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24B1 - Switch - Google Patents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6424B1 KR100736424B1 KR1020057003959A KR20057003959A KR100736424B1 KR 100736424 B1 KR100736424 B1 KR 100736424B1 KR 1020057003959 A KR1020057003959 A KR 1020057003959A KR 20057003959 A KR20057003959 A KR 20057003959A KR 100736424 B1 KR100736424 B1 KR 100736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ase
- fixed terminal
- contact portion
- coil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the contact forming a part of a coil sp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5—Spring wir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위치는, 케이스(2)와, 일단은 케이스(2)의 바닥면(2c)에 노출되는 접촉부(3a)를 형성하고, 타단은 케이스(2) 외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단자(3)와, 일단은 케이스(2)의 측면(2d)에 노출되는 접촉부(4a)를 형성하고, 타단은 케이스(2) 외부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단자(4)와, 케이스(2)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은 제 1 고정단자(3)와 항상 접촉되는 고정접촉부(5b)를 형성하고, 타단은 다른 제 2 고정단자(4)와 접촉가능한 가동접촉부(5c)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코일 감긴 방향 및 압축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부(5a)로 이루어지는 접촉편(5)과, 일단은 케이스(2)내에 위치되어 접촉편(5)을 압축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작용부(6b)를 형성하고, 타단은 케이스(2) 외부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가압부(6a)를 형성하는 조작체(6)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접촉부, 고정단자, 고정접촉부, 코일스프링부, 가압부
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se 2 and a contact portion 3a, one end of which is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2c of the case 2, and the other end of which the first fixed terminal (3) is provided outside the case 2. 3), and one end thereof forms a contact portion 4a exposed to the side surface 2d of the case 2, and the other end thereof has a second fixed terminal 4 provided outside the case 2 and the case 2 inside. It is installed at the one end, and forms a fixed contact portion 5b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terminal 3, the other end forms a movable contact portion 5c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econd fixed terminal 4, the middle portion A contact piece 5 composed of a coil spring portion 5a having elasticity in the coil winding direction and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an end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case 2 and capable of pressing the contact piece 5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 6b),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n operating body 6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case 2 and forms a pressing portion 6a which is pressed from the outside.
Switch, Contact, Fixed Terminal, Fixed Contact, Coil Spring, Pr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푸시식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장하는 코일스프링의 양단 각각이 접촉단자와 접촉 이탈 함으로써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도전성의 코일스프링을 내장하고, 박스 내면에 설치하는 접촉단자와 접촉 이탈 자유로운 접촉편으로서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공평 7-93074호 공보 기재의 『스위치』(종래 기술 1)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 1의 『스위치』는, 『(청구항 1)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고정단자를 평면 형상으로 심어 설치한 케이스와, 스프링성을 갖고 도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선단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부러진 접촉부를 갖는 가동단과 대략 직선 형상이고 선단에 접촉부를 갖는 고정단을 갖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접촉편과, 성형부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봉 형상이고 일단에 ㄷ자 형상 홈을 갖고, 이 ㄷ자 형상의 홈을 상기 접촉편의 가동단에 걸쳐지게 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고 조작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접촉편의 코일부를 상기 케이스로 협지하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이다. As a switch incorporating a conductive coil spring and turning on / off as a contact terminal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x and a contact-free contact piece, for example, "Switch"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93074 (Prior Art 1). There was. In addition, the "switch" of the
종래 기술 1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1)내의 바닥면에 고정단자(112, 113)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111)내에는, 스프링성을 갖고 도전부재로 이루어지고, 코일스프링 형상의 스프링부(114e)의 일단을 U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선단은 또한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부러진 접촉부(114c)를 갖는 가동단(114b)을 형성하고, 타단이 대략 직선 형상이고 선단에 상기 고정 단자(113)와 접촉하는 접촉부(114d)를 갖는 고정단(114a)을 형성하는 접촉편(114)을 설치한다. In the
조작체(115)는 대략 봉 형상이고 일단에 ㄷ자 형상의 홈(115a)을 갖고, 이 홈(115a)을 상기 접촉편(114)의 가동단(114c)에 걸치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접촉부(114c)와 상기 고정단자(113)를 접촉 이탈시킨다. The
커버(116)는 케이스(111) 상부내에 접촉편(114)을 내포시키는 덮개이다. 커버(116)는 조작체(11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멍(116a)을 갖고, 또한 상기 케이스(111)와 결합하여, 케이스(111)의 U자 홈(111a)과 함께 접촉편(114)의 코일부(114e)를 협지(狹持)하는 돌기부(116b)를 갖는다. The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 기술 1은, 조작체(115)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접촉편(11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가동단(114b)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가동단(114b)은, 접촉단자(112)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114d)를 지지점으로 스프링부(114e)가 코일스프링의 감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스프링력과 가동단(114b)의 만곡에 의해 이동한다. 접촉부(114c)는 가동단(114b)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5중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단자(113)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단자(113)와 접촉하여, 고정단자(112)와 고정단자(113)가 도통 상태가 된다. The
