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32B1 -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32B1
KR100736832B1 KR1020040031773A KR20040031773A KR100736832B1 KR 100736832 B1 KR100736832 B1 KR 100736832B1 KR 1020040031773 A KR1020040031773 A KR 1020040031773A KR 20040031773 A KR20040031773 A KR 20040031773A KR 100736832 B1 KR100736832 B1 KR 10073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etaining wall
connecting mechanism
link plate
hexahe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6748A (en
Inventor
전일성
Original Assignee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센리테이닝(주) filed Critical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to KR102004003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32B1/en
Publication of KR2005010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여지는 식생백을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 6면체의 포대 간에 옹벽축조시 링크판을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포대를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상호 마찰력과 결속력이 강화되게 함으로서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링크형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 및 곡선형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축조된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6면체 포대의 링크판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chanism of a hexahedron bag, and to make the vegetation bag stack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form of a hexahedron, so that the bag can be connec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using the link plate whe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etween the hexahedron bags. By strengthening mutual friction and cohesion, the retaining wall can be built more firmly.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taining wall in a straight and curved form because it can be connected continuously by using a link-type connection mechanism. And a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a hexahedron bag that can increase the connection strength and the binding force of the built bags.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와 하부의 포대 간에 마찰력을 최대화시켜주기 위한 요철부와, 여러개의 공극을 형성하여 요철부와 공극에 포대가 걸리게 함으로서,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될 뿐만 아니라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있으며, 축조된 옹벽의 외부에 지지 수단 등의 취부 작업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chanism is formed by forming an uneven portion for maximiz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upper bag and the lower bag forming the retaining wall, and by forming a plurality of voids to be wrapped in the uneven portion and the void, The retaining wall is not only built more firmly tha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ut the bag of the built retaining wall is vegetation-based, so that seeds can be germinated inside and the seeds are germinat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ety of vegetation landscape, so the retaining wall has a more beautiful and eco-friendly aesthetic.

포대, 옹벽, 연결기구Turret, retaining wall, connector

Description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사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a rect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육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a geogrid splice that is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결합도이다.6 is a coupling diagram of a geogrid connecting portion that is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used for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핀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connection pi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핀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i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요철부의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of an uneven portion which is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링크형 유닛의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link-type unit that is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Figure 13 is a plan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포대 10: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 bag 10: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1: 요철부 12: 링크판 연결부11: uneven portion 12: link plate connection portion

14: 연결핀 15: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4: connecting pin 15: geogrid connecting ring

16: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 20: 사각링크판 연결기구16: Geogrid connector 20: Rectangular link plate connector

30: 육각링크판 연결기구 40: 지오그리드30: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40: geogrid

50: 링크형 유닛50: link unit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쌓여지는 식생백을 6면체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 6면체의 포대 간에 옹벽축조시 링크판을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포대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상호 마찰력과 결속력에 의하여 옹벽이 더욱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링크형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 및 곡선이 포함된 포대들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6면체 포대의 링크판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chanism of a hexahedron bag, the vegetation bag is stacked in the form of hexahedron when the retaining wall is buil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ba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using the link plate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between the hexahedral bag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can be built more firmly by mutual friction and cohesion, and in some cases, it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by using a link-type connection mechanism. It is about the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the hexagonal bag that can increase the binding force.

종래부터 옹벽공사를 행할 때에는 포대를 사용하여 옹벽공사를 행하여 왔다. 이러한 포대를 쌓을 때 틈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포대 배면부의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 지지력이 줄어들게 되어, 결합력이 떨어지고 뒷채움재의 유출등으로 인하여 옹벽이 무너지게 되는 단점을 제공하며, 단순히 포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은 옹벽과 급한 경사의 옹벽은 쌓기가 어려워 별도의 보완장치를 해오던 것이 옹벽공사의 관행이었다.Conventionally, when carrying ou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using a bag. When the bags are stacked, gaps are formed, and these gaps reduce the supporting force that prevents the soil from flowing down the back of the bag, which provides a disadvantage that the retaining wall collapses due to the loss of bonding force and the outflow of the backfill material. In the case of using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t was difficult to stack the high retaining wall and the steeply inclined retaining wall more than a certain height.

