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210B1 -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 Google Patents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210B1
KR100736210B1 KR20050100893A KR20050100893A KR100736210B1 KR 100736210 B1 KR100736210 B1 KR 100736210B1 KR 20050100893 A KR20050100893 A KR 20050100893A KR 20050100893 A KR20050100893 A KR 20050100893A KR 100736210 B1 KR100736210 B1 KR 10073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character
appearance
messag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690A (ko
Inventor
이동헌
이상우
송세혁
Original Assignee
(주)폴리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다임 filed Critical (주)폴리다임
Priority to KR2005010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2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21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여줄 때 기존의 줄 바꿈에 의한 획일적인 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장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 단조로움으로 인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막아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켜 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SMS 센터, MMS 센터, MMS 수신 단말기, 단문 메시지, 메시지 본문 외형 변환

Description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SHORT MESSAGE DECORATION METHOD BY OUTLINE TRANSFORM}
도 1은 기존의 첫 번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기존의 두 번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3은 기존 세 번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단문 메시지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의 외형 변환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의 외형 변환과정을 보여주는 참조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문 메시지의 다양한 외형 변환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캐릭터 깨어짐 여부의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여줄 때 기존의 줄 바꿈에 의한 획일적인 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 단조로움으로 인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막아주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자 메시지는 이동통신 데이터 통신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WAP 데이터 시장과 비교할 때 이에 대한 부가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현재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의 대표적인 부가서비스로는 기상, 스포츠, 주식 등의 정보 제공 서비스, 인터넷 웹을 기본으로 하는 웹투폰 서비스에서 장식된 전체 메시지의 구매 및 전송과 일반 메시지 작성 및 전송 서비스, 그리고 폰투폰 방식의 이모티콘 추가 장식 서비스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폰투폰 방식이 아닌 서비스들은 실제 문자 전송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 간 메시지 전송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음으로 전체 시장에서의 그 차지하는 비율이 미약하다. 반면에, 폰투폰 방식의 이모티콘 추가 장식 서비스는 개인 간 메시지 전송 방식임으로 발전가능성이 매우 크지만, 단어 인식에 의한 장식의 경우를 제외하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어려운, 즉 문자 이모티콘 추가 장식의 단조로움에 의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GSM의 경우에는 다수 제작사에서 제조하는 휴대 단말기가 동일 규격의 문자 세트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공통 인식되는 문자만을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그로 인해 이모티콘 자체의 변화 가능성이 아주 제한적이어서 서비스 자체의 질적 저하가 불가피하다. 특히 단어 인식에 의한 장식의 경우 정확한 인식이 되었을 때에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지만, 인식이 잘못된 경우에는 오히려 불만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데, 정확한 인식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에 대해 몇 가지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로, 휴대 단말의 지원 문자 세트가 다를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국내에서 제조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은 [표 1a]~[표 1b]와 같은 'KSC5601-1987'의 문자세트를 지원한다.
