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330B1 -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330B1
KR100735330B1 KR1020030023746A KR20030023746A KR100735330B1 KR 100735330 B1 KR100735330 B1 KR 100735330B1 KR 1020030023746 A KR1020030023746 A KR 1020030023746A KR 20030023746 A KR20030023746 A KR 20030023746A KR 100735330 B1 KR100735330 B1 KR 10073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mall screen
image
display mode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904A (ko
Inventor
김순진
김시찬
김희재
백용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65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detachable means, e.g. caps, co-operating with the wri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에서 제1사진영상데이타에 제2사진영상데이타를 합성하는 방법이,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타 및 합성하고자 하는 제2사진영상데이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타의 화소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가 설정된 색이면 대응되는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를 유지하고,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가 상기 설정된 색이 아니면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를 대응되는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에 대입하면서 합성하는 과정과,상기 합성과정 종료 후 합성된 사진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합성사진영상에 대응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합성, 앨범사진, 미리보기, 영상처리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METHOD FOR EDIT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화면과 배경화면을 합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 도 4b는 사진 영상데이타 및 이에 따른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c - 도 4e는 배경화면 데이터, 합성사진 영상데이터 및 이에 따른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메모리의 EFS 영역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b - 도 5d는 메모리의 NV 영역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e는 배경 영상의 프로그램 코드 영역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f는 배경영상의 데이터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도시된 사진 영상을 앨범형태로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영상화면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영상화면들을 합성 및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화면을 저장하거나 또는 획득한 영상화면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영상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 영상 메일에 관하여 사업자 및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또한 향후 크게 증가될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하는 기능 들도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들면 휴대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는 사진 영상의 크기를 조절(zoom in, zoom out)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진 영상들을 합성하는 기술들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진 영상들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저장 중인 사진 영상과 특정의 배경화면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영상들과 합성된 결과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앨범보기의 소화면 및 표시모드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의 수,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포맷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휴대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3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데이타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진 영상 합성 및 앨범 미리보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는 복수의 사용자 데이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코드와 폰트가 저장되는 공간으로써, EFS(embedded file system)라는 파일시스템을 사용하여 플래시 메모리를 관리한다. 상기 EFS는 처음 부팅시에 현재 EFS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의 정보를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일정보를 수집하는 초기화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EFS 영역에는 크기가 큰 사용자데이타(폰북, SMS, 다운로드 콘텐츠 등)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EFS 영역에서 사진영상, 사진영상의 소화면영상, 합성 사진영상의 소화면, 배경화면 영상데이타들이 저장되며, 합성 사진영상들은 상기 플레시 메모리의 EFS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앨범 형태로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EFS 영역은 제1데이타메모리라 칭하고, 상기 합성 사진영상들이 저장되는 영역은 제2데이타메모리라고 칭한다.
제어부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27로부터 설정되는 모드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사진영상에 다른 사진영상을 합성하며, 또한 상기 합성된 사진영상의 소화면을 생성하는 동작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사진영상들 및 합성된 사진영상들의 소화면 영상들을 앨범 형태로 표시하며, 표시되는 앨범에서 선택되는 사진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 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타를 상기 표시부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타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타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타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6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재생되는 동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70은 외부의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와 사진 영상 을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통신장치는 스캐너,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외부의 통신장치들과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여 저장중인 사진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진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전화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부4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4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4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4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와 동기신호들을 상기 영상처리부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는 수평동기신호(Hsync: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및 수직동기신호(Vsync: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처리부50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인터페이스211은 상기 카메라부40으로부터 영상데이타 및 동기 신호(HREF, VREF)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HREF는 수평유효기간플래그로써, 라인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HREF는 상기 카메라부40 내의 라인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타를 라인 단위로 리드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EF는 수직유효기간플래그로써 프레임 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VREF는 1프레임 단위로 발생되며, 수직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LCD인터페이스217은 상기 제어부10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타를 상기 선택기219의 절환에 의해 억세스할 수 있다.
