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64B1 - Sunglass holder - Google Patents

Sunglass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64B1
KR100739464B1 KR1020060078235A KR20060078235A KR100739464B1 KR 100739464 B1 KR100739464 B1 KR 100739464B1 KR 1020060078235 A KR1020060078235 A KR 1020060078235A KR 20060078235 A KR20060078235 A KR 20060078235A KR 100739464 B1 KR100739464 B1 KR 10073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control block
guide
hold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배
Original Assignee
박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배 filed Critical 박승배
Priority to KR102006007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A sunglass holder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to change the wearing position of sunglasses according to the size of a user's face, and to prevent the sunglasses from being separated easily. The sunglass holder includes a fixing member(10), a middle member(20), a control block(31) and a connection member(30). The fixing member(10) is fixed on a cap, a bag, etc., and an opening portion(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10). The middle member(20) includes an attaching/detaching portion(22) and a guide portion(26). The control block(31) moves vertically along the guide portion(26)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sunglass holder. An upper end of connection member(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lock(31)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30) is connected to the sunglass.

Description

선글라스 홀더 {SUNGLASS HOLDER}Sunglasses Holder {SUNGLASS HOLDER}

도 1a은 종래의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nglasses holder of the conventional invention,

도 1b는 종래의 선글라스 홀더를 모자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Figure 1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sunglasses holder attached to the hat,

도 2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Figure 2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3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4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를 모자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hat.

< 도면의 간단한 부호 ><Simple Symbols in Drawings>

10 : 고정 부재 20, 120, 220 : 중간부재10: fixed member 20, 120, 220: intermediate member

24, 124, 228 : 힌지부 26, 126, 326 : 가이드부24, 124, 228: hinge portion 26, 126, 326: guide portion

224 : 톱니바퀴형 기어 226 : 스토퍼224: gear type gear 226: stopper

30, 130, 330 : 연결부재 31, 131, 331 : 조절블록30, 130, 330: connecting member 31, 131, 331: control block

38, 138 : 가압버튼38, 138: Press button

본 발명은 선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글라스를 모자, 가방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선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glasses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nglasses holder that allows to detachable sunglasses, hats, bags and the like.

선글라스는 햇빛, 자외선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해주는 기능적인 목적뿐 아니라, 개성을 표출하기 위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Sunglasses are used as a fashion item to express individuality as well as a functional purpose to protect the user's eyes from sunlight, ultraviolet rays and the like.

기존의 선글라스는 안경테와 안경 귀걸이와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착용시 사용자의 코나 귀에 땀이 차고, 흘러내리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더구나 모자와 함께 사용된 경우에는 안경귀걸이가 모자에 눌려 귀를 압박함으로써 착용감이 더욱 좋지 않았다.Existing sunglasses are configured to be worn in combination with a frame and eyeglasses earrings, such a form was inconvenient, such as sweat on the user's nose or ears, flow down. Moreover, when used with a hat, the earrings were pressed against the hat and pressed against the ear, resulting in a worse f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모자에 선글라스를 부착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국내 출원으로는 실용신안 공고 제95-219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93-22785호 등이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 number of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by attaching sunglasses to the hat, and related domestic applications ar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5-219,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3-22785 Etc.

그러나, 상기 고안에 기재된 제품들은 모자 등에 연결되는 부분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얼굴 길이나 모자 착용 형태에 따라 선글라스 착용 지점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얼굴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선글라스가 너무 밑으로 내려오고, 얼굴이 큰 사용자의 경우는 너무 위로 올라가 사용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products described in the above invention have a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hat, etc. is fixed,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wearing point of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ser's face or hat. As a result, sunglasses have a lower face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small face, and a us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ace is too high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large fa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모자 등에 부착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글라스 홀더(특허출원 제10-2003-0076790호)를 기출원한 바 있다. 도 1a와 도 1b은 상기 기 출원된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글라스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has previously filed a sunglasses holder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76790) attached to a hat and the like. 1A and 1B are views illustrating a sunglasses holder in which the height is adjusted.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특허출원 제10-2003-007690호는 모자나 가방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411)와 개구부(416)가 형성된 몸체(412), 상기 몸체 내부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돌기(413)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410)와 ; 그 상부에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22)가 돌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삽입돌기(424)가 형성되어 있는 착탈 부재(420)와 ; 그 상부에 상기 삽입돌기에 대응하는 삽입홈(426)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홈(428)이 형성된 중간부재(427)와 ; 상기 승강홈에 대응하는 승강핀(431)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 내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그 하부는 선글라스의 관통홀(440)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편(450)과 캡(445)으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430)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7690 discloses a body 412 having a fixture 411 and an opening 416 formed therein for fixing to a hat or a bag, and an extension inside the body. A fixing member 410 formed of a locking protrusion 413 formed thereon; A detachable member 420 having a protruding portion 422 inserted into the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42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intermediate member 427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426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having at least one lifting groove 428 formed therein; The height is adjus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or protruded into the intermediate member by the elevating pin 431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groove, and a lower portion of the one or more fixing pieces 450 and the cap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440 of the sunglasses (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mber 430 made of 445.

