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634B1 -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 Google Patents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634B1
KR100732634B1 KR1020060015232A KR20060015232A KR100732634B1 KR 100732634 B1 KR100732634 B1 KR 100732634B1 KR 1020060015232 A KR1020060015232 A KR 1020060015232A KR 20060015232 A KR20060015232 A KR 20060015232A KR 100732634 B1 KR100732634 B1 KR 10073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lay
clock signal
clock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치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6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Abstract

A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a clock frequency is provided to satisfy parameter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data output regardless of the clock frequency, by controlling the delay time of a clock signal. A NOR flash memory cell(100) includes a memory cell(110). A sense amplifier(120) senses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A data output buffer(140) outputs data sensed by the sense amplifier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A clock delay circuit(160) delays an external clock signal, and provides the clock signal to the data output buffer. A delay control circuit(170) controls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The data output buffer controls data hold time of the sensed data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and the delay control circuit controls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a latency value stored in a mode register.

Description

클록 주파수에 따라 데이터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도 1은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을 보여준다.1 shows a memory cell of a NOR flash memor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OR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 특성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NOR flash memory illustrated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0; 노어 플래시 메모리 110; 메모리 셀 어레이100; NOR flash memory 110; Memory cell array

120; 감지 증폭기 130;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20; Sense amplifier 130;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40; 데이터 출력 버퍼 150; 클록 버퍼140; Data output buffer 150; Clock buffer

160; 클록 지연 회로 170; 지연 제어 회로 160; Clock delay circuit 170; Delay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록 주파수에 따라 데이터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R flash memory that adjusts a data holding time according to a clock frequency.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꺼내어 읽어볼 수 있 는 기억장치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크게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RAM은 전원이 끊어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는 소위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이다. RAM에는 Dynamic RAM(DRAM)과 Static RAM(SRAM) 등이 있다. ROM은 전원이 끊어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이다. ROM에는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있다.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a memory device that stores data and can be read out when need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read only memory (ROM). RAM is a so-called volatile memory that loses its stored data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RAM includes Dynamic RAM (DRAM) and Static RAM (SRAM). ROM is nonvolatile memory that does not lose its stored data even when its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ROM includes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EEPROM (Electrically EPRO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플래시 메모리는 크게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와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 Flash memory)로 분류된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string) 구조를 가진다. 반면에,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하나의 비트 라인에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Flash memory is largely classified into NAND flash memory and NOR Flash memory. NAND flash memory has a str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mo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one bit line. In contrast, NOR flash memo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mo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one bit line.

도 1은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메모리 셀을 보여준다. 도 1(a)은 메모리 셀(10)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도 1(b)은 도 1(a)에 도시된 메모리 셀(10)의 회로 기호(circuit symbol) 및 읽기 동작 시의 바이어스 조건을 보여준다. 1 shows a memory cell of a NOR flash memory. FIG. 1A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mory cell 10, and FIG. 1B illustrates a circuit symbol of the memory cell 10 shown in FIG. 1A and a bias condition during a read operation. Shows.

도 1(a)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10)은 소오스(3), 드레인(4), 제 1 절연막(5), 플로팅 게이트(6), 제 2 절연막(7), 컨트롤 게이트(8), 그리고 기판(9)을 포함한다. 소오스(3) 및 드레인(4)은 P형 기판(9)에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A, the memory cell 10 includes a source 3, a drain 4, a first insulating film 5, a floating gate 6, a second insulating film 7, and a control gate 8. And the substrate 9. The source 3 and the drain 4 are formed on the P-type substrate 9.

소오스(3)는 소오스 라인(SL)에 연결되며, 드레인(4)은 비트 라인(BL)에 연결된다. 플로팅 게이트(6)는 100Å이하의 얇은 제 1 절연막(5)을 사이에 두고 채널 영역 위에 형성된다. 컨트롤 게이트(8)는 제 2 절연막(또는 ONO막)(7)을 사이에 두고 플로팅 게이트(6) 위에 형성된다. 컨트롤 게이트(8)는 워드 라인(WL)에 연결된다. 그리고 기판(9)에는 벌크 전압(bulk voltage; BK)이 인가된다. The source 3 is connected to the source line SL, and the drain 4 is connected to the bit line BL. The floating gate 6 is formed over the channel region with a thin first insulating film 5 of 100 Å or less therebetween. The control gate 8 is formed on the floating gate 6 with the second insulating film (or ONO film) 7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ntrol gate 8 is connected to the word line WL. A bulk voltage BK is applied to the substrate 9.

