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49B1 -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49B1
KR100736849B1 KR1020050046313A KR20050046313A KR100736849B1 KR 100736849 B1 KR100736849 B1 KR 100736849B1 KR 1020050046313 A KR1020050046313 A KR 1020050046313A KR 20050046313 A KR20050046313 A KR 20050046313A KR 100736849 B1 KR100736849 B1 KR 10073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information
original
dupl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402A (ko
Inventor
노경철
Original Assignee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5004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2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compliance of requirements or conditions with available server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리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유하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우수한 컨텐츠 전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 복제 컨텐츠 서버(303);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301) 및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303)로부터 컨텐츠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업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배포하는 관리 서버; 및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301) 또는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30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경로를 제공하는 컨텐츠 경로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METHOD FOR DELIVERING CONTENTS IN CONTENTS DELIVERY NETWORK}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배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3은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통계 정보 수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4는 도1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서버 로드 정보 수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5는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경로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컨텐츠 제공 서버 101a: DRM 패키저
103: 웹 서버 105: 인증 서버
201: 유저 컴퓨터 201a: 클라이언트-사이드 프로그램
301: 원본 컨텐츠 서버 301a: 서버 로드 정보 수집 에이전트
303: 복제 컨텐츠 서버 303a: 서버 로드 정보 수집 에이전트
305: 메인 서버 305a: 관리 페이지
307: 동기화 서버 309: 정보 수집 서버
311: 정보 DB 313: DRM 서버
315: 네트워크 스위치 317: 브로커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리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유하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우수한 컨텐츠 전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접속 품질과 속도 문제를 개선해 보다 근본적으로 인터넷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존의 통신망을 유지하면서도 인터넷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Contents Delivery Network system, CDN system)이다.
CDN 시스템은, 인터넷 사용자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컨텐츠 제공자(CP)의 웹서버에 집중돼 있는 컨텐츠들 중 그림, 배너,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같이 용량이 크거나 사용자들의 요구가 잦은 컨텐츠를 여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접속점(POP)에 분산 배치된 컨텐츠 서버에 미리 저장해 놓는다. 유저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유저의 인근에 위치한 최적의 컨텐츠 서버를 찾아, 해당 컨텐츠의 경로를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제공된 경로를 통하여 컨텐츠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CDN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 등 e- Biz 사업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인터넷 유저들을 수용하고, 인터넷 유저에게는 가장 가깝고 한가한 서버를 이용하여 빠르게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CDN 시스템은 컨텐츠의 배포가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CDN 시스템에서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트래픽이 폭주하여 전송 속도가 느려지더라도, 유저들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항의 전화 또는 이메일이 있거나 정기적인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하여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상당 기간 동안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지속한 후에야 비로소 늦장 대응을 하는 식이어서, 유저들의 크나큰 불만 사항이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자는 아예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스토리지(storage) 및 네트워크를 초과하여 약정하게 되고, 이는 결국 컨텐츠 제공자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DN 서비스자의 측면에서는 컨텐츠 트래픽에 기 반한 컨텐츠 배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활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 방식에 있어서도 종래의 CDN 시스템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특정 컨텐츠의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 인지되면, 관리자는 수작업에 의하여 해당 컨텐츠를 한가한 컨텐츠 서버에 복사하여 대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그 자체로서 인력 낭비를 야기할 뿐 아니라, 특정 컨텐츠의 전송 속도가 느려진 이유에 대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수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매우 비효율적인 대응이 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CDN 시스템에서는, 특정 컨텐츠의 전송 속도가 느려진 이유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트래픽이 높아 발생한 현상인지 아니면 동일한 컨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컨텐츠에 대한 트래픽이 높아 발생한 현상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결국, 관리자는 해당 컨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를 한가한 다른 컨텐츠 서버에 복사하여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결국, CDN 서비스자의 스토리지 낭비로 이어져 비용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리지의 낭비를 줄이고 보유하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컨텐츠 전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원본 컨텐츠 서버; 복제 컨텐츠 서버;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에 배포하는 관리 서버; 및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 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의 경로를 제공하는 컨텐츠 경로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배포룰은 CDN 서비스자가 설정할 수 있는 컨텐츠 배포 규칙을 의미한다. 즉, 배포룰은 각기 다른 매 상황마다 해당 컨텐츠가 어떠한 컨텐츠 서버에 배포되어야 하는가를 규율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자도 CDN 서비스자와 함께 컨텐츠 배포룰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서버와, 상기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에 배포시키는 배포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에 전송하는 메인 서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서버는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고, 관리자 및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관리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포룰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루는 주체들은 컨텐츠 제공자, 유저 및 CDN 서비스 제공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경우에 따라서, 컨텐츠 제공자는 실제로 컨텐츠에 대한 판권을 가지고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자와 단순히 웹 서버를 구축하여 컨텐츠 제공자와 유저간을 중계하는 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예컨대 유료 영화 사이트에서 각각의 영화에 대한 판권을 가지고 유료 영화 사이트를 방문하는 유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주는 자는 전자에 해당하고, 유료 영화 사이트를 운영하는 자는 후자에 해당한다. 전자의 영역에 컨텐츠 제공 서버(101)가 구축되고, 후자의 영역에 웹 서버(103) 및 인증 서버(105)가 구축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1)는 컨텐츠를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업로드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자의 용이한 업로드 작업을 위하여, 전용 업로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지원된다.
