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099B1 -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099B1
KR100738099B1 KR1020060005844A KR20060005844A KR100738099B1 KR 100738099 B1 KR100738099 B1 KR 100738099B1 KR 1020060005844 A KR1020060005844 A KR 1020060005844A KR 20060005844 A KR20060005844 A KR 20060005844A KR 100738099 B1 KR100738099 B1 KR 10073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color
toxic
cha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임
최수형
이수석
정성욱
김기은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99B1/ko
Priority to EP06124019A priority patent/EP1811298A1/en
Priority to US11/609,979 priority patent/US798163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99B1/ko
Priority to US13/155,944 priority patent/US836736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7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cell organelles, e.g. Golgi complex, endoplasmic reticulum
    • G01N33/5079Mitochondr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 G01N2333/90209Oxidoreductases (1.) acting on NADH or NADPH (1.6), e.g. those with a heme protein as acceptor (1.6.2) (general), Cytochrome-b5 reductase (1.6.2.2) or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1.6.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시험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각각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양성적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고, 독성 물질의 존재 여부 뿐만 아니라 그의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으며, 다른 측정 기구 또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양성적 검출 메커니즘과 동일하여 상용화가 용이하다.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독성 물질, 양성적 검출, pH 지시약

Description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Method and kit for positively detecting toxic compound}
도 1a는 음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1b는 양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및 전자 공여체에 각각 20% 에탄올(독성 물질) 및 20% 소르비톨(비독성 물질)을 첨가하여 반응 시키는 경우의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도 3a의 반응 개시 10분 후의 각 반응물의 p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일 구체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및 전자 공여체에 각각 20% 에탄올(독성 물질), 2.5% 에탄올(독성 물질) 및 20% 소르비톨(비독성 물질)을 첨가하여 반응 시키는 경우의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반응 개시 10분 후의 각 반응물의 p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pH 지시약으로서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일 구체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일 구체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존재 및 독성 수준을 양성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양성적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유해물질 증가로 인한 새로운 피해발생(예, 환경호르몬 위험), 수질 오염원이 되는 폐기물이나 농약 성분의 증가로 인한 생태계 피해, 식품 내 잔류 농약의 심각성, 날로 증가되는 토양 내 중금속 오염 등으로 인하여 인체 및 환경이 위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 및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에 의한 위해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일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 환경 시료 중에 독성 물질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생물 분석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808,517호에는 (a)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competent)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현탁액, (b)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하여 전환되는 경우 기질 및 그의 효소적 반응 산물 중의 어느 하나를 분광학적 검출법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는 기질을 포함하는 분석 매질 및 (c) 시험될 환경 시료를 공통의 용기에 조합하는 단 계; 및 상기 기질의 상기 전환을 분광학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시료가 상기 현탁액 입자 중의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방법은 대부분의 종류의 독성 물질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분광학적 측정 기구를 필요로 하여 소형화가 불가능하고, 독성의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없으며,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양성적 검출 메커니즘과 상이한 음성적 검출 방법이기 때문에 상용화에 문제가 있다.
도 1a는 음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1b는 양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음성적 검출 방법은 독성에 의해 특정 반응의 저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독성 존재시 반응 저해에 의해 신호 변화가 적고 독성 부재시 반응 저해가 없으므로 신호 변화가 크다. 반대로, 도 1b를 참조하면, 양성적 검출 방법의 경우 독성 부재시 신호 변화가 없고 독성 존재 시 신호 변화가 크다.
종래 환경 시료 중에 독성 물질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양성적 검출 방법도 일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스트레스 프로모터 및 럭스(lux)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재조합 바이오루미네선트(bioluminescent)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특정 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한 바이오 센서가 있다(Sue Hyung Choi and Man Bock Gu. 2001: PHENOLIC TOXICITY-DETECTION AND CLASSIFICATION THROUGH THE USE OF A RECOMBINANT BIOLUMINESCENT ESCHERICHIA COLI.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Vol.20, No.2, pp.248-255).
