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42B1 -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42B1
KR100735142B1 KR1020060061001A KR20060061001A KR100735142B1 KR 100735142 B1 KR100735142 B1 KR 100735142B1 KR 1020060061001 A KR1020060061001 A KR 1020060061001A KR 20060061001 A KR20060061001 A KR 20060061001A KR 100735142 B1 KR100735142 B1 KR 10073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hannel
unit
phenolic compou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보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microanalysis, e.g. drop re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50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or stationary liquid
    • G01N30/58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or stationary liquid the sorbent moving as a whole
    • G01N2030/582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or stationary liquid the sorbent moving as a whole micellar electrokinetic capillary chromatography [MEC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농축부를 포함하는 농축채널 및 상기 농축채널과 0.05 ~ 0.2mm로 이격되며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채널을 포함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 의하면, 시료 중에 함유된 낮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을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법과 필드 증폭 시료 주입법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화학적으로 표면개질된 전극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오염물질인 낮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을 높은 검출감도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다.  
페놀, 검출, 농축, 마이크로칩

Description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Microchip for detecting trace phenolic compounds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의 채널 패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전극부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전극부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부의 검출 성능 비교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1농축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2농축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2시료배출부이 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검출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완충액 농도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 시료의 pH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제3채널에 주입되는 물의 양이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농축 시간이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101 : 시료주입부
102 : 제1시료배출부 103 : 제1농축부
104 : 제2농축부 105 : 제1완충액저장부
106 : 제2완충액저장부 107 : 제2시료배출부
108 : 검출부 110 : 제1채널
120 : 제2채널 130 : 제3채널
140 : 제4채널 150 : 제5채널
본 발명은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에 미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기 위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놀성 화합물은 인간에게 독성, 발암성 및 면역억제활성이 있어서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 의해 환경오염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시료 중에 미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분석이 환경오염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현재까지 고민감성 검출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장시간의 농축을 거치지 않으면 미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할 수 없었다.  또한, 비피복전극을 이용한 일반적인 전기화학적 방법은 반응 중간산물 및 생성물의 비가역적인 흡착에 의한 전극의 표면 파울링으로 인하여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에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안정한 반응을 유도하면서도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극 표면의 변형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극미량의 시료를 검사하는 일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랩온어칩(lab-on-a-chip)기술을 이용한 분석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랩온어칩은 반도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진식각인쇄기술이나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유리,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칩 위에 여러 가지 장치들을 집적시킨 화학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고속, 고효율 및 저비용의 자동화된 실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분석 방법은 적은 양의 시료 만으로 빠른 시간에 분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랩온어칩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할 때, 검출 농도의 역치값보다 낮은 농도의 시료를 분석하려면 따로 시료의 농축과정을 수행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시료의 농축을 위하여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 amplified sample injection, FASI),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 amplified sample stacking, FASS)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필드 증폭 시료 주입방법은 낮은 pH의 지지전해질(low-pH background electrolyte, BGE)과 물의 주입을 이용하여 농축하는 것으로, 채널 내에서의 시료의 위치 조절의 어려움으로 아직까지 FASI법을 마이크로칩에 이용한 농축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상기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방법은 낮은 전도도를 갖는 용액에서 제조된 시료 용액을 높은 전도도를 갖는 완충액으로 채워진 농축채널에 주입하여 농축하며, 이때 전압이 걸리면 시료가 신속하게 낮은 전도도를 갖는 용액과 높은 전도도를 갖 는 완충용액 간의 경계면으로 이동하여 농축되는 것으로, 농축과정 중 시료의 정확한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료 중에 함유된 낮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을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법과 필드 증폭 시료 주입법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화학적으로 표면개질된 전극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오염물질인 낮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을 높은 검출감도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페놀검출용 마이크로칩은, 2개의 농축부를 포함하는 농축채널 및 상기 농축채널과 0.05 ~ 0.2mm로 이격되며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채널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농축채널은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1농축부 