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218B1 - 제초기 - Google Patents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218B1
KR100737218B1 KR1020060087371A KR20060087371A KR100737218B1 KR 100737218 B1 KR100737218 B1 KR 100737218B1 KR 1020060087371 A KR1020060087371 A KR 1020060087371A KR 20060087371 A KR20060087371 A KR 20060087371A KR 100737218 B1 KR100737218 B1 KR 10073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eeding blade
blade
weed
w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데라바야시
미츠요 아사가와
Original Assignee
고지 데라바야시
미츠요 아사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 데라바야시, 미츠요 아사가와 filed Critical 고지 데라바야시
Priority to KR102006008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초 포기를 제거하는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판(11, 11)과 후판(12)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의 양측판(11, 11)의 전단에, 빗살판(13)을 복수 개 부착하고, 양측판(11, 11)의 내측에, 대형 캠(21)의 양측에 제 1 소형 캠(22)과 제 2 소형 캠(23)을 고착한 조합 캠(20)을, 구동축(24)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고, 그 전부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와, 그 사이에 개재시킨 각각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돌기(301)와 제 2 돌기(302)를 형성한 제초날(30)을, 지지축(111, 112)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초날의 동력 구동에 의해, 잡초 포기에 파고 들어, 퍼 올리고, 토사를 떨어뜨리고, 낙하시켜 잡초를 뽑는 것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양산할 수 있고, 소형의 가정용부터 업무용의 대형까지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초기, 캠, 제초날

Description

제초기{WEEDER}
도 1은 제 1 발명 실시예의 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을 하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합 캠을 전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초날을 후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개략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 2 발명의 실시예의 제초날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 3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합 캠을 전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제초날을 후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 다.
도 26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19의 조합 캠과 제초날의 또 다른 작동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2는 제 4 발명의 실시예의 제초날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C: 프레임
11, 11C: 프레임의 측판
111, 111C, 112, 112C: 지지축
12, 12C: 프레임의 후판
13, 13C: 빗살판
20, 20C: 조합 캠
21, 21C: 대형 캠
211, 211C: 대형 캠의 제 1 슬라이딩부
212, 212C: 대형 캠의 제 2 슬라이딩부
22, 22C: 제 1 소형 캠
221, 221C:제 1 소형 캠의 제 1 후크
23: 제 2 소형 캠
231: 제 2 소형 캠의 제 2 후크
24, 24C: 대형 캠의 구동축
30, 30B, 30C, 30D: 제초날
300B, 300D: 제초날의 톱니판
301, 301B, 301C, 301D: 제초날의 제 1 돌기
302: 제초날의 제 2 돌기
31, 31B, 31C, 31D: 판상 톱니
311, 311B, 311C, 311D: 제초날의 톱니 끝
36, 36B, 36C, 36D: 슬라이딩부 맞닿음면
37, 37B, 37C, 37D: 대형 캠 삽입부
371, 371B, 371C, 371D: 삽입부 슬라이딩면
40, 40C: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
50, 50C: 일륜차
60, 60C: 가솔린 엔진
70: 잡초 포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333601호 공보
본 발명은, 잡초 포기를 제거하는 제초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앞서 특허 문헌 1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잡초 포기를 뽑아내는 잡초 뽑기 기구를 발명하였으나, 수동으로 괭이와 같이 잡초 포기를 쥐고 끌어 올리기 때문에, 잡초 포기를 뽑아내는 데에는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잡초 포기에 대하여 수동으로 날끝을 내리거나 올리거나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제초에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풀 베는 기계에서 사용되는 가솔린 엔진이나 전동기 등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 구동시키고, 단시간에 편하게 잡초 포기를 뽑아내서 제거할 수 있는 제초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륜을 손잡이 봉을 통해 손으로 밀면서, 적은 노력으로, 신속하게 잡초를 뽑을 수 있는 제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 차량(농경기, 트랙터 등도 포함함)에 장착하여, 밭, 초원 등의 제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제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보수 점검이 용이한 제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초기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은, 양측판(11, 11)과 후판(12)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의 양측판(11, 11)의 전단에, 빗살판(13)을 복수 개 부착하고, 양측판(11, 11)의 내측에, 대형 캠(21)의 양측에 제 1 소형 캠(22)과 제 2 소형 캠(23)을 고착한 조합 캠(20)을, 구동축(24)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고, 그 전부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와, 그 사이에 개재시킨 