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850B1 -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850B1
KR100741850B1 KR1020050113004A KR20050113004A KR100741850B1 KR 100741850 B1 KR100741850 B1 KR 100741850B1 KR 1020050113004 A KR1020050113004 A KR 1020050113004A KR 20050113004 A KR20050113004 A KR 20050113004A KR 100741850 B1 KR100741850 B1 KR 10074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remote
remote controller
hom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901A (ko
Inventor
복창용
김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캠프
Priority to KR102005011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8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통합 리모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종 장비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를 포함하여 통합 리모콘을 구성함으로서, IR, RF 통신 기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기기 제어,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합 리모콘, 화상통화, 일반통화, 기기제어, 홈네트워크, 홈서버, 가전기기, TV 기반 인터페이스, AV 기기

Description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by united remote controller}
도 1은 종래 리모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통합 리모콘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합 리모콘 110 : 중앙제어부
120 : 입력처리부 121 : 키패드 입력부
122 : 터치스크린 입력부 123 : 캐릭터 장치 제어부
130 : 신호 송수신부 131 : 통신제어부
132 : IR 송수신부 133 : RF 송수신부
140 : 영상처리부 141 : 그래픽 프로세서
142 : 카메라 모듈 143 : 디스플레이부
150 : 음성처리부 151 : 사운드 프로세서
152 : 음성입력부 153 : 음성출력부
160 : 배터리 170 : 전원입력부
180 : 전원 충전 장치 200 : 홈서버
300 : TV 기반 인터페이스부 400 : 가전기기
500 : 단지 서버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IR(Infrared Rays, 적외선), RF(Radio Frequency, 무선)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Audio-Video, 오디오-비디오)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 HA)기기 제어, 펌웨어(Firmware)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의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Remote controller)은 멀리 떨어져 있는 기기나 기계류를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리모콘의 블록구성도로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95064 호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기기를 기기모드에 따라 각각 제어하는 리모콘(10)에 있어서, 다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해당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가지는 키입력부(20)와; 상기 각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0)와;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한 기능키 선택시,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기능키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를 판단하여 상기 기기모드를 상기 기능키에 해당하는 전자기기 모드로 변경하고, 선택된 기능키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고, 다수의 전자기기에 무선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신호송수신부(40);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리모콘(10)은 다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하였을 뿐이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이란 집안의 각 공간(안방, 부엌, 거실, 현관 등)을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의 PC, 전화, TV, 냉장고, 조명등 가정 내의 통신, 가전, 제어기기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통신망 시스템이다.
도 2는 종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월 패드(Wall pad) 또는 웹 패드(Web pad)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와 연동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서버(70)와; 상기 홈서버(70)를 통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동작하는 가전기기(80);로 구성된다.
그래서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인 벽부 매립 장착형인 월 패드를 이용하거나 이동 가능한 웹 패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벽부 매립 장착형인 월 패드의 경우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웹 패드의 경우는 이동은 가능하지만 부피가 크며 일반 기기 제어 기능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월 패드와 웹 패드 모두 단순한 가전기기(80) 제어 기능만을 수행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서비스가 추가 될 때마다 그 서비스를 제어하는 전용 단말도 추가되기 때문에 서비스가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제어 단말의 숫자도 같이 늘어가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현재 강력 범죄의 발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 환경 보안성 강화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데, 아파트 단지 곳곳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 회로 텔레비전)와 같은 보안 장비가 설치되어 보안성이 강화 되었지만, 방문자를 로비폰이나 도어폰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서는 월 패드 쪽으로 다가가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집안내 AV 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 숫자도 많아짐에 따라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개의 리모콘(10)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성능의 발달에 따라 일반전화 뿐만 아니라 화상통화의 필요성 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인데,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이를 충족시키지 못한 한계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R, RF 통신 기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기기 제어,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통합 리모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종 장비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를 포함하여 통합 리모콘을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합 리모콘을 온 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 콘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기제어 단계, 일반전화 단계, 화상통화 단계, 가전기기제어 단계, 이벤트수신처리, 업그레이드 단계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통합 리모콘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리모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10)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처리부(120)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종 장비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부(130)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140)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150);를 포함하여 통합 리모콘(10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기기제어 기능, 일반전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가전기 기제어 기능, 이벤트수신처리 기능, 업그레이드 기능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처리부(120)는,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입력부(121)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고, 상기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제어하는 캐릭터 장치 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130)는,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통합 리모콘(100)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31)와; 상기 통신제어부(131)의 제어를 받고, IR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하는 IR 송수신부(132)와; 상기 통신제어부(131)의 제어를 받고, RF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송수신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40)는,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는 그래픽 프로세서(141)와;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141)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142)과;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141)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50)는, 상기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는 사운드 프로세서(151)와;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 (151)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입력부(152)와;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151)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원을 저장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원 충전 장치(180)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7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통합 리모콘(100)과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홈서버(2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서버(200)의 제어를 받는 가전기기(4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통합 리모콘(100)과 IR 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V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되는 가전기기(4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통합 리모콘(100)과 IR 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V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V 기 반 인터페이스부(300)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홈서버(2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서버(200)의 제어를 받는 