이러한 옹벽조성시 별도의 보완장치로는 옹벽에 일정 높이마다 지오그리드를 넣어 토사에 일정한 지지 저항력을 제공하여 조성된 옹벽에서 토사의 흘러내림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있다.As an additional complementary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retaining walls, geogrids are placed on the retaining walls at certain heights to provide a constant support resistance to the soil, thereby preventing the soil from collapsing due to the falling of the soil.

상기와 같은 보완장치 뿐 아니라, 옹벽조성시 쌓는 포대를 보강하는 방식도 있다. 선행출원 10-2000-0002413과 10-2000-7005623이 상기 방식에 의한 보강방법에 대한 출원이다. 이하 살펴보면,In addition to the above complementary device, there is also a method of reinforcing the bag to be stack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Prior applications 10-2000-0002413 and 10-2000-7005623 are applications for a reinfor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scheme. In the following,

선행출원 10-2000-0024130(맞물린 옹벽축조 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2000년 1월 19일 출원)은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모래자루나 포대를 상하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상하로 부착시 돌출부로 부착되도록 하는 데, 상기 돌출부는 포대를 뚫을 수 있도록 고안된 뾰족한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는 그냥 쌓는 포대보다는 마찰력 및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방식이나, 단순히 포대에 뾰족한 돌기를 넣는 것에 불과하여 마찰력과 지지력의 보강에 한계가 있으며, 포대가 돌기에 의하여 훼손되어 추후 포대내부에서의 토사 유출로 인한 옹벽전체에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좌우 연결성이 없어 결속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Prior application 10-2000-0024130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interlock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nit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it; filed Jan. 19, 2000) uses sanding elements or bags to build up and dow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t is to be attached, and to be attached to the protrusion when attached up and down, the protrusion is a pointed projection designed to penetrate the bag. This is a method that can reinforce friction and bearing capacity rather than just stacking bags, but it is limited to the reinforcement of friction and bearing power by simply inserting pointed protrusions on the ba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blem occurs in the whole retaining wall due to,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binding force is lowered because there is no left and right connectivity.

