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284B1 -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284B1
KR100740284B1 KR1020050106270A KR20050106270A KR100740284B1 KR 100740284 B1 KR100740284 B1 KR 100740284B1 KR 1020050106270 A KR1020050106270 A KR 1020050106270A KR 20050106270 A KR20050106270 A KR 20050106270A KR 100740284 B1 KR100740284 B1 KR 10074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flash memory
processors
top box
soft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523A (ko
Inventor
주광철
도록철
이동영
김한석
조삼래
Original Assignee
에스넷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넷시스템(주) filed Critical 에스넷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5010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2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탑박스 구동시 프로세서A에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한 후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A에 접속된 제1 SDRAM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 SDRAM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후 상기 플래시 메모리를 프로세서B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B에 접속된 제2 SDRAM에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프로세서A, B가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된 SDRA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나 혹은 2개의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2개의 SDRAM에 임시 저장한 후 이에 접속된 프로세서에 의해 2채널의 방송신호를 동시에 수신 처리하는 셋탑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셋탑박스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 플래시 메모리, SDRAM, 웨이크 업, OTA.

Description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win set-top-box having single flash memory and two processors sharing the flash memory}
도1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본 발명에 의한 트윈 셋탑박스의 구성도이다.
도2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본 발명에 의한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튜너 13 : 전원
14 : 리셋 IC 15, 16 : 프로세서
17 : 버스 스위치 18 : 플래시 메모리
19, 20 : SDRAM 21 : 입출력부
22 : RS-232C 23 : 오디오 DAC
24 : 스위칭 IC 25 : TV 출력단
26 : VCR 출력단
본 발명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STB : Twin Set Top Box)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업그레이드된 셋탑박스의 동작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두 개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동시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방송신호가 공식적으로 송출되기 시작한 이래, TV 수상기를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은 신문이나 라디오 등과 같은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수많은 방송 컨텐츠들을 양산해 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식의 전달과 정보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TV 방송이 기여한 역할을 절대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TV 방송용 프로그램들을 제작하고 송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설과 자본의 투자가 병행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제약이 많다.
이러한 요구를 맞추기 위한 일환으로 초기 케이블TV 방송국이 기존의 공중파TV 방송국보다 적은 투자로 특화된 프로그램들을 앞세워 개국할 때에 기존의 TV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안테나 외에 케이블TV를 시청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셋탑박스이다.
초기의 셋탑박스는 다양한 케이블TV 채널들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방향의 일방적인 수신 중계하는 역할만을 한다. 이 후 등장한 셋탑박스는 TV 수상기 위에 올려놓는 기능뿐만 아니라, 위성방송이나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고 여타의 가전제품과 같은 자체적인 역할이 분명해지고,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운영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셋탑박스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디지털화되면서 각종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셋탑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위한 프로세서(CPU)도 고도화됨과 동시에 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도 수시도 업그레이드해야만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의 연산과정에 필요한 운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운영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야 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해야 하는데, 보다 빠른 연산이 요구될수록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
셋탑박스에서 사용되는 저장수단의 종류로는 소프트웨어적인 업그레이드 등에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와 임시 저장수단으로 사용되는 SDRAM, 커널 혹은 I/O 시스템이 로드되는 EEPRO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와 플래시 메모리 및 SDRAM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셋탑박스는 하나 혹은 2개의 튜너를 갖는다. 하나의 튜너를 가지는 셋탑박스는 하나의 프로세서와 플래시 메모리 및 SDRAM 등이 장착되어 있고, 2개의 튜너를 가지는 셋탑박스는 2개의 프로세서와 플래시 메모리 및 SDRAM 등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튜너를 가지는 경우와는 달리 2개의 튜너를 가지는 셋탑박스는 2채널의 방송신호를 동시에 수신 처리하여 TV 수상기를 통해 시청하면서 VCR에 의해 녹화도 가능하다.
그러나 2개의 튜너를 통한 방송신호를 수신 처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나 SDRAM 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까지 2개 구비해야 하므로 셋탑박스의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2개의 SDRAM에 임시 저장한 후 이에 접속된 두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2채널의 방송신호를 동시에 수신 처리하는 셋탑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셋탑박스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은, 셋탑박스 구동시 프로세서A에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한 후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A에 접속된 제1 SDRAM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 SDRAM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후 상기 플래시 메모리를 프로세서B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B에 접속된 제2 SDRAM에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프로세서A, B가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된 SDRA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나 혹은 2개의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 다른 동작이 요구되는 프로세서 A, B는, 프로세서 A, B 자체의 포트 값을 읽어서 스스로 마스터 프로세서(master processor) 혹은 슬래브 프로세서 (slave processor)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루틴으로 분기하도록 하여,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슬래브 프로세서의 리셋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언제 슬래브 프로세서가 활성화될 것인지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마스터 프로세서가 리셋을 해제하는 순간 슬래브 프로세서는 동작을 시작한다. 마스터 프로세서의 리셋은 리셋IC에 의해서 전원이 투입된 후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자동적으로 활성화 상태가 된다. 리셋에서 활성화상태로 바뀌면 프로세서 하드웨어에 의해서 기동(booting)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 과정 중에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프로그램 코드가 SDRAM에 옮겨진다. 이것은 마치 PC의 기동과정과 유사하다. PC의 기동은 하드디스크에 있는 실행 프로그램 코드를 내부 메모리에 옮기는 일을 한다.