가전기기(4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합 리모콘(100)을 온(On) 시키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ST2)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기제어 단계, 일반전화 단계, 화상통화 단계, 가전기기제어 단계, 이벤트수신처리, 업그레이드 단계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제 3 단계(ST3 ~ ST10);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1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RF 신호를 상기 홈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T12)와; 상기 홈서버(200)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T13)와; 상기 홈서버(2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1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ST1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2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2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T23)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2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ST2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5에서 기기제어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3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2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T33)와; 상기 홈서버(200)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T34)와; 상기 홈서버(2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35)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결과값을 TV에 출력하고,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36)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ST3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전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4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RF 신호로 상기 홈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T42)와; 상기 홈서버(2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 교환망)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43)와; 상기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4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3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전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5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하는 단계(ST52)와; 상 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53)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5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5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도 5에서 일반전화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전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6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하는 단계(ST6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T63)와; 상기 홈서버(2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64)와; 상기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65)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66)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6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7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RF 신호로 상기 홈서버(200)에 전송하는 단계(ST72)와; 상기 홈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73)와; 상기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7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7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8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하는 단계(ST8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83)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8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8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도 5에서 화상통화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ST9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하는 단계(ST9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T93)와; 상기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T94)와; 상기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95)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96)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9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가전기기(4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상기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10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RF 신호를 상기 홈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T102)와; 상기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T103)와; 상기 홈서버(2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10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ST105)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ST106)(ST10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가전기기(4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11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11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T113)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114)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 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ST115)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ST116)(ST11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도 5에서 가전제품제어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가전기기(4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ST121)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하는 단계(ST12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T123)와; 상기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단지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T124)와; 상기 홈서버(2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125)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하는 단계(ST126)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ST125)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ST126)(ST12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T131)와; 상기 홈서버(2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32)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13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T141)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42)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14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도 5에서 이벤트수신처리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T151)와; 상기 홈서버(2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15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53)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ST154);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1은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ST161)와; 상기 홈서버(2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62)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ST16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2는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 (ST171)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72)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ST173);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3은 도 5에서 업그레이드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ST181)와; 상기 홈서버(2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하는 단계(ST182)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는 단계(ST183)와; 상기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ST184);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IR, RF 통신 기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기기 제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 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통합 리모콘(100)은 IR 송-수신 기능, RF 송-수신 기능, 무선 네트워크 기능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 UDP/IP(User Datagram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 리모콘(100)은 홈서버(200) 등과 연동되어 원격 신호를 사용하여 홈서버(200) 등으로 제어명령을 내려 가정자동화기기(HA)를 제어하고, 일반 전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그리고 단지 서버(500)로부터 댁내 AV 기기의 리모콘 키 맵을 다운로드 받아 AV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합 리모콘(100)에서 중앙제어부(110)는 통합 리모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기제어 기능, 일반전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가전기기제어 기능, 이벤트수신처리 기능,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기능 등을 포함하여 제어하게 된다.