또, 조작체(115)의 가압을 종료함으로써 접촉편(114)이 자신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접촉부(114c)가 고정단자(113)로부터 이탈하여 고정단자(112)와 고정단자(113)가 절연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그러나, 종래 기술 1의 스위치에서는, 조작체(115)를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접촉편(114)의 고정단(114a) 및 가동단(114b)을 고정단자(112) 및 고정단자(113)와 접촉시키는데, 하방으로의 이동에 저항하는 조작압과, 접촉단자(112)와 고정단(114a)과의 접촉 및 접촉단자(113)와 가동단(114b)과의 접촉에 요하는 접촉압은, 접촉편(114)의 스프링부(114e)의 감긴 방향으로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에 따르고 있었다. However, in the switch of the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의 감긴 방향으로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은, 그 비틀림량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접촉편과 고정단자의 접촉압을 설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twisting of the coil spring in the wound direction is changed by the amount of twist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piece and the fixed terminal at the set value.
특히, CD 플레이어나 컴퓨터의 CD 트레이 등의 위치를 검출하는 등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위치검출용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푸시 스위치를 가압하는데 사용하는 조작력은 0이고, 또한, 접촉편과 고정단자와의 접촉압은 설정값인 것이 이상적이지만, 종래예에서는, 푸시 스위치를 가압하는 조작력을 작게 하면 접촉편과 고정단자와의 접촉압도 작아지므로, 설정한 접촉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조작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다는 문제점을 가졌다. 즉, 조작력을 작게 하면, 접촉압도 작아지고, 접촉편과 고정단자와의 접촉 개시위치에서의 접촉압과, 접촉후 접촉편이 더욱 이동된 시점에서의 접촉압이 달라지고, 접촉 개시위치에서의 접촉저항이 커, 도통이라고 판단되는 위치에 오차를 발생하여, 검출위치의 정밀도가 나빠진다는 문제점을 가졌다. In particular, in the push switch for position detection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detecting the position of a CD player or a CD tray of a computer, the operating force used to press the push switch is 0, and the contact piece and the fixed terminal Ideally, the contact pressure of is ideally a set valu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operating force for pressing the push switch is reduce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contact piece and the fixed terminal is also reduced. I had a problem saying no.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ng force is reduced, the contact pressure is also decreased, the contact pressure at the contact start position between the contact piece and the fixed terminal and the contact pressure at the time when the contact piece is moved further after contact are different, and the contact is at the contact start position. It had a problem that resistance was large and an error occurred in the position judged as conduction, and the precision of a detection position worsens.
더욱이 또, 조작체에 의한 접촉편의 조작방향이, 접촉편을 코일스프링의 감긴 방향으로 변형시키므로, 스위치의 조작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piece by the operating body deforms the contact piece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it was difficult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witch.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감안하여, 접촉편의 위치에 의한 접촉압의 변화가 적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view of thes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with a small change in contact pressure due to the position of a contact piece.
본 발명의 스위치는, 박스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와, 일단은 케이스 내면에 노출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케이스 외부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단자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은 고정단자와 항상 접촉되는 고정접촉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다른 고정단자와 접촉가능한 가동접촉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코일 감긴 방향 및 압축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편과, 일단은 케이스내에 위치되고, 접촉편을 압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작용부를 형성하고, 타단은 케이스 외부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조작체로 이루어진다. 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x-shaped case, one end of which contacts are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a pair of fixed terminals which are located outside the case,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erminal A contact piece which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other end, the other end of which forms a movable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other fixed terminal, the middle part of which is made of a coil spring having elasticity in the coil winding direction and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 the case And an operating part capable of pressing the contact piece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outside the case, and constitutes an operation body for forming a pressing part press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케이스내에 설치된 접촉편은, 일단인 고정접촉부가 고정단자와 항상 접속되어 있고, 타단인 가동접촉부는 케이스 내벽에 코일스프링의 비틀림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내벽에 밀어붙여져 접촉되고, 다른 고정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는데, 통상 상태에서는 접촉되지 않는다. The contact piece provided in the case is alway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portion at one end of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at the other end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ase by the elastic force in the twist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and the other fixed terminal is contacted. It is located in contact with, but not in normal state.