및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2농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축채널은 시료가 주입되는 시료주입부; 완충액이 저장되며, 상기 시료주입부에서 공급된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1시료배출부;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1농축부; 상기 제1시료배출부와 상기 제1농축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채널; 상기 제2채널의 일측에서 분기되며, 상기 시료주입부와 상기 제2채널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1채널;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2농축부;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1완충액저장부; 및 상기 제1농축부, 상기 제2농축부 및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3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검출채널은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2완충액저장부;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2시료배출부; 상기 제2농축부와 상기 제2시료배출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4채널; 내부에 전극부가 구비되고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2완충액저장부와 상기 검출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4채널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제5채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극부는 기준전극, 반대전극 및 작동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전극은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부는 제5채널과 50 ~ 200㎛ 이격되도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주입부에 시료를 주 입하는 시료주입단계; 상기 시료주입부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시료배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상기 제1시료배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 상기 시료주입부를 플로팅시키며 제1시료배출부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농축부를 접지시켜,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시키고 농축된 시료가 제1농축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농축부이동단계; 제1완충액저장부에 물을 주입한 다음, 완충액을 주입하는 제1완충액저장부주입단계; 상기 제1농축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를 접지시켜,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시키고 농축된 시료가 제2농축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농축부이동단계; 제2농축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제2시료배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제2시료배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시료배출부이동단계; 상기 제2농축부와 상기 제2시료배출부를 플로팅시키고, 제2완충액저장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검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검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검출부이동단계; 및 마이셀 동전기 분리(micellar electrokinetic separation)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리하고,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작동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전극은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료는 2,4-디메틸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2,,6-디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2-클로로페놀 및 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의 채널 패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은 제1농축부(103), 제2농축부(104)를 포함하는 농축채널과 검출부(108)를 포함하는 검출채널을 구비한다.
이때, 검출채널은 제2농축부와 0.05 ~ 0.2mm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이격되면, 큰 노이즈가 발생되거 나, 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농축채널은 시료가 주입되는 시료주입부(101), 완충액이 저장되며, 상기 시료주입부(101)에서 공급된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1시료배출부(102),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방법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1농축부(103), 제1시료배출부(102)와 제1농축부(103)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채널(120),  제2채널(102)의 일측에서 분기되며, 시료주입부(101)와 상기 제2채널(12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1채널(110), 필드 증폭 시료 주입방법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2농축부(104),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1완충액저장부(105), 제1농축부(103), 상기 제2농축부(104) 및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105)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3채널(1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채널은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2완충액저장부(106),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2시료배출부(107), 제2농축부(104)와 상기 제2시료배출부(107)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4채널(140), 내부에 전극부가 구비되고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108), 제2완충액저장부(106)와 검출부(108)를 연결시키며, 제4채널(140)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제5채널(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전극부 중 작동전극의 개념도이다.
상기 전극부는 기준전극, 반대전극(152) 및 작동전극(151)을 포함하며, 작동 전극(151)은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중나선 DNA의 그루브(groove)에 평면 구조를 갖는 페놀의 벤젠고리 부분이 붙잡히게 되어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의 검출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은 카본 100% 함량에 대하여 셀룰로오스-dsDNA 30 ~ 40% 함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셀룰로오스-dsDNA의 함량이 30% 미만이면 변성물질의 낮은 함량으로 인해 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40%를 초과하면 전극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야기되는 낮은 전류로 인해 검출전극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부의 작동전극(151)은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에서 다른 작동전극으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마이크로칩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작동전극(151) 표면과 채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의 외주면에 폴리에칠렌, 폴리이민, 폴리카아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로 된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스페이서는 제5채널과 50 ~ 200㎛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이격되면 큰 노이즈가 발생되거나 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1농축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2농축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제2시료배출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검출부이동단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은 시료주입단계(S101),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S102), 제1농축부이동단계(S103), 제1완충액저장부주입단계(S104), 제2농축부이동단계(S105), 제2시료배출부이동단계(S106), 검출부이동단계(S107), 검출단계(S108)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주입단계(S101)는 시료주입부(101)에 시료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시료 주입 전에 제1시료배출부(102)를 통해 주입된 염기성 완충액으로 제1채널(110) 및 제2채널(120)을 미리 채우고, 이때 주입되는 시료는 pH 7 내지 9의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pH 8.