또한 입력처리부(120)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키패드 입력부(121), 터치스크린 입력부(122)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처리부(120)에서 키패드 입력부(121)는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캐릭터 장치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처리부(120)에서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캐릭터 장치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처리부(120)에서 캐릭터 장치 제어부(123)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여 중앙제어부(110)로 전달하고,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신호 송수신부(130)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종 장비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 송수신부(130)에서 통신제어부(131)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통합 리모콘(100)의 통신 기능을 제어한다. 그래서 IR 송수신부(132)를 통한 IR 신호의 송수신 제어와 RF 송수신부(133)를 통한 RF 신호의 송수신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30)에서 IR 송수신부(132)는 통신제어부(131)의 제어를 받고, IR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IR 송수신부(132)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또는 가전기기(400) 등과 IR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래서 개별 AV 기기를 포함한 가전기기(400)를 제어하는 신호 및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 받는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30)에서 RF 송수신부(133)는 통신제어부(131)의 제어를 받고, RF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RF 송수신부(133)는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등과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래서 일반 전화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여 홈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40)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140)에서 그래픽 프로세서(141)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래서 카메라 모듈(142)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중앙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중앙제어부(110)로부터 받은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43)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통합 리모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43)에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40)에서 카메라 모듈(142)은 그래픽 프로세서(141)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그래픽 프로세서(141)에서 인코딩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40)에서 디스플레이부(143)는 그래픽 프로세서(141)의 제어를 받고, 그래픽 프로세서(141)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50)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음성처리부(150)에서 사운드 프로세서(151)는 중앙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래서 음성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여 중앙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중앙제 어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출력부(153)로 전달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각종 소리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50)에서 음성입력부(152)는 사운드 프로세서(151)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사운드 프로세서(151)에서 인코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50)에서 음성출력부(153)는 사운드 프로세서(151)의 제어를 받고, 사운드 프로세서(151)에서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통합 리모콘(100)은 전원을 저장하여 통합 리모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더욱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리모콘(100)은 전원 충전 장치(180)와 연결되어 통합 리모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70)를 더욱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1) 통합 리모콘(100) + 홈서버(200)
2) 통합 리모콘(100) + 홈서버(200) + 가전기기(400)
3) 통합 리모콘(100) +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4) 통합 리모콘(100) +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 가전기기(400)
5) 통합 리모콘(100) + 홈서버(200) +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6) 통합 리모콘(100) + 홈서버(200) +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 가전기기(400)
이러한 1) ~ 6)에서와 같은 장치와 더불어 단지 서버(500)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그래서 홈서버(200)는 통합 리모콘(100)과 RF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을 제어한다.
또한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통합 리모콘(100)과 IR 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V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전기기(400)는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의 제어를 받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1) 기기제어 기능, 2) 일반전화 기능, 3) 화상통화 기능, 4) 가전기기제어 기능, 5), 이벤트수신처리 기능, 6) 업그레이드 기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기제어 기능
기기제어 기능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기반 기기들(홈오토메이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다. 그래서 통합 리모콘(100)에서 통합 리모콘(100)의 자체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내리면 홈서버(200) 등으로 전송되어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기기제어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통합 리모콘(100)의 UI는 그래픽 프로세서(141)를 거쳐 디스플레이부 (14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이용하여 제어를 하면, 중앙제어부(110)에서 제어 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통신제어부(131)를 거쳐서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제어 후의 결과값은 통합 리모콘(100)의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통신제어부(131)를 거쳐 중앙제어부(110)에서 처리된 후, 그래픽 프로세서(141) 또는 사운드 프로세서(151)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43) 또는 음성출력부(153)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현된다.
1-1) 통합 리모콘(100) + 홈서버(200)로 구성할 경우 (도 6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RF 신호로 변환시킨다(ST1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RF 신호를 홈서버(200)로 전송한다(ST12).