이 상태에서, 조작체의 가압부가 가압되면, 조작체는 케이스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렇게 하면 조작체의 작용부는 접촉편의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압축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pressing part of the operating body is pressed, the operating body is moved in the case inner direction. In doing so, the acting portion of the operating body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coil spring of the contact piece and compressed.
접촉편은, 조작체에 눌리고 가동접촉부가 코일스프링의 비틀림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내벽에 접촉하면서 이동되어, 다른 고정단자와 접촉된다. The contact piece is pressed by the operating body, and the movable contact part is mov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ase by the elastic force in the twist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fixed terminal.
스위치는, 접촉편의 고정접촉부와 가동접촉부가 각각 고정단자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단자 각각을 단락시켜서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되게 한다. The switch shorts each of the fixed terminals by bringing the fixed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piec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so that the switch is electrically connected.
조작체의 작용부에의 가압이 해제되면, 접촉편은 코일스프링의 압축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어, 초기의 위치로 돌아간다. 따라서, 조작체도 코일스프링의 압축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When the pressurization to the acting part of the operating body is released, the contact piece is elongat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operating body also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 도 2는 이것의 정면 설명도, 도 3은 이것의 우측면 설명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설명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설명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도 7은 동 평면 설명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1 is a pl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explanatory view thereof, FIG. 3 is a right side explanatory view thereof, FIG. 4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AA line of FIG. 1, FIG. 5. 1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the line BB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moved, FIG. 7 is a planar explanatory diagram,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explanatory draw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사시 설명도, 도 10은 이것의 정면 설명도, 도 11은 이것의 평면 설명도, 도 12는 이것의 우측면 설명도, 도 13은 도 11의 D-D선 단면 설명도, 도 14는 도 10의 E-E선 단면 설명도이다. FIG. 9 is a plan perspective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explanatory view thereof, FIG. 11 is a plan explanatory view thereof, FIG. 12 is a right side explanatory view thereof, FIG. 13 is FIG. 11 DD line cross section explanatory drawing of FIG. 14: is EE line cross section explanatory drawing of FIG.
도 15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rior art.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스위치이다. 스위치(1)는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위치검출용의 푸시 스위치이고, 예를 들면, 오디오나 컴퓨터용의 CD 드라이브 등에 가동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CD 트레이의 위치의 가동위치를 검출하는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스위치(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2a)와 케이스 본체(2a)의 개구를 피복하는 덮개(2b)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와, 케이스(2)내에서 케이스(2)의 바닥면(2c)에 접촉부(3a)가 노출되어 설치되는 제 1 고정단자(3)와, 케이스(2)내에서 케이스(2)의 측면에 접촉부(4a)가 노출되어 설치되는 제 2 고정단자(4)와, 중간부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스프링의 비틀림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2)내에서 측면(2d)과 접촉되는 접촉편(5)과, 접촉편(5)을 케이스(2) 외부로부터 가압할 수 있는 조작체(6)로 이루어진다. 1 is a switch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2a)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면(2a)의 단부에는 접촉편(5)의 위치 결정을 위한 돌기(2e)를 상면방향으로 돌출설치하고, 덮개(2b)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2b)에는, 덮개(2b)를 케이스 본체(2a)의 개구에 피복했을 때에, 돌기(2e)의 상부와는 다른 케이스 본체(2a)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조작체(6)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구멍(2f)을 뚫는다. In the
제 1 고정단자(3)는, 일단이 평면상의 접촉부(3a)를 형성하고, 타단이 접속단자(3b)를 형성한다. One end of the first
