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94B1 -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 Google Patents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94B1
KR100736894B1 KR1020060027236A KR20060027236A KR100736894B1 KR 100736894 B1 KR100736894 B1 KR 100736894B1 KR 1020060027236 A KR1020060027236 A KR 1020060027236A KR 20060027236 A KR20060027236 A KR 20060027236A KR 100736894 B1 KR100736894 B1 KR 10073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aphragm
acoustic
channel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무
Original Assignee
송기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무 filed Critical 송기무
Priority to KR102006002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94B1/ko
Priority to US12/294,614 priority patent/US8224016B2/en
Priority to PCT/KR2006/004114 priority patent/WO20071114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04R1/245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of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하여 진동판에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각 개인별 청각 주파수특성에 보다 근접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향신호를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여 진동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진동판, 채널, 공진주파수, 전기-음향 변환장치

Description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Electric-sound signal transducer based on multi-channel resonating plates and applied hearing aid device}
도 1 은 종래의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10 은 도 2에 도시된 진동판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 및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의 구성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의 구성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음향 변환장치
(100a) :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100b) :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110) : 진동판
(111)(112)(113)(114)(115) : 채널
(114a) : 강성 조정부 (115a) : 감쇠물질
(120) : 신호 변환부 (130) : 감지소자
(140) : 고정전극 (150) : 제1 증폭기
(160) : 제1 멀티플렉서 (170) : 제2 멀티플렉서
(180) : 제2 증폭기
본 발명은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간 청각의 가청 주파수대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대역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중심주파수를 공진주파수로 하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난청을 보완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로서,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한 뒤, 증폭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보상하는 기구이다. 이처럼 보청기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 음향 변환장치로서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스피커를 구비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보청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보청기는 음파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0)과, 상기 마이크로폰(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20)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하는 A/D 변환부(30)와,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보청기 착용자를 위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별로 조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착용자에게 적합한 소정의 신호로 처리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40)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4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50)와, 상기 D/A 변환부(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60); 및 상기 제2 증폭부(60)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스피커(7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80은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이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스피커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진동판을 구비하고 있으나, 종래의 진동판은 두께가 일정한 구조로써, 각 개인 마다 상이한 주파수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상기와 같이 착용자의 특성에 맞게 가청주파수 대역을 몇 개의 채널로 나누어 개별적으로 증폭 및 제어하기 위한 A/D 변환부와 막대한 분량의 연산을 위한 디지털신호처리부와 D/A 변환부 등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청기의 사용자는 전지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하여 진동판에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각 개인별 청각 주파수특성에 보다 근접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청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파수 대역별 음향신호의 필터링 또는 증폭 또는 감쇠를 위해 많은 소비전력이 요구되는 디지털신호처리회로가 요구되지 않고,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작은 진동판의 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서, 전지 교환에 대한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청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향신호를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여 진동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 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의 진동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감지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상기 각각의 감지소자들과 연결되어 감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1 증폭기들;
상기 각각의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전기신호들의 주파수대역을 재차 선별하여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제1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2 증폭기들; 및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또 다른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각 채널을 진동시키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의 진동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감지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상기 각각의 감지소자들과 연결되어 감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1 증폭기들;