상기 기출원된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글라스 홀더의 경우 승강핀이 승강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글라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높낮이 조절 후 승강핀을 고정해주는 구성요소가 없어 쉽게 흘러내리거나, 분리되어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sunglasses holder that is adjustable height is previously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s the lifting pin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groove and sliding, there is no component to fix the lifting pin after height adjustmen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asily flowed down or separated to impair practica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선글라스 착용지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높낮이가 조절되고, 높낮이가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쉽게 흘러내리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선글라스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height is adjusted to change the wearing point of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the height is fixed in the adjusted position is not easy to flow down or separate the sunglasses holder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자나 가방 등에 고정되며,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와, 상기 탈착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중간부재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절 블록과, 그 하단이 선글라스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 middle member including a fixing member fixed to a hat or a ba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detachable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enable detachment, a guide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block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art, a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nglasses.

한편,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탈착부와 가이드부가 힌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부재에 힌지부가 포함될 경우, 높낮이 조절과 함께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을 때, 위로 올려 분실 염려 없이 수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member is preferably hinged to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When the hinge part is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member, the heigh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height adjustment, so when not wearing the sunglasses, it can be stored up without fear of lo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는 고정부재(10)와, 중간부재(20), 조절 블록(30), 연결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2a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A,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10, an intermediate member 20, an adjusting block 30, and a connecting member 50.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A.

(1) 고정부재(10)(1) fixing member (10)

고정부재(10)는 선글라스 홀더를 모자나 가방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나 가방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와 몸체(12)로 구성된다. The fixing member 10 is for attaching a sunglasses holder to a hat or a bag,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and a body 12 for fixing the hat or a bag.

상기 체결부는 지지판(11)과 체결구(1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모자의 앞챙이나 가방 전면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존에 결합된 모자에서 탈착할 수 있으며, 다른 취향의 모자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support plate 11 and a fastener 15. The fastening part is to be easily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ront of the hat or the front of the bag, when not using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ed from the existing combined cap, can als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aste caps have.

한편, 상기 몸체(12)의 일측에는 후술할 중간 부재의 탈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6)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는 양 측면에서 탈착부를 가압하여 중간 부재와 고정부재가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누름버튼(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에 단턱(13)을 구비하여 탈착부가 삽입된 후 상기 단턱에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ody 12 to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6 so that the removabl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serted. The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ush button 14 to press the removable portion on both sides so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can be detached. In addition, the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ep (13) therein so that the removable part is not caught on the step after being inserted.

(2) 중간 부재(2) intermediate member

중간 부재(20)는 상기 모자 등에 고정된 고정부재(10)와 결합하고, 선글라스와 결합된 연결 부재(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단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탈착부(22)와, 연결 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26)로 구성되어 있다. The intermediate member 2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0 fixed to the hat and the like, and to provide a moving path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0 coupled to the sunglasses can be moved up and down. It consists of the removable part 22 inserted into an opening part, and the guide part 26 which provides a movement path so that a connection member can move up and down.