메모리 셀(10)의 소오스(3), 드레인(4), 컨트롤 게이트(8), 그리고 기판(9)에는 프로그램(program), 소거(erase), 그리고 읽기(read) 동작 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The source 3, the drain 4, the control gate 8, and the substrate 9 of the memory cell 10 have a predetermined bias voltage during program, erase, and read operations. Is approved.

도 1(b)을 참조하면, 읽기 동작 시에, 소오스(3)에는 약 0V의 소오스 라인 전압이 인가되고, 드레인(4)에는 약 1V의 비트 라인 전압이 인가되고, 컨트롤 게이트(8)에는 약 5V의 워드 라인 전압이 인가되고, 기판(9)에는 약 0V의 벌크 전압이 인가된다. Referring to FIG. 1B, in a read operation, a source line voltage of about 0 V is applied to the source 3, a bit line voltage of about 1 V is applied to the drain 4, and a control gate 8 is applied to the control gate 8. A word line voltage of about 5V is applied and a bulk voltage of about 0V is applied to the substrate 9.

이러한 바이어스 조건에 따라 읽기 동작이 수행되면, 프로그램된 셀(programmed cell)은 드레인(4)으로부터 소오스(3)로의 전류 통로(current path)가 차단된다. 반면에, 소거된 셀(erased cell)은 드레인(4)으로부터 소오스(3)로의 전류 통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된 셀은 '오프 셀(off cell)'이라고 하며, 소거된 셀은 '온 셀(on cell)'이라고 한다.When a read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such a bias condition, the programmed cell is blocked from the current path from the drain 4 to the source 3. In contrast, erased cells form a current path from the drain 4 to the source 3. Here, the programmed cell is called an 'off cell' and the erased cell is called an 'on cell'.

일반적으로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읽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해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및 데이터 출력 버퍼(Data Output Buffer)를 포함한다. 감지 증폭기는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센싱하며, 데이터 출력 버퍼는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 In general, NOR flash memory includes a sense amplifier and a data output buffer to read data stored in a memory cell during a read operation. The sense amplifier senses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and the data output buffer outputs the sensed data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경우에 따라 클록 신호에 동기 하여 읽기 동작 (synchronous read operation)을 수행한다. 이때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각각의 클록 주파수에 맞는 데이터 입출력 특성 파라미터들을 갖는다. 동기 읽기 동작(synchronous read operation) 시의 다양한 특성 파라미터는 삼성 전자에서 출간한 NOR Flash Memory 데이터 북에 개시되어 있다. The NOR flash memory optionally performs a synchronous read oper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signal. In this case, the NOR flash memory has data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parameter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clock frequencies. Various characteristic parameters for synchronous read operation are disclosed in a NOR Flash Memory data book published by Samsung Electronics.

예를 들면, tBA는 버스트 액세스 시간(Burst Access Time)을 정의한 것이고, tBDH는 데이터 유지 시간(Data Hold Time)을 정의한 것이다. 클록 주파수가 66MHz인 경우에,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의 최대값은 11nS이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의 최소 값은 4nS이다. 그리고 클록 주파수가 133MHz인 경우에,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의 최대값은 6nS이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의 최소값은 1.5nS이다. 즉, 노어 플래시 메모리가 66MHz의 저주파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은 11nS를 넘을 수 없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은 4nS보다 길어야 한다. 그리고 133MHz의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은 6nS를 넘을 수 없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은 1.5nS보다 길어야 한다. 클록 주파수에 따른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 및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For example, tBA defines burst access time and tBDH defines data hold time. When the clock frequency is 66 MHz, the maximum value of the burst access time tBA is 11 n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is 4 nS. When the clock frequency is 133 MHz, the maximum value of the burst access time tBA is 6 n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is 1.5 nS. That is, when the NOR flash memory operates at a low frequency of 66 MHz, the burst access time tBA cannot exceed 11 nS, and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must be longer than 4 nS. When operating at a high frequency of 133 MHz, the burst access time tBA cannot exceed 6 nS, and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must be longer than 1.5 nS. The burst access time tBA and the data hold time tBDH according to the clock frequency are shown in Figs. 3 (a) and 3 (b).

