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793B1 -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793B1
KR100741793B1 KR1020050099896A KR20050099896A KR100741793B1 KR 100741793 B1 KR100741793 B1 KR 100741793B1 KR 1020050099896 A KR1020050099896 A KR 1020050099896A KR 20050099896 A KR20050099896 A KR 20050099896A KR 100741793 B1 KR100741793 B1 KR 10074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ortable device
data
memory
buf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533A (ko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7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의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버퍼링 메모리를 할당하고, USB와 같은 파일 전송 경로를 통한 휴대용 기기로의 파일 다운로드 시에, 상기 버퍼링 메모리에 파일 데이터를 소정 크기만큼 저장한 후에 메모리 장치에 생성한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메모리 장치로의 빈번한 접근(Access)을 최소화하고 파일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다.
USB, 다운로드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FILE DOWNLOAD IN A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링 메모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서버 120: 휴대용 기기
130: 케이블 140: 서버측 제어부
150: 휴대용 기기측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의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대용량 메모리 장치의 보급화에 따라 사용자는 작은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유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 단자(port)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컨텐츠 서버에 연결하여 원하는 파일을 손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용 기기가 USB를 통해 일정량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휴대용 기기의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파일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파일 전송이 처리된다. 그러나 USB를 통해 정해진 크기로 데이터 전송을 제한하는 것은 USB 구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한 사항이며, 통신 프로토콜 특성에 따른 제한 사항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런 제한 사항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의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파일 데이터 기록을 많이 하게 되기 때문에, 파일 전송 속도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의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은, 휴대용 기기의 통신 단자와 서버의 통신 단자와의 연결 설정을 하는 과정과; 휴대용 기기에서 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정보에 따 른 파일을 생성하고 버퍼링 메모리로의 파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과;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메모리 장치에 한번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최적 크기가 되면 저장하고 있던 버퍼링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하고 버퍼링 메모리 기록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파일 정보의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았으면 상기 메모리 장치의 파일을 닫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단 결과,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지 않았으면 파일 사이즈만큼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까지, 상기 파일 데이터 다운로드 및 버퍼링 데이터 기록, 버퍼링 메모리 기록 위치 초기화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단자는 범용직렬버스 단자이며, 상기 버퍼링 메모리는 메인 메모리의 부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시스템은,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서버(110)와; 상기 서버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휴대용 기기(120)와; 상기 서버(110)의 통신 단자와 휴대용 기기(120)의 통신 단자를 연결하여 파일 전송 통로를 제공하는 케이블(130)과; 상기 파일 전송 통로를 통한 파일 전송을 관리하는 서버측 제어부(140)와; 버퍼링 메모리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 전송 통로를 통한 파일 다운로드를 관리하는 휴대용 기기측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110)는 PC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기기(120)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단자는 USB 단자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블(130)은 USB 케이블이고, 상기 파일 전송 통로는 USB일 수 있다.
상기 버퍼링 메모리는 RAM과 같은 휴대용 기기의 메인 메모리의 부분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파일 전송 통로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휴대용 기기측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SIZE)가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한번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면 버퍼링된 데이터를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파일로 저장한다. 이때,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되고, 버퍼링 메모리는 이후 전달되는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 메모리 영역의 처음부터 다시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한번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최적 크기가 될 때까지 기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통신 단자와 서버의 통신 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한 후 휴대용 기기에서 서버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면 양측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다(S210).
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휴대용 기기에서 파일 전송을 요청하면 서버는 해당 파일의 이름 및 크기와 같은 파일 정보를 휴대용 기기의 제어부에 전달한다(S220).
상기 파일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기기는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에 파일을 생성하고(S230), 일정 크기의 파일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한다(S240).
또한 휴대용 기기는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기에 적합한 크기가 되는지를 판단하여(S250), 적합한 크기, 즉, 최적 크기가 되면 버퍼링 데이터를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한다(S260). 그러면 휴대용 기기는 버퍼링 메모리 기록 위치를 초기화시키고, ACK(Acknowledge) 메시지와 같은 파일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한다(S270).
또한 휴대용 기기는 파일 크기만큼 데이터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하고(S280), 파일 크기만큼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의 파일을 닫아 파일을 보호한다(S290).