상기 탈착부(22)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부(22)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탈착부(22)를 고정부재의 개구부(16)에 삽입하면, 고정 부재의 몸체(12) 외벽에 의해 탄성 부재가 눌리면서 변형이 일어나 개구부(16)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일단 몸체(12) 내부로 삽입되고 나면, 상기 탈착부(22)가 몸체(12) 내부에 형성된 단턱(13)에 걸려 고정되게 되므로, 중간부재(20)와 고정부재(10)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한편, 중간 부재(20)와 고정 부재(10)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때는 고정부재 몸체(12) 양 측면의 누름 버튼(14)을 누르면, 탄성부재(22)가 가압되면서 밖으로 튕겨나오게 되므로, 손쉽게 해제가 가능하다.The detachable portion 22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ember. When the detachable part 22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when the detachable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6 of the fixing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deformed by the outer wall of the body 12 of the fixing member, causing deformation to occur into the opening 16. After being inserted,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 force. On the other hand, once inserted into the body 12, the removable portion 22 is fixed to the stepped jaw 13 formed in the body 12, so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10 easily Prevents disassembly. 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10, pressing the push button 14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body 12, the elastic member 22 is pushed out while being pushed out, easily Can be released.

이처럼 상기 탈착부(22)를 고정부재의 개구부(16)와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선글라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중간부재를 분리시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통 모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detachable portion 22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opening 16 of the fixing member, so that when the sunglasses are not used, the intermediate member can be separated and used as a normal hat without harming the appearance. have.

상기 가이드부(26)는 선글라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할 연결부재(30)가 상기 가이드부(26)에 장착된 후, 가이드부(26)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26)는 탈착부(22)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The guide part 26 provides a moving path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nglasses. After the connection membe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to the guide part 26, the guide part 26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rt 26. It is to be able to move. The guide part 26 extends below the detachable part 22.

한편, 상기 중간 부재(20)의 상기 탈착부(22)와 가이드부(26)는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결합은 경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부재(2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높낮이 조절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착용지점을 조절하는 것이 좀더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위로 접어 올려 수납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vable portion 22 and the guide portion 26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hinged. The hinge coupling may be configured in a hinged manner, in which case the intermediate member 20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with height adjustment, if the rotation is possible, it is easier to adjust the wearing poin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ddition, when not wearing sunglasses by folding up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loss and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3) 조절 블록 (30)(3) adjustable blocks (30)

조절 블록(30)은 가이드부(26) 및 후술할 연결부재(50)와 결합하여, 가이드부(26)를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부재(50)에 결합되는 선글라스의 높낮이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adjustment block 30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26 and the connection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by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ortion 26,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nglasse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50 It is to ensure that.

상기 조절 블록(30)은 몸체(31)와 가압버튼(38) 및 탄성부재(3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 블록의 몸체(31)는 가이드부(26)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 측면에는 가압 버튼(38)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압 버튼(38)은 탄성 부재(37)를 가압하여 가이드부(26)가 조절 블록(3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 부분에 상기 제1 관통홀(33)과 대응되는 모양의 제 2 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37)를 장 착할 수 있도록 그 말단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37)는 조절 블록(31) 내부를 관통하는 가이드부(26)의 위치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버튼(38)의 말단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 측면에 형성된 홈(35)을 통해 조절 블록(31)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 부재(37)가 가압 버튼(38)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제 1 관통홀(33)과 제 2 관통홀(39)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이드부(26)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가압 버튼(38)을 누르지 않으면, 압축되었던 탄성 부재(37)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가압 버튼을 탄성 지지하게 되고, 그 결과 제 1 관통홀(33)과 제 2 관통홀(39)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가이드부(26)가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 사이에 끼어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The control block 30 is composed of a body 31, the pressing button 38 and the elastic member 37. The body 31 of the control block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33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the guide portion 26 can pass through, and the pressing button 38 is inserted into one side thereof. The groove 35 is formed so that it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button 38 is to press the elastic member 37 so that the guide portion 26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block 30, as shown in Figure 2a, in the center portion A second through hole 39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33 is formed, and the end thereof is convex so that the elastic member 37 can be mounted.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37 i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portion 26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block 31 so as not to move,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pressing button 38 formed in the side of the body It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block 31 through 35. When the elastic member 37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button 38, the first through hole 3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9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so that the guide part 26 is moved up and down. You can move. However, if the pressing button 38 is not pressed,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37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pressing button, and as a result, the positions of the first through hole 3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9 are reduced. As the guide part 26 is shifted, the guide part 26 is fix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 연결 부재(50)(4) connecting member (50)

