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25B1 -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25B1
KR100732825B1 KR1020050086356A KR20050086356A KR100732825B1 KR 100732825 B1 KR100732825 B1 KR 100732825B1 KR 1020050086356 A KR1020050086356 A KR 1020050086356A KR 20050086356 A KR20050086356 A KR 20050086356A KR 100732825 B1 KR100732825 B1 KR 10073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information
dmb
broadcast signal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668A (ko
Inventor
정우창
곽천섭
유용준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05008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H04N7/035Circuits for the digital non-picture data signal, e.g. for slicing of the data signal, for regeneration of the data-clock signal,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signal
    • H04N7/0357Circuits for the digital non-picture data signal, e.g. for slicing of the data signal, for regeneration of the data-clock signal,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signal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DMB 방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DMB 단말기는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이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한다. 오류결과정보에 따른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MB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으므로, DMB 단말기 사용자는 보다 안정된 QoS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MB, 디엠비, 단말기, 방송, 이동통신, 이동통신망, 오류, QoS.

Description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Method for correcting error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anal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와 오류정정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송 사업자 서버 200 DMB 단말기
300 정보제공 서버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DMB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MB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에서 방송 신호의 오류가 있는 경우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DMB 방송 신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DMB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라디오 방송은 아날로그 형태로서 원래 고정 수신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보행 중 또는 차량 운행 중에 수신할 경우에는 음질이 상당히 저하되고 높은 출력과 넓은 주파수 대역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표준화 및 상용화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으로 Eureka-147을 채택한 유럽에서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미국의 경우 DAR(Digital Audio Radio), 캐나다의 경우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국제전기통신연합(ITU-R)의 경우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부에 의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차세대 방송용으로 개발된 DAB는 도심지의 전파환경과 잡음에 강하여 소출력으로 전송하여도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서 CD 수준의 음질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듣는 방송’의 개념을 ‘보고 듣는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념을 확장시켰으며, 음악방송 외에도 뉴스, 교통정보, 기상정보, 지리위치정보,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국내 정보통신부에 의해 명명된 DMB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음성방송의 디지털화가 됨에 따라 종전의 AM/FM 라디오 형태를 넘어 고품질 CD 수준의 음질,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 등의 데이터를 1.5Mbit/s의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이다.
상술한 DMB는 전송 수단인 매체의 성격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위성 DMB 방송의 경우 고정형 서비스와 이동형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DMB의 특성을 유럽방송연맹(EBU)과 ITU-R에서 기술한 내용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1) DMB 방송은 높은 품질을 보장하는 디지털 전송방식이 되어야 하고 향후 50년간 지속적으로 수용 가능해야 하며, 2채널 이상의 고품질 사운드 등을 제공해야 한다.
(2) 휴대용 및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도 장애 없이 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즉 이동, 휴대, 고정배치 수신이 모두 가능해야 한다.
(3) 정규 프로그램에 부가적인 정보를 전송시키는 데이터 채널(PAD: Program Associated Data) 또는 독립 프로그램으로서의 데이터 채널(NPAD: NonPAD) 서비스가 가능해야 한다. 다시 말해 라디오, 문자정보, 프로그램 인식 등이 가능해야 한다.
(4) 각각 다른 데이터 채널 용량을 수용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성 증대 등 전송용량과 전송효율이 높은 시스템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기 역시 상용화 되고 있으며, 휴대폰이나 PDA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형으로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DMB 방송은 DMB 방송 사업자가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DMB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DMB 단말기는 이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그러나, 종래 방송 채널로 전송된 방송 신호의 경우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수신자의 위치와 환경에 따라 오류 발생율의 차이가 많아서 오류없는 QoS(Quality of Service)를 받기 위해서는 고도의 오류 정정 코드화 또는 일정 이상의 오류 패킷에 대해서는 재전송이 요구된다.