하지만, 상기 종래 바이오 센서는 특정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특이적 독성 물질에 대해서만 선택성을 가져 다양한 종류의 독성 물질 모두를 스크리닝할 수 없고, 독성의 수준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 및 그의 독성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양성적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 및 그의 독성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양성적 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시험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각각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은 pH 7.5~11의 범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은 pH 9~11의 범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경우 독성으로 판단하고 색이 변하지 않는 경우 비독성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이 둘 이상의 pH 지시약으로 구성되고, 상기 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 조합에 따라 독성 물질의 독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 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pH가 조절된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포함하는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동결 건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7.5~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9~10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 및 그의 독성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양성적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시험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각각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시험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submitochondrial particle: SMP)는 전체 미토콘드리아가 파열되었을 때 크리스타 막의 단편으로부터 미세 형성의 결과 얻어지는 이중막 지질 낭(vesicle)이다. 즉 임의의 기원으로부터 유래한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또는 디지토닌 또는 프렌치 프레스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파열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하여 세포질 잔류물로부터 분리한 다음, 막 절편이 미토콘드리아의 온전한 내막의 거동을 모사하는 (model) 낭이 재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미토콘드리아 거동을 모델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다음 냉동 또는 냉동 건조되어 많은 양으로 저장될 수 있어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제조물의 분액이 긴 시간에 걸쳐서 독성 물질 분석(toxicant assay)을 수행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종래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예를 들면, 원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그 전체로서 포함되어지는 미국 특허 제4,808,5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준비하여야 한다. 이때 임의의 기원의 미토콘드리아가 사용될 수 있다.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자체는 신선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제조되거나 냉동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단 제조된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보존 혼합물 중에 -20℃에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을 위하여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냉동건조될 수 있다. 상기 냉동된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단순히 해동하기만 하면 된다. 냉동 건조된 제조물은 사용 직전 분석 매질에 적심으로써 간단하게 재구성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란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계에 관여하는 효소가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독성 물질이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또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전달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색 변화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독성 물질은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전달계의 효소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전자공여체로부터 상기 전자전달계로 전달되는 전자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독성 물질은 반응 용액 중의 전자공여체의 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반응 용액 중의 상기 전자공여체의 양을 색 변화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상기 독성 물질이 상기 전자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즉 독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한 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독성 물질은 미토콘드리아 또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전달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독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 페놀류, 중금속류 또는 용매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은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전달계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조건이면 어떠한 조건이어도 상관없다.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 조건 또는 생리적 조건에 근접한 조건이다. 즉, pH 7 근처의 생리학적 염 및 이온 강도를 갖는 용액(예, PBS 용액) 또는 버퍼 중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이 생리적 조건 또는 그에 근접한 용액 중에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농도는 0.1mg/ml 내지 0.5mg/ml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 공여체의 농도는 1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및 전자 공여체의 농도가 높을 수록 반응 속도는 빨라지기 때문에 원하는 반응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은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pH 지시약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지시약 낮은 pH에서의 색 변색 pH 범위 높은 pH에서의 색