한편, 또 다른 선행출원 10-2000-7005623(옹벽블록; 1999년 10월 8일 국제출원)은 별도의 콘크리트블럭을 고안하여 옹벽축조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선행출원과 같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도 역시 콘크리트 블럭의 상하 연결에 있어서는 보강이 되나, 표면에 식생의 천이가 불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이 노출되므로 옹벽의 미관이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이 들며, 인위적인 느낌을 받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Meanwhile, another prior application 10-2000-7005623 (retaining wall block; international application on October 8, 1999) has devised a separate concrete block to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Edo is also reinforcement in the vertical connection of the concrete block, but because the concrete block is no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vegetation trans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does not fit with the natural landscape, there is a sense of heterogeneity, artificial feel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옹벽축조시 옹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 사용되는 포대들을 링크판을 이용하여 상하 및 좌우로 연결하여 상호 마찰력에 의한 힘을 받아서 옹벽이 완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링크형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 및 곡선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축조된 옹벽을 구성하는 포대들 사이의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6면체 포대의 링크판 연결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기구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와 하부의 포대 간에 마찰력과 결속력을 증가시켜주기 위한 요철부와 다수의 공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connection mechanism of a hexagonal bag that can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etaining wall dur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gs used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bag containing the earth and sand can be connec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using the link plate so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firmly constructed by the mutual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nect using a linkage linkage, so that the hexahedral bag can be used to build the retaining wall in a straight line and curve, and to increase the connection strength and cohesion between the bags forming the constructed retaining wa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plurality of voids and irregularities for increasing friction and bi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bag and the lower bag forming the retaining wall 6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nection mechanism for the facet ba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사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육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의 결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에 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인 요철부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인 링크형 유닛의 평면도이고,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qua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which is a form of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of a geogrid connecting ring which is a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Part of the embodiment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geogrid connection ring, Figure 7 is a state diagram for the use of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pi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in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n uneven part which is a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or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a link-type unit, and Figure 12 is a plan view of Triangle ringkeupan connect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lan view of Triangle ringkeupan connecting mechanism of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6면체 포대의 링크판형 연결기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식생백(즉, 포대에 토사뿐만 아니라 씨앗종자를 함께 넣어서 씨앗종자의 발아가 가능한 포대)을 본 발명인 링크판형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옹벽이 조성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내부에서 씨앗이 발아되며,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하여 녹화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이 보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옹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포대의 연결기구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plate-type coupling mechanism of a tetrahedron bag, in particular, by connecting the vegetation bag (that is, a bag capable of germinating seed seeds by putting together seed seeds together in a bag) using the link plate coupl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the seeds germinate from time to time, and the outside can be greened through the installation work to create a variety of vegetation landscapes so that the aesthetics can provide a more natural and beautiful retaining wall. It is about the connecting mechanism of the turret.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대는 종래의 포대와 달리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를 사용함으로서 포대와 포대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하여 포대가 가지는 옹 벽의 지지력을 강화한다. 본 6면체 형태를 가지는 포대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7에 간접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대 또는 식생백은 일반포대와 같은 동일한 소재(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인 토목섬유로 제조되여 그 형태가 상기와 같이 6면체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특징이다.The turr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turret and the turret by using a turret having a hexahedral form unlike the conventional turret and thereby strengthens the retaining wall of the turret. The turret with this hexahedral shape is not shown in detail but is indirectly shown in FIG. 7. The bag or vegetation bag is made of geosynthetic fiber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a general bag (generally polypropylene), and its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exagonal shape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상인 연결기구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연결기구는 도 1, 도 2,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극을 갖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생백들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옹벽의 견고성을 높이고, 다양한 각도로 식생백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기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직선 및 곡선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구의 서로 다른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a square, a hexagon, and the like, as shown in Figures 1, 2, 3 and 4, can be configured in any shape having a void, the friction force of the vegetation bag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f various types because the vegetation bag can be connected at various angles by maximizing the retaining wall and maximize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In some cases, the connecting mechanism can be connected continuously to form straight lines and curves. have.
Hereinafter, different examples of the coup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를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 구멍(10a)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삼각링크 연결기구(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요철부(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와 연결할 수 있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도 포함하고 있다.1 and 2 illustrate one embodiment.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it has a through hole (10a) in the center as shown, and has an uneven portion 11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riangular link connecting mechanism 10, respectively. It also includes a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to be connected to the geogrid 40 used i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상기 곤통 구멍(10a)이 형성되는 이유는 본 삼각링크 연결기구(10)의 상부 포대(1)와 하부 포대(1)가 상호 접할 수 있도록 하여 포대끼리의 마찰력과 결속력을 최대로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삼각링크 연결기구(10)의 내부의 형성된 관통 구멍((10a)은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삼각형상의 관통 구멍(10a)은 하나로 만들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연결기구들의 크기만 조절될 뿐 연결기구의 특성을 갖는 것과는 거의 무관하다고 볼 수 있다. (사각링크 연결기구와 육각링크 연결기구도 마찬가지이다.)The reason why the tube hole 10a is formed is to allow the upper bag 1 and the lower bag 1 of the triangular link connecting device 10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ximize the friction and binding force between the bags.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 hole (10a)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triangular link connecting mechanism (10a) forms a triangle, this triangular through hole (10a) may be used as one, it is only adjustable in the size of the connecting mechanism It can be said that it is almost ir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mechanism (as well as the square link coupling and the hexagonal link coupling).

또한 상기 요철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포대가 앞으로 쏠리는 힘을 덜 받도록 하여 옹벽이 더욱더 견고하게 축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요철부(11)가 형성 방향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이유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11)는 상기 삼각형태의 연결기구(10)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 측에도 형성되어 상부의 포대(1)와 하부의 포대(1) 간에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cave-convex portion 11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bag receives less force forward, so that the retaining wall is more firmly constructed. Howev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uneven portion 11 is not limited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1 for the same reason as above. The uneven portion 11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as well as the upper side of the triangular coupling mechanism 10 is formed to maximiz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upper bag (1) and the lower bag (1).