상기 각각의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와 연결되어 증폭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파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2 증폭기들; 및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각 채널을 진동시키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음향 변환장치(100)는 다채널 진동판(110)과, 신호 변환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채널 진동판(110)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111)들이 지지대(119)의 위 또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지지대(119)에 형성된 각 채널(111)들은 하나의 음향필터 또는 음향증폭기 또는 음향감쇠기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공기 중의 음향신호가 채널(111)로 전달되거나 채널(111)의 진동신호가 공기 중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채널(111)의 공진주파수와 주파수밴드 및 감쇠상수 Q-factor는 사용자의 청력측정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채널(111)들의 개수만큼 가청주파수대역을 나눈 뒤, 나누어진 각 주파수대역의 중심주파수를 각 채널(111)의 공진주파수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채널(111)이 갖는 공진주파수는 채널(111)의 구조를 달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된 것으로 채널(111)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미세 빔 구조물들은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미세 빔 구조물들의 형상 즉, 두께나 크기 등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미세 빔 구조물들의 공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10은 상기 진동판의 또 다른 채널 구조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판(110)의 채널(112)들은 진동판(110)을 일정 개수의 부분으로 구분하되, 구분된 각 부분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부분, 즉 각각의 채널(112)은 질량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채널(111)의 일부분만이 지지대(119)에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3과 같이 채널(112)의 온둘레가 지지대(119)에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판(110)의 채널(113)들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미세 빔 구조물은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두껍거나 얇게 형성되어 있다. 즉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 중 소정 개수의 미세 빔 구조물들은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나머지 미세 빔 구조물들은 중심부가 주변부 와 같거나 또는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모두 미세 빔 구조물들을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두껍게 형성된 미세 빔 구조물들 또는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얇게 형성된 미세 빔 구조물들일지라도 두께(h) 차이를 조정하여 미세 빔 구조물들 간에 질량의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미세 빔 구조물들의 공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판(110)의 채널(114)들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미세 빔 구조물은 중심부로부터 주변부의 끝단까지 동심구조를 갖으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강성 조정부(114a)들이 상호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 강성 조정부(114a)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강성 조정부(114a)들의 크기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미세 빔 구조물들의 강성을 조정하게 되고, 이러한 강성 조정에 의해 미세 빔 구조물들의 공진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판(110)의 채널(115)들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미세 빔 구조물들의 표면에 소정의 감쇠물질(115a)이 코팅되되, 그 두께에 차이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미세 빔 구조물에 코팅되는 감쇠물질(115a)의 두께에 차이를 둠으로써 미세 빔 구조물들의 공진주파수 및 주파수밴드 및 감쇠상 수 Q-factor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쇠물질(115a)로는 폴리머 또는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진동판(110)의 채널(111,112,113,114,115)들은 초소형의 기계-전자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미세가공기술(MEMS)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음향 변환장치(100)는 신호 변환부(120)로서 감지소자를 이용하여 진동판(1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와, 신호 변환부(120)부로서 액추에이터소자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진동판(110)의 진동으로 변환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상기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구비된 감지소자(130a,130b)는 진동판(110)에 구비된 각 채널(111,112,113,114,115)의 표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음향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채널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소자(130a)나, 각 채널(111,112,113,114,115)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채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간격의 차이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변환하는 정전용량형센서(130b)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소자(140a,140b)는 진동판(110)에 구비된 각 채널 (111,112,113,114,115)의 표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전기신호를 채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 압전소자(140a)나, 각 채널(111,112,113,114,115)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각 채널을 진동시키는 전극(140b)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판(110)과 감지소자(130a,130b) 및 전기신호를 증폭하거나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는 미세가공기술(MEMS)를 이용하여 하나의 반도체칩 위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에 내장된 싱글 칩 패키지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진동판(110)과 액츄에이터소자(140a,140b) 및 전기신호를 증폭하거나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를 하나의 반도체칩 위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싱글 칩 패키지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200)는 상술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와, 다수개의 제1 증폭기(150)들과, 제1 멀티플렉서(160)와, 제2 멀티플렉서(170)와, 다수개의 제2 증폭기(180)들과, 상술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청기는 청각의 주파수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극히 작은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 및 미세가공기술(MEMS)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를 사용함으로서, 소비전력이 대단히 큰 복잡한 수식의 연산을 위한 디지털신호처리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아 보다 간단한 구성이 가능함과 더불어 저전력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의 경우, 각기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110)에 의해 여러 개의 주파수특성을 갖게 되므로, 기존 주파수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디지털신호처리 시스템이 필요 없게 되어 저전력의 보청기 구성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는 음파가 진동판(110)으로 전달될 경우, 해당 음파의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채널이 반응하여 진동하게 되며, 이때 채널에 부착된 감지소자(130a,130b)가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제1 증폭기(150)들은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에 구비된 감지소자(130a,130b)들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감지소자(130a,130b)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160)는 상기 제1 증폭기(150)들과 연결되어 제1 증폭기(150)들에 의해 증폭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선택되는 전기신호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전기신호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청력검사결과에 따라 멀티플렉서의 주파수대역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제2 멀티플렉서(170) 및 제2 증폭기(180)들은 제1 