따라서 종래의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각각의 클록 주파수에 맞는 파라미터 값을 가진다. 만약, 고주파수(133MHz)에서 동작하도록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 또는 데이터 유지 시간(tBDH) 파라미터가 정해진 노어 플래시 메모리가 저주파수(66MHz)에서 사용하면,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은 설계 마진이 생기지만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은 문제가 생긴다. 데이터 유지 시간(tBDH)의 문제는 도 3(c)에서 다시 설명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NOR flash memory has a parameter value corresponding to each clock frequency. If a NOR flash memory with a burst access time (tBA) or data hold time (tBDH) parameter set to operate at a high frequency (133 MHz) is used at a low frequency (66 MHz), the burst access time (tBA) will result in a design margin but The holding time tBDH is problematic. The problem of the data holding time tBDH is described again in FIG. 3 (c).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록 주파수에 관계없이 데이터 출력에 관계되는 파라미터 특성을 만족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R flash memory that satisfies paramet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data output regardless of clock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센싱하는 감지 증폭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외부 클록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에 상기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클록 지연 회로; 및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는 상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의 데이터 유지 시간(Data Hold Time)을 조절한다.The NOR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mory cell; A sense amplifier configured to sense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A data output buffer configured to output data sensed by the sense amplifier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A clock delay circuit that delays an external clock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rovides the clock signal to the data output buffer; And a delay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a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Herein, the data output buffer adjusts a data hold time of the sensed data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실시예로서, 상기 지연 제어 회로는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레이턴시 값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또는 상기 지연 제어 회로는 퓨즈 회로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상기 퓨즈 회로는 레이저 퓨즈이다.In an embodiment, the delay control circuit adjusts the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the latency value stored in the mode register. Alternatively, the delay control circuit adjusts the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use circuit. Here, the fuse circuit is a laser fus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 감지 증폭기(120),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 데이터 출력 버퍼(140), 클록 버퍼(150), 클록 지연 회로(160), 그리고 지연 제어 회로(17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OR flash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NOR flash memory 100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110, a sense amplifier 120, a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a data output buffer 140, a clock buffer 150, and a clock delay circuit. 160, and a delay control circuit 170.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복수의 메모리 셀로 구성된다. 복수의 메모리 셀은 복수의 워드 라인 및 복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메모리 셀은 워드 라인을 통해 워드 라인 전압을 입력받고, 비트 라인을 통해 비트 라인 전압을 입력받는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 증폭기(120)로 내보낸다.The memory cell array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ory cells. The plurality of memory cell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ord lines and the plurality of bit lines. Each memory cell receives a word line voltage through a word line and a bit line voltage through a bit line. The memory cell array 110 sends the data stored in the selected memory cell to the sense amplifie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감지 증폭기(120)는 선택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 증폭한다. 일반적으로 감지 증폭기(120)는 읽기 동작 시에 센싱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여기에서, 기준 전압은 기준 전압 발생회로(미도시)로부터 제공된다. 감지 증폭기(140)는 전원 전압(Vcc) 또는 접지 전압(Vss)을 사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감지 증폭기(120)는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의 제어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버퍼(140)로 내보낸다.The sense amplifier 120 senses and amplifies data stored in the selected memory cell. In general, the sense amplifier 120 compares the sensing voltage and the reference voltage during a read operation. Here, the reference voltage is provided from a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not shown). The sense amplifier 140 performs a sensing operation us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or the ground voltage Vss. The sense amplifier 120 sends the sensed data to the data output buffer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의 읽기 동작을 제어한다.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는 내부 클록 신호(CLKi)에 응답하여 읽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내부 클록 신호(CLKi)는 클록 버퍼(150)로부터 제공된다. 클록 버퍼(150)는 외부 클록 신호(CLKx)를 버퍼링하고, 내부 클록 신호(CLKi)를 발생한다. 데이터 출력 제어 회로(130)는 어드 레스 버퍼, 어드레스 디코더 등 데이터 출력에 관계되는 모든 회로를 포함한다.The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controls the read operation of the NOR flash memory 100. The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outputs various control signals for performing a read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i. Here,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i is provided from the clock buffer 150. The clock buffer 150 buffers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x and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CLKi. The data output control circuit 130 includes all circuits related to data output, such as an address buffer and an address decoder.

데이터 출력 버퍼(140)는 읽기 동작 시에 감지 증폭기(120)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 버퍼(140)는 클록 신호(CLKd)에 동기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클록 신호(CLKd)는 내부 클록 신호(CLKi)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한 지연 클록 신호이다. 지연 클록 신호(CLKd)는 클록 지연 회로(160)로부터 제공된다.The data output buffer 140 outputs data sensed by the sense amplifier 120 in a read operation. The data output buffer 140 outputs sensed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signal CLKd. The clock signal CLKd is a delayed clock signal obtained by delay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i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lay clock signal CLKd is provided from the clock delay circuit 160.