전용 업로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는 DRM 패키저(101a)가 포함되어 있어, 컨텐츠의 패키징, 즉 암호화(DRM encoding)가 수행된 후 업로드 되도록 되어 있다. 컨텐츠의 암호화 과정에서 라이센스 키가 생성된다. 라이센스 키는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 서버에 전송되며, 또한 DRM 서버(313)에도 전달되어 저장된다. 리네임
(rename) 기능이 제공되어 패키징된 파일은 파일 네임이 변경됨으로써, 원본 파일이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웹 서버(103)는 유저가 접속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인증 서버(105)는 웹 서버(103)를 통하여 전달 받은 유저의 로그인 정보에 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그 인증 결과를 다시 웹 서버(103)에 통보하여 주는 서버이다.
유저는 End User로서 예컨대 유료 영화 사이트에 접속하여 영화를 시청하고자 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유저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초로 특정 컨텐츠를 요청하면, 유저 컴퓨터(201)에는 예컨대 플레이어 OCX와 같은 클라이언트-사이드 프로그램(client-side program)(201a)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다.
CDN 서비스 제공자는 CDN 시스템을 구축하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CDN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 관리 서버 및 컨텐츠 경로 제공부를 구비한다. 이밖에도, CDN 시스템은 정보 DB(311), 동기화 서버(307) 및 DRM 서버(313)를 구비한다.
컨텐츠 서버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와 복제 컨텐츠 서버(303)로 나누어진다. 관리 서버는 메인 서버(305) 및 정보 수집 서버(309)를 포함한다. 또한, 컨텐 츠 경로 제공부는 네트워크 스위치(315) 및 브로커(broker)(317)를 포함한다.
원본 컨텐츠 서버(301)는, 컨텐츠 제공 서버(101)로부터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서버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101)에는, 컨텐츠 트래픽에 관계없이 업로드된 모든 컨텐츠가 저장된다.
복제 컨텐츠 서버(303)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배포 받는 서버이다. 컨텐츠 제공 서버(101)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중 선택된 컨텐츠만이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저장된다. 도1에서는 복제 컨텐츠 서버(303)가 3개 노드(node)의 서버팜(server farm)으로 구축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정보 수집 서버(309)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 및 복제 컨텐츠 서버(303)로부터 컨텐츠 통계 정보 및 서버 로드 정보(server load information)를 수집하는 서버이다. 컨텐츠 통계 정보에는 컨텐츠 트래픽 정보, 예컨대, 컨텐츠 별 히트율(hit rate), 히트수(hit count) 등이 포함된다. 서버 로드 정보 수집을 위하여, 각 컨텐츠 서버에는 서버 로드 정보 수집 에이전트(301a, 303a)가 설치된다.
메인 서버(305)는, 정보 수집 서버(309)로부터 컨텐츠 통계 정보를 전송 받고, 그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distribution rule)에 따라 컨텐츠 배포 명령을 생성하여 이를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하달하는 서버이다. 또한, 메인 서버(305)는 정보 수집 서버(309)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통계 정보 및 서버 로드 정보와 복제 컨텐츠 서버(303)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배포 정보를 가공한 후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정보 DB(311)는, 컨텐츠 통계 정보, 컨텐츠 배포 정보 및 서버 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정보 DB(311)에 저장된 정보는 메인 서버(305) 및 브로커(317)에 제공된다.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DB와 백업 DB로 구성되며, 메인 DB로부터 백업 DB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인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진다. 메인 DB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백업 DB가 메인 DB를 대신한다.