멀티플렉서(16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1 멀티플렉서(16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는 제2 증폭기(18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화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300)는 상술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와, 다수개의 제1 증폭기(150)들과, 멀티플렉서(310)와, 제2 증폭기(320)와, 스피커(3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a)와 제1 증폭기(150)들은 상기 제2 실시 예의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와 제1 증폭기들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상기 멀티플렉서(310)는 상기 제1 증폭기(150)들과 연결되어 제1 증폭기(150)들에 의해 증폭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 증폭기(320)는 멀티플렉서(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상기 스피커(330)는 제2 증폭기(320)에 의해 증폭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에에 따른 보청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에에 따른 보청기(400)는 마이크로폰(410)과, 제1 증폭기(420)와, 멀티플렉서(430)와, 다수개의 제2 증폭기(180)들과,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청기(400)는 단일채널을 갖는 마이크로폰(410)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를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로서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410)은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단일채널을 갖는 진동판이 사용되며, 이러한 마이크로폰(410)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증폭기(420)는 마이크로폰(4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멀티플렉서(430)는 제1 증폭기(420)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아,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증폭기(180)들은 멀티플렉서(4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서로 다르게 증폭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100b)는 상술한 제2 실시 예의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반응하는 다수개의 채널들을 갖는 진동판을 이용하여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각 개인의 청각특성에 따라 보다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개인의 청각 주파수특성에 맞는 주문 제작형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보청기를 구성하게 되면, 개인의 청각특성에 맞추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구성의 단순화와 함께 저전력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18)

  1.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음향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음향신호를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여 진동으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채널들은,
    진동판을 일정 개수의 부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부분이 상호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채널들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미세 빔 구조물은 중심부가 주변부에 비해 보다 두껍거나 얇게 형성되어 각 미세 빔 구조물의 질량조정을 통해 각 채널의 공진주파수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추어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미세 빔 구조물은 중심부로부터 주변부의 끝단까지 동심구조를 갖으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강성 조정부들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각 미세 빔 구조물의 강성조정을 통해 각 채널의 공진주파수를 사용자의 청각특성에 맞추어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 빔 구조물들은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하여 각 채널의 공진주파수를 사용자의 청각특성에 맞추어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미세 빔 구조물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 빔 구조물들은 그의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감쇠물질이 코팅되어 각 미세 빔 구조물의 감쇠특성 조정을 통해 각 채널의 공진주파수 및 주파수밴드 및 감쇠상수 Q-factor 를 사용자의 청각특성에 맞추어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은,
    인간의 가청 주파수대역을 상기 채널의 개수로 나누어 구분된 각 주파수대역의 중심주파수를 공진주파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감지소자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소자는;
    상기 각 채널에 부착되어 채널의 진동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소자는;
    상기 각 채널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고정전극을 배치하여 채널의 진동을 채널과 고정전극의 간격의 변화로 유도하여 이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정전용량 감지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진동판의 각 채널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소자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소자는;
    상기 각 채널에 부착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진동판을 진동하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소자는;
    상기 각 채널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진동판을 진동하는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상기 신호 변환부를 하나의 반도체칩 위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상기 신호 변환부가 하나의 싱글칩 패키지 안에 내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16.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의 진동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감지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상기 각각의 감지소자들과 연결되어 감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1 증폭기들;
    상기 각각의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전기신호들의 주파수대역을 재차 선별하여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제1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2 증폭기들; 및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또 다른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각 채널을 진동시키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
  17.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각 채널의 진동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다수개의 감지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폰형 전기-음향 변환장치;
    상기 각각의 감지소자들과 연결되어 감지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1 증폭기들;
    상기 각각의 증폭기들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2 증폭기와 연결되어 증폭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
  18. 음파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선택된 주파수대역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만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다수개의 제2 증폭기들; 및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채널들이 구비된 진동판과, 상기 각 채널들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각 채널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각 채널을 진동시키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소자들이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형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를 이용한 보청기.