각각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돌기(301)와 제 2 돌기(302)를 형성한 제초날(30)을, 지지축(111, 112)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여 이루어지고,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에 맞닿아, 제 1 돌기(301)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의 걸어 맞춤이 벗겨짐과 아울러,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걸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가, 제초날(30)의 제 2 돌기(302)에 맞닿아, 제 2 돌기(302)를 밀어 회전시키고,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을,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이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110°에 도달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와 제초날(30)의 제 2 돌기(302)의 걸어 맞춤이 벗겨지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의 대형 캠 삽입부(37)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면, 대형 캠(21)의 제 2 슬라이딩부(212)가, 제초날(30)의 대형 캠 삽입부(37)에 맞닿고, 제초날(30)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이 상승하여, 빗살판(13)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으로부터 빠져 낙 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가, 대형 캠 삽입부(37)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 제초날(30)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에 맞닿는 조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장치함으로써,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림과 아울러, 낙하시켜서 순차적으로 잡초를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초 톱니(30B)의 톱니 끝(311B)이, 톱니판(300B)에 대하여 복수 개로 분기됨과 아울러, 약 120°로 구부러지고, 복수 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B)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발명은, 양측판(11C, 11C)과 후판(12C)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C)의 양측판(11C, 11C)의 전단에, 빗살판(13C)을 복수 개 부착하고, 양측판(11C, 11C)의 내측에, 대형 캠(21C)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동일 방향의 후크(221C)를 형성한 소형 캠(22C, 22C)을 고착한 조합 캠(20C)을, 구동축(24C)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고, 그 전부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C)와, 그 사이에 개재시킨 1개 또는 동일 방향의 2개 또는 2개 이상의 돌기(301C)를 형성한 제초날(30C)을, 지지축(111C, 112C)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여 이루어지고,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소형 캠(22C)의 후크(221C)가, 제초날(30C)의 돌기(301C)에 맞닿아, 돌기(301C)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C)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소형 캠(22C)의 후크(221C)와 제초날(30C)의 돌기(301C)의 걸어 맞춤이 벗겨짐과 아울러,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다시,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가 제초날(30C)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C)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C)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가 제초날(30C)의 대형 캠 삽입부(37C)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C)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C)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면, 대형 캠(21C)의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제초날(30C)의 대형 캠 삽입부(37C)에 맞닿고, 제초날(30C)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C)이 상승하여, 빗살판(13C)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C)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C)으로부터 빠져 낙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대형 캠 삽입부(37C)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C)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 제초날(30C)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 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소형 캠(22C)의 후크(221C)가 제초날(30C)의 돌기(301C)에 맞닿는 조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장치함으로써,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림과 아울러, 낙하시켜서 순차적으로 잡초를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초 톱니(30D)의 톱니 끝(311D)이, 톱니판(300D)에 대하여 복수 개로 분기됨과 아울러, 약 120°로 구부러지고, 복수 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D)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있어서, 조합 캠(20)은, 구동축(24)에, 제 1 슬라이딩부(211)와 제 2 슬라이딩부(212)를 형성한 대형 캠(21)과, 대형 캠(21)의 양측에 각각 방향이 서로 다른 후크(221, 231)를 갖는 소형 캠(22, 23)을 고착하여 축착하고 있다.
또한,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에 있어서, 조합 캠(20C)은, 구동축(24C)에, 제 1 슬라이딩부(211C)와 제 2 슬라이딩부(212C)를 형성한 대형 캠(21C)과, 대형 캠(21C)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동일 방향의 후크(221C)를 갖는 소형 캠(22C)을 고착하고 있다.