메틸 바이올렛 황색 0.0~1.6 청색-퍼플
티올 블루(1차 변색) 적색 1.2~2.8 황색
메틸 옐로우 적색 2.9~4.0 황색
브로모페놀 블루 황색 3.0~4.6 보라색
콩고 레드 청색 3.0~5.2 적색
메틸 오렌지 적색 3.1~4.4 황색
리트머스 적색 4.5~8.3 청색
브로모크레솔 퍼플 황색 5.2~6.8 보라색
브로모티몰 블루 황색 6.0~7.6 청색
페놀 레드 황색 6.6~8.0 적색
티몰 블루(2차 변색) 황색 8.0~9.6 청색
페놀프탈레인 무색 8.2~10.0 핑크
티몰프탈레인 무색 9.4~10.6 청색
알리자린 옐로우 R 황색 10.1~12.0 적색
인디고 카르민 청색 11.4~13.0 황색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단계에 따른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 조절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pH 조절은 pH 지시약에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은 pH 7.5~11의 범위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pH 9~11의 범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각각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물 대 pH 조절된 지시약의 첨가 중량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1 : 0.1~1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1 : 0.2~5일 수 있고, 보다 바 람직하게 1 : 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경우 독성으로 판단하고 색이 변하지 않는 경우 비독성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이 둘 이상의 pH 지시약으로 구성되고, 상기 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 조합에 따라 독성 물질의 독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pH 지시약을 이용하는 경우 및 4개의 pH 지시약을 이용하는 경우가 개념적으로 도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하나의 pH 지시약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독성 반응 전후의 색깔 변화가 발생하고 독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독성 반응 전후의 색깔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4개의 pH 지시약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독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독성 반응 전후의 색깔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독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독성 수준에 따라 색깔이 변화하는 pH 지시약의 수가 상이하다. 독성 수준 1로 낮은 경우 4개의 pH 지시약 중 A만 색깔이 변하고, 독성 수준 2로 중간인 경우 A 및 B의 색깔이 변하고, 독성 수준 3으로 높은 경우 A, B 및 C의 색깔이 변한다.
도 3a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및 전자 공여체에 각각 20% 에탄올(독성 물 질) 및 20% 소르비톨(비독성 물질)을 첨가하여 반응 시키는 경우의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도 3a의 반응 개시 10분 후의 각 반응물의 p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 초기에는 약 6.4의 pH로 출발하여 약 10분 후에는 독성이 존재하는 경우 반응물의 pH는 약 6.43으로 거의 변화가 없고, 독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반응물의 pH는 약 9.17로 급격히 증가한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pH 지시약으로 페놀 레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양성적 검출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페놀 레드를 다양한 pH 범위로 조절한 다음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여 색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페놀 레드를 이용한 과정의 계산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있어서, 독성 물질 존재 반응물 및 비존재 반응물의 pH는 각각 6.3 및 9.3으로 가정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놀 레드의 경우 초기 pH를 9 이상으로 조절하는 경우 비독성의 경우 신호가 동일하고 독성의 경우 신호가 변하는 양성적 메커니즘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표 2>
조절된 pH 혼합 전 색 1:1 혼합 [H+] pH 혼합 후 색
pH 7 적색 pH 7+pH 6.3(독성) 3.01×10-7 6.52 붉은 주황
PH 7+pH 9.3(비독성) 5.03×10-8 7.30 적색
pH 8 적색 pH 8+pH 6.3(독성) 2.56×10-7 6.59 붉은 주황
pH 8+pH 9.3(비독성) 5.25×10-9 8.28 체리
pH 9 체리 pH 9+pH 6.3(독성) 2.51×10-7 6.60 붉은 주황
pH 9+pH 9.3(비독성) 7.51×10-10 9.12 체리
pH 10 체리 pH 10+pH 6.3(독성) 2.51×10-7 6.60 붉은 주황
pH 10+pH 9.3(비독성) 3.01×10-10 9.52 체리
pH 11 체리 pH 11+pH 6.3(독성) 2.51×10-7 6.60 붉은 주황
pH 11+pH 9.3(비독성) 2.56×10-10 9.59 체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산치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4는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를 사용한 상기 검출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페놀 레드의 pH를 10으로 조절한 후 반응물과 혼합한 결과, 독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반응물의 경우 색이 변하지 않았고, 2.5% 에탄올의 낮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도 색이 변하지 않았으며, 20% 에탄올의 높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색이 변하였다.