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염기 조건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해리도가 증가하여 시료 용액 중 유리 페놀성 음이온의 양이 증가하므로 결과적으로 스태킹 효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료 용액의 pH가 9.0을 초과하면 시료 용액의 이온강도가 증가되어 제2채널(120)에서 시료와 완충액 간의 전도율을 감소시키며, 결국 스태킹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S102)는 도 5를 참조하면, 시료를 주입한 시료 주입부(101)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시료배출부(102)를 접지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시료주입부(101)에서 주입된 시료가 제1시료배출부(102)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농축부이동단계(S103)는 도 6를 참조하면, 시료주입부(101)를 플로팅 시키고 제1시료배출부(102)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농축부(103)를 접지시키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시료는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방법에 따라 농축되면서 제1농축부(103)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주입단계(S104)는 제1완충액저장부(105)에 물을 주입한 다음 낮은 pH를 갖는 완충액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보다 높은 전극의 분리효율을 위하여 제3채널(130)에 채워지는 물의 길이가 15 내지 6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낮은 pH를 갖는 완충액은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의 미셀을 함유한 산성 완충액을 사용한다. 이 단계는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필드 증폭 시료 주입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제2농축부이동단계(S105)는 도 7을 참조하면, 제1농축부(103)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완충액저장부(105)를 접지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시료는 필드 증폭 시료 주입방법에 따라 농축되고 농축된 시료가 제2농축부(104)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시료의 농축은 56 내지 64초 동안 수행되며, 상기 농축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제2농축부에 충분한 농축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반면, 상기 농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농축부로부터 농축영역을 펌프질할 수 있다.
상기 제2시료배출부이동단계(S106)는 도 8을 참조하면, 제2농축부(104)에 음 극전압을 인가하고 제2시료배출부(107)를 접지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시료가 제2시료배출부(107)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검출부이동단계(S107)는 도 9를 참조하면, 제2농축부(104)와 제2시료배출부(107)를 플로팅시키고 제2완충액저장부(106)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검출부(108)를 접지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시료는 검출부(108)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검출단계(S108)는 검출부(108)측으로 이동된 시료를 마이셀 동전기 분리(micellar electrokinetic separation)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작동전극을 이용하여 분리된 시료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동전극은 세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 전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료는 2,4-디메틸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2,6-디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2-클로로페놀 및 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의 채널 식각 방법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은 도 1을 참조하면, 제2채널(120), 제3채널(130), 제5채널(140)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테프론 재질의 베이스에 식각하였다. 이 때, 제2채널(120), 제3채널(130), 제5채널(140)은 서로 10㎜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식각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 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에 식각된 채널의 구체적인 길이와 폭은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마이크로칩의 제조는 Shim 그룹의 방법(Shiddiky, M.J.A., Kim, R.E., Shim, Y.B., Electrophoresis, 26: 3043-3052, 2005)에 따라 수행하였다.
구간 채널의 길이(㎜) 채널의 폭(㎚)
시료주입부(101)-X 3 25
X-제1시료배출부(102) 2 150
제1시료배출부(102)-제1농축부(103) 60 150
제1농축부(103)-제2농축부(104) 3 150
제2농축부(104)-제1완충액저장부(105) 80 150
제2농축부(104)-제2시료배출부(107) 14 50
제2완충액저장부(106)-검출부(108) 92 50
상기 X는 제1채널(110)과 제2채널(120)의 교차지점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은 X와 제1시료배출부(102)사이의 거리가 2㎜가 되도록 식각하였다. 이러한 마이크로칩에 따르면, 시료가 제2채널(120)내에서 최대 2㎜를 차지하도록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채널의 내부는 라운드지게 홈을 형성하였으며, 23㎛이하의 깊이를 갖도록 하였다.
이하, 제2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의 전극부 제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는 다음과 같이 제작되었다. 여기서, KCl 용액이 들어있는 Ag/Agcl 전극을 기준전극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반대전극으로 백금 와이어를 사용하였으며, 작동전극으로는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전극부의 전극은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에서 다른 전극으로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전극은 폴리에틸렌계 필름(10 mm X 30 mm)에 Ag 전도층을 인쇄한 후, 카본 잉크에 대한 셀룰로오스-dsDNA 혼합물의 중량비가 40%가 되도록 작동전극층을 인쇄하고, 작동영역과 Ag 전도층 간의 경계면을 커버하는 절연 잉크층을 인쇄하여 작동전극에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었다(직경 1.25 mm).  기타 작동전극의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절차는 종래 문헌(Shiddiky, M.J.A., Kim, R.E., Shim, Y.B., Electrophoresis 2005, 26, 3043-3052; Shiddiky, M.J.A., Park, D.S., Shim, Y.B., Electrophoresis 2005, 26, 4656-4663)에 따랐다.