상기 요철부(11)는 상부 마찰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도 10과 같이 단부에 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even portion 11 is preferably to form a valley at the end as shown in Figure 10 in order to maximize the upper friction force.

한편, 도 2에 상세히 도시되며, 단면이 화살촉 모양을 가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는 일반적으로 연결기구에 함께 형성된다. 즉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와 결합하여 지오그리드(40)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간의 결합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서 고정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한다.On the other hand, shown in detail in Figure 2, the geogrid connecting portion fixing portion 16 having an arrowhead cross section is generally formed together in the connection mechanism. 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geogrid 40 is not necessary, even if the geogrid connecting portion 16 is forme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is not used, an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is necessary. ) Is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geogrid 40 by combining with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The coupling between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an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art 16 is shown in FIG. 6, and in this embodiment,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art 16 is inserted into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Take a way to fix it.

또한, 도 1을 살펴보면 링크판 연결부(1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확장시키고 싶은 경우에 다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판 연결부(12)는 원형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연결핀(14)을 통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링크형 유닛(50)을 중간에 연결하여 연결핀(14)으로 고정함으로서 다양한 각도와 형태의 연결도 가능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 includes a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12, which is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in the case that you want to extend by connecting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continuous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12 is formed in a circular hole shape, and is connected in a manner of connecting through the connecting pin 14 shown in FIGS. 8 and 9 or the link-type unit 50 shown in FIG. ) Is connected to the middle by fixing with a connecting pin 14,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variety of angles and forms.

상기 연결핀(14)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둥근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통의 중앙부분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기구들을 연결시켰을 때 빠지지 않게 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핀(14)은 기존에도 존재하던 형태로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것이 외에도 가능하다. 링크판 연결부(12)와 연결핀(14)의 존재로 연결기구가 연속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다수의 연결로서 옹벽조성 구간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일체형의 연결기구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옹벽이 전체적으로 힘을 분산시키면서 다양한 각도와 형태로 축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onnecting pin 14 has a rounded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 portion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cylinder is formed so as not to fall out when the connecting mechanisms are connected. The connecting pin 14 as shown is possible in addition to having a shape as shown necessarily in the existing form. Due to the presence of the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connecting pin 14,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continuity, and even if the length of the retaining wall forming section is long as a plurality of connection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use an integral connecting mechanism as a whole. Retaining walls can be constructed at various angles and shapes, distributing forces throughout.

상기에서는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사각링크판 연결기구(20)에 대해서 살펴본다.In the above,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has been described, and the square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2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링크판 연결기구(20)는 연결기구에 형성된 관통 구멍(10a)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각 형상의 관통구멍(10a)이 존재하는 이유는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에 대해서 설명할 때 했던 이유와 동일하며,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와 동일하게 요철부(11)와 링크판 연결부(12), 그리고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가진다.As shown in FIG. 3, the rect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20 has a through hole 10a formed in the connecting mechanism in a quadrangular shape. The reason that the rectangular through-hole 10a exists is the same as the reason why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is described, and the uneven portion 11 and the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are the same as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12, and geogrid linkage fixing portion 16.

상기의 요철부(11)의 구성 또한, 상기한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과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요철부(11)의 형성된 방향이 수평이 아닌 요철부(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수평이 아닌 형태로 되어 있어도 무관하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힘을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링크판 연결부(12) 및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에 대한 내용은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에 대한 내용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사각링크판 연결기구에서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에 결합시켜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ncave-convex portion 11 also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As shown in FIG. 3,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cave-convex portion 11 is formed is not horizontal. 11) may be formed. This not only shows that it is irrelevant even in a non-horizontal form, but also has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In the rectangular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may be coupled to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art 16 to be connected to the geogrid 40.