이러한 오류 정정 코드화에서 순수한 데이터에 추가되는 오류정정코드의 길이를 길게 하면 오류 발생시 단말기에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순수 데이터의 용량이 줄어들고, 채널의 대역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오류에 민감하여 그 오류가 단말기 측에서 정보를 복원하는데 치명적인 것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송 사업자 측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의 오류정정기능은 최소로 제한하고, 데이터의 종류와 중요도에 따라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추가적인 오류정정정보를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DMB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은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이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오류결과정보에 따른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제3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류결과정보는 방송신호의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오류 비트수, 패킷 손실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오류정정정보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는 데이터와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제1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하고,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로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류정정정보는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은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와, DMB 단말기로부터 방송신호의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된 오류정정정보 중에서 상기 오류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류결과정보는 방송신호에서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오류 비트수와 패킷 손실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오류정정정보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DMB 방송 시스템은 DMB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 사업자 서버(100)와,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200)와, DMB 단말기(200)에 오류정정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제공 서버(300)로 이루어진다.
방송 사업자 서버(100)는 DMB 방송신호를 송출하고, 아울러 DMB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오류정정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미리 전송한다.
DMB 단말기(2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한다. 오류를 검출하면, 이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이동통신 사업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오류결과정보에는 오류가 검출된 패킷 아이디(ID), 오류비트수, 패킷손실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300)는 사전에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데이터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DMB 단말기(200)로부터 오류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오류결과정보에 따른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DMB 방송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신호는 컨텐츠 데이터와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a)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 (a)는 방송 사업자 서버(100)가 송출하는 방송신호의 예이다. 도 2 (a)에서는 223 byte의 컨텐츠 데이터와 16 byte의 제1오류정보코드로 이루어진 방송신호를 보여준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형식으로 엔코딩하기 위해서 RS(Reed Solomon) 코드가 사 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류정보코드는 전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정정기능과 전송신호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기능이 있는데, 이를 각각 오류정정코드와 오류검출코드라 한다. 보통 오류정정코드는 오류검출기능과 오류정정기능이 있고, 오류검출코드는 오류검출기능만 있다. 오류정정코드중에서도 오류검출기능이 강조된 오류정정코드와 오류정정기능이 강조된 오류정정코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송 사업자 서버(100)가 송출하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오류정보코드는 오류검출코드이거나, 오류검출기능이 강조된 오류정정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사업자 서버(100)에서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송출하면, DMB 단말기(200)는 오류정보코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고, 오류가 있으면 오류 정정을 시도한다. 제1오류정보코드로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 DMB 단말기(200)는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
DMB 단말기(200)가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는 오류결과정보는 패킷(packet) ID,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bit)수, 패킷 손실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오류정보코드를 DMB 단말기(200)에 제공함에 있어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DMB 단말기(200)가 제공한 오류결과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오류정보코드를 보내야할지 적응적으로 판단하고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제공 서버(300)는 DMB 단말기(200)가 전송한 오류결과정보에 따라 적합한 오류정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정보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 서버(300)가 전송하는 오류정정정보는 제2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게 되는데, 오류정보코드의 크기가 클수록 오류 정정능력이 향상되므로 방송 사업자 서버(100)에서 송출하는 제1오류정보코드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 (a)에서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제1오류정보코드의 크기가 16byte라면, 정보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오류정보코드는 이보다 큰 32byte나 64byte 크기의 제2오류정보코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방송신호에 포함할 오류정보코드와 이동통신망으로 제공해야할 오류정보코드를 구분하는 기준은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의 종합적인 서비스 단가와, 단말기측의 반응을 기반으로 구분되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방송 사업자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오류정보코드와 정보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오류정보코드가 동일한 방식의 오류정보코드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오류정보코드는 오류검출코드가 사용될 수 있고, 제2오류정보코드는 오류정정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DMB 단말기(200)는 정보제공 서버(300)에서 보내온 제2오류정보코드를 이용 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게 된다.