전극 표면과 채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의 외주면에 50㎛이며 폴리머로 된 스페이서를 구비하였다. 여기서, 스페이서로 폴리에칠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전극부를 제작한 후 현미경(iTPRO, MODEL 3.0, Sometech, South Korea)을 이용하여 확인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하의 실험은 Kosentech Model KST-Potentiostat/Galvanostat P1(South Korea), Spellman CZE 1000R(NY, USA) 및 Model MHP 50-01B, IMAGE Regulated (South Kore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모든 실험은 25±0.1℃에서 수행하였으며, 사용한 카본과 Ag는 Juju Chemical Co.(Japan)에서 구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부의 검출 성능을 비교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전극부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부의 검출 성능을 비교 한 그래프이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부는 작동전극의 표면이 셀룰로오스-dsDNA 혼합물로 개질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전극부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을 구비한 전극부를 이용한 시료 검출 결과이며,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본전극을 구비한 전극부를 이용한 시료 검출 결과이다. 여기서 시료는 30μM의 2,4-디메틸페놀과 페놀을 사용하였으며, 4-디메틸페놀은 2,4-DMP로, 페놀은 Phenol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카본전극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 이용시, 보다 향상된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시료 분리는 +200V/cm에서 수행하였고, 기준전극에 대하여 1.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시료를 검출하였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먼저, 상기 실험에 사용된 셀룰로오스-이중나선 DNA, SDS(sodium dodecyl sulfate), monosodium hydrogen phosphate, disodiumhydrogen phosphate, phosphoric acid, urea는 Sigma(USA)에서 구입하였다.
또,  2,4-디메틸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2,6-디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2-클로로페놀 또는 페놀이 각각 포함되도록 하기와 같이 시료를 준비하였다.
즉, 2,4-디메틸페놀(2,4-dimethylphenol), 2,4,6-트리클로로페놀(2,4,6-trichlorophenol), 2,4,5-트리클로로페놀(2,4,5-trichlorophenol), 2,3,5-트리클로로페놀(2,3,5-trichlorophenol), 2,6-디클로로페놀(2,6-dichlorophenol), 3-클로로페놀(3-chlorophenol), 2-클로로페놀(2-chlorophenol) 및 페놀(phenol)은 Aldrich(USA)에서 구입한 후 10%(v/v) 메탄올로 100 μM의 페놀성 용액을 준비하고, 물(18.2 kΩ/cm)로 희석하며, 0.45㎛ 필터(Milipore, MA)를 사용하여 필터한 다음 2.0 mM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맞춘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준비된 마이크로칩을 0.1M NaOH 용액에 10분, 초순수(deionized water)에 10분, BGE 완충액(low-pH background electrolyte, 10mM H3PO4 + 10mM SDS + 1M urea, pH 2.1)에 10분 동안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세척과정이 끝나면, 제1시료배출부(102)로 70mM PBS(Phosphate buffer, pH 8.5)를 주입하여 제1채널(110) 및 제2채널(120)의 내부를 채우고, BGE 완충액을 제1완충액저장부(105) 및 제2완충액저장부(106)로 주입하여 제3채널(130), 제4채널(140) 및 제5채널(150)의 내부를 채워두었다. 먼저 시료주입부(101)로 상기 준비한 시료 100㎕을 주입하였다.
다음으로 시료주입부(101)에 +100V/cm의 전압을 20초 동안 인가하고 제1시료배출부(102)를 접지시켰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과정에서 시료주입부(101)에 있던 시료가 제1시료배출부(10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시료주입부(101)를 플로팅시키고 제1시료배출부(102)에 +200V/cm의 전압을 300초 동안 인가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과정에서 X와 제1시료배출부(102) 사이에 존재하는 시료가 제1농축부(103)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 방법에 의해 시료의 농축이 진행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채널내에 강한 전기삼투력이 발생하여 음전하를 갖는 시료 물질이 음극 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물을 시린지 펌프(syringe pump, KDS-200, KDS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0.1㎕/min의 속도로 2분 동안 제1완충액저장부(105)에 주입한 후 상기 BGE 완충액을 상기와 같은 속도인 0.1㎕/min로 50초동안 제1완충액저장부(105)에 주입하였다. 이에 따라, 제3채널(130)의 대략 60mm는 물로, 대략 23mm는 BGE 완충액으로 채워졌다.