상기 연결부재(50)는 선글라스를 본 발명인 선글라스 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은 조절 블록(30)에 연결되고 하단은 선글라스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50)은 조절 블록(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절 블록(30)이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같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연결 부재 하단에 연결된 선글라스 역시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선글라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50 is for fixing the sunglasses to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block 30 and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sunglasses. Since the connection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lock 30, when the control block 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rt, the connection member 50 moves together. As a result, the sunglasse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member also move up and down.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unglasses can be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연결 부재(5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는 고정핀(40)과,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는 캡(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연결 부재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도 선글라스를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mb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a,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in 40 passing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sunglasses, and a cap 45 coupled to the fixing pin. The above configuration is merely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various methods for coupling the sunglasses to the holder may be used.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2B shows the use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압 버튼 말단의 볼록한 부분에 탄성 부재를 장착한 후, 조절 블록의 몸체 측면에 형성된 홈에 끼운다. 상기 가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가이드부를 몸체의 제 1 관통홀과 가압 버튼의 제 2 관통홀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상기 가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이 정확하게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First, the elastic member is mounted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button end, and then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of the control block. The guide part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body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pressing button while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exactly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hile the pressing button is pressed, the control block can be mov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

다음으로, 선글라스가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될 때 가압 버튼을 놓으면 탄성 부재가 복원되면서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가이드부가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선글라스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nglasses are in the proper position, when the release button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is restor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displaced, so that the guide part cannot move and the position of the sunglasses is fixed.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 요소인 가이드부와 조절 블록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guide part and the adjustment block,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부(126)는 그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돌기(128)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28)는 후술할 조절 블록(130)의 래치(137)와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선글라스가 이동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해준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126)는 후술할 조절블록(130) 내부로 삽입되고, 조절 블록(130) 내부에 장착된 랫치(137)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guide part 126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forming the engaging protrusion 128 at regular intervals on its surface. The locking protrusion 128 is engaged with the latch 137 of the adjustment block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preventing the sunglasses from moving in the moved position. In this case, the guide part 126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block 13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engagement with the latch 137 mounted in the control block 130.

한편, 상기 조절 블록(130)은 상기 가이드부(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 표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28)와 대응되도록 구성된 랫치(137)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 버튼(138)으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block 130 is composed of a body 131 is formed so that the guide portion 126 can be inserte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the engaging projection 12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latch 137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pressing button 138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press the latch.

상기 몸체는 가압 버튼(138)이 장착될 수 있도록 그 양 측면에 홈(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래치(137)는 상기 홈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래치(137)가 상기 홈(135)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래치(137)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래치의 볼록 부분은 상기 홈(135)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dy has grooves 135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push button 138 can be mounted, and the latch 137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mounted in the groove. desirable. In this case, since the latch 137 is fitted into the groove 135 and fixed, there is no fear that the latch 137 may be separat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the convex portion of the latch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oove 135.

도 3b는 본 제 2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3B shows the use state of this second embodiment.

가이드부가 조절 블록의 몸체 내부로 삽입되면 가이드부의 걸림돌기와 조절 블록의 랫치가 맞물려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측면에 장착된 가압 버튼을 누르면, 상기 가압 버튼이 래치를 가압하여 탄성체의 변형이 일어나 래치가 걸림돌기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조절 블록을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원하는 위치만큼 이동한 후 가압버튼을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래치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가이드부의 걸림 돌기와 맞물리면서 선글라스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When the guide part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adjustment block, the latching protrusion of the guide part and the latch of the adjustment block are engaged to be fixed.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button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body, the pressing button presses the latch to deform the elastic body and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ve the control block up, down while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On the other hand, after moving to the desired position and release the pressing button, the latch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by the elastic forc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guide portion is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sunglasses.

한편, 도 4a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중 상기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 onl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착부와 가이드부 중 어느 일측에 톱니바퀴형 기어(224)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스토퍼(226)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톱니바퀴형 기어(224)를 사용하면 착용 지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감이 극대화되고, 스토퍼(226)에 의해 각도가 고정되기 때문에 격렬한 움직임 후에도 선글라스 착용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회전시 클릭(click)감을 느낄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ear-type gear 224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part and the guide part, and a stopper 226 on the other side. The use of the gear type gear 224 allows the user to finely adjust the wearing point to the desired angle, thereby maximizing the wearing comfort, and the angle is fixed by the stopper 226 so that the position of wearing the sunglasses after the violent movement needs to be readjusted. There is no. In addition, it can feel a click when rotating.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부(326)는 그 내부를 중공형(329)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에 절개부(13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137)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돌기(328)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326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inside of the hollow 329, and having a cutout 137 on its surface.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utout 137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328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조절 블록(330)은 상기 가이드부(326)의 절개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가이드홈(335)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가이드부의 걸림돌기(328)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랫치(337)를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랫 치(337)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block 330 forms a concave guide groove 335 in the center portion to be fitted to the cutout of the guide portion 326, an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328 in the guide portion therein The formed latches 337 are mounted. The latch 337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elastic body.

