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90B1 -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90B1
KR100736490B1 KR1020000076633A KR20000076633A KR100736490B1 KR 100736490 B1 KR100736490 B1 KR 100736490B1 KR 1020000076633 A KR1020000076633 A KR 1020000076633A KR 20000076633 A KR20000076633 A KR 20000076633A KR 100736490 B1 KR100736490 B1 KR 10073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438A (ko
Inventor
안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4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인 지를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된 발신자 영상을 선택적으로 검색 독출하는 2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발신자 영상을,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현재 부재 중인 경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지정 또는 전송하는 발신자 영상과, 발신자 전화번호, 그리고 부재 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등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수신 측 이동단말기를 휴대한 가입자는, 부재 중 수신된 전화 발신자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전화 발신자는 부재 중 자신이 전화를 하였음을 수신자에게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 부재 중 전화, 발신자 영상,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aller image through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에 저장 관리되는 가입자 정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화면 표시되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해 화면 표시되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k : 이동통신단말기 111∼11m : 기지국
12 : 기지국 제어기 13 : 이동교환기
14 : 홈위치 등록기 15 :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 중 전화를 발신한 발신자의 영상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 표시 화면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통화자간에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를 음성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가장 보편화된 통신수단으로서,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기와, 이동전화망, 예를 들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전화망을 이용하는 이동전화기로 구분되는 데, 상기 이동전화기는, 가입자가 이동 도중에도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 즉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for the 2000s) 또는 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으로 통칭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이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데. 상기 차세대 이동통신망은,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파일들을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 패킷(Packet) 전송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또한 고속의 데이터 전송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 예를 들 어, 1,885MHz∼2,110MHz 또는 2,110MHz∼2,2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망에서는 통상적인 음성 통화서비스 제공은 물론, 대용량의 영상 또는 텍스트 등과 같은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 패킷 방식으로 이용하여,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현재 부재 중인 경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지정한 발신자 영상이,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부재 중 전화를 발신한 발신자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은,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인 지를 판별하는 1단계; 상 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된 발신자 영상을 선택적으로 검색 독출하는 2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발신자 영상을,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은,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인 지를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이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 영상을 수신하는 2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영상과, 부재 중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은,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인 지를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부재 중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발신자 영상을 확인 선택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2단계; 및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자 영상 확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된 발신자 영상을 검색 독출하여,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망(100)에는,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101∼10k)가 위치한 통신지역에서의 무선 중계기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지국(111∼11m); 상기 기지국들과 통신회선을 통해 연결 접속되어, 기지국에서의 중계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2);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 접속되어 호를 처리 및 교환하는 이동교환기(13); 상기 이동교환기(13)와 연결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홈 위치 등록기(14); 그리고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101∼10k)들에 대한 발신자 영상 및 가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부재 중인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에서 발신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발신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가 포함 구성되는 데,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는 상기 이동교환기(13)와 일체로 포함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가서비스 노드(Node)로 연결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가입자 정보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일련번호(ESN); 이동통신단말기에 할당된 전화번호(Phone_Number); 및 가입자에 의해 선택 저장되는 가입자 얼굴 영상과 같은 가입 영상(Video_Entry); 그리고 부재 중 전화 도착 안내 메시지 와 함께 가입 영상, 즉 발신자 영상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플래그가 포함 저장되며, 상기 전송 플래그의 값은, 해당 가입자에 의해 가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교환기(15)에서는,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의 가입자가 부재 중인 경우, 상기 전송 플래그 값을 확인한 후, 그 확인된 플래그 값에 따라, 호 접속을 요구한 발신 측 이동통신말기(101)의 가입자 영상을, 부재 중 전화 도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와 함께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발신자 영상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선택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로부터 호 교환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이에 해당되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를 페이징(Paging)하여, 호가 착신되었음 알리는 링(Ring) 신호 즉, 호 착신신호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로 전송하게 된다(S11).
이후,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훅 오프(Hook Off)되는 지를 확인하여(S12), 훅이 오프 되는 경우에는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와의 통화 호를 개설하는 일반적인 호 교환 및 호 처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3).
한편,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소정시간 이상 훅 오프되지 않는 경우(S14),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부재 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부재 중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 전송하게 되는 데(S15), 이때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의 가입자 정보, 즉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Phone_Number), 가입 영상(Video_Entry) 및 전송 플래그(Flag)가 포함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S16).
이후, 상기 검색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전송 플래그의 값이, 부재 중 전화 도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함께, 발신자 영상 및 전화번호를 전송 허용하는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게 되는 데(S17), 상기 확인결과, 발신자 영상 및 전화번호를 전송 불가로 지정하는 값인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영상을 제외한 발신자 전화번호와 부재 중 전화 도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전송 플래그 값이, 발신자 영상 및 전화번호를 전송 허용하는 값인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영상과 전화번호, 그리고 부재 중 전화 도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모두 전송하게 된다(S19).