다음으로 필드 증폭 시료 주입방법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1농축부(103)에 60초동안 -100V/cm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료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이온들이 상기 제3채널(130)에 주입된 물층을 통과하면서 제1완충액저장부(105)를 향해 이동되었다. 이렇게 제3채널(130)내에서 제1완충액저장부(105)를 향해 이동되던 페놀성 화합물의 이온들은 낮은 pH를 갖는 BGE 완충액과 접촉하면 이동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BGE 완충액은 전기삼투력을 약화시키고 페놀성 화합물의 음이온을 중성으로 바뀌게 함으로써, 시료를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물은 제1농축부(103)로 배출된다. 60초가 경과하면, 농축된 시료층이 제2농축부(104)측으로 이동되고 이 때, BGE 완충액 50㎕를 제2농축부(104)에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제2농축부(104)에 20초동안 -200V/cm의 전압을 인가하면 농축된 시료가 제2시료배출부(107)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2완충액저장부(106)와 제2시료배출부(107)에는 100㎕의 BGE 완충액이 채워있는 상태이고 검출부(108)는 1mL의 10mM PBS(pH7.0)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제2완충액저장부(106)에 -250V/cm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된 페놀성 화합물이 분리하였다. 이 때, 보다 안정적인 전기장을 제5채널(150)내에 생성시키기 위하여 제2완충액저장부(106)에 -250V/cm의 전압을 인가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시키기 전 단계로 제2완충액저장부(106)에 10분간 -200V/cm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2,4-디메틸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2,6-디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2-클로로페놀 또는 페놀을 각각 포함하는 시료들은 각각 0.18± 0.014, 0.25± 0.003, 0.17± 0.001, 0.21± 0.002, 0.19± 0.002, 0.17± 0.001, 0.35± 0.004 또는 0.48± 0.006 nA/nM의 검출감도를 나타내며, 각각 ∼120, ∼100, ∼150, ∼100, ∼120, ∼150, ∼150 및 ∼100 pM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 실험에 사용된 실험 조건은 여러가지 실험에 의해 선택되었다. 페놀성 화합물 검출 실험의 실험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실험 결과는 이하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사용되는 PBS 완충액의 농도가 실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PBS 완충액 농도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시료는 2,4-디메틸페놀(2,4-DMP), 2-클로로페놀(2-CP), 페놀(P)이 각각 50nM 포함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가로축은 시료의 농도(concentration, mM)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PBS 완충액의 농도가 대략 70mM이 될때까지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능이 증가하다가 대략 70mM의 농도를 넘어서면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능이 다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사용되는 시료의 pH가 실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 시료의 pH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시료는 2-클로로페놀(2-CP), 페놀(P)이 각각 50nM 포함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가로축은 시료의 pH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료의 pH가 대략 8.5로 증가할 때까지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능이 증가하다가 시료의 pH가 대략 8.5이상으로 상승하면,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료가 pH7.0과 pH9.0 사이일 때 효과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의 필드 증폭 시료 주입에서 채널내로 주입되는 물의 양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제3채널에 주입되는 물의 양이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시료는 2,6-디클로로페놀(2,6-DCP), 3-클로로페놀(3-CP), 2,4-디메틸클로로페놀(2,4-DMP)이 각각 50nM 포함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가로축은 채널에서 물이 차지하는 길이(water plug length, mm)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채널에서 물이 차지하는 길이가 대략 60mm일 때 보다 효과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 중 필드 증폭 시료 주입 과정에서 채널에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농축 시간이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시료는 2,4-디메틸페놀(2,4-DMP), 2,4,6-트리클로로페놀(2,4,6-TCP), 2,4,5-트리클로로페놀(2,4,5-TCP), 2,3,5-트리클로로페놀(2,3,5-TCP), 2,6-디클로로페놀(2,6-DCP), 3-클로로페놀(3-CP), 2-클로로페놀(2-CP), 페놀(P)이 각각 2.5nM 포함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가로축은 채널내에 전압을 인가한 시간(time,s)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농축시간이 60초일 때, 전류의 피크(peak)점이 확실히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50초 동안 농축하였을 경우에는 피크점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료에 포함된 페놀성 화합물들을 검출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전극부에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가 실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에서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가 페놀성 화합물 검출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시료는 2,4-디메틸페놀(2,4-DMP), 2,4,6-트리클로로페놀(2,4,6-TCP), 2,4,5-트리클로로페놀(2,4,5-TCP), 2,3,5-트리클로로페놀(2,3,5-TCP), 2,6-디클로로페놀(2,6-DCP), 3-클로로페놀(3-CP), 2-클로로페놀(2-CP), 페놀(P)이 각각 50nM 포함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가로축은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E,mV vs Ag/AgCl)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가 1.1V가 될 때까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0V를 초과하는 전압을 전극에 인가하면 노이즈(noise)가 급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략 1.0V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5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4]