도 4에 도시된 육각링크판 연결기구(30)를 살펴보면, 본 육각링크판 연결기구(30)의 중앙부에는 형성된 관통 구멍(10a)은 육각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육각형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0a)은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1)와 링크판 연결부(12) 및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를 가지며, 이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육각링크판 연결기구도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를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와 연결하여 지오그리드(4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Looking at the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30 shown in Figure 4, the through hole (10a)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30 is formed in a hexagon, the through-hole (10a) formed in this way the hexagon is It has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In addition, as shown, there is a concave-convex portion 11, a link plate connecting portion 12 and a geogrid connecting portion fixing portion 16,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also has a geogrid connecting ring (15) It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eogrid 40 by connecting to the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가 실질적으로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뒷부분에 지오그리드(40)가 연결된 것이 도 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링크판 연결기구를 사용함으로서 포대와 포대 간에 강력한 마찰력과 결속력을 부여하며, 지오그리드와의 연결을 통하여 옹벽의 견고성을 최대화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10 is used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t is illustrated that the geogrid 40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ong friction force and binding force between the bag and the bag by using the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figured to maximize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geogrid.

도 12와 도 13은 또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의 평면도로 기능과 형상은 지오그리드 연결고리가 판의 뒷부분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할 뿐으로 도 1에 도시된 삼각링크판 연결기구과 거의 같으며, 상기의 지오그리드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는 지오그리드(40)가 연결되는 단에만 설치하고, 지오그리드(40)가 연결되지 않는 단에는 상기 지오그리드 연결고리가 형성되지 않은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를 설치하면 된다.12 and 13 are plan views of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and shape of the triangular link shown in FIG. 1 are merely different from that the geogrid connecting ring is fixed to the back of the plate.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and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10 in which the geogrid connecting ring is integrally installed is installed only at the end where the geogrid 40 is connected, an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is at the end where the geogrid 40 is not connected. 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10 is not formed.

상기 삼각링크판 연결기구(10), 사각링크판 연결기구(20), 육각링크판 연결기구(30) 및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 연결핀(14), 링크형 유닛(50) 등의 재질은 옹벽의 지지를 위해 썩지 않으며 일정한 인장강도를 가져야 되므로 일반적으로는 플라스틱(폴리머) 또는 보강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보강 목재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iangular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10, the square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20, the hexagonal link plate connection mechanism 30 and the geogrid connecting ring 15,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connecting pin 14, link type unit Material such as (50) does not rot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and should have a constant tensile strength, so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use plastic (polymer) or reinforced plastic or metal or plastic reinforced wood.

토사가 들어간 포대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 간에 마찰력과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기구로서,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기구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와 하부의 포대 간에 마찰력과 결속력을 증가시켜주기 위한 공극과 요철부를 가지도록 형성하였고, 상기 링크판 연결기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직선 및 곡선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각도로 포대들을 연결 할 수 있어 연결강도와 결속력을 증대시킬수 있으며, 포대와 링크 연결기구의 마찰력과 결속력에 의한 힘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이 종래의 옹벽보다 더욱더 견고하고 급경사로 축조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축조된 옹벽의 포대가 식생기반이 되어 내부에 씨앗을 넣어 발아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를 취부작업등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여 하여 다양한 식생 경관을 조성할 수 있어 축조된 옹벽이 보다 수려하며 친환경적인 미관을 가지게 된다.
A connecting mechanism formed to increase friction and binding force between the bags used to build the retaining wall by using a bag containing earth and sand, wherein the bag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nd the connecting device is an upper bag forming a retaining wall. It is formed to have voids and uneven parts to increase friction and binding force between the and the lower bag. If the link plate connecting mechanism is continuously connected, the bags can be connected at various angles including straight lines and curves. And retaining wall can be built more firmly and steeply than conventional retaining wall. Not only allows seeds to germinate inside, but also Eopdeung the wonderful retaining wall more recording is possible by th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ety of vegetation and landscapes through is to have a greener appearance.