도 4b는 본 실시예의 조절 블록의 하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랫치(337)가 조절 블럭(33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주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블록은 그 하면에 랫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332)가 마련되고, 그 측면에 상기 랫치가 걸림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개방부(33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4b shows a lower surface of the adjustment block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ing that the latch 337 is mounted on the adjustment block 330. As shown in Figure 5b the control block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332 so that the latch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opening 333 so that the latch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n the side. Do.

도 4c는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4C shows the use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블록은 가이드부의 절개부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조절 블록의 상면은 절개부 위로 돌출되고, 하면은 가이드부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돌출된 조절블록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5c the control block is inserted into the cut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s to move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block protrudes above the incision, and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Therefore,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control block is moved up and down.

조절블록의 상면을 가압하여 움직이면, 걸림돌기와 맞물려 있던 랫치가 가이드부의 걸림 돌기에 밀리면서 탄성체 변형이 일어나고, 그 결과 조절 블록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block is moved by pressing, the latch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s pushed 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guide por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and as a result the control block can move up and down.

그러나 조절 블록이 움직임을 멈추면 탄성력에 의해 랫치의 모양이 복원되고, 랫치의 형상이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랫치와 걸림돌기가 맞물리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선글라스가 조절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However, when the adjustment block stops moving, the shape of the latch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and since the shape of the latch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 the latch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fixed while being engaged. Therefore, the sunglasses ar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adjusted position.

도 5에는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를 사용하여 모자에 선글라스를 부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are attached to the hat using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선글라스 홀더를 모자에 부착하기 위해서는,In order to attach the sunglasses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at,

먼저, 고정 부재(10)를 모자의 챙의 하면에 부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중간 부재(20)의 탈착부를 고정 부재의 개구부에 삽입한다. 이때, 중간 부재(20)의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와 조절 블록을 연결하고, 선글라스에 형성된 홀에 고정핀을 삽입하고 캡을 눌러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조절블록을 위,아래로 움직여 선글라스가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높낮이를 조절한다. 또 필요하다면, 상기 연결부재(50)를 앞, 뒤로 움직여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First, the fixing member 10 to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isor of the cap. Next, the detachable part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fixing member.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20 is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xing member. Next, the guide unit and the control block are connected,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sunglasses, and the cap is fixed by pressing. Next, move the control block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so that the sunglasses are in the proper posi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connection member 50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angle.

한편, 선글라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누름버튼을 눌러 중간부재를 고정부재에서 탈착하거나, 고정부재의 체결구를 해체하여, 외관을 해치지 않고 보통의 모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not using the sunglasses by pressing the push button to remove the intermediate member from the fixing member, or by disassembling the fasteners of the fixing member, it may be used as a normal hat without harm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은 모자나 가방 등에 탈,부착될 수 있는 선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부와 조절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 길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고, 그 조절 위치에서 선글라스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 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glasses holde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such as a hat or bag, by providing a guide portion and an adjustment block, b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wearer's face length, by fixing the sunglasses in the adjustment position, the user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fit.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선글라스를 착용하는데, 안경귀걸이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의 귀 등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글라스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경 위에 착용할 수도 있으므로, 안경착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aring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lasses earrings, etc. are not necessary, so that sw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rn on the user's ear, sunglasses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and can be worn on the glass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arer can easily use.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를 장착하여, 높낮이 조절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글라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자 챙과 평행하게 선글라스를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하고, 수납을 편리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hing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rotation, and when the sunglasses are not used to raise the sunglasses parallel to the hat visor, it has the advantage of good aesthetics and convenient storage have.

또한, 본 발명은 톱니바퀴형 기어와 스토퍼를 구비하여 단계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 높낮이 조절과 함께, 각도 조절도 가능하여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글라스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극대화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step by step with a gear-type gear and the stopper, as a result of the height adjustment,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wearer's needs To maximize the fit.