Figure 112007006724662-pat00015
Figure 112007006724662-pat00016
삭제
그러나 해외시장은 사정이 다르다. 예를 들어, 중국과 같은 GSM 시장의 경우에는 이모티콘의 개념 자체가 한국에 비해 널리 인식되어 있지 않으며, 웹상에서조차 한국에서처럼 다양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로 인해 본문 메시지에 해당하는 간자체 한자는 잘 전달되지만, 이모티콘에서 외곽선에 해당하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문자들은 휴대 단말에 따라 지원하는 휴대 단말과 그렇지 않은 휴대 단말로 구분되며, 이러한 단말들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Figure 112007006724662-pat00017
[표 2]와 같은 외곽선 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면, 도 1과 같은 이모티콘 컨텐츠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휴대 단말들이 처리할 수 있는 문자세트가 각각 다른 경우, 각각의 휴대폰에서 지원하는 문자세트의 교집합은 매우 제한적인 문자만을 표시하며, 이는 이모티콘 컨텐츠의 내용을 제한하게 되어 서비스의 질적 저하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메시지 내용과 추가된 이모티콘 장식의 의미가 상이함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완벽한 단어인식으로 이모티콘 장식을 수행한다면 문제가 생기지 않겠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이러한 완벽한 단어인식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완벽한 언어 인식은 아직 실행하지 못한 인공지능의 분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단어인식 방식에 의하면 단어인식으로 처리하지 못하여 임의의 이모티콘으로 메시지를 장식하는 경우와 단어인식으로 처리하였지만 잘못 처리된 경우가 반드시 발생하게 되는데, 두 경우 모두 메시지의 내용과 이모티콘이 전달하는 바가 달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a는 단어인식으로 처리하지 못했지만 문제가 생기지 않는 변환 예를 보여주는 참조도면이고, 도 2b는 단어인식으로 처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보여주는 참조도면이며, 도 2c는 잘못된 단어인식 처리의 예를 보여주는 참조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메시지 내용과 이모티콘의 전달 내용이 상이할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어 인식을 잘못 처리할 경우에도 생길 수 있다. 즉, 단어인식을 잘못 처리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사랑' 이라는 단어를 인식하여 이와 관련된 이모티콘을 추가하는 경우 본문이 '사랑하지 않는다'와 같이 반대의 뜻을 전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기존 변환 형태의 형태상의 단조로움에 따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기존 서비스의 변환 형태의 예를 보여주는 참조도면으로서, 도 3a는 아래쪽에 이모티콘이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오른쪽에 이모티콘이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 3의 장식형태는 메시지 영역과 장식영역을 사각형의 영역으로 나누어 변환 제공하기 때문에, 형태 및 배치 상에 있어서는 위의 예에서 벗어나지 않는 단조로운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것은 향후 서비스의 발전을 저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여줄 때 기존의 줄 바꿈에 의한 획일적인 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줌으로, 시각적 단조로움으로 인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막아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미전달 내용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어서 단어인식의 경우처럼 메시지와 추가된 내용의 의미전달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기 구성된 글자 및 특수문자로 이루어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하는 이모티콘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특수 문자들을 많이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 단말의 문자세트가 동일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해당지역의 언어를 지원한다면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으로, SMS 또는 MMS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그 단문 메시지의 길이(바이트 수)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입력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입력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입력된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따른 외형변환 형태를 미리 저장된 단문메시지 외형변환 형태의 목록으로부터 선택하는 제 13 단계;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에 있어,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캐릭터 깨어짐 여부를 파악하는 제 14 단계; 및 제 14 단계에서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대로 단문 메시지를 변환한 후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하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은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1글자의 캐릭터를 해당 줄에 모두 출력하거나 다음 줄에 출력하거나 다른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변환을 시도한 후,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대로 단문 메시지를 변환한 후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하는 제 16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은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감지는 공백문자의 삽입위치가 원문에서 "N∼N+M(N,M은 자연수, M은 홀수)"일 경우 또는 "N∼N+M" 사이의 ASCⅡ 문자의 개수가 홀수개일 경우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판별한다.