Claims (10)

토사가 들어간 포대(1)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포대 간에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기구에 있어서, In the connecting mechanism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bags used to build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bag (1) containing the earth and sand, 상기 포대는 6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The bag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상기 연결기구(10)는 옹벽을 형성하는 상부의 포대(1)와 하부의 포대(1) 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주기 위한 요철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10a)이 형성되어 상부의 포대와 하부의 포대가 상호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다른 연결기구(10)나 별도의 링크형 유닛(50)과 연결되어 옹벽이 다양한 형태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connecting mechanism 10 has an uneven portion 11 for increasing friction between the upper bag 1 and the lower bag 1 forming the retaining wall, and a through hole 10a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upper bag and the lower bag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dge is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ing mechanism 10 or a separate link-type unit 50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formed to enable various forms and angle adjustment ( 12) is a connecting mechanism of the hexahedron ba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기구(10)에는 옹벽축조시 상기 연결기구(10)와 지오그리드(4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 지오그리드 연결고리 고정부(16)와 ; 지오그리드 연결고리(15, 6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connecting mechanism 10 is a geogrid connecting ring fixing portion 16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mechanism 10 and the geogrid 40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Geogrid connecting mechanism (15, 6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of the hexagonal ba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연결부(12)는 상기 연결기구(1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이며, 상기 연결부(12)에 원통형의 연결핀(14)를 삽입 설치하여 상하 연결기구(1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connecting portion 12 is a hole formed by penetrating the connecting mechanism 10 up and down,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chanism 10 is connected by inserting a cylindrical connecting pin 14 into the connecting portion 12. Linkage of hexagonal ba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요철부(11)는 상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concave-convex portion 11 is a connection mechanism of the hexahedron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is formed to increase the upper friction fo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 구멍(10a)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through-hole 10a is a connecting mechanism of the hexahedron ba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관통 구멍(10a)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through hole (10a) is a connection mechanism of the hexahedron ba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관통 구멍(10a)은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The through hole (10a) is a connection mechanism of the hexahedral ba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hexagonal shape.
KR1020040031773A 2004-05-06 2004-05-06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KR100736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3A KR100736832B1 (en) 2004-05-06 2004-05-06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3A KR100736832B1 (en) 2004-05-06 2004-05-06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48A KR20050106748A (en) 2005-11-11
KR100736832B1 true KR100736832B1 (en) 2007-07-10

Family

ID=3728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73A KR100736832B1 (en) 2004-05-06 2004-05-06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10168909A (en)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Wall surface protection unit
KR20000071265A (en)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20010073504A (en)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Sand-B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832A (en) * 1976-05-07 1976-11-2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Device for changing over power transfer switch of loading tap switching unit for tapped transformer
JPH10168909A (en) 1996-12-13 1998-06-23 Kensetsu Kikaku Consultant:Kk Wall surface protection unit
KR20000071265A (en) * 1999-04-08 2000-11-25 훈 에스. 김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Wall-building Units
KR20010073504A (en) * 2000-01-17 2001-08-01 유근무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Sand-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48A (en)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175B2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200402396Y1 (en) retaining wall block for planting
KR100736832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KR102194293B1 (en) Breast wall structure
KR100758601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KR200307195Y1 (en) Retaining wall block having self-supported structure
KR102485557B1 (en) Breast wall structure
CN110306588B (en) Panel module uni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200442424Y1 (en) The block for a breast wall with grass growing structure
WO2006112579A1 (en) Revetment block for preventing evacuation of sedi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3682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KR20020090781A (en) The Landscape Block With Receiving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Within Retaining Wall
KR100999185B1 (en)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by
KR100645600B1 (en) Construction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ed by the construction block
KR100736839B1 (en) Method of building a breast wall using a hexahedron burlap bag
KR10073683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with inverted T-shape
KR100497796B1 (en) Bar type gri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block retaining wall used it
KR101434594B1 (en)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2484636B1 (en) Retain wall structure
KR200369484Y1 (en) block for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KR200339465Y1 (en) A system construction block for vegetation
KR101070304B1 (en)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20140094376A (en)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