클록 지연 회로(160)는 내부 클록 신호(CLKi)를 입력받고, 소정 시간 동안 지연한다. 여기에서, 클록 지연 회로(160)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연 소자(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클록 지연 회로(160)의 지연 시간은 지연 제어 회로(170)에 의해 조절된다. The clock delay circuit 160 receives the internal clock signal CLKi and delays it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clock delay circuit 160 is comprised of at least one or more delay elements (not shown). The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160 is adjusted by the delay control circuit 170.

지연 제어 회로(17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연 제어 회로(170)는 모드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레이턴시 값에 따라 지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지연 제어 회로(170)는 퓨즈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지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퓨즈 회로에는 클록 지연 회로(160)의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퓨즈 회로는 전자 퓨즈(electrical fuse), 레이저 퓨즈(laser fuse) 등을 포함한다.The delay control circuit 17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elay control circuit 170 may adjust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latency value stored in the mode register (not shown). Alternatively, the delay control circuit 170 may adjust the delay time using a fuse circuit (not shown). The fuse circui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160. Here, the fuse circuit includes an electronic fuse, a laser fuse, and the lik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의 동작 특성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3(a)는 고주파수(High Frequency; HF)에서 고주파수 파라미터 특성을 갖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보여준다. 클록 주파수가 133MHz라고 하면,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H))은 최대 6nS이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H))은 최소 1.5nS이다. 도 3(b)는 저주파수(Low Frequency; LF)에서 저주파수 파라미터 특성을 갖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보여준다. 클록 주파수가 66MHz라고 하면,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L))은 최대 11nS이고, 데이터 유지 시간(tBDH(L))은 최소 4nS이다. 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NOR flash memory 100 illustrated in FIG. 2. FIG. 3A shows a data output of a NOR flash memory having high frequency parameter characteristics at high frequency (HF). If the clock frequency is 133 MHz, the burst access time tBA (H) is 6 nS at maximum, and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H) is at least 1.5 nS. 3 (b) shows a data output of a NOR flash memory having low frequency parameter characteristics at a low frequency (LF). If the clock frequency is 66 MHz, the burst access time tBA (L) is at most 11 nS and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L) is at least 4 nS.

도 3(c)는 저주파수(LF)에서 고주파수 파라미터 특성을 갖는 종래의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보여준다. 저주파수(66MHz)에서 노어 플래시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최대 11nS의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L))과 최소 4nS의 데이터 유지 시간(tBDH(L))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2(c)를 참조하면, 종래의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6nS의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H))과 1.5nS의 데이터 유지 시간(tBDH(H))을 갖는다. 따라서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H))은 11nS보다 작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데이터 유지 시간(tBDH(H))은 4nS보다 작기 때문에 허용 범위를 벗어난다. 즉, 데이터 유지 시간(tBDH(H))이 최소 4nS 이상이 되어야 하는 데, 실제 1.5nS에 불과하기 때문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3 (c) shows a data output of a conventional NOR flash memory having high frequency parameter characteristics at low frequency LF. For low frequency (66MHz) normal operation of NOR flash memory, up to 11nS burst access time (tBA (L)) and at least 4nS data retention time (tBDH (L)) must be guaranteed. However, referring to FIG. 2C, the conventional NOR flash memory has a burst access time tBA (H) of 6 nS and a data retention time tBDH (H) of 1.5 nS.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burst access time tBA (H) is less than 11 nS, but the data holding time tBDH (H) is less than 4 nS, which is outside the allowable range. That is,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H) should be at least 4 nS or more, but malfunction may occur because it is only 1.5 nS.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보여준다. 도 3(d)는 저주파수(LF)에서 고주파수 파라미터 특성을 갖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을 보여준다. 도 2 및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3 (d) shows the data output of the NOR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d) shows the data output of the NOR flash memory having high frequency parameter characteristics at low frequency LF.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d), the operation of the NOR flash mem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d)에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에 제공되는 외부 클록 신호(CLKx)와 데이터 출력 버퍼(140)에 제공되는 지연 클록 신호(CLKd)가 도시되어 있다. 지연 클록 신호(CLKd)는 외부 클록 신호(CLKx)를 소정 지연 시간(tD)만큼 지연한 것이다. 소정 지연 시간(tD)은 지연 제어 회로(170)에 의해 조절된다. 데이터는 지연 클록 신호(CLKd)에 동기하여 출력된다. 즉, 지연 클록 신호(CLKd)의 제 1 상승 천이 시점으로부터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H))이 지난 다음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지연 클록 신호(CLKd)의 제 2 상승 천이 시점으로부터 데이터 유지 시간(tBDH(H))까지 데이터를 유지한다.3D illustrates an external clock signal CLKx provided to the NOR flash memory 100 and a delayed clock signal CLKd provided to the data output buffer 140. The delay clock signal CLKd is a delay of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x by a predetermined delay time tD.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tD is adjusted by the delay control circuit 170. The data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lay clock signal CLKd. That is, data is output after the burst access time tBA (H) has passed from the first rising transition time point of the delay clock signal CLKd. The data is held from the second rising transition point of the delay clock signal CLKd to the data holding time tBDH (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주파수(66MHz)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최대 11nS의 버스트 액세스 시간(tBA(L))과 최소 4nS의 데이터 유지 시간(tBDH(L))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는 지연 시간(tD)을 조절하면, 데이터 유지 시간(tBDH(L))이 4nS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100)는 클록 주파수에 관계없이 데이터 출력에 관계되는 파라미터 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R flash mem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rate normally at a low frequency (66 MHz), a burst access time tBA (L) of up to 11 nS and a data holding time tBDH (at least 4 nS) L)) shall be guaranteed. As shown in FIG. 3 (d), when the delay time tD is adjusted in the NOR flash mem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tention time tBDH (L) may be 4 nS or more. Therefore, the NOR flash mem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atisfy all paramet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data output regardless of a clock frequenc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클록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클록 주파수에 관계없이 데이터 출력에 관계되는 파라미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The NOR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a delay time of a clock signal to satisfy paramet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data output regardless of a clock frequency.

