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433B1 -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 Google Patents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433B1
KR100740433B1 KR1020060053866A KR20060053866A KR100740433B1 KR 100740433 B1 KR100740433 B1 KR 100740433B1 KR 1020060053866 A KR1020060053866 A KR 1020060053866A KR 20060053866 A KR20060053866 A KR 20060053866A KR 100740433 B1 KR100740433 B1 KR 10074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ixed
cubic coupling
turr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한
김재실
Original Assignee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32Turrets adjustable by power drive, i.e. turr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2003/1558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tools in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클램프점 즉, 고정점과 공구에 의해 절삭가공이 일어나는 작용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이다.
오일리스베어링(oilless bearing)

Description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Tool Turret}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일부분 확대도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구동모터 2. 디스크 3. 풀리
4. 타이밍벨트 5. 기어샤프트a 6. 스퍼기어a
7. 에어실린더 8. 실린더샤프트 9. 도그
10. 센서브라켓트 11a, 11b. 센서 12. 샤프트
13. 스퍼기어b 14. 기어샤프트b 15a, 15b. 베벨기어
16. 드라이브샤프트 17. 공구구동샤프트 18. 공구척
19. 디스크플랜지 20. 고정커빅커플링 21. 선회커빅커플링
22. 피스톤커빅커플링 23. 오일리스베어링 24. 스크류
24a. 핀 25. 스퍼기어c 26. 유로1
27. 유로2 28. 네임플레이트 29. 모터브라켓트
30. 케이스 31. 도그 32. 실린더브라켓트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클램프점 즉, 고정점과 공구에 의해 절삭가공이 일어나는 작용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이다.
일반적으로 터렛공구대는 자동선반이나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기계에 주로 사용되는데, 자동선반의 경우에는 하나의 자동선반으로서 모든 가공을 완료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복합적인 요구로 근래에는 메인주축과 서브주축이 같이 형성된 선반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메인주축과 서브주축이 같이 형성된 자동선반은 공작물의 전면과 후면을 순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터렛공구대가 메인주축과 서브주축 중 어느 쪽을 가공하든 디스크에 부착된 공구가 선회할 수만 있으면 되므로 목 부분이 특이하게 긴 터렛공구대가 적용되어 사용될 필요가 없다.
이와는 달리, 주축과 공구대가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 특이한 구조의 선반은 그 구성상의 제약으로 인해 터렛공구대의 형상이 일반적인 구조로는 불가능하며, 공구교환 및 가공시 주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목 부분이 긴 터렛공구대가 주 로 사용되고 있다.
목 부분이 긴 터렛공구대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작용점과 디스크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점 사이의 거리가 길 수밖에 없어 초기에 정도를 맞추어도 반복사용으로 인한 디스크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 부분이 긴 터렛공구대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작용점과 디스크의 회전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하여 디스크 처짐을 방지한 터렛공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렛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클램프점 즉, 고정점과 공구에 의해 절삭가공이 일어나는 작용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일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는 회전공구 구동동력 및 공구교환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동력을 기어 샤프트a(5)로 전달하는 풀리(3) 및 타이밍벨트(4)와, 상기 기어샤프트a(5)를 전후진시켜 회전공구 구동 및 공구교환 구동을 결정하는 