우선, 수돗물과 지표수를 채취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한 시료는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시킨 후에 2.0m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시료의 pH가 8.5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를 제3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5를 참조하면, 좌측 그래프는 수돗물을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 결과이며, 우측 그래프는 지표수를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 검출 결과이다. 가로축은 검출시간(Time, s)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세기(current, nA)를 나타낸다. 그래프를 보면, 전류의 피크점이 서로 충분히 떨어져 있고, 수돗물과 지표수에서 같은 검출시간에 같은 페놀성 화합물이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수돗물과 지표수에서 2,4,6-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또는 2,6-디클로로페놀을 각각 ∼0.70 nM, ∼1.1 nM, ∼0.5 nM 또는 ∼1.5 nM의 범위로 검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검출 방법에 의하면,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과 필드 증폭 시료 주입 방법을 마이크로칩내에서 수행하여 낮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검출부에서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 혼합물을 이용하여 표면을 개질시킨 스크린 인쇄 카본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감도 높게 페놀성 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9)

  1. 2개의 농축부를 포함하는 농축채널 및 상기 농축채널과 0.05 ~ 0.2mm로 이격되며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채널을 포함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채널은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1농축부 및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2농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채널은 시료가 주입되는 시료주입부;
    완충액이 저장되며, 상기 시료주입부에서 공급된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1시료배출부;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1농축부;
    상기 제1시료배출부와 상기 제1농축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채널;
    상기 제2채널의 일측에서 분기되며, 상기 시료주입부와 상기 제2채널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1채널;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하는 제2농축부;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1완충액저장부; 및
    상기 제1농축부, 상기 제2농축부 및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3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채널은 완충액이 저장되는 제2완충액저장부;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2시료배출부;
    상기 제2농축부와 상기 제2시료배출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4채널;
    내부에 전극부가 구비되고 완충액이 저장되며,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2완충액저장부와 상기 검출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4채널의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제5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기준전극, 반대전극 및 작동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전극은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5채널과 50-200 ㎛ 이격되도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7. 시료주입부에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주입단계;
    상기 시료주입부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시료배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상기 제1시료배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시료배출부이동단계;
    상기 시료주입부를 플로팅시키며 제1시료배출부에 양극전압을 인가하고 제1농축부를 접지시켜, 필드 증폭 시료 스태킹(field-amplified sample stacking)을 이용하여 pH 구배에 따라 시료를 농축시키고 농축된 시료가 제1농축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농축부이동단계;
    제1완충액저장부에 물을 주입한 다음, 완충액을 주입하는 제1완충액저장부주입단계;
    상기 제1농축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완충액저장부를 접지시켜, 필드 증폭 시료 주입(field-amplified sample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위 차이에 따라 시료를 농축시키고 농축된 시료가 제2농축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농축부이동단계;
    제2농축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제2시료배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제2시료배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시료배출부이동단계;
    상기 제2농축부와 상기 제2시료배출부를 플로팅시키고, 제2완충액저장부에 음극전압을 인가하고, 검출부를 접지시켜 시료가 검출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검출부이동단계; 및
    마이셀 동전기 분리(micellar electrokinetic separation)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리하고,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작동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시료를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전극은 셀룰로오스 및 이중나선 DNA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극 표면이 화학적으로 개질한 스크린 인쇄 카본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2,4-디메틸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2,4,5-트리클로로페놀, 2,3,5-트리클로로페놀, 2,6-디클로로페놀, 3-클로로페놀, 2-클로로페놀 및 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검출방법
KR1020060061001A 2006-06-30 2006-06-30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KR10073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01A KR100735142B1 (ko) 2006-06-30 2006-06-30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01A KR100735142B1 (ko) 2006-06-30 2006-06-30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142B1 true KR100735142B1 (ko) 2007-07-03