상기 페놀 레드를 사용하는 경우 독성 물질의 존재를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지만, 낮은 독성 및 비독성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낮은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5a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및 전자 공여체에 각각 20% 에탄올(독성 물질), 2.5% 에탄올(독성 물질) 및 20% 소르비톨(비독성 물질)을 첨가하여 반응 시키는 경우의 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반응 개시 10분 후의 각 반응물의 pH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 초기에는 약 6.4의 pH로 출발하여 약 10분 후에는 높은 독성의 경우 반응물의 pH는 약 6.43으로 거의 변화가 없고, 낮은 독성의 경우 반응물의 pH는 약 8.16으로 증가하고, 비독성의 경우 반응물의 pH는 약 9.17로 급격히 증가한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pH 지시약으로 페놀프탈레인을 다양한 pH 범위로 조절한 다음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여 색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페놀프탈레인을 이용한 과정의 계산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 있어서, 높은 독성 물질 존재 반응물, 낮은 독성 물질 존재 반응물 및 비존재 반응물의 pH는 각각 6.3, 8.3 및 9.3으로 가정하였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놀프탈레인의 경우도 초기 pH를 9 이상으로 조절하는 경우 비독성의 경우 신호가 동일하고 독성의 경우 신호가 변하는 양성적 메커니즘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표 3>
조절된 pH 혼합 전 색 1:1 혼합 [H+] pH 혼합 후 색
pH 7 무색 pH 7+pH 6.3(고독성) 3.01×10-7 6.52 무색
pH 7+pH 8.3(저독성) 5.25×10-8 7.28 무색
pH 7+pH 9.3(무독성) 5.03×10-8 7.30 무색
pH 8 무색 pH 8+pH 6.3(고독성) 2.56×10-7 6.59 무색
pH 8+pH 8.3(저독성) 7.51×10-9 8.12 무색
pH 8+pH 9.3(무독성) 5.25×10-9 8.28 무색
pH 9 핑크 pH 9+pH 6.3(고독성) 2.51×10-7 6.60 무색
pH 9+pH 8.3(저독성) 3.01×10-9 8.52 무색
pH 9+pH 9.3(무독성) 7.51×10-10 9.12 핑크
pH 10 핑크 pH 10+pH 6.3(고독성) 2.51×10-7 6.60 무색
pH 10+pH 8.3(저독성) 2.56×10-9 8.59 무색
pH 10+pH 9.3(무독성) 3.01×10-10 9.52 핑크
pH 11 핑크 pH 11+pH 6.3(고독성) 2.51×10-7 6.60 무색
pH 11+pH 8.3(저독성) 2.51×10-9 8.60 무색
pH 11+pH 9.3(무독성) 2.56×10-10 9.59 핑크
도 6은 pH 지시약으로서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일 구체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페놀프탈레인의 pH를 10으로 조절한 후 반응물과 혼합하면, 독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반응물의 경우 색이 변하지 않았고, 2.5% 에탄올의 낮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색이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독성 물질의 존재를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지만, 낮은 독성 및 높은 독성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의 일 구체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을 각각 일정한 pH로 조절한 다음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반응물에 첨가한 다음 색 변화를 확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독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반응물의 경우 두 지시약의 색이 변하지 않고, 2.5% 에탄올의 낮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 페놀 레드의 색은 변하지 않고 페놀프탈레인의 색은 변하고, 20% 에탄올의 높은 독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의 색이 모두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pH 지시약으로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독성 물질의 존재를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 및 그의 독성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양성적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용 키트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pH가 조절된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동결 건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7.5~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9~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에 있어서,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활성 있는 효소, 전자 공여체, 독성 물질, 및 pH가 조절된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에 대하여는 상기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독성 검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독성 물질을 검출하였다. 독성 물질로서 에탄올을 사용하고, 비독성 물질로서 세포에 대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소르비톨을 사용하였다.