이에 따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중 전화 도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발신자 전화번호, 그리고 발신자 영상이 액정 화면을 통해 표시되므로, 결국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한 가입 자는, 부재 중 수신된 전화 발신자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로부터 호 교환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이에 해당되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를 페이징(Paging)하여, 호가 착신되었음 알리는 링(Ring) 신호 즉, 호 착신신호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로 전송하게 되고, 이후,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훅 오프(Hook Off)되는 지를 확인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소정시간 이상 훅 오프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부재 중이라고 판별하게 된다(S21).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로 부재 중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발신자 영상을 요구하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전송하여(S22),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를 통해, 발신자의 영상을 요구 수신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에 발신자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발신자의 얼굴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소형 카메라가 구비되어, 발신자 자신의 얼굴을 촬영 전 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영상을,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 내에 저장하게 되고(S25),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재 중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발신자 영상 확인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의 선택 화면 버튼을 전송 표시하게 된다(S26).
이에 따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한 가입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중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문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발신자 영상 확인 버튼을 선택 클릭하여, 발신자 영상을 요청할 수 있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발신자 영상을 요청하게 되는 경우(S27), 상기 이동교환기(13)에서는,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15)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입자 정보로 저장 관리되는 발신자 영상과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므로(S28), 결국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중 도착된 전화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 영상이 액정 화면을 통해 표시되어,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한 가입자는, 부재 중 수신된 전화 발신자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는, 상기와 같이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1)로부터 발신자 영상이 전송 수신될 때까지, 부재 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의 전 송을 지연시키고, 상기 수신된 발신자 영상과, 발신자 전화번호, 그리고 부재 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10k)로 동시에 전송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내 문자 및 영상이 액정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한 가입자가, 부재 중 수신된 전화 발신자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은,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현재 부재 중인 경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지정 또는 전송하는 발신자 영상과, 발신자 전화번호, 그리고 부재 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등을,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수신 측 이동단말기를 휴대한 가입자는, 부재 중 수신된 전화 발신자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전화 발신자는 부재 중 자신이 전화를 하였음을 수신자에게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이동 교환기에서는,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통화 호가 개설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이라고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상기 호 접속을 요구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된 발신자 영상을, 발신자 영상 관리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독출하는 2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발신자 영상을,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ESN)와 연계 저장된 플래그 값을 확인한 후, 그 확인된 값이 발신자 영상을 전송 허용하는 값인 경우, 상기 발신자 영상을 검색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발신자 영상 관리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련번호(ESN)와 연계 저장된 플래그 값을 확인한 후, 그 확인된 값이 발신자 영상을 전송 허용하는 값이 아닌 경우, 상기 발신자 영상과 연계 저장된 발신자 전화번호만을 검색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5. 이동 교환기에서는,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통화 호가 개설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이라고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이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호 접속을 요구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 영상을 수신하는 2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영상과, 부재 중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6. 이동 교환기에서는, 호 접속 요구된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호 착신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통화 호가 개설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가 부재 중이라고 판별하는 1단계;
    상기 판별결과 부재 중인 경우, 부재 중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와, 발신자 영상을 확인 선택할 수 있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2단계; 및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자 영상 확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호 접속을 요구한 발신 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 저장된 발신자 영상을, 발신자 영상 관리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독출하여, 상기 수신 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00076633A 2000-12-14 2000-12-14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KR100736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33A KR100736490B1 (ko) 2000-12-14 2000-12-14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33A KR100736490B1 (ko) 2000-12-14 2000-12-14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38A KR20020046438A (ko) 2002-06-21
KR100736490B1 true KR100736490B1 (ko) 2007-07-06

Family

ID=2768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633A KR100736490B1 (ko) 2000-12-14 2000-12-14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4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397A (ko) * 1998-12-12 2000-07-05 이계철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영상이 저장 가능한 영상 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397A (ko) * 1998-12-12 2000-07-05 이계철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영상이 저장 가능한 영상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38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1574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 message service extension phones with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613470B2 (en) Repeat de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busy called parties
KR100259381B1 (ko) 소스전화와 음성통신을 설정하지 않고 소스 전화로써 음성채널을개방하는 셀룰러 전화 및 관련된 방법
EP1246489A1 (en) Method for automatic call forwarding when a mobile unit goes out of service
JPH08289027A (ja) 電話システム運用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85981A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KR100438454B1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전환에 의한 호 연결 방법
KR1004381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못한 호 정보 제공 방법
EP1708539B1 (en) Repeated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KR1003656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100725017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KR20040048751A (ko)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736490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발신자 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41495B1 (ko)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6319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all alerting
KR100749435B1 (ko)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KR10057672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번호 이동성 서비스 제공 방법
MXPA96006710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radio-localization, to provide call control
US20020165015A1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buffer system and method
KR100509155B1 (ko) Gsm/umts에서의 착신불가호에 대한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378585B1 (ko) 휴대단말기의 캐릭터비서 서비스 방법
JPH073367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394456B1 (ko) 발신종별 정보 제공 방법
KR100598580B1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