스케일러213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6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크기로 스케일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되는 1프레임의 영상신호의 화소수와 표시부60에서 표시할 수 있는 1프레임 영상신호의 화소수가 다르다. 상기 스케일러213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촬영된 1프레임의 화소수를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할 수 있는 1프레임의 화소수로 축소(제거: decimation)하거나 또는 상기 촬영된 1프레임의 적정 화소수를 설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코덱231은 상기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코덱231은 JPEG 코덱으로 가정한다. 상기 영상코덱231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JPEG 압축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로 상기 제어부10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으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스케일러213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화면처리부221은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설정된 소화 면으로 재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화면 처리부221은 상기 표시부60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의 좌우단 및 상하단을 각각 설정된 크기로 절취한 후, 상기 절취된 영상화면의 화소들을 데시메이션하여 소화면으로 생성한다.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영상처리부50 및 제어부1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표시부60과 제어부1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제어부10과 영상처리부50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인터페이스221은 상기 영상처리부50의 억세스, 그리고 영상처리부50을 통해 표시부60을 억세스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이다.
선택기219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부6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제어신호는 상기 영상처리부50과 표시부60 간의 버스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의미하며, 제2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10과 표시부60 간의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선택기219를 통해 상기 표시부60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카메라40, RF부23, 통신인터페이스부70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화면을 수신하여 메모리30에 사진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되는 사진영상들은 영상처리부50의 소화면처리부241을 통해 소화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되는 사진영상들은 도 4a와 같은 영상들이 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에 대해서는 도 4b와 같은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 4a와 같은 사진영상들 및 소화면 영상데이 타들은 메모리30의 제1데이터메모리영역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있는 원사진 영상(제1사진영상이 될 수 있음)을 선택하여 다른 사진영상(제2사진영상이 될 수 있음)과 합성하여 합성사진영상으로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른 사진영상은 배경 화면영상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원 사진영상과 배경 화면영상을 합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합성 사진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진영상 또는 합성사진영상들을 앨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앨범으로 저장된 사진 영상에 대한 앨범미리보기 또는 앨범보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앨범미리보기라는 기능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영상 또는 수신되는 사진영상들을 배경사진들과 합성하여 한 화면에 여러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앨범미리보기 기능은 한 화면에 여러개의 합성 사진영상들 또는 사진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사진영상을 크게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앨범미리보기 기능은 소화면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 배경 화면영상과 배경 소화면 영상을 이용하여 멀티표시모드(multi view mode)와 선택표시모드(select view mode)를 지원할 수 있다. 사진관리와 다른 기능이라면 사진을 읽어오는 것이 아니라 배경화면영상을 가지고 오는 것이다.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영상데이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상기 제1데이타 메모리에 저장되는 사진 영상데이타들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사진영상데이타들에 대한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다. 그리고 도 4c는 배경화면영상 데이터들이다. 도 4d는 도 4a와 같은 사진영상에 도 4c와 같은 배경화면영상을 합성한 합성사진영상데이타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e는 도 4d와 같은 합성사진영상의 소화면 데이터들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a- 도 5e는 상기 제1데이타메모리 및 제2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타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도 4a와 같은 사진영상, 도 4b와 같은 사진영상의 소화면영상데이타, 도 4e와 같은 합성사진영상의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포맷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5a 에서는 width는 영상데이타의 좌우 크기를 나타내며, height는 영상데이타의 상하크기를 나타내고, colors는 영상데이타의 색상 형태(picture color type)로 색상수를 나타내며, format은 부호화 방식으로 SIS, BMP, JPEG 등을 나타내고, reverse는 영상데이타가 정상인지 뒤집힌 영상인지를 나타내며, name_len은 영상데이타의 이름 길이를 나타내고, name은 영상데이타의 이름을 나타내며, data_len은 영상데이타의 길이를 나타내고, data는 실제 영상데이타를 나타내며, take_time은 영상데이타의 생성일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사진영상, 사진영상의 소화면, 합성 사진영상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될 수 있다. 도 5b-도 5d는 상기 제2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되는 도 4d와 같은 합성사진영상데이타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e는 도 4c와 같은 배경화면영상의 포맷으로써 프로그램 코드 영역이며, 도 5f는 상기 도 5e와 같은 배경영상의 데이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성 사진영상을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합성하고자 하는 사진영상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표시모드 또는 멀티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표시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30의 제1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영상들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억세스하여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멀티표시모드에서는 6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 특정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선택된 소화면의 사진영상데이타를 억세스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은 311단계에서 원 사진영상을 읽어 표시한 후, 313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경화면 영상데이타를 읽는다. 