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은 단문 메시지를 변환할 때 외형변환 형태의 공간에 공백문자 대신 특수기호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은 단문 메시지의 변환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또는 이동통신망의 외형변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성도로서, 송신자 단말기(10), 수신자 단말기(20), SMS G/W(Gateway)(30), SMS 센터(40), 서비스 서버(50), MMS 센터(60) 및 MMS 수신 단말기(70)로 구성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송신자 단말기(10)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가 SMS 센터(40) 또는 MMS 센터(60)를 통과하여 서비스 서버(50)로 입력되면, 서비스 서버(50)는 단문 메시지 길이(바이트 수)에 맞는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그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외형을 변환한 후 수신자 단말기(40)로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기(20)는 위 외형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50)에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수신자 단말기(20) 또는 MMS 수신 단말기(70) 또는 송신자 단말기(10)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자 단말기(10)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전에 송신폰 사용자가 전송할 단문 메시지 길이(바이트 수)에 맞는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그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외형을 변환하고, 그 외형변환 결과를 직접 수신자 단말기(20) 또는 MMS 수신 단말기(7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송신폰 사용자는 송신자 단말기(10)를 통해 마음에 들 때까지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위지윅(WIZWIG) 방식으로 변화시켜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로서, 본 설명에서는 도 4의 수신자 단말기(20)에 적용된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수신자 단말기(20)는 듀플렉서(21), 송신부(22), 수신부(23), 제어부(24), 메모리(25), 표시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듀플렉서(21)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송신부(22)는 무선신호를 듀플렉서(2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수신부(23)는 듀플렉서(21)로부터 입력받은 무선신호를 제어부(24)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4)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특히 수신부(23)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그 길이(바이트 수)를 감지한 후 이에 맞는 외형변환 형태를 메모리(25)에서 선택하고, 이후 그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에 맞춰 그 단문 메시지를 변환하여 표시부(26)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25)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표시부(26)는 제어부(24)를 통해 외형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수신자 단말기(20)에 적용된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 메시지의 본문은 문자의 열로 이루어진다. 종래로 이를 수신자에게 표시하는 방법은 획일적인 줄 바꿈에 의한 사각형 형식이다(도 8 참조). 즉, 수신자의 화면이 가로 최대 8자라고 하면 사용자의 메시지는 매 8자마다 줄을 바꾸어 전체 메시지의 화면상 분포형태는 사각형을 구성한다.
이는 기존의 어떠한 부가 서비스에서 변환된 메시지라도 마찬가지인 상황으로 가로나 세로 길이의 제한만 바뀌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 부가 서비스의 경우 서버에서 자동으로 오른쪽에 이모티콘을 추가한다고 하면, 사용자의 본문 영역의 가로 최대길이가 8자에서 4자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사각형태의 본문형태를 가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탈피하여 글자 배열을 다양하게 바꾸어 글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단말 상의 UI 프로그램이나 서버에서 자동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한다.
수신자 단말기(20)에 적용된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4)는 도 4의 SMS 센터(40) 또는 MMS 센터(6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그 단문 메시지의 길이(바이트 수)를 확인한 후(S11),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국내의 경우 단문 메시지의 최대 사용길이는 80 바이트이다.
제 12 단계(S12)에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하지 않으면(NO), 제어부(24)는 그 입력된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맞는 외형변환 형태를 메모리(25)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외형변환 형태의 목록에서 선택한다(S13).
제 13 단계(S13)에서 단문 메시지의 길이(바이트 수)에 따른 외형변환 형태는 [표 3]과 같이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따라 형태가 선택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단문 메시지의 길이가 6∼9 바이트이면 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10∼11 바이트이면 마름모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12∼13 바이트이면 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14∼15 바이트이면 모래시계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16∼17 바이트이면 평행사변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18∼25 바이트이면 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26∼27 바이트이면 모래시계·마름모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30∼33 바이트이면 마름모·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34∼35 바이트이면 모래시계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36∼37 바이트이면 마름모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38∼39 바이트이면 마름모·하트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40∼41 바이트이면 평행사변형Ⅰ, Ⅱ·하트, 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46∼47 바이트이면 마름모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48∼49 바이트이면 평행사변형Ⅰ, Ⅱ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50∼51 바이트이면 평행사변형Ⅰ, Ⅱ·삼각형·역삼각형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Figure 112007006724662-pat00018
도 11에서 (a)는 삼각형, (b)는 역삼각형, (c)는 마름모형, (d)는 모래시계형, (e)는 평행사변형, (f)는 하트형 외형을 나타낸다.
제어부(24)는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를 구현함에 있어, 한글과 같은 캐릭터의 깨어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14).