또한, 상기 슬래브 프로세서는 2개 이상 둘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와 프로세서A 혹은 프로세서B 간의 어드레스 버스(라인)는 플래시 메모리와 프로세서A, B 사이에 위치한 버스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다.
즉, 상기 버스 스위치는 플래시 메모리의 어드레스 라인이 프로세서 A의 어드레스 라인에 연결될 지 아니면 프로세서B에 연결될 지 선택하는 것으로서, 이 버스 스위치의 선택신호는 프로세서A에 의해서 제어된다. 전원 투입 후 자동 리셋 구간동안 버스 스위치는 플래시 메모리 어드레스가 프로세서A에 연결된다. 프로세서A는 기동(booting) 과정이 끝나면 프로세서 B의 기동을 허락하기 위해서 버스 스위치 선택신호를 제어하여 플래시 메모리 어드레스 라인이 프로세서 B에 연결되도록 하고, 프로세서 B의 리셋을 해제하여 프로세서B가 기동되도록 한다. 플래시 메모리 호출(Access 읽거나 쓰기)데이터 라인도 연결되어야 하는데, 어드레스 라인의 경우와 다르게 스위치 회로 없이 프로세서A, 프로세서B,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라인이 한꺼번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한꺼번에 연결 가능한 것은 메모리를 호출하지 않는 프로세서의 데이터 라인은 고 임피던스(high impedance)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데, 대략적으로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가능하다. 첫 번째 방법은 PC와 같은 외부기기가 RS-232C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코드를 넘겨주면 프로세서A가 받아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물론, RS-232C를 대신하여 USB를 사용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위성방송이나 지상파 방송 및 케이블 방송 등의 방송신호의 일부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A가 골라내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OTA(Over The Air) 다운로드 서비스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두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소프트웨어를 각각의 프로세서가 따로따로 업그레이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본 발명과 달리 각각을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라면 RS-232C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두 개씩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셋탑박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인 셋탑박스에서와 마찬가지로 2개의 튜너(11)(12)는 위성이나 지상파 및 케이블을 통해 들어오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등을 독립적으로 혹은 동시에 수신하여 프로세 서A, B(15)(16)에 전달한다.
상기 프로세서A, B(15)(16)의 개별동작은 기존 셋탑박스와 같은 것으로서 SDRAM(19)(2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튜너(11)(1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털 비트 스트림(digital Bit stream)으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PID(Packet ID)로 구성되어 구별되는 PID 기준으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를 풀어준다.
또한, 프로세서A, B(15)(16)는 상기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등이 암호화된 스트림인 경우, 암호를 해독한 후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시청자가 시청하거나 혹은 녹화할 수 있는 신호로 디코딩(decoding)하여 TV 출력단(25)이나 VCR 출력단(26)으로 출력한다. 더 나아가서, 2개의 프로세서A, B(15)(16)는 리얼타임 OS(Operating System), HDD(Hard Disk, Drive), 그래픽 프로세서 등을 제어하는 역할과 함께 웹 서비스 요청 및 응답, 이메일(E-mail) 수신 등과 같은 데이터 처리까지도 담당한다.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A, B(15)(16)의 개별동작은 기존 셋탑박스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차이점은 각 구성요소가 두 개씩 있거나 혹은 하나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하여 두 개의 방송을 독립적으로 시청 혹은 녹화 가능하도록 해 준다. 본 발명의 핵심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18)를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A, B(15)(16)가 각각 다른 동작을 하는 마스터 프로세서와 슬래브 프로세서로서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업그레이드 등 관리 및 유지보수가 쉽게 되도록 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도 하나만 있으면 된다.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프로세서A, B(15)(16)가 각각 다르게 동작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프로세서A, B(15)(16)의 특정 입출력 포트(port)값을 읽어서 그 값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분기하도록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마스터 프로세서(15)의 해당 포트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논리적으로 정(true)에 해당하고, 슬래브 프로세서(16)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false)에 해당한다.