즉, 상기 배경화면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도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표시모드 또는 멀티표시모드를 수행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영상과 원하는 배경화면영상을 선택한 후, 상기 제어부10은 315단계에서 화소 위치를 나타내는 x 및 y 값을 초기화한다. 여기서 x는 화소들의 x축 좌표 값을 의미하며, y는 화소들의 y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이후 3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선택된 사진영상 및 배경화면영상의 x,y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배경 화면영상의 x,y위치에 존재하는 화소가 흰색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배경화면 영상의 화소가 흰색이면 사진영상의 화소를 그대로 유지하면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현재 라인의 다음 화소를 지정하기 위하여 325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배경 화면영상의 x,y 위치의 화소가 흰색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은 323단계에서 상기 사진영상의 x,y위치에 상기 배경화면영상 의 화소를 대입한다. 즉, 상기 323단계에서는 사진영상의 화소를 상기 배경 화면영상의 화소로 대체하여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325단계에서 상기 화소가 해당 라인의 마지막 화소위치인가를 검사하며, 아니면 327단계로 진행하여 x값을 1증가시켜 다음 화소 위치를 지정한 후 상기 319단계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상기 319단계-327단계를 반복 수행하면 사진영상의 1라인 화소들을 대응되는 배경화면영상의 1라인으로 대체하여 사진영상과 배경화면 영상을 합성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1라인의 합성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해당 라인의 사진영상의 마지막 라인인가 검사하며, 아니면 331단계에서 y값을 1 증가시켜 다음 라인을 지정하고 x값을 0로 초기화시켜 첫 번째 화소를 지정한 후 상기 319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제어부10은 1라인의 화소들을 합성한 후, 331단계에서 다음 라인의 첫 번째 화소위치를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 1화면의 사진영상에 배경화면영상의 합성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이 329단계에서 마지막 라인의 화소들에 대해 합성 동작을 완료하였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33단계에서 표시부60을 통해 다른 배경화면영상을 선택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다음 배경화면영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런 경우 하나의 사진영상에 두 개 이상의 배경화면영상을 합성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333단계에서 다른 배경화면의 선택을 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335단계에서 상기 합성된 사진영상을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메모리30의 제2데이타메모리에 앨범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337단계에서 소화면241을 구동하여 상기 표시되는 합성 사진영상을 소화면 영상데이타로 생성한 후, 이를 제1데이타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앨범보기의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27 상의 앨범보기 기능키 또는 표시부60에 표시되는 메뉴에서 앨범미리보기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앨범미리보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11단계에서 앨범보기용 소화면 영상의 경로를 검사한 후, 613단계에서 앨범보기용 소화면 영상의 목록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615단계에서 현재의 표시모드를 검사한다. 이때 소화면 표시모드이면, 즉 멀티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은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상기제1데이타메모리에 저장된 합성사진영상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읽어 619단계에서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여기서 멀티표시모드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6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6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27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를 조정하여 선택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표시모드 변경키를 이용하여 표시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확인키를 이용하여 현재 커서가 위치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합성사진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키는 상/하측키(up/down key) 또는 좌/우측키(left/right key)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키는 네비게이션키가 될 수 있다. 이때 멀티표시모드에서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의 수가 6개이며, 표시되는 형태는 각각 상측 및 하측 위치에 3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표시되는 형태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생성된 목록에서 첫 번째 소화면 영상데이타는 상측의 최좌측에 표시되며, 여섯 번째 소화면 영상데이타는 하측의 최 우측에 표시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은 621단계에서 키입력을 검사하는데, 이때 입력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키, 확인키 및 표시모드 변경키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좌측키(left key)가 눌려지면, 625단계에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를 1감소시키고, 627단계에서 현재의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가 첫 번째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작은가 검사한다. 이때 첫 번째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작으면 629단계에서 상기 순서를 마지막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로 지정하고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서 좌측키의 눌린 횟수에 대응되는 위치의 소화면 영상데이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두 번째로 우측키(right key)가 눌려지면, 631단계에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를 1증가시키고, 633단계에서 현재의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가 마지막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큰가를 검사한다. 이때 마지막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크면 635단계에서 상기 순서를 처음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로 지정하고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서 우측키의 눌린 횟수에 대응되는 위치의 소화면 영상데이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세 번째로 상측키(up key)가 눌려지면, 637단계에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를 3감소시키고, 639단계에서 현재의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가 처음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작은가를 검사한다. 이때 마지막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작으면 639단계에서 상기 순서를 마지막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로 지정하고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서 상측키가 눌려지면 대응되는 위치의 소화면 영상데이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커서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네 번째로 하측키(right key)가 눌려지면, 643단계에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를 3증가시키고, 635단계에서 현재의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가 마지막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큰가를 검사한다. 