또한,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초날(30)은, 지지축(111, 112)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세우고, 판상 톱니(31)의 사이에 각각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및 제 2 돌기(301, 302)를 동축에 판상 톱니(31)의 내측에 고착하고, 추가로 양 돌기(301, 302)의 사이에 대형 캠(21)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부(211, 212)가 슬라이딩 통과 가능한 홈상의 대형 캠 삽입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초날(30B)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여도 된다. 즉, 판상 톱니(31B)의 상부를 일체로 형성한 톱니판(300B)을 만들고, 그 하단에 약 120°로 톱니의 기부를 구부린 톱니 끝(311B)을 복수 개 형성하고, 다시, 각 톱니 끝(311B)을 지면에 대하여 약 30°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 3 발명에 있어서, 제초날(30)은, 지지축(111C, 112C)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C)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세우고, 판상 톱니(31C)의 사이에 동일 방향의 2개의 돌기(301C)를 동축에 판상 톱니(31C)의 내측에 고착하고, 추가로 양 돌기(301C)의 사이에 대형 캠(21C)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딩부(211C, 212C)가 슬라이딩 통과 가능한 홈상의 대형 캠 삽입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 있어서, 제초날(30D)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여도 된다. 즉, 판상 톱니(31D)의 상부를 일체로 형성한 톱니판(300D)을 만들고, 그 하단에 약 120°로 톱니의 기부를 구부린 톱니 끝(311D)을 복수 개 형성하고, 다시, 각 톱니 끝(311D)을 지면에 대하여 약 30°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발명에 있어서, 조합 캠(20)의 구동축(24)은, 가솔린 엔진이나 전동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초날(30)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초기는, 조합 캠과, 복수 개의 제초날과, 빗살판을, 각각 설치한 프레임을 구비한 것이다.
실시예 1
제 1 발명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초기는, 프레임(10)과, 조합 캠(20)과, 제초날(30)과, 빗살판(13)과,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과, 자재 차륜 등의 일륜차(50)와, 가솔린 엔진(60)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판(11, 11)의 전단에 하측을 향하는 복수의 빗살판(13)을 설치하고, 후단에 후판(12)을 설치한 프레임형의 것으로서, 구동축(24)과 지지축(111, 112)을 설치하고 있다. 조합 캠(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24)에 축착한 대형 캠(21)과, 제 1 소형 캠(22)과, 제 2 소형 캠(23)으로 이루어진다. 대형 캠(21)은, 외주부에 직선상의 제 1 슬라이딩부(211)와 원호상의 제 2 슬라이딩부(212)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소형 캠(22)에는 제 1 후크(221)를, 제 2 소형 캠(23)에는 제 2 후크(2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 1 후크(221)와 제 2 후크(231)의 선단을 일정 각도 어긋나게 해서 대형 캠(21)의 양측의 동축 상에 각각 고착하고 있다. 제초날(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판상 톱니(31)와 2개의 돌기(301, 302)로 이루어진다. 판상 톱니(31)는, 상측이 원호상이고, 하측이 길게 뻗어 낫 형상으로 만곡하여 톱니 끝(311)을 형성하고, 4개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제 1 돌기(301) 및 제 2 돌기(302)는, 상기 판상 톱니(31)의 내측에 고착하여 동축에 형성됨과 아울러, 판상 톱니(31)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제 1 돌기(301)와 제 2 돌기(302)의 선단을 일정 각도 어긋나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돌기(301, 302)의 사이에 홈상의 대형 캠 삽입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발명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 끝(311B)이, 톱니 판(300B)에 대하여 약 120°로 구부러짐과 아울러, 4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B)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한 제초날(30B)로 형성하고 있다.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은, 선단에 프레임(10)을 부착하고, 구동축(24)에 회전을 전달할 수 있는 기어 장치(411) 등을 구비함과 아울러, 기어 장치(411)와 연동한 회전축(도시 생략)을 내장하고, 후단에 조작을 위한 손잡이(41)를 설치하고 있다. 일륜차(50)는, 제초기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솔린 엔진(60)은, 풀 베는 기계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의 후단에 부착하고, 내장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서는, 가솔린 엔진(60)을 시동하고,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을 일륜차를 통해 밀고 나아가면, 도 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2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10)에 축지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대형 캠(21)과 동축에 설치한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제 1 돌기(301 또는 301B)에 맞닿아, 제 1 돌기(301 또는 301B)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 또는 30B)의 톱니 끝(311 또는 311B)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와 제초날(30 또는 30B)의 제 1 돌기(301 또는 301B)의 걸어 맞춤이 벗겨지고, 제초날(30 또는 30B)의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걸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제 2 돌기(302 또는 302B)에 맞닿아, 제 2 돌기(302 또는 302B)를 밀어 회전시키고, 제초날(30 또는 30B)의 톱니 끝(311 또는 311B)을,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110°에 도달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와 제초날(30 또는 30B)의 제 2 돌기(302 또는 302B)의 걸어 맞춤이 벗겨지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 또는 36B)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 또는 30B)의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대형 캠 삽입부(37 또는 37B)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 또는 37B)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 또는 30B)의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의 