한편, DMB 단말기(200)의 이동중인 환경에서는 DMB 방송 신호의 수신상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패킷을 손실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 방송 사업자 서버(100)에서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게임 데이터를 송출하고 있고, 이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200)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1개의 패킷이 손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손실된 1개의 패킷때문에 DMB 방송 사업자가 전체 게임 데이터를 재송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그 손실된 패킷을 제공받으면 전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제공 서버(300)가 전송하는 오류정정정보는 컨텐츠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즉, DMB 단말기(200)가 수신한 신호에서 패킷의 손실이 있는 경우에 DMB 단말기(200)는 이러한 오류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하고, 정보제공 서버(300)는 손실된 해당 컨텐츠 데이터 패킷을 DMB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b)에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223 byte 크기의 컨텐츠 데이터를 DMB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DMB 단말기(200)는 손실된 컨텐츠 데이터 패킷 대신에 정보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오류를 정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이러한 DMB 방송 시스템 환경에서 DMB 단말기(200)에서의 오류를 정정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200)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방송 사업자 서버(100)는 DMB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S310).
DMB 단말기(200)가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320). 방송신호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이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한다(S330). 본 발명에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DMB 단말기가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는 오류결과정보는 패킷 ID,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bit)수, 패킷 손실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정보제공 서버(300)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추가적인 오류정정코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DMB 단말기가 제공한 오류결과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오류정정코드를 보내야할지 적응적으로 판단하고 제공할 수 있다.
DMB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받은 정보제공 서버(300)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에 전송한다(S340). 이를 위하여 정보제공 서버(300)는 미리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현재 송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패킷 ID, 컨텐츠 데이터 및 오류정정코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DMB 단말기가 오류정정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한다(S350).
위에서 설명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서 방송신호는 도 2 (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순수한 컨텐츠 데이터와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제1오류정정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a)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2 (a)에서는 223 byte의 컨텐츠 데이터와 16 byte의 제1오류정정코드로 이루어진 방송신호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를 정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1오류정정코드는 오류검출기능이 강조되는 오류정정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사업자 서버(100)는 DMB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S410).
DMB 단말기가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420). 방송신호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제1오류정정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을 시도한다(S430). 방송신호에 포함된 제1오류정정코드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이 가능하면 오류를 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요청한다(S440).
이때, DMB 단말기가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하는 오류결과정보는 패킷 ID,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bit)수, 패킷 손실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정보제공 서버(300)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추가적인 오류정정코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DMB 단말기가 제공한 오류결과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오류정정코드를 보내야할지 적응적으로 판단하고 제공할 수 있다.
다음, DMB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받은 정보제공 서버(300)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에 전송한다(S450). 이를 위하여 정보제공 서버(300)는 미리 방송 사업자 서버(100)로부터 현재 송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패킷 ID, 컨텐츠 데이터 및 오 류정정코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DMB 단말기가 오류정정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한다(S460). 이때, 오류정정정보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제1오류정보코드의 크기 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제2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방송 사업자 서버(100)가 제공하는 오류정보코드는 16byte이고, 정보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오류정보코드는 32byte와 64byte의 크기를 각각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보제공 서버(300)가 전송하는 오류정정정보는 컨텐츠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즉, DMB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에서 패킷의 손실이 있어서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 DMB 단말기는 이러한 오류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300)에 전송하고, 정보제공 서버(300)는 손실된 해당 컨텐츠 데이터 패킷을 DMB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 (b)에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223 byte 크기의 컨텐츠 데이터를 DMB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300)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보제공 서버(300)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사업자 서버(100)가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전송하면, 정보제공 서버(300)는 이를 수신한다(S510).
다음, DMB 단말기(200)로부터 방송신호의 오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 결과정보를 수신한다(S520). 정보제공서버(300)는 S510 단계에서 수신한 오류정정정보 중에서 이 오류결과정보에 따른 오류정정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DMB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530). 이때 오류결과정보는 방송신호의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패킷 아이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 패킷 손실여부를 포함하는 정보이다.이 오류결과정보에 따라 정보제공서버(300)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오류정정정보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MB 단말기(200)는 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오류정정정보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다(S540).