이때 마지막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보다 크면 647단계에서 상기 순서를 처음 소화면영상데이타의 순서로 지정하고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서 하측키의 눌린 횟수에 대응되는 위치의 소화면 영상데이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커서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키가 눌려지면, 625단계 - 647단계를 수행하면서 눌려 진 방향키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부60 상에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커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과정은 멀티표시모드에서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의 수가 6개이며, 표시되는 형태는 각각 상측 및 하측 위치에 3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멀티표시모드에서 표시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들 중에서 원하는 위치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표시모드변경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표시모드변경을 결정한다. 이때 표시모드변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표시모드 및 멀티표시모드가 될 수 있으며, 멀티표시모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다음의 6개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 다음의 6개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2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합성사진영상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615단계에서 소화면 표시모드가 아님을 감지하고 65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원하는 합성사진영상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51단계에서 앨범보기용 합성사진영상의 목록을 생성하며, 65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소화면 합성영상에 대응되는 합성사진영상 데이터를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655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합성사진 영상을 억세스하여 표시부60에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모드 변경과정에서 선택표시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며, 상기 651단계-655단계를 수행하면서 합성사진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상기 합성사진 영상은 디폴트로 결정된 합성사진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앨범보기 모드에서 합성사진영상이 표시되는 중에도 다른 합성사진 영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표시모드를 변경할 수있다.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27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소화면 영상데이타의 순서를 조정하여 선택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표시모드 변경키를 이용하여 표시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확인키를 이용하여 현재 커서가 위치된 소화면영상데이타의 합성사진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키는 상/하측키(up/down key) 또는 좌/우측키(left/right key)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키는 네비게이션키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사진영상의 표시는 상기 생성된 합성사진 목록에서 앞 또는 뒤로 이동할 수 있으면 되므로, 좌우키 또는 상하키만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키 또는 상측키가 목록에서 이전 위치로 이동하는 키로 사용되며, 우측키 또는 하측키가 상기 목록에서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키로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0은 657단계에서 키입력을 검사하는데, 이때 입력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키, 확인키 및 표시모드 변경키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또는 상측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659단계 - 663단계를 수행하면서 합성사진영상의 순서를 지정하며, 우측키 또는 하측키가 입력되면 665단계-669단계를 수행하면서 합성사진영상의 순서를 지정한다. 또한 확인키가 입력되면, 671단계-67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지정된 위치의 합성사진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615단계로 되돌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면 영상표시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621단계 또는 657단계에서 종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도 6과 같은 절차의 앨범보기 기능의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사진영상에 다른 사진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합성된 사진영상들을 앨범보기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합성 사진영상을 생성할 때 사진영상에 배경화면 영상을 합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합성사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합성된 사진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저장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다른 가입자에 전송할 수 있어 단말기의 표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휴대단말기에서 제1사진영상데이타에 제2사진영상데이타를 합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타 및 합성하고자 하는 제2사진영상데이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타의 화소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가 설정된 색이면 대응되는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를 유지하고,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가 상기 설정된 색이 아니면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를 대응되는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터의 화소에 대입하면서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과정 종료 후 합성된 사진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합성사진영상에 대응되는 소화면 영상데이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사진영상을 생성한 후, 다른 제2사진영상선택시 상기 합성된 사진영상에 선택된 다른 상기 제2영상사진 영상데이타를 합성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진영상이 배경화면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EFS 영역을 구비하는 제1데이타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인 제2데이타메모리를 구비하며, 소화면 영상데이타는 휴대단말기의 EFS(embedded file system)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합성사진영상데이타는 제2데이타 메모리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합성사진영상데이타 및 이에 대응되는 소화면영상데이타들을 저장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합성영상데이타를 앨범보기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앨범보기용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의 경로를 검사하여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목록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갯수의 소화면들을 억세스하여 표시하는 멀티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표시모드에서 멀티표시모드 변경키 입력시 상기 생성된 목록의 다음 설정 개수를 지정한 후 상기 소화면 영상 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표시모드에서 선택키 입력시 선택표시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소화면에 대응되는 상기 합성사진영상데이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 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표시모드에서 멀티표시모드 변경키 입력시 상기 멀티표시모드로 진행하여 설정된 수의 소화면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이,