제 2 고정단자(4)는, 일단이 평면상의 접촉부(4a)를 형성하고, 타단이 접속 단자(4b)를 형성한다. One end of the second
그리고, 제 1 고정단자(3) 및 제 2 고정단자(4)는, 접속단자(3b) 및 접속단자(4b)가 케이스 본체(2a)의 외부에 돌출하고, 접촉부(3a)가 케이스 본체(2a) 내부의 바닥면(2c)에 노출되고, 또한, 접촉부(4a)가 케이스 본체(2a) 내부의 측면(2d)에 노출되도록, 케이스 본체(2a)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In the first
접촉편(5)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간부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보인 코일스프링부(5a)를 형성한다. 코일스프링부(5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의 감긴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동시에, 도면중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압축방향에도 탄성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코일스프링부(5a)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접촉편(5)의 일단은, 고정접촉부(5b)를 형성한다. 고정접촉부(5b)는 코일스프링부(5a)의 일단이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접촉편(5)의 타단은 가동접촉부(5c)를 형성한다. 가동접촉부(5c)는, 선단을 만곡부(5d)를 만들어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또한 만곡부(5d)로부터는 선단 직선부(5e)를 형성한다. The
조작체(6)는 덮개(2b)에 뚫어 설치한 구멍(2f)에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봉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덮개(2b)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케이스(2)의 외부에 위치하는 일단이 가압부(6a)를 형성하고, 케이스(2)내에 위치하는 타단이 작용부(6b)를 형성한다. 가압부(6a)는 위치검출의 대상이 되는, 예를 들면, CD 트레이 등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이다. 작용부(6b)는 그 선단에 ㄷ자 형상의 홈(6c)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체(6)는 작용부(6b)가 케이스(2)내에 위치하도록 덮개(2b)에 삽입한 상태에서, ㄷ자 형상의 홈(6c)에 가동접촉부(5c)의 선단 직선부(5e) 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The operating
그리고, 접촉편(5)은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접촉부(5b)를 바닥면(2c)측으로 하여 케이스(2)내에 돌출설치된 돌기(2e)가 코일스프링부(5a)의 중공부에 들어가는 위치에서, 고정접촉부(5b) 및 가동접촉부(5c)를 코일스프링부(5a)의 감는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2a)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접촉편(5)은 고정접촉부(5b)가 케이스(2)내의 바닥면(2c)에 설치한 제 1 고정단자(3)의 접촉부(3a)와 맞닿고, 가동접촉부(5c)가 케이스(2)내의 측면(2d)에 설치한 제 2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조작체(6)가 덮개(2b)의 구멍(2f)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ㄷ자 형상의 홈(6c)에 가동접촉부(5c)의 선단 직선부(5e)를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더욱 덮개(2b)를 케이스 본체(2a)의 개구측을 폐쇄하도록 부착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접촉부(5b)는, 이와 같이 덮개(2b)가 케이스 본체(2a)에 부착되므로, 조작체(6)와 바닥면(2c) 사이에서 압축방향(C)으로 압축되므로, 코일스프링부(5a)의 압축방향(C)의 탄성에 의해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가동접촉부(5c)도, 측면(2d)에 만든 접촉부(4a)의 상측에 위치하고, 코일스프링부(5a)의 감긴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측면(2d)에 밀어붙여진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스위치(1)는 회로기판 등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조작체(6)의 가압부(6a)가 가압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그렇게 하면, 조작체(6)는 덮개(2b)의 구멍(2f)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조 작체(6)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조작체(6)의 홈(6c)에 가동접촉부(5c)의 선단 직선부(5e)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접촉편(5)의 코일스프링부(5a)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압축 이동되는 동시에, 접촉편(5)으로의 작용점이 코일스프링부(5a)로부터 떨어진 선단 직선부(5e)이므로, 코일스프링부(5a)가 좌굴된다. 그리고, 가동접촉부(5c)의 만곡부(5d)는, 케이스 본체(2a)내의 측면(2d)에 접촉하면서 이동되고, 결국은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 접촉하고, 접촉편(5)이 제 1 고정단자(3) 및 제 2 고정단자(4)를 전기적으로 도통상태로 한다. 이때,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 가동접촉부(5c)의 만곡부(5d)의 접촉압은, 코일스프링부(5a) 감긴 방향의 탄성력에 의하므로, 조작체(6)로 가압 이동되는 것에 의한 접촉압의 변화는 대략 제로가 된다. In doing so, the operating
가압부(6a)의 가압이 해제되면, 조작체(6)는 스프링부(5a)의 화살표 C 방향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려지고, 가동접촉부(5c)의 만곡부(5d)도 각 도면중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 2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When the pressurizing
제 1 실시형태의 스위치(1)는 작동 방향이 코일스프링부(5a)의 감긴 방향이었지만, 이하에 작동 방향이 코일스프링부(5a)의 감긴 방향과 직각으로도 작동가능한 스위치(1)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9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In the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1)에서는, 덮개(2b)를 설치하지 않고 조작체(6)가 덮개(2b)를 겸한다. In the