이상 설명한 기술을 통해 시청자는 QoS를 보장받게 되고, 방송 사업자와 이동통신 사업자 측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정보제공은 유료화가 가능한 부분이고, 이를 기반으로 발생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수익은 방송 사업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수익이므로 방송 사업자와 분배하는 형식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방송 사업자는 DMB 단말기(200)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에 요구하는 사항을 통하여 방송망의 지리적, 시간적, 기후적 조건에 따른 방송망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와 방송 컨텐츠별 선호도 정보 등을 도출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간적으로 방송망 보완이 필요한 지역을 유추할 수 있어서 방송망 확장과 이에 기반한 소비자 지출 비용의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MB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으므로, DMB 단말기 사용자는 보다 안정된 QoS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방송 사업자 측으로서는 최소한의 오류정정코드를 방송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윤이 발생되어 DMB 사업의 수익구조가 개선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계와,
    수신한 방송신호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방송신호의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오류 비트수, 패킷 손실여부를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오류결과정보에 따라,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오류정정정보를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제3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데이터와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제1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를 이용 하여 오류를 정정하고,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로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 오류결과정보를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정정정보는 상기 제1오류정보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5. 방송 사업자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정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와,
    DMB 단말기로부터 방송신호에서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오류 비트수와 패킷 손실여부를 포함하는 오류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단계에서 저장된 오류정정정보 중에서 상기 오류결과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패킷의 오류 비트수에 따른 오류정보코드를 포함하거나, 패킷 손실에 따른 해당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오류정정정보를 DMB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6. 삭제
KR1020050086356A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KR10073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56A KR100732825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56A KR100732825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68A KR20070031668A (ko) 2007-03-20
KR100732825B1 true KR100732825B1 (ko) 2007-06-27

Family

ID=4163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356A KR100732825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29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006588A (ko) * 2003-07-09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프로그램 오류 자동 수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329A (ko) * 2001-10-13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006588A (ko) * 2003-07-09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프로그램 오류 자동 수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68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456B2 (en) Error correction for regional and dynamic factors in communications
US6845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push-pull gateway-directed digital receiver
KR100870717B1 (ko) 시스템 및 관련된 단말기, 콘텐츠 사용 통계량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EP1632873A2 (en) Metadata-based data storage in digital radio system
US2013025461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rror tolerant content delivery over multicast channels
US20030046633A1 (en) Data error correction based on reported factors and predicted data interference factors
KR101242510B1 (ko) 위성 방송 단말기 및 그것의 신호 수신 방법
US20080148318A1 (en) Method of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of broadcast data service in dvb-h system, and system therefor
AU2020244602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070198877A1 (en) Wireless mobile device
KR100732825B1 (ko) 디엠비 단말기 및 정보제공 서버에서의 오류 정정 방법
Gómez-Barquero et al.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file delivery in DVB-H
KR100698278B1 (ko) 위치별 수신 감도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방법
US88854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conditional access packet signals through a network
CN201146517Y (zh) 基于dvb-s的中国气象频道网上直播设备
KR20050077110A (ko)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ts 패킷 에러 검출 및표시 방법
KR100799778B1 (ko) 아이피 망을 이용한 디엠비 방송의 수신 품질 개선방법 및디엠비 아이피 송출부가 구비된 디엠비 방송 시스템
JP2000209273A (ja) ディジタルデ―タ放送信号中継装置
US20060268994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using the same
JPH11313299A (ja) デジタル無線通信による移動体への映像情報配信方法、その映像情報配信方法に用いられる中央局装置、及びその映像情報配信方法に用いられる移動端末装置
KR100696813B1 (ko) Dmb 수신기에서 에러 검출 방법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32843B1 (ko) 디엠비 시스템과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다운로드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디엠비 시스템
KR10106472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단말
JP2007142677A (ja) 携帯通信端末、デジタル放送補完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補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