에어실린더(7)와, 상기 기어샤프트a(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드라이브샤프트(16)로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12)와,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6)로 전달된 동력을 공구로 전달하는 공구구동샤프트(17)로 구성된 회전공구구동부와; 상기 기어샤프트a(5)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스퍼기어b(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스퍼기어c(25)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샤프트b(14)와, 상기 스퍼기어c(25)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선회커빅커플링(21)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의 내측부에 형성되며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커빅커플링(20)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 및 고정커빅커플링(20)에 착탈되어 디스크(2)의 회전을 제어하는 피스톤커빅커플링(22)으로 구성된 공구교환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퍼기어c(25)와 고정커빅커플링(20) 사이에는 원통형의 오일리스베어링(23, oilless bearing)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3)은 DU부쉬(DU bush)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철판부에 청동분말을 다공질로 소결하여 PTFE와 납의 혼합물을 다공질에 표면처리한 자기윤활(무급유) 베어링이다.
상기 오일리스베어링(23)을 사용한 것은 터렛공구대의 구성상 급유가 어렵고, 공간적으로 간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다.
먼저, 공구교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스퍼기어c(25)와 선회커빅커플링(21)은 핀(24a)에 의해 연결되며, 스크류(24)는 디스크플랜지(19)를 관통하여 선회커빅 커플링(21)과 결합하므로 결국 디스크플랜지(19)와 스퍼기어c(25) 및 선회커빅커플링(21)은 동시에 회동된다. 즉, 디스크플랜지(19)는 디스크(2)와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퍼기어c(25) 및 선회커빅커플링(21)의 회전량에 따라 디스크(2)도 회전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퍼기어c(25)와 선회커빅커플링(21)을 따로 형성하였으나, 가공 조건이 맞는다면 두 구성은 일체의 선회커빅커플링(21)으로 형성하여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의 외주면에 스퍼기어c(25)를 형성할 수 있다.
공구교환이 완료되면 회전공구를 회전시켜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디스크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몸체에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역할은 후술한 커빅커플링들로 행하게 된다.
공구교환 완료후 절삭가공을 진행하게 되면 절삭으로 인한 반발력(절삭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 반발력은 디스크(2)에 전달되게 되므로, 상기 디스크(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디스크의 클램프력이 요구된다.
상기 디스크(2)는 커빅커플링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는데, 피스톤커빅커플링(22)의 유로1에 유압이 인가되면 피스톤커빅커플링(22)과 선회커빅커플링(21) 및 고정커빅커플링(20)이 체결되어 선회커빅커플링(21)이 고정커빅커플링(2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과 디스크(2)는 고 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디스크(2)는 커빅커플링들에 의해 몸체에 클램프되게 된다.
이때, 절삭공구에 의해 실제 가공을 행하는 작용점(P1)과 디스크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점(P2) 사이의 거리가 멀게 될수록 절삭가공시 커빅커플링 간의 결합부 즉, 고정점(P2)에 보다 많은 모우멘트 등의 역학적인 힘들이 가해지게 되므로 디스크 처짐 발생의 우려가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커빅커플링(20)의 크기를 크게 하고, 상기 고정커빅커플링(20)의 디스크 쪽의 외면에는 피스톤커빅커플링(22)과 치합되는 기어이를 형성하여, 결국 고정점을 디스크(2) 쪽으로 이동시켜 작용점(P1)과 고정점(P2)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서 터렛공구대의 디스크 처짐을 방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 부분이 긴 터렛공구대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작용점과 디스크의 회전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하여 디스크에 걸리는 부하 발생을 줄여 디스크 처짐을 방지한 터렛공구대를 제공한다.