프로세서 A(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프로세서 역할을 한다. 슬래브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 B(16)는 UART 직렬 통신을 통해서 마스터 프로세서로부터 명령을 받거나 요구사항 혹은 상태를 마스터 프로세서에게 알려준다. 마스터 프로세서는 일반적인 가전제품에서 사용되는 리모트 콘트롤러 혹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들린다. 이렇게 받아들인 명령 중 슬래브 프로세서에 해당하는 것이면 URAT 직렬 통신을 통해 슬래브 프로세서에 넘겨준다. 또한, 마스터 프로세서는 통상적으로 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튜닝 주파수 PID(Packet Ident) 등의 방송 선국정보를 관리한다. 이 방송 선국정보는 슬래브 프로세서의 방송선국을 위해서도 사용되어진다. 마스터 프로세서가 관리하는 방송 선국정보는 슬래브 프로세서가 자신의 방송 선국을 위해 마스터 프로세서에 요청하면 UART를 통해 전달된다.
방송 선국정보는 전원이 꺼진 후에도 유지될 필요한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8)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통상의 동작 중에 플래시 메모리(18)가 연결된 마스터 프로세서가 슬래브 프로세서의 방송 선국정보도 관리하고, 필요시 슬래브 프로세서에 넘겨준다. 이 기술 또한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내용들 또한 개별 동작에 있어서는 기존 셋탑박스와 같고, 다만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방송을 동시에 독립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연동 동작만 다르다.
2개의 프로세서(15)(16)에 의해 처리된 비디오신호는 스위칭 IC(24)에 의해 TV 출력단(25) 및/또는 VCR 출력단(26)에 전달되고,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DAC(23)(Digital Analog Convertor)에 의해 처리되어 TV 출력단(25) 및/또는 VCR 출력단(26)에 전달된다.
플래시 메모리(18)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2개의 프로세서A, B(15)(16)와 그 주변회로의 동작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이고, 리셋 IC(14)는 전원 투입시 리셋이 필요한 튜너(11)(12), 플래시 메모리(18), 마스터 프로세서(15)에 리셋신호를 공급한다. SDRAM(19)과 SDRAM(20)은 전반부에서 설명한 기동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던 실행 프로그램이 옮겨지는 메모리이다.
여기서, 버스 스위치(17)는 셋탑박스 동작 초기에는 플래시 메모리(18)를 프로세서A(15)와 함께 SDRAM(19)에 연결시켜 기동과정 중에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SDRAM(19)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SDRAM(19)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후에는 플래시 메모리(18)를 프로세서(16)와 함께 SDRAM(20)에 연결시켜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SDRAM(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13은 전원이고, 21은 셋탑박스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리모콘신호를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및 다수개의 버튼과 키들로 이루어진 입출력부이며, 22는 RS-232C로서 외부기기나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등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포트이다.
도2는 본 발명에서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18)에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2개의 프로세서(15)(16)에 접속된 SDRAM(19)(20)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셋탑박스가 구동되면, 프로세서A(15)가 리셋(S11)됨과 동시에 버스 스위치(17)의 구동으로 플래시 메모리(18)가 프로세서A(15)를 연결하는 어드레스 버스가 개통(S12)되면서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서A(15)를 통해 SDRAM(19)에 저장(S13)된다.
SDRAM(19)에 플래시 메모리(18)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고 나면, 프로세서A(15)에 의해 프로세서B(16)가 리셋에서 해제되어지고(S14), 버스 스위치(17)의 구동으로 프로세서A(15)에 접속되었던 플래시 메모리(18)가 프로세서B(16)에 접속(S15)되어 어드레스 버스가 개통되면서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서B(16)를 통해 SDRAM(20)에 저장(S17)된다.
이때 프로세서A(15)는 프로세서B(16)를 리셋시키고 나서 플래시 메모리(18)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세서B(16)로부터 웨이크 업(wakeup) 메시지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하면서 대기상태를 유지(S16)한다.
SDRAM(20)에 플래시 메모리(18)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고 나면, 프로세서B(16)는 웨이크업 메시지를 프로세서A(15)로 전달(S18)하고 나서 노말상태(normal state)로 전환(S19)되고, 프로세서A(15) 역시 웨이크업 메시지를 프로세서B(16)로 전달(S20)하고 나서 노말상태로 전환(S22)된다. 이때 프로세서A(15)는 플래시 메모리(18)에 접속된다(S21).