KR1020060027236A 2006-03-27 2006-03-27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KR10073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236A KR100736894B1 (ko) 2006-03-27 2006-03-27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US12/294,614 US8224016B2 (en) 2006-03-27 2006-10-13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multi-channel diaphragm and hearing aid using the same
PCT/KR2006/004114 WO2007111405A1 (en) 2006-03-27 2006-10-13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multi-channel diaphragm and hearing ai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236A KR100736894B1 (ko) 2006-03-27 2006-03-27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94B1 true KR100736894B1 (ko) 2007-07-10

Family

ID=3850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236A KR100736894B1 (ko) 2006-03-27 2006-03-27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24016B2 (ko)
KR (1) KR100736894B1 (ko)
WO (1) WO200711140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71B1 (ko) 2010-09-15 2011-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마이크로폰 및 이를 구비한 이식형 보청기
US8428281B2 (en) 2010-02-01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ll hearing aid
KR101509342B1 (ko) * 2013-10-01 2015-04-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인공와우용 음향 센서 장치
KR20160137210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아이리버 다중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150588A (zh) * 2021-12-16 2022-03-08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大体积混凝土智能温控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8797E1 (en) 2009-03-25 2021-10-26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 having a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DE102009014770A1 (de) * 2009-03-25 2010-09-30 Cochlear Ltd., Lane Cove Schwingungserzeuger
US9407231B2 (en) 2013-02-06 2016-08-02 Ht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ulti-sensor sound recording
KR102207928B1 (ko) * 2014-08-13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센싱 소자 및 주파수 정보 획득 방법
US9560455B2 (en) * 2015-06-26 2017-01-31 Stmicroelectronics S.R.L. Offset calibration in a multiple membrane microphone
CN204810103U (zh) * 2015-07-08 2015-11-2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US10830735B2 (en) * 2017-03-20 2020-11-10 Triad National Security, Llc Simultaneous real-time measurement of composition, flow, attenuation, density, and pipe-wallthickness in multiphase fluids
WO2020076846A1 (en) * 2018-10-09 2020-04-16 Knowles Electronics, Llc Digital transducer interface scrambling
KR20220037551A (ko) 2020-09-17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기 및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300A (ja) * 1985-08-23 1987-02-27 Toshiba Corp 超音波振動子
JPH02265400A (ja) * 1989-04-05 1990-10-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拡声器
KR19990016377U (ko) * 1997-10-27 1999-05-25 윤종용 박막형 초음파발생트랜스듀서
JP2000134697A (ja) * 1998-10-21 2000-05-12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5229227A (ja) * 2004-02-12 2005-08-25 Citizen Watch Co Ltd 圧電型振動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300A (ja) * 1985-08-23 1987-02-27 Toshiba Corp 超音波振動子
JPH02265400A (ja) * 1989-04-05 1990-10-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拡声器
KR19990016377U (ko) * 1997-10-27 1999-05-25 윤종용 박막형 초음파발생트랜스듀서
JP2000134697A (ja) * 1998-10-21 2000-05-12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JP2005229227A (ja) * 2004-02-12 2005-08-25 Citizen Watch Co Ltd 圧電型振動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8281B2 (en) 2010-02-01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ll hearing aid
KR101083771B1 (ko) 2010-09-15 2011-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마이크로폰 및 이를 구비한 이식형 보청기
KR101509342B1 (ko) * 2013-10-01 2015-04-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인공와우용 음향 센서 장치
KR20160137210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아이리버 다중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2232B1 (ko) * 2015-05-22 2016-12-02 주식회사 아이리버 다중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150588A (zh) * 2021-12-16 2022-03-08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大体积混凝土智能温控系统和方法
CN114150588B (zh) * 2021-12-16 2024-04-19 中国公路工程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结构大体积混凝土智能温控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4016B2 (en) 2012-07-17
US20090232338A1 (en) 2009-09-17
WO2007111405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894B1 (ko) 다채널 진동판이 구비된 전기-음향 변환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청기
CN110603816A (zh) 具有电磁扬声器和微型扬声器的扬声器单元
US8724836B2 (en) Hearing device with two or more microphones and two or more resonator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the same resonant frequency
KR20050106482A (ko) 골전도 장치
KR101092958B1 (ko) 이어셋
AU2020206801B2 (en) Acoustic devices
KR101871578B1 (ko) 불연 피에조 압전 스피커장치
CN110213705B (zh) Mems扬声器
US9699569B2 (en) Measurement system
US20210250689A1 (en) Sound Producing Device
JP6279225B2 (ja) 音響機器
KR101169885B1 (ko) 귀속형 보청기
CN204392563U (zh) 悬挂式多层超薄压电扬声器
KR101583650B1 (ko) 불연 피에조 압전 스피커장치
CN114501268A (zh) 发声装置及其交叉电路和发声单元
KR20160095601A (ko) 불연 피에조 압전 스피커장치
KR101169888B1 (ko) 귀걸이 형 보청기
JP3063750B1 (ja) 補聴器
RU27973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вода звука
CN108600875A (zh) 一种集成测距功能的扬声器
KR101649827B1 (ko) 불연 피에조 압전 스피커장치/수음 트랜스듀서
RU25253U1 (ru) Микрофон
CN104507027A (zh) 悬挂式多层超薄压电扬声器
JP2004080468A (ja) 音響変換器
JPS6022879B2 (ja) 電気↓−音響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