동기화 서버(307)는, 컨텐츠 서버의 분산 배치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컨텐츠 서버의 증설 또는 감축 등 컨텐츠 서버의 배치에 변경이 있을 경우, 관리자는 동기화 서버(307)가 제공하는 관리 페이지를 통하여 동기화 서버(307)에 접속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동기화 서버(307)는 서버 배치 정보를 수정하여 이를 원본 컨텐츠 서버(301) 및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전송하여, 차후에 수행되는 컨텐츠 동기화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DRM 서버(313)는, 컨텐츠 제공 서버(101)에서 생성된 라이센스 키를 전달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마친 유저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라이센스 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컨텐츠 경로 제공부는 유저의 요청에 의하여 원본 컨텐츠 서버(301) 또는 복제 컨텐츠 서버(30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네트워크 스위치(315)는 브로커(317)의 로드 밸런싱(load balacing)을 위하여, 유저 컴퓨터(201)를 각 브로커(317)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킨다.
브로커(317)는, 정보 DB(311)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배포 정보 및 서버 로드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컨텐츠 경로를 검색하여 유저 컴퓨터(201)에 넘겨준다. 브로커(317)는 복수 개를 구성하여 장애 및 접속자 폭주에 대비한다.
도2는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배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컨텐츠 배포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 제공 서버(101) 또는 컨텐츠를 가진 개인 PC에 설치된 전용 업로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전용 업로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의 DRM 패키저 탭(tab)을 이용하여 패키징을 수행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1)는 패키징된 컨텐츠를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업로드한다. (a1 단계)
메인 서버(305)로부터 컨텐츠 배포 명령이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 전송되면, 원본 컨텐츠 서버(301)는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컨텐츠를 배포한다. (a3 ~ a4 단계)
메인 서버(305)에는 관리자 및 컨텐츠 제공자가 접속할 수 있는 관리 페이지(305a)가 제공되는데, 이 관리 페이지(305a)를 통하여 관리자 및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 배포룰(distribution rule)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가 업로드한 aaa.asf, bbb.asf 및 ccc.asf 컨텐츠 중 히트율이 제일 높은 aaa.asf 컨텐츠는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도 복제 배포하고, 나머지 컨텐츠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만 저장하여 두도록 배포룰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컨텐츠 제공자가 업로드한 aaa.asf, bbb.asf 및 ccc.asf 컨텐츠 중 히트율과 관계없이 bbb.asf 컨텐츠는 반드시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도 복 제 배포하고, 나머지 컨텐츠는 원본 컨텐츠 서버(301)에만 저장하여 두도록 배포룰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및 컨텐츠 제공자가 관리 페이지(305a)를 통하여 메인 서버(305)에 접속하여 배포룰을 설정하면, 메인 서버(305)는 정보 수집 서버(309)로부터 전송 받은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컨텐츠 배포 명령을 생성한다. 물론, 위의 후자의 예처럼 컨텐츠 통계 정보에 무관하게 bbb.asf 컨텐츠의 배포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컨텐츠 배포 명령이 컨텐츠 통계 정보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메인 서버(305)로부터 컨텐츠 배포 명령이 있게 되면, 원본 컨텐츠 서버(301)는 해당되는 컨텐츠를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복제 배포한다.
도1에 도시된 복제 컨텐츠 서버(303)와 복제 컨텐츠 서버(303) 간의 릴레이 방식 컨텐츠 동기화(a4 단계)는 예시를 나타낸 것 일뿐 컨텐츠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배포될 수 있다.