제 14 단계(S14)에서 수행하는 캐릭터 깨어짐 여부의 파악은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가장 주의하여야 할 문제이다. 한글과 같은 캐릭터는 2바이트로 1글자를 표현하고, 영문이나 기호 등 ASCII 문자는 1 바이트로 1글자를 표현한다. 따라서, 한글 등의 캐릭터와 ASCII 문자가 혼합되어 구성된 문자 메시지를 외형 변환할 때에는 캐릭터 1글자를 구성하는 2개의 바이트 사이에 공백문자가 삽입되어 캐릭터가 깨지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백문자를 삽입하는 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 아닌지를 항상 감지하여 캐릭터의 깨어짐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공백을 삽입하려고 하는 위치가 원문에서 N~N+M(N, M은 자연수, M은 홀수)일 경우, 또는 N~N+M 사이의 ASCII 문자의 개수가 홀수개일 경우를 감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원문의 1~6바이트 다음에 공백을 삽입하려고 할 때, 1~6 사이의 ASCII 문자의 개수는 1개이므로 공백을 삽입하면 캐릭터가 깨어진다. 이러한 캐릭터 깨어짐 현상을 미리 감지해야 한다.
제 14 단계(S14)에서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면(NO), 제어부(24)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대로 단문 메시지를 변환한 후 표시부(26)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15). 도 9의 예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메시지 변환의 결과이다. 본 발명의 결과는 본 문서에 기술되어 있는 형태 이외의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결과물들을 만들 수 있게 응용될 수 있다.
제 15 단계(S15)에서 제어부(24)는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변환할 때 외형변환 형태의 공간에 공백문자 대신 특수기호(*)를 배치시켜 변환 가능하다(도 10 참조).
제 14 단계(S14)에서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면(YES), 제어부(24)는 1글자의 캐릭터를 해당 줄에 모두 출력하거나 다음 줄에 출력하거나 다른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변환을 시도한 후 제 15 단계(S15)로 진행한다(S16).
제 12 단계(S12)에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했으면(YES), 제어부(24)는 그 단문 메시지를 도 8과 같이 표시부(26)를 통해 기존 사각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17).
도 4와 같은 서비스 서버(50)에 적용된 본 발명의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50)는 SMS 센터(40) 또는 MMS 센터(6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그 단문 메시지의 길이(바이트 수)를 확인한 후(S21), 그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 국내의 경우 단문 메시지의 최대 사용길이는 80 바이트이다.
제 22 단계(S22)에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하지 않으면(NO), 서버(50)는 그 입력된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맞는 외형변환 형태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외형변환 형태의 목록에서 선택한다(S23).
제 23 단계(S23)에서 단문 메시지의 길이(바이트 수)에 따른 외형변환 형태는 [표 3]과 같이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따라 형태가 선택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에 관하여는 제 13 단계(S13)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1에서 (a)는 삼각형, (b)는 역삼각형, (c)는 마름모형, (d)는 모래시계형, (e)는 평행사변형, (f)는 하트형 외형을 나타낸다.
서버(50)는 외형변환 형태를 구현함에 있어 캐릭터 깨어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24). 이때, 공백문자 삽입위치가 1글자의 캐릭터 사이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공백을 삽입하려고 하는 위치가 원문에서 N~N+M(N, M은 자연수, M은 홀수)일 경우, 또는 N~N+M 사이의 ASCII 문자의 개수가 홀수개일 경우를 감지하면 된다.
제 24 단계(S24)에서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면(NO), 서버(14)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외형변환 형태대로 단문 메시지를 변환한 후 그 외형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SMS 센터(40) 또는 MMS 센터(60)를 통해 수신자 단말기(20) 또는 MMS 수신 단말기(70)로 전송한다(S25). 도 9의 예들은 본 발명을 적용한 메시지 변환의 결과들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예시된 형태 이외의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환하도록 응용될 수 있다. 제 25 단계(S25)에서 서버(50)는 외형변환 형태로 단문 메시지를 변환할 때, 외형변환 형태의 공간에 공백문자 대신 특수기호(*)를 배치시켜 변환 가능하다(도 10 참조).
제 24 단계(S24)에서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하면(YES), 서버(50)는 1글자의 캐릭터를 해당 줄에 모두 출력하거나 다음 줄에 출력하거나 다른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변환을 시도한 후 제 25 단계(S25)로 진행한다(S26).