Claims (4)

  1. 공작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회전공구 구동동력 및 공구교환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기어샤프트a(5)로 전달하는 풀리(3) 및 타이밍벨트(4)와, 상기 기어샤프트a(5)를 전후진시켜 회전공구 구동 및 공구교환 구동을 결정하는 에어실린더(7)와, 상기 기어샤프트a(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드라이브샤프트(16)로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12)와,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6)로 전달된 동력을 공구로 전달하는 공구구동샤프트(17)로 구성된 회전공구구동부와;
    상기 기어샤프트a(5)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스퍼기어b(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스퍼기어c(25)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샤프트b(14)와, 상기 스퍼기어c(25)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선회커빅커플링(21)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의 내측부에 형성되며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커빅커플링(20)과,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 및 고정커빅커플링(20)에 착탈되어 디스크(2)의 회전을 제어하는 피스톤커빅커플링(22)으로 구성된 공구교환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기어c(25)와 고정커빅커플링(20) 사이에는 원통형의 오일리스베어링(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기어c(25)와 선회커빅커플링(21)을 일체의 선회커빅커플링(21)으로 형성하되, 상기 선회커빅커플링(21)의 외주면 일부에는 스퍼기어를 형성한 것이 특징인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4. 터렛공구대에 있어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커빅커플링(20)의 크기를 크게 하고, 상기 고정커빅커플링(20)의 디스크 쪽의 외면에는 피스톤커빅커플링(22)과 치합되는 기어이를 형성하여, 결국 고정점을 디스크(2) 쪽으로 이동시켜 작용점(P1)과 고정점(P2)의 거리를 짧게 한 것이 특징인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KR1020060053866A 2006-06-15 2006-06-15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KR10074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866A KR100740433B1 (ko) 2006-06-15 2006-06-15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866A KR100740433B1 (ko) 2006-06-15 2006-06-15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433B1 true KR100740433B1 (ko) 2007-07-18

Family

ID=3849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866A KR100740433B1 (ko) 2006-06-15 2006-06-15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1411A (zh) * 2017-05-22 2017-08-18 东莞市巨冈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内置吹尘气路的电主轴气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55A (ja) * 1992-03-03 1994-02-01 Murata Mach Ltd 割出回転位置クランプ装置
JPH0919848A (ja) * 1995-07-06 1997-01-21 Mori Seiki Co Ltd 3ピースカップリングを用いた旋回割出し装置
KR20000015333A (ko) * 1998-08-28 2000-03-15 추호석 인발성형에 의한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020097423A (ko) * 2001-06-21 2002-12-3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터렛헤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55A (ja) * 1992-03-03 1994-02-01 Murata Mach Ltd 割出回転位置クランプ装置
JPH0919848A (ja) * 1995-07-06 1997-01-21 Mori Seiki Co Ltd 3ピースカップリングを用いた旋回割出し装置
KR20000015333A (ko) * 1998-08-28 2000-03-15 추호석 인발성형에 의한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020097423A (ko) * 2001-06-21 2002-12-31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터렛헤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1411A (zh) * 2017-05-22 2017-08-18 东莞市巨冈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内置吹尘气路的电主轴气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1935B (zh) Working machine with spindle head
CN205437779U (zh) 筒壁钻孔复合机床钻孔装置
WO2011121793A1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CN109605063B (zh) 一种小型五轴雕铣机床
US7547169B1 (en) Drilling module with automatic tool changer
JP2006088326A (ja) 工作機械の工作物イジェクティング装置
KR20170115620A (ko) 5축 가공기
KR100740433B1 (ko) 작용점과 고정점의 거리를 짧게 한 터렛공구대
KR100938872B1 (ko) 액슬 타입의 터렛공구대
KR100938873B1 (ko) 원모터 액슬타입의 터렛공구대
JP2004001166A (ja) 工作機械用スピンドルアセンブリー
US7080433B2 (en) Workpiece seat for bar-shaped workpieces
KR101157326B1 (ko) 각도조절장치가 형성된 크로스공구대
KR101682558B1 (ko) 전기구동 터렛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H1199403A (ja) 主軸装置
CN210475583U (zh) 一种偏心轴加工工装
CN205817027U (zh) 一种钻孔用工装夹具
CN205519782U (zh) 带有主轴内自动钻孔装置的车床
CN216540950U (zh) 一种缝纫机零件加工用钻攻铣加工装置
CN212496500U (zh) 一种深孔镗车复合加工中心头架
CN220128095U (zh) 车铣一体机
CN2513714Y (zh) 整体式机床主轴油缸夹紧装置
JP4721894B2 (ja) 切削加工装置
CN220093436U (zh) 一种改进型双联动激光切割机方孔前卡盘
CN218693906U (zh) 一种特殊形状表面的液压驱动仿形车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