홈서버(200)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T13).
홈서버(2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1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킨다(ST15).
1-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7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킨다(ST2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로 전송한다(ST2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T23).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2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킨다(ST25).
1-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8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킨다(ST3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2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홈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한다(ST33).
홈서버(200)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T34).
홈서버(200)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35).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결과값을 TV에 출력하고,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36).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킨다(ST37).
2) 일반전화 기능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통합 리모콘(100)에서 인/디코딩된 음성은 홈서버(200) 등으로 전송되어 홈서버(200) 등의 일반전화 모듈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어 전화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일반전화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통합 리모콘(100)의 UI는 그래픽 프로세서(141)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4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이용하여 일반전화를 걸면 중앙제어부(117)에서 일반 전화 제어 명령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일반 전화 제어 명령어는 통신제어부(131)를 거쳐서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거쳐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게 일반전화 명령을 내린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입력부(152) -> 사운드 프로세서(151) -> 중앙제어부(110) -> 통신제어부(131) ->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거쳐서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된다.
또한 상대방의 음성은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 -> 통신제어부(131) -> 중앙제어부(110) -> 사운드 프로세서(151) -> 음성출력부(153)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2-1)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할 경우 (도 9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한다(ST4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RF 신호로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T42).
홈서버(2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43).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4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다(ST35).
2-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10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한다(ST5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한다(ST5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53).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5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다(ST55).
2-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11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한다(ST6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한다(ST6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홈서버(200)로 전송한다(ST63).
홈서버(200)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64).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65).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66).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다(ST67).
3) 화상통화 기능
통합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화상통화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통합 리모콘(100)의 UI는 그래픽 프로세서(141)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4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면 중앙제어부(110)에서 화상통화 제어 명령어를 생성하여 통신제어부(131)와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거쳐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게 전화 명령을 내린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입력부(152) -> 사운드 프로세서(151)를 거쳐 중앙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사용자의 영상은 카메라 모듈(142) -> 그래픽 프로세서(143)를 거쳐 중앙제어부(110)로 전달된다. 그래서 중앙제어부(110) -> 통신제어부(131) ->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를 거쳐서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된다.
또한 상대방의 음성과 영상은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 -> 통신제어부(131) -> 중앙제어부(110) -> 사운드 프로세서(151) / 그래픽 프로세서(141) -> 음성출력부(153) / 디스플레이부(143)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TV_to_TV 화상통화의 경우에는, 음성 부분은 통합 리모콘(100)이 담당하고 영상 부분은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가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3-1)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할 경우 (도 12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한다(ST7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RF 신호로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T72).
홈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73).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7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 다(ST75).
3-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13 참조)
이는 TV_to_TV 화상통화로 구현할 수 있다.
그래서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한다(ST8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한다(ST8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83).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8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다(ST85).
3-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14 참조)
이는 TV_to_TV 화상통화로 구현할 수 있다.
그래서 통합 리모콘(100)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한다(ST91).
통합 리모콘(100)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한다(ST9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홈서버(200)로 전송한다(ST93).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ST94).
홈서버(200)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95).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96).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킨다(ST97).
4) 가전제품제어 기능
통합 리모콘(100)은 일반적인 만능 리모콘 처럼 댁내의 모든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만능 리모콘과 본 발명을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통합 리모콘은 개별 가전기기의 리모콘 키 맵 정보를 단지 서버(500) 등에서 수신하여 동적으로 통합 리모콘의 키에 맵핑하여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때 가전제품제어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통합 리모콘(100)의 UI는 그래픽 프로세서(141)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4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121)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2)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면, 중앙제어부(110)에서 선택한 가전기기(400)의 데이터와 통합 리모콘(100)의 키를 맵핑하여 메시지를 생성한 후 통신제어부(131) -> IR 송수신부(132)를 통해 가전기기(40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4-1)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가전기기(400)로 구성할 경우 (도 15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RF 신호로 변환시킨다(ST10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RF 신호를 홈서버(200)로 전송한다(ST102).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500)로 전송한다(ST103).