제 22 단계(S22)에서 단문 메시지가 최대 길이 전부를 사용했으면(YES), 서버(50)는 그 단말 메시지를 외형 변환 없이 SMS 센터(40) 또는 MMS 센터(60)를 통해 수신자 단말기(20) 또는 MMS 수신 단말기(70)로 전송한다(S27).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장식 방법에 의하면,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여줄 때 기존의 줄 바꿈에 의한 획일적인 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시켜 줌으로, 시각적 단조로움으로 인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막아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시켜 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미전달 내용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어인식의 경우처럼 메시지와 추가된 내용의 의미전달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기 구성된 글자 및 특수문자로 이루어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하는 이모티콘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특수 문자들을 많이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 단말의 문자세트가 동일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해당지역의 언어를 지원한다면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으로,
    메시지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단문 메시지의 길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단문 메시지의 길이에 따른 외형변환 형태를 미리 저장된 단문메시지 외형변환 형태의 목록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적용할 때, 특정 문자의 삽입 위치로 인한 캐릭터 깨어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릭터 깨어짐이 발생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캐릭터 중간에 상기 특정 문자의 삽입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의 중간 위치에 상기 특정 문자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단문 메시지의 외형을 상기 선택된 외형변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중간에 특정 문자의 삽입을 방지하는 단계는 1글자의 캐릭터를 해당 줄에 모두 출력하는 과정, 1글자의 캐릭터를 다음 줄에 출력하는 과정, 다른 외형변환 형태를 선택하여 변환을 시도하는 과정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깨어짐 여부의 판단 단계는 상기 특정 문자의 삽입 위치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원문에서 "N∼N+M(N,M은 자연수, M은 홀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N∼N+M" 사이의 ASCⅡ 문자의 개수가 홀수개일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삽입되는 상기 특정 문자는 공백 문자, 특수 기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변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또는 이동통신망의 외형변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KR20050100893A 2005-10-25 2005-10-25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KR10073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0893A KR100736210B1 (ko) 2005-10-25 2005-10-25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0893A KR100736210B1 (ko) 2005-10-25 2005-10-25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690A KR20070044690A (ko) 2007-04-30
KR100736210B1 true KR100736210B1 (ko) 2007-07-06

Family

ID=3817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0893A KR100736210B1 (ko) 2005-10-25 2005-10-25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4772B (zh) * 2015-08-13 2019-11-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短信息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094A (ko) * 2002-07-31 2004-02-11 허만호 신규한 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29574A (ko) * 2003-09-23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문장 표시 방법
KR20050032772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줄바꿈이 가능한 텍스트 편집 방법
KR20050101483A (ko) * 2004-04-19 2005-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60057409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의 자동 엔터 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094A (ko) * 2002-07-31 2004-02-11 허만호 신규한 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29574A (ko) * 2003-09-23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문장 표시 방법
KR20050032772A (ko) * 2003-10-02 2005-04-0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줄바꿈이 가능한 텍스트 편집 방법
KR20050101483A (ko) * 2004-04-19 2005-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60057409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의 자동 엔터 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690A (ko)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1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ing
EP1397924B1 (en) Improvements in message display
US704702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service using tag
CA2420779C (en) Handset personalisation
US20070266090A1 (en) Emoticons in short messages
US7580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character input displa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93248A1 (en) Method for composing messages in a mobile terminal
EP1505810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e-mail
JP2007149105A (ja) 文字入力容量の表示方法及び端末機
KR20010016442A (ko) 문자메세지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EP1081901B1 (en) Cellular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location based data to an email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n system
KR100736210B1 (ko) 외형 변환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장식 방법
KR100459172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399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모드 식별 방법
KR1010025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수신 문자메시지 표시 방법
KR10060872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수신 방법
JP2000122838A (ja) 電子メール表示装置
KR100585729B1 (ko)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11906B1 (ko) 가변폭 폰트 문자를 고정폭 폰트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20237Y1 (ko) Sms를 이용한 플래쉬 컨텐츠 전송 및 문자 합성이 가능한이동기기
AU20023390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ing
KR100679511B1 (ko) 이미지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의 생성방법 및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2101465A (ja) 携帯電話機
WO2006026050A2 (en)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KR20050038428A (ko) 그림 글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