즉 조작체(6)는 케이스 본체(2a)의 개구와 대략 동일 형상의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조작체(6)의 상면 단부에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산형상의 돌출부인 가압부(6a)를 형성한다. 또한, 조작체(6)의 가압부(6a)와는 반대측의 양측부에는, 가압부(6a)측을 요동할 수 있는 요동 중심이 되는 중심돌기(6d)를 돌출 설치한다. 그리고, 조작체(6)의 가압부(6a)와는 반대의 면에는, 케이스 본체(2a) 부착시에 스프링부(5a) 및 가동접촉부(5c)가 맞닿아지므로, 이 반대면이 작용부(6b)를 형성한다. In other words, the operating
또한, 조작체(6)가 걸어지는 케이스 본체(2a)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일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단자(3)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접촉부(3a) 및 접속단자(3b)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또한 제 2 고정단자(4)도 접촉부(4a) 및 접속단자(4b)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고정단자(3) 및 제 2 고정단자(4)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접속단자(3b) 및 접속단자(4b)가 케이스 본체(2a)의 외부에 돌출하고, 접촉부(3a)가 케이스 본체(2a) 내부의 바닥면(2c)에 노출되고, 또한, 접촉부(4a)가 케이스 본체(2a) 내부의 측면(2d)에 노출되도록, 케이스 본체(2a)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In addition, the case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일체로 정형되는 케이스 본체(2a)는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바닥면(2c)에 돌기(2e)를 돌출시킨 측의 양측면(2d, 2g) 상부에 조작체(6)의 중심돌기(6d)를 삽입 통과할 수 있는 부착 구멍(2h)를 뚫어 형성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2a)는 부착 구멍(2h)을 설치하는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Thu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더욱이 또, 접촉부(4a)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일스프링부(5a), 고정접촉부(5b), 가동접촉부(5c), 만곡부(5d), 및, 선단 직선부(5e)를 설치하여 형성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1)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케이스 본체(2a)내에 접촉편(5)을 설치한 상태에서 조작체(6)의 중심돌기(6d)를 케이스 본체(2a)의 부착 구멍(2h)에 삽입하고, 조작체(6)를 요동 자유롭게 케이스 본체(2a)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접촉편(5)은 화살표 C방향으로는 압축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에서, 또한, 코일스프링부(5a)의 감긴 방향에는 탄성력으로 이렇게 해서 변형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2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촉편(5)의 가동접촉부(5c)에 설치한 만곡부(5d)는 케이스 본체(2a)의 측면(2d)에 가압된 상태이다. 그리고, 조작체(6)는 접촉편(5)의 코일스프링부(5a) 및 가동접촉부(5c)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2a)의 상부에 가압부(6a)를 돌출시킨 상태이다. And the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2 실시형태의 스위치(1)는, 조작체(6)의 가압부(6a)가 가압되면, 조작체(6)가 중심돌기(6d)를 중심으로 케이스 본체(2a)의 바닥면(2c)측으로 요동된다. 그렇게 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케이스 본체(2a)내에서, 접촉편(5)의 가동접촉부(5c)가 측면(2d)을 따라 바닥면(2c)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부(5a)가 약간 좌굴하면서 바닥면(2c)측으로 압축되고, 결국은, 가동접촉부(5c)의 만곡부(5d)가 케이스 본체(2a)의 측면(2d)에 설치한 제 2 고정단자(4)의 접촉부(4a)와 접촉하여, 접촉편(5)이 제 1 고정단자(3) 및 제 2 고정단자(4)를 전기적으로 도통상태로 한다. 가압부(6a)의 가압이 해제되면, 조작체(6)는 스프링부(5a)의 화살표 C 방향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려지고, 가동접촉부(5c)의 만곡부(5d)도 각 도면중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 2 고정단자(4)의 접촉부 (4a)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As for the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체(6)를 요동 자유롭게 설치하여 작용부(6b)가 코일스프링부(5a) 및 가동접촉부(5c)를 압축 이동시키므로, 스위치(1)의 작동은, 스위치(1) 상방으로부터 바닥면(2c) 방향, 즉 코일스프링부(5a)의 압축방향의 가압력에 의하거나, 또, 스위치(1)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 즉 조작체(6)의 가압부(6a)의 사면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의 가압력이라도 좋다. 그리고, 스위치(1)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의 가압력에 의한 동작의 경우에는, 가압부(6a)의 사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의 일부가 바닥면(2c)측에 조작체(6)를 요동시키는 요동력으로 변환되어, 코일스프링부(5a)를 압축하는 방향의 압력으로 된다.