홈서버(2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10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킨다(ST105).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한다(ST106).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ST107).
4-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가전기기(400)로 구성할 경우 (도 16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 로 변환시킨다(ST11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11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500)로 전송한다(ST113).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114).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킨다(ST115).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한다(ST116).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ST117).
4-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 가전기기(400)로 구성할 경우 (도 17 참조)
통합 리모콘(100)에서 등록할 가전기기(400)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킨다(ST121).
통합 리모콘(100)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 전송한다(ST12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홈서버(200)로 전송한다(ST123).
홈서버(200)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단지 서버(500)로 전송한다(ST124).
홈서버(200)는 단지 서버(500)로부터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125).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통합 리모콘(100)에 전송한다(ST126).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4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킨다(ST127).
통합 리모콘(100)에서 제어할 가전기기(400)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400)에 전송한다(ST128).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ST129).
5) 이벤트수신처리 기능
이벤트수신처리 기능은 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상업광고, 날씨정보, 공지 사항 등을 통합 리모콘(100)에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해 주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때 이벤트수신처리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단지 서버(500)에서 발생한 각종 이벤트(광고, 공지사항 등)는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를 거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100)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된 이벤트 메시지는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 -> 통신제어부(131) -> 중앙제어부(110) -> 그래픽 프로세서(141) / 사운드 프로세서(151) -> 디스플레이부(143) / 음성출력부(153)를 통해 UI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 통합 리모콘(100)은 광고나 공지 사항과 같은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5-1)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할 경우 (도 18 참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ST131).
홈서버(2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32).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킨다(ST133).
5-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19 참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ST141).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42).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킨다(ST133).
5-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20 참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ST151).
홈서버(200)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15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53).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킨다(ST154).
6) 업그레이드 기능
업그레이드 기능은 통합 리모콘(100)의 RF 무선 통신 기술 등을 이용하여 펌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기능이다.
그래서 펌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단지 서버(500)에서 각 세대의 통합 리모콘(100)으로 펌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도록 한다. 그러면 통합 리모콘(100)은 그 정보를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전달받아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업그레이드를 위한 통합 리모콘(100)에서의 공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단지 서버(500)의 펌웨어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들은 홈서버(200) 또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를 거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100)에 전달된다.
또한 펌웨어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들은 IR 송수신부(132) 또는 RF 송수신부(133) -> 통신제어부(131) -> 중앙제어부(110)로 전달되어 통합 리모콘(100)의 업 그레이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업그레이드 수행 상황은 그래픽 프로세서(141) / 사운드 프로세서(151) -> 디스플레이부(143) / 음성출력부(153)를 통해 UI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통합 리모콘(100)은 펌웨어 또는 응용 소프트웨어들을 원격으로 전송받아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6-1)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로 구성할 경우 (도 21 참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ST161).
홈서버(2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62).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ST163).
6-2) 통합 리모콘(1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22 참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ST171).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72).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ST173).
6-3) 통합 리모콘(100), 홈서버(200),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구성할 경우 (도 23 참조)
홈서버(200)에서 단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ST181).
홈서버(200)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한다(ST182).
TV 기반 인터페이스부(300)는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ST183).
통합 리모콘(100)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ST184).
이처럼 본 발명은 IR, RF 통신 기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기기 제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은 IR, RF 통신 기술,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을 제공하여 일반전화, 화상전화, 정보기기 제어, AV기기 제어, 가전기기 제어, 가정 자동화기기 제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리한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댁내의 모든 가전기기용 리모콘을 통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반전화기능, 화상전화기능 등을 통합 리모콘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시킨 장점이 있다.