먼저, pH 지시약인 페놀 레드 용액에 NaOH를 적절히 첨가하여 pH 10으로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0.5 mg/ml SMP(submitochondrial particle)(Havard Bioscience), 6 mM NADH 및 50 mM KCl에 각각 20% 소르비톨, 2.5% 에탄올, 및 20% 에탄올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상기 반응물 및 상기 페놀 레드 용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혼합 용액의 색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 소르비톨을 첨가한 경우(비독성) 및 2.5%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혼합 용액의 색은 체리에서 체리로 그대로였다. 반면, 20%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혼합 용액의 색은 체리에서 붉은 주황으로 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페놀 레드를 이용하여 높은 독성 수준을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지만, 낮은 독성 수준을 유효하게 검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예측 실시예 1>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독성 검출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 대신에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독성 물질을 검출한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 소르비톨을 첨가한 경우(비독성)의 경우 혼합 용액의 색은 핑크에서 핑크로 그대로이고, 2.5%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혼합 용액의 색은 핑크에서 무색으로 변한다. 20%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도 혼합 용액의 색은 핑크에서 무색으로 변한다(결과 미도시). 상기 결과로부터, 페놀프탈레인을 이용하여 낮은 독성 수준도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지만, 그 검출 결과 자체로부터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예측 실시예 2>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독성 수준 검출
pH 지시약으로서 페놀 레드 대신에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 2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독성 물질을 검출한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 소르비톨을 첨가한 경우(비독성)의 경우 두 혼합 용액의 색은 그대로이고, 2.5%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페놀 레드를 첨가한 혼합 용액의 색은 그대로이고 페놀프탈레인을 첨가한 혼합 용액의 색은 핑크에서 무색으로 변한다. 또한, 20%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페놀 레드 및 페놀프탈레인을 각각 첨가한 혼합 용액의 색은 체리에서 붉은 주황으로 및 핑크에서 무색으로 변한다. 상기 결과로부터, 2 종류 이상의 pH 지시약을 이용하면 독성 물질을 양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독성 수준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독성 물질을 검출할 수 있고, 독성 물질의 존재 여부 뿐만 아니라 그의 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으며, 다른 측정 기구 또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양성적 검출 메커니즘과 동일하여 상용화가 용이하다.

Claims (19)

  1.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시험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pH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각각 상기 반응물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 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은 pH 7.5~11의 범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은 pH 9~11의 범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경우 독성으로 판단하고 색이 변하지 않는 경 우 비독성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2 이상의 pH 지시약으로 구성되고, 상기 2 이상의 pH 지시약의 색 변화 조합에 따라 독성 물질의 독성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으로부터 형성되고 활성 있는 미토콘드리아 효소를 가지고 있는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의 전자 전달계에 전자를 전달하는 전자 공여체; 및
    pH가 조절된 하나 이상의 pH 지시약;을 포함하는 시료 중의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용 키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전체 미토콘드리아를 초음파 처리하여 크리스타 막이 미셀로 재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미토콘드리아 입자는 동결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효소는 NADH-디히드로게나제, 코엔자임-Q-시토크롬 C 리덕타제 및 시토크롬 C 옥시다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공여체는 NADH 및 NADPH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pH 5.2~10의 범위에서 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은 브로모크레솔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페놀 레드, 티몰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7.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H 지시약의 조절된 pH 범위는 9~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060005844A 2006-01-19 2006-01-19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KR10073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44A KR100738099B1 (ko) 2006-01-19 2006-01-19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EP06124019A EP1811298A1 (en) 2006-01-19 2006-11-14 Method and kit for positively detecting toxic material
US11/609,979 US7981634B2 (en) 2006-01-19 2006-12-13 Method for positively detecting toxic material
US13/155,944 US8367367B2 (en) 2006-01-19 2011-06-08 Kit for positively detecting toxic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44A KR100738099B1 (ko) 2006-01-19 2006-01-19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099B1 true KR100738099B1 (ko) 2007-07-12

Family

ID=3766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44A KR100738099B1 (ko) 2006-01-19 2006-01-19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981634B2 (ko)
