상기 취수레버(28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캡(27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 회전축(250')의 거리보다 넓은 직경으로 만곡된 만곡면(400)에 의해 취수레버(28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취수레버(280)는 복원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작동부재(250)가 하부로 이동하고,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22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220)에 결합된 실리콘패킹(210)이 지지부(100)의 수직유로(112)를 폐쇄하여 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를 연속하여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취수레버(280)의 전방 회전을 제어하여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정캡(270)에 밀착되는 취수레버(280)의 후방에 회전제어돌기(500)가 일체로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a, in the valve for supplying the cold and hot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the pressing member of the supply control unit 300 to receive the cold and hot water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를 연속하여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취수레버(280)의 전방 회전을 제어하여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정캡(270)에 돌출되는 제어돌기(600)를 형성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a, in the valve for supplying the hot and cold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the pressurization of the supply control unit 300 to receive the cold and hot water continuously By controlling the front rotation of the
상기의 구성으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냉온수를 공급받으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냉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o receive cold and hot water through another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form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old and hot water may be su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를 연속으로 공급받기 위해 공급제어부(300)의 가압부재(3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온수공급부(200)의 취수레버(280)를 가압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어돌기(500)가 고정캡(270)에 밀착되어 회전하지 못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280)가 제어돌기(600)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므로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Intake lever of the hot water supply uni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온수밸브를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냉수밸브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냉온수기 뿐만 아니라 냉온정수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hot water valve of the cold water heater, but not limited to this, it is applicable to the cold water valve, it turns out that it is applicable to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s well as cold and hot wat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장치나 가열장치에서 생성된 냉온수를 연속으로 공급받을 경우에도 취수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냉온수를 공급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의를 집중하여 냉온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냉온수를 차단하여 냉온수의 생성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hot or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device or the heating device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cold and hot water is supplied while the water intake lever is pressurized. In addition to preventing and preventing unnecessary hot and cold water is supplied to reduce the energy loss due to the production of hot and cold water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conomic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8942A KR100742312B1 (en) | 2006-05-30 | 2006-05-30 |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8942A KR100742312B1 (en) | 2006-05-30 | 2006-05-30 |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2312B1 true KR100742312B1 (en) | 2007-07-24 |
Family
ID=3849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8942A KR100742312B1 (en) | 2006-05-30 | 2006-05-30 |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231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8382Y1 (en) | 2000-02-11 | 2000-07-15 | 주원봉 | Cock-valve |
KR20010027707A (en) * | 1999-09-15 | 2001-04-06 | 정낙원 | Valve of purified water dispenser |
KR200341050Y1 (en) | 2003-11-27 | 2004-02-11 | 유정근 | Safety cock for cold and hot water supply system |
KR100553484B1 (en) | 2003-02-12 | 2006-02-22 | 채병태 | Beverage dispensing valve with safety structure |
-
2006
- 2006-05-30 KR KR1020060048942A patent/KR1007423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707A (en) * | 1999-09-15 | 2001-04-06 | 정낙원 | Valve of purified water dispenser |
KR200188382Y1 (en) | 2000-02-11 | 2000-07-15 | 주원봉 | Cock-valve |
KR100553484B1 (en) | 2003-02-12 | 2006-02-22 | 채병태 | Beverage dispensing valve with safety structure |
KR200341050Y1 (en) | 2003-11-27 | 2004-02-11 | 유정근 | Safety cock for cold and hot water supply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5569B1 (en) | water purifier | |
RU2003124080A (en) | BACTERIAL CLEANING AND WATER COLLECTION SYSTEM | |
KR100742312B1 (en) | Valves which intercept the continuous supply of cold and warm water | |
BE1004329A3 (en) | Dental cleaning device. | |
KR100825936B1 (en) | cock | |
JP2004017016A (en) | Reverse osmosis membrane water purifier | |
KR20130001194U (en) | Caver apparatus of discharge for water purifier | |
KR200420822Y1 (en) | cock | |
KR20190077071A (en) | Odor removal cap | |
KR200360771Y1 (en) | cold and hot clean water cork | |
KR100669923B1 (en) | Portable steam washer of car washing | |
DE102004016194A1 (en) | Hot drinks preparation mechanism e.g. for hot beverage integrated into center console of motor vehicle, has heating element for allowing beverage preparation in container and limited with pressure hood attached to hot water supply | |
KR200373888Y1 (en) | hot water coke of cooling and heating purifier for possessing lock device | |
JP5339558B2 (en) | Water purifier | |
KR200463619Y1 (en) | Splash of water interruption function having cock for water purifier | |
KR200311251Y1 (en) | Safety Valve for Water Filtering Apparatus or Hot and Cold Water Supplier | |
CN209157859U (en) | A kind of machine tool chief axis cutter cooling device convenient to use | |
KR20190089145A (en) | water purifier | |
KR20140033648A (en) | A water discharging cock for system of water purifier | |
CN214073202U (en) | Waterway system of steam dish washing machine | |
KR100707507B1 (en) | hot water valve of cooling and heating water dispenser | |
CN216797298U (en) | Steam cooking utensil | |
KR200301446Y1 (en) |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 |
KR200230320Y1 (en) |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 |
KR200426707Y1 (en) | hot water supply device for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