Claims (33)

  1. 통합 리모콘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종 장비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를 포함하여 통합 리모콘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기제어 기능, 일반전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가전기기제어 기능, 이벤트수신처리 기능, 업그레이드 기능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처리부는,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키패드 입력부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처리하고, 상기 키패드 입력부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를 제어하는 캐릭터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상기 통합 리모콘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와;
    상기 통신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IR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하는 IR 송수신부와;
    상기 통신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RF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는 그래픽 프로세서와;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고,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에 대한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는 사운드 프로세서와;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고,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원을 저장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원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은,
    상기 통합 리모콘과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홈서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서버의 제어를 받는 가전기기;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통합 리모콘과 IR 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V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되는 가전기기;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 은,
    상기 통합 리모콘과 IR 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TV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홈서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서버의 제어를 받는 가전기기;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15.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합 리모콘을 온 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면, 기기제어 단계, 일반전화 단계, 화상통화 단계, 가전제품제어 단계, 이벤트수신처리, 업그레이드 단계 중에서, 상기 일반전화 단계를 포함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일반전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RF 신호로 상기 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거나,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거나,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일반전화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PSTN이나 사설전화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시킨 RF 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기기제어 명령을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시킨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제어 후의 결과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결과값을 TV에 출력하고, 결과값을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결과값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RF 신호로 상기 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인코딩된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전송받은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대방의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음성 정보, 화상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시키 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가전기기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등록할 상기 가전기기의 모델 정보를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된 RF 신호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단지 서버로부터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제어할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 가전기기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등록할 가전기기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단지 서버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제어할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제어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 가전기기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등록할 가전기기의 모델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변환된 IR 또는 RF 신호를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전송받은 모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단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단지 서버로부터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IR 또는 RF 신호로 상기 통합 리모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의 키와 맵핑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에서 제어할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해당 가전기기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는 전송받은 IR 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2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3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수신처리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31.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32.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33.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및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통합 리모콘, 홈서버,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상기 홈서버에서 단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홈서버는 수신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TV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IR 또는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리모콘은 전송받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113004A 2005-11-24 2005-11-24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4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04A KR100741850B1 (ko) 2005-11-24 2005-11-24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04A KR100741850B1 (ko) 2005-11-24 2005-11-24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01A KR20070054901A (ko) 2007-05-30
KR100741850B1 true KR100741850B1 (ko) 2007-07-23

Family

ID=3827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004A KR100741850B1 (ko) 2005-11-24 2005-11-24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901B1 (ko) 2010-05-31 2010-12-13 (주)넥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리모콘이 적용된 iptv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111A1 (en) * 2008-07-18 2010-01-21 Macroway Technologies, Inc. System for controlling light in a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1924974B1 (ko) 2011-01-04 201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49069B1 (ko) * 2018-11-28 2020-0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254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254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901B1 (ko) 2010-05-31 2010-12-13 (주)넥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리모콘이 적용된 iptv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01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247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H08251306A (ja) 離れた場所で受信された情報を記録および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0510313A (ja) 機器ユニットを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内蔵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41850B1 (ko) 통합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2804761A (zh) 用于配对计算机与视频会议设备的方法
CN101213796B (zh) 上下文相关数据处理的方法和用户设备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KR200800254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 및 장치
JPH08251305A (ja) 構内の記録ユニットを使って離れた場所で受信された情報を記録および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14173183A (zh) 投屏方法和电子设备
US20050149215A1 (en) Universal plug and play remote audio mixer
US20080037579A1 (en) Network adapter
KR100510122B1 (ko) 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
JP2008135935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テレビ電話システム
KR20090008017A (ko)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JP3646576B2 (ja) マルチ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構成するインターホン親機、インターホン副親機、このシステムに増設付加されるワイヤレスコールユニット
KR100607645B1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12037741A (zh) K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U4590196A (en) Interactive multimedia device including caller identification decoding feature
KR20010107100A (ko) 화상 통신시 배경 화면 서비스 방법
CN114095764B (zh) 投屏方法和电子设备
JP2004147108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505223B1 (ko) 공중 전화교환망을 이용한 에어컨의 제어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JP2000092235A (ja) アクセスポイント制御装置、携帯用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を含んだ無線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