컨텐츠 배포는 복제 컨텐츠 서버 모두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트래픽에 따라 컨텐츠가 배포될 복제 컨텐츠 서버의 수가 결정 된다. 또한, 유저의 요청 빈도가 낮은 컨텐츠는 복제 컨텐츠 서버로부터 자동 삭제되어, 또 다른 인기 있는 컨텐츠를 복제할 수 있는 디스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텐츠를 배포함에 있어서, 어느 한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트래픽이 집중되지 않도록, 각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트래픽이 높은 컨텐츠와 트래픽이 낮은 컨텐츠가 적절히 혼재되어 저장되도록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효율적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컨텐츠마다 트래픽이 집중되는 시간대가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트래픽이 집중되는 시간대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같은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배포하여 CDN 서비스를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 배포가 완료되면, 복제 컨텐츠 서버(303)는 메인 서버(305)에 컨텐츠 배포 정보를 전송하여 컨텐츠 배포 완료를 통보한다. (a5 단계)
메인 서버(305)는 컨텐츠 배포 정보를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a6 단계) 컨텐츠 배포 정보에는 컨텐츠 경로(URL)가 포함된다. 정보 DB(311)에 저장된 컨텐츠 배포 정보는 후술하는 도5의 컨텐츠 경로 제공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된다.
도3은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통계 정보 수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정보 수집 서버(309)는 컨텐츠 통계 정보를 원본 컨텐츠 서버(301) 및 복제 컨텐츠 서버(303)로부터 수집한다. (b1 단계) 컨텐츠 통계 정보에는 컨텐츠 트래픽 정보, 예컨대 히트율, 히트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컨텐츠 통계 정보는 도2의 컨텐츠 배포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로 이용된다.
정보 수집 서버(309)는 수집된 컨텐츠 통계 정보를 메인 서버(305)에 전송한다. (b2 단계)
메인 서버(305)는 컨텐츠 통계 정보를 가공한 후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b3 단계)
도4는 도1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서버 로드 정보 수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원본 컨텐츠 서버(301) 및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는 서버 로드 정보 수집 에이전트(301a, 303a)가 설치되어 서버 로드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수집 서버(309)는 각 컨텐츠 서버의 서버 로드 정보 수집 에이전트(301a, 303a)가 수집한 정보를 전송 받아 수집한다. (c1 단계)
정보 수집 서버(309)는 수집된 서버 로드 정보를 메인 서버(305)에 전송한다. (c2 단계)
메인 서버(305)는 서버 로드 정보를 정보 DB(311)에 저장한다. (c3 단계) 정보 DB(311)에 저장된 서버 로드 정보는 후술하는 도5의 컨텐츠 경로 제공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된다.
도5는 도1의 CD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경로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유저가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먼저, 웹 서버(103)에 접속해야 한다. (d1 단계)
유저가 로그인을 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면, 웹 서버(103)는 이를 인증 서버(105)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인증을 처리하게 한다. (d2 단계)
유저의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여 인증 서버(105)의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면, 웹 서버(103)는 그 결과를 유저 컴퓨터(201)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사이드 프로그램(201a)를 구동시킨다. (d3 단계)
실시예에 따라서는, 웹 서버(103)에 서버-사이드 프로그램(server-side program)을 설치하여 클라이언트 사이드 프로그램(201a)을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d4 단계 ~ d9 단계는 유저 컴퓨터(201)를 대신하여 웹 서버(103)가 수행하고, 웹 서버(201)는 컨텐츠 서버(301, 303)로부터 전송 받은 해당 컨텐츠를 최종적으로 유저 컴퓨터(201)에 전송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사이드 프로그램(201a)은 구동과 동시에 DRM 서버(313)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라이센스 키를 요청한다. 요청에 따라, DRM 서버(313)는 라이센스 키를 유저 컴퓨터(201)에 전송한다. (d4 단계)
유저 컴퓨터(201)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경로를 브로커(317)에 문의한다. (d5 단계)
브로커(317)는 정보 DB(311)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배포 정보 및 서버 로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경로(URL)를 검색하여 최적 컨텐츠 경로(URL)를 선택한다. 즉, 서버 로드가 가장 작고 유저 컴퓨터(201)로부터 가장 가까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경로를 찾아낸다. (d6 단계)
선택된 최적 컨텐츠 경로는 네트워크 스위치(315)를 통하여 유저 컴퓨터(201)에 전송된다. (d7 단계)
유저 컴퓨터(201)는 전송 받은 컨텐츠 경로를 통하여 원본 컨텐츠 서버(301) 또는 복제 컨텐츠 서버(303)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유저 컴퓨터(201)는 DRM 서버(313)로부터 기전송 받은 라이센스 키를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여, 유효한 접속임을 컨텐츠 서버에 확인시킨다. (d8 단계)
라이센스 키가 확인되면, 컨텐츠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유저 컴퓨터(201)로 전송한다. (d9 단계)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텐츠 트래픽 변화에 대하여 매우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우수한 컨텐츠 전송 속도를 상시 유지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설정에 따라서는 컨텐츠 트래픽 변화에 실시간에 가까운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원본 컨텐츠 서버의 디스크 용량은 크게 가지고 가지만, 복제 컨텐츠 서버는 실제로 자주 보는 히트율이 높은 인기 컨텐츠를 담을 정도의 적은 용량만으로도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한 컨텐츠 전송 속도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의 분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트래픽에 기반한 컨텐츠 배포가 가능하므로, 각 컨텐츠 서버에 트래픽이 분산되도록 컨텐츠를 배포하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트래픽이 집중되는 시간대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같은 컨텐츠 서버에 저장하여 CDN 서비스를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3)