Claims (4)

메모리 셀;Memory cells;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센싱하는 감지 증폭기;A sense amplifier configured to sense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A data output buffer configured to output data sensed by the sense amplifier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외부 클록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에 상기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클록 지연 회로; 및A clock delay circuit that delays an external clock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rovides the clock signal to the data output buffer; And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A delay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a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a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는 상기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된 데이터의 데이터 유지 시간(Data Hold Time)을 조절하고, 상기 지연 제어 회로는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레이턴시 값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The data output buffer adjusts a data hold time of the sensed data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and the delay control circuit adjusts a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a latency value stored in a mode register. NOR flash memor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연 제어 회로는 퓨즈 회로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클록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And the delay control circuit adjusts a delay time of the clock delay circuit according to information stored in a fuse circu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퓨즈 회로는 레이저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The fuse circuit is a NOR flash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aser fuse.
KR1020060015232A 2006-02-16 2006-02-16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KR100732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32A KR100732634B1 (en) 2006-02-16 2006-02-16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32A KR100732634B1 (en) 2006-02-16 2006-02-16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634B1 true KR100732634B1 (en) 2007-06-27

Family

ID=3837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32A KR100732634B1 (en) 2006-02-16 2006-02-16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634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1999-11942, KR10-1999-82982, KR10-2001-92256, US06011749, US06377511, US06757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991B2 (en) Non-volatile memory
KR1013670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n operating parameter of an integrated circuit
JP5156932B2 (en) Signal timing reconstruction in integrated circuits.
US7675350B2 (en) VPP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stable VPP voltage
JPH04132088A (en)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element and eeprom
US7391648B2 (en) Low voltage sense amplifier for operation under a reduced bit line bias voltage
JP2008192232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496660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30014359A (en) Wordline driver for flash memory read mode
KR10068490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on die termination circuit and on die termination method thereof
US7193910B2 (en) Adjustable timing circuit of an integrated circuit
JP2001028192A (en) Flash memory device
JP200814043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598022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51547B1 (en) Flash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program characteristics
KR100732634B1 (en) Nor flash memory controlling data hold time according to clock frequency
KR100735011B1 (en) Nor flash memory and read method thereof
US9070433B1 (en) SRAM supply voltage global bitline precharge pulse
US7741892B2 (en) Data output controller
US9508412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11823735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6190484A (en) Nonvolatile memory
KR100751660B1 (en) Precharge control signal generator of a flash memory device for guaranteeing stable operation of page buffer circuit
US20100027344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9105760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