    6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하며, 표시부의 상측 및 하측 영역에 각각 3개의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선택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이,
    상,하,좌,우측키들 중의 어느 한 키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키에 따른 위치의 소화면 영상에 커서를 위치시키며, 확인키 입력시 상기 커서가 위치된 소화면 영상에 대응되는 합성사진영상을 선택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앨범사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앨범사진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앨범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이,
    제1사진영상 및 합성하고자 하는 제2사진영상데이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2사진영상데이타의 화소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사진영상의 화소들을 상기 제1사진영상데이타의 대응되는 화소위치에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과정 종료 후 합성된 사진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합성사진영상에 대응되는 소화면영상데이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앨범사진을 표시하는 과정이,
    앨범보기용 소화면 영상데이타들의 경로를 검사하여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목록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갯수의 소화면들을 억세스하여 표시하는 멀티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표시모드에서 멀티표시모드 변경키 입력시 상기 생성된 목록의 다음 설정 개수를 지정한 후 상기 소화면 영상 표시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표시모드에서 선택키 입력시 선택표시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소화면에 대응되는 상기 합성사진영상데이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23746A 2003-04-15 2003-04-15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KR10073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746A KR100735330B1 (ko) 2003-04-15 2003-04-15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746A KR100735330B1 (ko) 2003-04-15 2003-04-15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904A KR20040089904A (ko) 2004-10-22
KR100735330B1 true KR100735330B1 (ko) 2007-07-04

Family

ID=3737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746A KR100735330B1 (ko) 2003-04-15 2003-04-15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83B1 (ko) * 2005-01-07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자 이미지 압축 및 복원 방법
KR100664195B1 (ko) * 2005-02-04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방법
KR100776433B1 (ko) * 2006-05-19 2007-11-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개선된 영상 합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8927B1 (ko) 2006-10-27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123A (ja) 1998-06-30 2000-01-21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
JP2001285420A (ja) 2000-03-24 2001-10-12 Telefon Ab L M Ericsson 移動無線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
KR20010093895A (ko) * 2000-04-01 2001-10-31 김영귀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20020007511A (ko) * 2000-07-14 2002-01-29 유현중 화상 통신기의 배경화면 변환장치
KR20020060375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화상통화 가능한 무선 이동 단말기의 배경화면 절환 방법
KR20040036807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디지털사진 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123A (ja) 1998-06-30 2000-01-21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
JP2001285420A (ja) 2000-03-24 2001-10-12 Telefon Ab L M Ericsson 移動無線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
KR20010093895A (ko) * 2000-04-01 2001-10-31 김영귀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20020007511A (ko) * 2000-07-14 2002-01-29 유현중 화상 통신기의 배경화면 변환장치
KR20020060375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화상통화 가능한 무선 이동 단말기의 배경화면 절환 방법
KR20040036807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디지털사진 편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904A (ko) 200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2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27018B1 (ko)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KR100575924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606076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처리방법
EP17250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075720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편집 방법
KR10073533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편집 처리 방법
KR10055715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표시방법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617736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확대 및 축소 방법
KR10050413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모자이크 처리 방법
JP2004304763A (j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78216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상태 전환방법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89722A (ko) 영상데이터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영상데이터 처리방법
KR10082714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10855Y1 (ko) 촬상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내장된이동기기
KR10052062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선명한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4120269A (ja) 携帯型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73078B1 (ko)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저장된 외부 확장 메모리가 접속된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KR10046596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엠보싱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