그리고 프로세서A, B(15)(16)는 입출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입력에 따라 프로세서A, B(15)(16)는 해당 프로세서A, B(15)(16)에 접속된 SDRAM(1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나 혹은 2개의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세서 하나 당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즉, 플래시 메모리가 하나씩 사용되는 통상적인 경우와는 달리 본 발명은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프로세서가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므로 OTA 서비스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하나의 소프트웨어만 보내므로 데이터 전송량도 줄어들어 OTA 서비스 비용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예로서 RS-232C 대신 USB를 사용한 구성도 가능하고 혹은 데이터 라인이 메모리를 호출하지 않을 때 고 임피던스로 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라인에도 버스 스위치를 넣는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셋탑박스 구동시 프로세서A에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한 후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A에 접속된 제1 SDRAM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 SDRAM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후 상기 플래시 메모리를 프로세서B에 연결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를 해당 프로세서B에 접속된 제2 SDRAM에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프로세서A, B가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된 SDRA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나 혹은 2개의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다른 동작이 요구되는 프로세서 A, B는, 프로세서 A, B 자체의 포트 값을 읽어서 스스로 마스터 프로세서(master processor) 혹은 슬래브 프로세서(slave processor)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루틴으로 분기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프로세서가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로 설정된 프로세서A는 전원 초기 투입에 의해 리셋되고, 상기 슬래브 프로세서로 설정된 프로세서B는 소프트웨어의 저장을 마친 프로세서A에 의해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소프트웨어는, 상기 프로세서A에 접속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튜너를 통해 방송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OTA(Over The Air) 서비스 정보에 의해 업그레이드(upgrad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위성 방송신호, 지상파 방송신호, 케이블 방송신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이상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제품에 사용된 경우에 각각 소프트웨어를 각각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8.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는 방송 선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슬래브 프로세서는 자신의 방송선국을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마스터 프로세서에 요청하여 방송 선국정보를 넘겨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KR1020050106270A 2004-11-11 2005-11-08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KR10074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270A KR100740284B1 (ko) 2004-11-11 2005-11-08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23 2004-11-11
KR20040091923 2004-11-11
KR1020050106270A KR100740284B1 (ko) 2004-11-11 2005-11-08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523A KR20060052523A (ko) 2006-05-19
KR100740284B1 true KR100740284B1 (ko) 2007-07-18

Family

ID=3621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270A KR100740284B1 (ko) 2004-11-11 2005-11-08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40284B1 (ko)
DE (1) DE102005054467B4 (ko)
FR (1) FR28777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67B1 (ko) * 2009-05-29 201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트-업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92B1 (ko) 2006-11-03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정보갱신방법
KR101476691B1 (ko) 2008-04-23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819A (ko) * 1996-08-03 1998-05-15 구자홍 연속매체용 파일 시스템의 셋탑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72604A (ko) * 2000-09-15 2000-12-05 이재학 홈오토메이션 에치디티브이 셋탑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3099B1 (en) * 1996-06-03 2002-10-29 Webtv Networks, Inc. Automatically upgrading software over a satellite link
WO2001027753A2 (en) * 1999-10-12 2001-04-19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software into a plurality of processors
PL358855A1 (en) * 2003-02-24 2004-09-06 Advanced Digital Broadcast Ltd. Data memory in a double processor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ization of memory in a double processo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819A (ko) * 1996-08-03 1998-05-15 구자홍 연속매체용 파일 시스템의 셋탑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72604A (ko) * 2000-09-15 2000-12-05 이재학 홈오토메이션 에치디티브이 셋탑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67B1 (ko) * 2009-05-29 201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트-업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77749A1 (fr) 2006-05-12
DE102005054467B4 (de) 2008-03-13
KR20060052523A (ko) 2006-05-19
DE102005054467A1 (de)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01856A (zh) 電視啓動速度增強
KR2006013341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US20110314476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thereof
KR100740284B1 (ko)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공유하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갖춘 트윈 셋탑박스의 구동 제어방법
KR20020010493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CN101207725A (zh) 数字电视的gps寻址辨识方法及其卫星信号接收装置
CN101605216B (zh) 数字电视软件升级的方法
US902677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drive devices in order to enable rapid booting
KR10065074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홈서버
KR100533935B1 (ko) 로딩시간 단축장치 및 로딩시간 단축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
JP3934091B2 (ja) 放送受信装置
JP5092608B2 (ja) 受信装置
CN100507848C (zh) 计算机系统及其数据下载方法
US7917936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software thereof
KR10069359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KR101224304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09218777B (zh) 一种开机展示信息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08001654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broadcast receiver receiving the same
CN210327841U (zh) 一种基于机顶盒的地震预警系统及机顶盒
JP200827119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出力制御方法
KR100436809B1 (ko) 위성방송수신 프로그램의 리-인스톨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위한 위성방송수신장치
US20070116032A1 (en) Open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able card software upgrading method for open cable system
JP3594535B2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およびデジタルテレビ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視聴者管理センタ
KR100441546B1 (ko) 셋톱박스의 튜닝장치 및 그 튜닝방법
JP2005348380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