Family

ID=3850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001A KR100735142B1 (ko) 2006-06-30 2006-06-30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53B1 (ko) * 2008-07-30 2010-04-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에 함유된 염료분석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4739A1 (de) 1998-04-21 1999-10-28 Peter Rausch Nachweis und bestimmung von phenolartigen inhaltsstoffen mittels direkter nasschemischer methoden
US20050170362A1 (en) 2003-04-14 2005-08-04 Caliper Life Sciences, Inc. Reduction of migration shift assay interference
US20060042948A1 (en) 2004-09-02 2006-03-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crofluidic electrophoresis chip having flow-retard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4739A1 (de) 1998-04-21 1999-10-28 Peter Rausch Nachweis und bestimmung von phenolartigen inhaltsstoffen mittels direkter nasschemischer methoden
US20050170362A1 (en) 2003-04-14 2005-08-04 Caliper Life Sciences, Inc. Reduction of migration shift assay interference
US20060042948A1 (en) 2004-09-02 2006-03-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icrofluidic electrophoresis chip having flow-retarding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53B1 (ko) * 2008-07-30 2010-04-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에 함유된 염료분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rath et al. Large-volume sample stacking of selected drugs of forensic significance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Dou et al. A dynamically modified microfluidic poly (dimethylsiloxane) chip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for biological analysis
Dou et al. Separation of proteins on surface‐modified poly (dimethylsiloxane) microfluidic devices
Tomazelli Coltro et al. Electrophoresis microchip fabricated by a direct‐printing process with end‐channel amperometric detection
See et al. Electro-driven extraction across a polymer inclusion membrane in a flow-through cell
KR20120095111A (ko) 페놀성 환경호르몬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환경호르몬 검출방법
WO2017039080A1 (ko) 샘플 농축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농축된 샘플 추출 방법
Schappler et al. Microemulsion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hyphenated to atmospheric pressure photoionization mass spectrometry
Cao et al. Determination of active ingredients of Apocynum venetum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KR100735142B1 (ko) 페놀성 화합물 검출용 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페놀성화합물 검출방법
Tachibana et al. Effects of the length and modification of the separation channel on microchip electrophoresis–mass spectrometry for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Thorsteinsdóttir et al. Performance of amino‐silylated fused‐silica capillaries for the separation of enkephalin‐related peptides by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and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Ding et al. Analysis of alkyl gallates and nordihydroguaiaretic acid using plastic capillary electrophoresis–microchips
Turiel et al. On-line concentration in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for triazine determination in water samples: evaluation of three different stacking modes
KR100953353B1 (ko) 식품에 함유된 염료분석방법
Hsieh et al. Amplification of small analytes in polymer solution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Zhu et al. Large‐volume sample stacking for analysis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Yang et al. On-line preconcentration of protein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an end-column cellulose acetate-based porous membrane
Wu et al. Determination of phenol in landfill leachate by using microchip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nd‐channel amperometric detection
Nakamura et al. Liposome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as a novel tool for the separation of hydrophobic compounds
Chun Electropreconcentration‐induced local pH change
Du et al. Separation and detection of narcotic drugs on a microchip using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and electrochemiluminescence
Jáuregui et al. New carrier electrolytes for the separation of chlorophenol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Samskog et al. On‐column polymer‐imbedded graphite inlet electrode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coupled on‐line with flow injection analysis in a poly (dimethylsiloxane) interface
Bodor et al. Conductivity detection cell for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with a solution mediated contact of the separated constituents with the detection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