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operating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조작체(6)는 접촉편(5)을 케이스 본체(2a)의 바닥면(2c)방향으로 압축하지 않고 부착했는데, 조작체(6)를 케이스 본체(2a)에 부착했을 때에, 작용부(6b)측의 케이스 본체(2a) 상방으로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걸음 오목부 및 걸음 볼록부를 작용부(6b)측의 조작체(6) 및 케이스 본체(a) 상부에 설치하고, 접촉편(5)의 코일스프링부(5a)를 바닥면(2c)방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2a)에 조작체(6)를 부착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동작시에 코일스프링부의 감긴 방향의 변형이 거의 없으므로, 접촉편이 고정단자와 접촉했을 때의 접촉압이, 조작체의 이동변화량에 관계되지 않고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접촉편이 고정단자를 도통상태로 하는 접촉 개시위치에서의 접촉압과, 접촉후 접촉편이 더 이동된 시점에서의 접촉압이 상이하여 발생하는 도통상태를 판단하는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검출위치의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most no deforma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part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contact pressure when the contact piece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is not related to the amount of change in movement of the operating body. Approximately constant. Therefore, an error does not occur at a position for judging the conduction state caused by a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 pressure at the contact starting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piece makes the fixed terminal conduction and the contact pressure at the time when the contact piece is moved further after contact.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position can be improved.
또, 접촉편을 코일의 직경방향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동작 가능하므로, 코일스프링부의 코일 직경방향과 접촉편의 스위칭 동작 방향이 다른 방향이 되도록 접촉편을 설치할 수 있어, 스위칭 동작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contact piece can be operated without changi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il, the contact piece can be provided so that the coil radial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portion and the switch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piece are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switching operation direction can be reduced. hav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03959A KR100736424B1 (en) | 2005-03-08 | 2003-02-25 | Swi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03959A KR100736424B1 (en) | 2005-03-08 | 2003-02-25 | Switc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4327A KR20050104327A (en) | 2005-11-02 |
KR100736424B1 true KR100736424B1 (en) | 2007-07-09 |
Family
ID=3728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3959A KR100736424B1 (en) | 2005-03-08 | 2003-02-25 | Swi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642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5436U (en) | 1983-08-18 | 1985-03-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
JPS6035435U (en) | 1983-08-18 | 1985-03-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
JPH0449432U (en) * | 1990-08-31 | 1992-04-27 |
-
2003
- 2003-02-25 KR KR1020057003959A patent/KR10073642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5436U (en) | 1983-08-18 | 1985-03-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
JPS6035435U (en) | 1983-08-18 | 1985-03-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
JPH0449432U (en) * | 1990-08-31 | 1992-04-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4327A (en) | 2005-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90208B1 (en) |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 |
US6875033B2 (en) | Card connector | |
JPH0258188A (en) | Ic card reader | |
US20090032381A1 (en) | Switch with electrical member supported in elastic folded contact | |
KR100736424B1 (en) | Switch | |
JP2002184262A (en) | Switch device | |
CN111199838B (en) | Conduction switching mechanism | |
JP3821964B2 (en) | IC socket | |
JP3753638B2 (en) | switch | |
US6350137B1 (en) | IC socket and contact pins for IC socket | |
EP1598843B1 (en) | Switch | |
CN209747739U (en) | Structure of pressing resilient terminal stand | |
KR100549028B1 (en) | Switch device | |
KR100394337B1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JP4018056B2 (en) | Circuit breaker terminal structure | |
US7615717B2 (en) | Switch | |
KR100551920B1 (en) | Slide type electric component | |
JP4649393B2 (en) | Horizontal push type 2-stage operation switch | |
EP0901138A2 (en) | Slide switch | |
KR200154988Y1 (en) | Multi-purpose push button | |
JP3043045U (en) | Foot switch | |
JPS5887715A (en) | Pushbutton switch | |
US4426557A (en) | Switch housing structure for connection to switch terminal board | |
JP2565581Y2 (en) | Switch device | |
JP4457097B2 (en) | Side push type push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