EP (1) EP1811298A1 (ko)
KR (1) KR100738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099B1 (ko) * 2006-01-1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WO2013095329A1 (en) 2011-12-19 2013-06-2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ir quality sensor comprising a mitochondrial part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336A (ja) * 1991-08-09 1993-08-06 Intermatic Inc 屋外電気接続器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517A (en) 1985-12-27 1989-02-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ioassay for toxic substances
US5372784A (en) * 1988-08-31 1994-12-13 Baxter Diagnostics Inc. Measurement of bacterial CO2 production in an isolated fluorophore by monitoring an absorbance regulated change of fluorescence
US5278048A (en) * 1988-10-21 1994-01-11 Molecular Devices Corporation Methods for detecting the effect of cell affecting agents on living cells
US5843696A (en) * 1995-11-01 1998-12-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ioassay for toxic substances activated by metabolic enzyme system
KR100653938B1 (ko) * 2005-10-14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Smp를 이용한 독성물질 유해성 측정방법
KR100738088B1 (ko) * 2005-12-28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료 중의 독성물질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장치
KR100738099B1 (ko) * 2006-01-1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8336A (ja) * 1991-08-09 1993-08-06 Intermatic Inc 屋外電気接続器カバ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9, 828-835(1990)
미국특허공보 04808517호(1989.02.28.)
미국특허공보 05198336호(1993.03.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7367B2 (en) 2013-02-05
US20110256570A1 (en) 2011-10-20
EP1811298A1 (en) 2007-07-25
US7981634B2 (en) 2011-07-19
US20070259392A1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ES et al. Altered mitochondrial function in fibroblasts containing MELAS or MERRF mitochondrial DNA mutations
Dahlgren et al. Respiratory burst in human neutrophils
Kadiiska et al.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study: are plasma antioxidants markers of CCl4 poisoning?
Chen et al. Mitochondrial function is required for hydrogen peroxide-induced growth factor receptor transactivation and downstream signaling
Zhou et al. Raw material enzymatic activity determination: a specific case for validation and comparison of analytical methods—the exampl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US7282348B2 (en) Kit for measuring cytotoxicity of a test agent
US20160054303A1 (en) Compositions and assays for determining cell viability
Dahlgren et al. Measurement of respiratory burst products, released or retained, during activation of professional phagocytes
Ziedaite et al. The Holin protein of bacteriophage PRD1 forms a pore for small-molecule and endolysin translocation
GB2323167A (en) Luciferase assay for determin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cells
Quintana et al. The insecticides chlorpyrifos and acetamiprid induce redox imbalance in umbilical cord blood erythrocytes in vitro
EP0228290B1 (en) Bioassay for toxic substances
Wang et al. Developing an Irreversible Inhibitor of Human DDAH‐1, an Enzyme Upregulated in Melanoma
Rieger et al. Pseudomonas Quinolone Signal molecule PQS behaves like a B Class inhibitor at the IQ site of mitochondrial complex I
KR100738099B1 (ko) 독성 물질의 양성적 검출 방법 및 키트
Venkat et al. Relative genotoxic activities of pesticides evaluated by a modified SOS microplate assay
US7045312B2 (en) Method of monitoring a biological system by labeling with an apo metal binding protein
Cochemé et al. The uptake and interactions of the redox cycler paraquat with mitochondria
CA1339059C (en) Bioassay for chemicals which generate prooxidant states
Hammond et al. Ethoxyresorufin O-deethylase activity in intact human cells
Ribeiro et al. A novel glutathione-S-transferase-based biosensor for pyrethroid insecticides: From inhibition study to detection
Pitschmann et al. Enzymatic determination of anticholinesterases using a composite carrier
Yoon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ysosomes isolated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Joannou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cidal effects of sodium nitroprusside and other pentacyanonitrosyl complexes on the food spoilage bacterium Clostridium sporogenes
Olson et al. Leupeptin-mediated alteration of renal phagolysosomes: similarity to hyaline droplet nephropathy of male rats exposed to unleaded gaso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