Claims (5)

모자나 가방 등에 고정되며, 그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a hat or a ba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탈착부와, 상기 탈착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중간부재;An intermediate member including a detachable par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a guid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etachable part;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 블록; 및 An adjusting block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rt to fix a position; And 상단은 상기 조절 블록에 연결되고, 하단은 선글라스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홀더.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block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unglasses; Sunglasses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블록은, The control block,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A body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penetrate the guide part; 상기 몸체의 측면에 삽입되며, 그 중앙 부분에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압 버튼과,A pressing button inserted into a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상기 가압 버튼을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홀더. Sunglasses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embedded in the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essing butt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부는 그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The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상기 조절블록은, The control block,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는 몸체와, A body through which the guide part passes,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랫치와, A latch mounted inside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상기 랫치를 가압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홀더. Sunglasses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utton for pressing the latch.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The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isio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incision, 상기 조절 블록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에 맞물리는 랫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홀더.The adjustment block is a sunglasses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the latch engaging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s mounted therei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The intermediate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상기 탈착부와 가이드부가 힌지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홀더.Sunglasses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combining the removabl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KR1020060078235A 2006-08-18 2006-08-18 Sunglass holder KR100739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235A KR100739464B1 (en) 2006-08-18 2006-08-18 Sunglass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235A KR100739464B1 (en) 2006-08-18 2006-08-18 Sunglass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464B1 true KR100739464B1 (en) 2007-07-13

Family

ID=3850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235A KR100739464B1 (en) 2006-08-18 2006-08-18 Sunglass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97B1 (en) 2010-05-10 2010-12-16 강성만 Fix unit of goggle lens
KR101695594B1 (en) 2016-05-13 2017-01-23 배은성 Dolls holder for a cap
KR20230074958A (en) * 2021-11-22 2023-05-31 강지윤 Detachable table leg and the tabl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07Y1 (en) 1998-06-23 2000-11-15 이동희 Cap having a telescope
KR200248912Y1 (en) 2001-07-02 2001-11-16 김상현 Sunglass cap
KR200291221Y1 (en) 2002-07-02 2002-10-11 박승배 Sunglass Holder with Detachable Clip-device
KR20050040951A (en) * 2003-10-29 2005-05-04 박승배 Sunglasses holder controlled heigh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07Y1 (en) 1998-06-23 2000-11-15 이동희 Cap having a telescope
KR200248912Y1 (en) 2001-07-02 2001-11-16 김상현 Sunglass cap
KR200291221Y1 (en) 2002-07-02 2002-10-11 박승배 Sunglass Holder with Detachable Clip-device
KR20050040951A (en) * 2003-10-29 2005-05-04 박승배 Sunglasses holder controlled heigh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97B1 (en) 2010-05-10 2010-12-16 강성만 Fix unit of goggle lens
KR101695594B1 (en) 2016-05-13 2017-01-23 배은성 Dolls holder for a cap
KR20230074958A (en) * 2021-11-22 2023-05-31 강지윤 Detachable table leg and the table using the same
KR102662220B1 (en) 2021-11-22 2024-04-30 이민경 Detachable table leg and the tabl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7727C (en) Modular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facades
US5768716A (en) Goggles, in particular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JP6084984B2 (en) Detachable temple mounting mechanism for eyewear
US9400401B2 (en) Modular interchangeable facades for eyewear
US6926404B2 (en)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US20070256214A1 (en) Headgear with Eyewear Attachment
JP3191437U (en) glasses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US20050263661A1 (en) Sunglasses holder with detachable clip-device
KR100739464B1 (en) Sunglass holder
JP3798806B1 (en) Hat with glasses
KR200350658Y1 (en) Eye shield assembly
US5331356A (en) Portable spectacles
KR20090108227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ye-glasses and hat or sun cap
CN203882039U (en) Glasses
KR100612777B1 (en) Hat with sunglasses maded sunglasses case goods area
KR101288086B1 (en) A Glass Fram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Legs
KR20100053290A (en) Length regulating the glasses leg which is possible
CN216165504U (en) Helmet goggles structure that opens and shuts
CN212699309U (en) Multifunctional medical eye protection glasses
KR20050040951A (en) Sunglasses holder controlled height
KR20170000756U (en) Eyeglass temples
KR20120048784A (en) A combined normal and attachable sunglasses to a cap
CN101352271A (en) Protective helmet visor structure with back vision function
KR200164104Y1 (en) A cap and sunglasses len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