제 2 슬라이딩부(212)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대형 캠 삽입부(37 또는 37B)에 맞닿고, 제초날(30 또는 30B)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상승하여, 프레임(10)의 빗살판(13)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 또는 311B)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 또는 311B)으로부터 빠져 낙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가, 대형 캠 삽입부(37 또는 37B)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 또는 371B)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 안, 제초날(30 또는 30B)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 또는 30B)의 제 1 돌기(301 또는 301B)에 맞닿도록 동작하고, 이상의 것을 반복함으로써,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톱니 끝(311 또는 311B)이 빗살판(13)의 사이에 진입하여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리고, 낙하시켜서 잡초를 뽑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제 3 발명의 실시예가, 도 19 내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초기는, 프레임(10C)과, 조합 캠(20C)과, 제초날(30C)과, 빗살판(13C)과,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C)과, 자재 차륜 등의 일륜차(50C)와, 가솔린 엔진(60C)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초기는, 조합 캠(20C), 제초날(30C) 이외에는, 제 1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합 캠(20C)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24C)에 축착한 대형 캠(21C)과, 소형 캠(22C, 22C)으로 이루어진다. 대형 캠(21C)은, 외주부에 직선상의 제 1 슬라이딩부(211C)와 원호상의 제 2 슬라이딩부(212C)를 형성하고 있다. 소형 캠(22C, 22C)은, 후크(221C)를 형성하고, 대형 캠(21C)의 양측 에 후크(221C)가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동축 상에 각각 고착하고 있다. 제초날(30)은, 도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판상 톱니(31C)와 2개의 동일 방향의 돌기(301C, 301C)로 이루어진다. 판상 톱니(31C)는, 상측이 원호상이고, 하측이 길게 뻗어 낫 형상으로 만곡하여 톱니 끝(311C)을 형성하고, 4개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돌기(301C, 302C)는, 상기 판상 톱니(31C)의 내측에 2개 고착하여 동축에 형성됨과 아울러, 판상 톱니(31C)의 반대측에 동일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돌기(301C, 301C)의 사이에 홈상의 대형 캠 삽입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 끝(311D)이, 톱니판(300D)에 대하여 약 120°로 구부러짐과 아울러, 4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D)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한 제초날(30D)로 형성하고 있다.
제 3 발명 및 제 4 발명에서는, 가솔린 엔진(60C)을 시동하고, 손으로 미는 손잡이 봉(40C)을 일륜차를 통해 밀고 나아가면, 도 22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24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10C)에 축지된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대형 캠(21C)과 동축에 설치한 소형 캠(22C, 22C)의 후크(221C, 221C)가, 제초날(30C 또는 30D)의 돌기(301C, 301C 또는 301D, 301D)에 맞닿아, 돌기(301C, 301C 또는 301D, 301D)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C 또는 30D)의 톱니 끝(311C 또는 311D)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C)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소형 캠(22C, 22C)의 후크(221C, 221C)와 제초날(30C 또는 30D)의 돌기(301C, 301C 또는 301D, 301D)의 걸어 맞춤이 벗겨지고, 제초날(30C 또는 30D)의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다시,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가 제초날(30C 또는 30D)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C 또는 36D)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C 또는 30D)의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가 제초날(30C 또는 30D)의 대형 캠 삽입부(37C 또는 37D)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C 또는 37D)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C 또는 30D)의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C)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면, 대형 캠(21C)의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제초날(30C 또는 30D)의 대형 캠 삽입부(37C 또는 37D)에 맞닿고, 제초날(30C 또는 30D)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상승하여, 프레임(10C)의 빗살판(13C)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C 또는 311D)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C 또는 311D)으로부터 빠져 낙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대형 캠 삽입부(37C 또는 37D)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C 또는 371D)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 제초날(30C 또는 30D)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다시,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소형 캠(22C, 22C)의 후크(221C, 221C)가, 제초날(30C 또는 30D)의 돌기(301C, 301C 또는 301D, 301D)에 맞닿도록 동작하고, 이상의 것을 반복함으로써,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톱니 끝(311C 또는 311D)이 빗살판(13C)의 사이에 진입하여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리고, 낙하시켜서 잡초를 뽑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초기는, 제초날의 동력 구동에 의해, 잡초 포기에 파고 들어, 퍼 올리고, 토사를 떨어뜨리고, 낙하시켜 잡초를 뽑는 것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소형의 가정용부터 업무용의 대형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초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양산할 수 있고, 또한, 조합 캠을 축방향으로 복수 개 부착함과 아울러, 제초날과 돌기를 지지축에 복수 개 부착하면, 업무용의 대형의 제초기가 가능하다.