그러나 파일 크기만큼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으면, 일정 크기의 파일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40)로 돌아가 파일 크기만큼 데이 터를 수신할 때까지 이후의 과정(S240~S270)들을 반복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링 메모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 받을 파일의 전체 크기만큼의 데이터를 바로 메모리 장치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 받는 데이터를 먼저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하고, 버퍼링 메모리에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한번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최적 크기만큼 데이터가 채워지면, 그때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한다. 이후, 버퍼링 메모리를 초기화하여 비운 후 이후의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 메모리로 다운로드 받고, 다시 버퍼링 메모리에 최적 크기만큼 데이터가 채워지면, 그때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장 혹은 외장 메모리 장치로의 접근(Access)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은,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버퍼링 메모리를 할당하고, USB와 같은 파일 전송 경로를 통한 휴대용 기기로의 파일 다운로드 시에, 상기 버퍼링 메모리에 파일 데이터를 소정 크기만큼 저장한 후에 메모리 장치에 생성한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메모리 장치로의 빈번한 접근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파일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버퍼링 메모리를 휴대용 기기 내(內) 메인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할당하고, 파일 전송 경로를 통한 파일 다운로드 시 상기 버퍼링 메모리에 파일 데이터를 소정 크기만큼 저장한 후에 메모리 장치에 생성한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전송 경로는
    범용 직렬 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전송 경로는
    휴대용 기기의 통신 단자와 컨텐츠를 담고있는 서버의 통신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는
    범용직렬버스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메모리는
    저장하고 있던 파일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장치의 파일에 기록하면, 초기화되어 저장공간을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메모리는
    전체 파일 크기만큼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까지 상기 저장, 기록, 초기화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9. 휴대용 기기의 통신 단자와 서버의 통신 단자와의 연결 설정을 하는 단계와;
    휴대용 기기에서 파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정보에 따른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휴대용 기기 내(內) 메인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할당된 버퍼링 메모리로 파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메모리 장치에 한번에 기록가능한 소정의 크기가 되면, 저장하고 있던 버퍼링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하고 버퍼링 메모리 기록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파일 정보의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았으면 상기 메모리 장치의 파일을 닫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는
    범용직렬버스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파일 사이즈만큼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지 않았으면 파일 사 이즈만큼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까지, 상기 파일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버퍼링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에 생성된 파일에 기록하고 버퍼링 메모리 기록 위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KR1020050099896A 2005-10-21 2005-10-21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KR10074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96A KR100741793B1 (ko) 2005-10-21 2005-10-21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96A KR100741793B1 (ko) 2005-10-21 2005-10-21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533A KR20070043533A (ko) 2007-04-25
KR100741793B1 true KR100741793B1 (ko) 2007-07-25

Family

ID=3817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96A KR100741793B1 (ko) 2005-10-21 2005-10-21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54B1 (ko) * 2007-12-28 2015-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장치
KR102363253B1 (ko) * 2020-11-06 2022-02-15 천일계전(주) 휴대용 계량자료 설정장치 그 설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119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저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60084576A (ko) * 2005-01-20 2006-07-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백앤드칩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파일 다운로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119A (ko) * 2001-11-08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저장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60084576A (ko) * 2005-01-20 2006-07-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백앤드칩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파일 다운로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533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585B2 (en) Nonvolatile memor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nonvolatile memory system
US8504774B2 (en) Dynamic cache configuration using separate read and write caches
US7873758B2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144092A1 (en) Efficient cache management
US11675709B2 (en) Reading sequential data from memory using a pivot table
US861562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memory erase functionality
KR2010008821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내장 대용량 메모리를 이용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CN115102908B (zh) 基于带宽控制的网络报文生成的方法以及相关装置
KR100741793B1 (ko) 휴대용 기기에서의 파일전송 제어방법
CN108073524B (zh) 可应用于数据储存装置的存储器管理方法
KR101538619B1 (ko) 일반 io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KR101420798B1 (ko) 실시간 응답성이 요구되는 코드를 위한 요구 페이징 방법및 단말
US20040098552A1 (en) Selectively pipelining and prefetching memory data
KR20030073824A (ko)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한 시스템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방법 및 장치
EP1804170A1 (en) High-speed data transfer and multitask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mass storage secondary memory
JP2011505623A (ja) メモリ使用量を改善する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551024A3 (en) File access method for a storage medium in a wireless terminal
CN114077588B (zh) 一种预读方法及装置
US20080162783A1 (en) Dynamically updateable and moveable memory zones
JP4869815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345925A (zh) 一种文件下载的方法和装置
KR101699159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가상 파일 시스템 모듈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05857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1739685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EP1126466A1 (en) Electronic device for the recording/reproduction of voic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