  1. 원본 컨텐츠 서버, 복제 컨텐츠 서버, 관리 서버 및 컨텐츠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 Contents Delivery Network)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로부터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트래픽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컨텐츠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포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경로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경로 정보에 의해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또는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컨텐츠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 및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서버와,
    상기 정보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컨텐츠 통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배포룰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제 컨텐츠 서버에 배포시키는 배포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원본 컨텐츠 서버에 전송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컨텐츠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고,
    관리자 및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관리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포룰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법.
KR1020050046313A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KR10073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13A KR100736849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13A KR100736849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02A KR20060124402A (ko) 2006-12-05
KR100736849B1 true KR100736849B1 (ko) 2007-07-10

Family

ID=3772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13A KR100736849B1 (ko) 2005-05-31 2005-05-31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15B1 (ko) * 2007-02-16 2007-10-09 주식회사 에이씨티소프트 그룹 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콘텐츠 배포 관리 장치, 콘텐츠 배포 관리 시스템 및 그 콘텐츠 배포 관리 방법
FR2930393A1 (fr) * 2008-04-17 2009-10-23 Voddnet Soc Par Actions Simpli Systeme de distribution pre deterministe de donnees numeriques.
US20110239103A1 (en) * 2010-03-23 2011-09-29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virality paths and supporting referral monetization
CN102137006B (zh) * 2010-12-31 2013-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Cdn网络中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101694978B1 (ko) 2013-04-29 2017-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900B1 (ko) * 2001-03-27 2003-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씨디엔을 이용한 웹하드 운영 및 관리 방법
KR2004000155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시디엔 망에서 컨텐트 루팅 향상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900B1 (ko) * 2001-03-27 2003-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씨디엔을 이용한 웹하드 운영 및 관리 방법
KR2004000155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시디엔 망에서 컨텐트 루팅 향상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02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291B1 (en) Client-side method for identifying an optimum server
US8904559B2 (en) Enforcing single stream per sign-on from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media server
US69709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rge payload distribution in a network
US6976093B2 (en) Web server content replication
US7761900B2 (en) Distribution of content and advertisement
KR100578515B1 (ko) 디지털 컨텐츠 배송 시스템, 디지털 컨텐츠 배송 방법 및에지 서버
US20040025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US20080072264A1 (en) Distribution of content on a network
WO2008119267A1 (fr) Système de distribution de média, appareil et procédé de lecture de média en continu
EP13689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rge payload distribution in a network
JP2006526215A (ja) ストリーミング基盤のコンテンツ分散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ファイル分割、併合及び再生方法
JP2011502412A (ja) 管理型マルチメディア配信ネットワーク内の回復力の高いサービス品質
CN103001964B (zh) 一种局域网环境下的缓存加速方法
KR100736849B1 (ko) 지능형 컨텐츠 분배 방식에 의한 컨텐츠 전송 방법
US20030055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data on a satellite data server
US90551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lows in network traffic
CN1988465A (zh) 动态ip网络vpn管理与监控的方法
US20040006627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US20060174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content utilizing client upstream communication bandwidth capacity over a network
CN102017568A (zh) 用于递送自主播放的内容的系统
KR100648572B1 (ko)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JP2005011119A (ja) データ転送方法
US7730176B1 (e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digital content distributors on wide area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