Claims (4)

  1. 양측판(11, 11)과 후판(12)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의 양측판(11, 11)의 전단에, 빗살판(13)을 복수 개 부착하고, 양측판(11, 11)의 내측에, 대형 캠(21)의 양측에 제 1 소형 캠(22)과 제 2 소형 캠(23)을 고착한 조합 캠(20)을, 구동축(24)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고, 그 전부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와, 그 사이에 개재시킨 각각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제 1 돌기(301)와 제 2 돌기(302)를 형성한 제초날(30)을, 지지축(111, 112)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여 이루어지고,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에 맞닿아, 제 1 돌기(301)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의 걸어 맞춤이 벗겨짐과 아울러,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걸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가, 제초날(30)의 제 2 돌기(302)에 맞닿아, 제 2 돌기(302)를 밀어 회전시키고,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을,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이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조합 캠(2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110°에 도달하면, 제 2 소형 캠(23)의 제 2 후크(231)와 제초날(30)의 제 2 돌기(302)의 걸 어 맞춤이 벗겨지고, 다시,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의 제 1 슬라이딩부(211)가 제초날(30)의 대형 캠 삽입부(37)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의 톱니 끝(311)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면, 대형 캠(21)의 제 2 슬라이딩부(212)가, 제초날(30)의 대형 캠 삽입부(37)에 맞닿고, 제초날(30)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이 상승하여, 빗살판(13)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으로부터 빠져 낙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가, 대형 캠 삽입부(37)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 제초날(30)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조합 캠(20)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제 1 소형 캠(22)의 제 1 후크(221)가 제초날(30)의 제 1 돌기(301)에 맞닿는 조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장치함으로써,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림과 아울러, 낙하시켜서 순차적으로 잡초를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 톱니(30B)의 톱니 끝(311B)이, 톱니판(300B)에 대하여 복수 개로 분기됨과 아울러, 약 120°로 구부러지고, 복수 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B)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3. 양측판(11C, 11C)과 후판(12C)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C)의 양측판(11C, 11C)의 전단에, 빗살판(13C)을 복수 개 부착하고, 양측판(11C, 11C)의 내측에, 대형 캠(21C)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동일 방향의 후크(221C)를 형성한 소형 캠(22C, 22C)을 고착한 조합 캠(20C)을, 구동축(24C)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고, 그 전부에, 복수 개의 판상 톱니(31C)와, 그 사이에 개재시킨 1개 또는 동일 방향의 2개 또는 2개 이상의 돌기(301C)를 형성한 제초날(30C)을, 지지축(111C, 112C)을 통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하여 이루어지고,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소형 캠(22C)의 후크(221C)가, 제초날(30C)의 돌기(301C)에 맞닿아, 돌기(301C)를 밀어 회전시켜서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조합 캠(20C)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이 약 70°에 도달하면, 소형 캠(22C)의 후크(221C)와 제초날(30C)의 돌기(301C)의 걸어 맞춤이 벗겨짐과 아울러,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하사점에 와서 잡초 포기(70)를 뽑아내고, 다시,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0°까지 회전 구동하여,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 가 제초날(30C)의 슬라이딩부 맞닿음면(36C)에 맞닿아 밀어 올리고,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톱니 끝(311C)이 잡초 포기(70)를 끼운 채로 상승하고, 대형 캠(21C)의 제 1 슬라이딩부(211C)가 제초날(30C)의 대형 캠 삽입부(37C)에 끼워 넣어지면, 대형 캠 삽입부(37C)를 밀어 올려서, 제초날(30C)의 톱니 끝(311C)이 더욱 상승하고, 조합 캠(20C)이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270°까지 회전 구동하면, 대형 캠(21C)의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제초날(30C)의 대형 캠 삽입부(37C)에 맞닿고, 제초날(30C)을 밀어 올려서 톱니 끝(311C)이 상승하여, 빗살판(13C)에 꼭 끼여 들어가고, 톱니 끝(311C)의 잡초 포기(70)가 밀려 나와서, 톱니 끝(311C)으로부터 빠져 낙하하고, 이어서, 제 2 슬라이딩부(212C)가, 대형 캠 삽입부(37C)의 삽입부 슬라이딩면(371C)을 슬라이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 제초날(30C)은 상사점에 계속해서 정지하고, 조합 캠(20C)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360°까지 회전 구동하면, 재차, 소형 캠(22C)의 후크(221C)가 제초날(30C)의 돌기(301C)에 맞닿는 조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장치함으로써, 잡초 포기(70)에 파고 들어, 잡초 포기(70)를 퍼 올리고, 잡초 포기(70)로부터 토사를 떨어뜨림과 아울러, 낙하시켜서 순차적으로 잡초를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 톱니(30D)의 톱니 끝(311D)이, 톱니판(300D)에 대하여 복수 개로 분기됨과 아울러, 약 120°로 구부러지고, 복수 개로 분기된 톱니 끝(311D)이 지면에 대하여 약 30°로 경사져서, 선단을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KR1020060087371A 2006-09-11 2006-09-11 제초기 KR10073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1A KR100737218B1 (ko) 2006-09-11 2006-09-11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71A KR100737218B1 (ko) 2006-09-11 2006-09-11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218B1 true KR100737218B1 (ko) 2007-07-09

Family

ID=3850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71A KR100737218B1 (ko) 2006-09-11 2006-09-11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57A (ko) * 2018-02-12 2019-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잡초 제거 로봇
CN111466200A (zh) * 2020-06-01 2020-07-31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除草机及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627A (ja) 1981-09-17 1983-03-22 Kubota Ltd 管体の熱処理方法
KR20010011930A (ko) * 1999-07-31 2001-02-15 신동일 제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627A (ja) 1981-09-17 1983-03-22 Kubota Ltd 管体の熱処理方法
KR20010011930A (ko) * 1999-07-31 2001-02-15 신동일 제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57A (ko) * 2018-02-12 2019-08-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잡초 제거 로봇
KR102089299B1 (ko) * 2018-02-12 2020-03-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잡초 제거 로봇
CN111466200A (zh) * 2020-06-01 2020-07-31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除草机及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563B2 (en) Device for cultivating soil or brushing debris
EP1841308B1 (en) Powered disk preferably with oscillateable, trimmer-line-hook mounts
JP4515531B1 (ja) 草引き抜き装置
US5224552A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US4492271A (en) Tine tiller with tines and wheels each rotatable in either direction
KR100737218B1 (ko) 제초기
US4096915A (en) Ground working apparatus with tools to draw the apparatus forward
US6926091B2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US9763372B2 (en) Detachable tiller tines
KR101228886B1 (ko) 마늘 수확기
US5524425A (en) Dethatching machine
JP4372714B2 (ja) 草抜き機
EP0035843B1 (en) Soil surface cultivating machine
EP0024696B1 (en) Turf scarifier and rake device
US4344490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
US20070187123A1 (en) Device for attaching blades to rings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for an agricultural machine
JP3195781B2 (ja) 雑草抜き取り機
US7757620B1 (en) Garden tool and seed drill for use therewith
JP3997350B2 (ja) 歩行型耕耘機
CN2779826Y (zh) 逆旋打茬机
SU1565367A1 (ru) Орудие дл извлечени корневищных остатков из почвы
JPS6224407Y2 (ko)
RU2118074C1 (ru) Плоскорез-вычесыватель
JP2012070660A (ja) 歩行型耕耘機
KR102317898B1 (ko) 고랑 제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