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091B1 -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 Google Patents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091B1
KR100729091B1 KR1020050116229A KR20050116229A KR100729091B1 KR 100729091 B1 KR100729091 B1 KR 100729091B1 KR 1020050116229 A KR1020050116229 A KR 1020050116229A KR 20050116229 A KR20050116229 A KR 20050116229A KR 100729091 B1 KR100729091 B1 KR 10072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m correction
rom
correction data
progra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043A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1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0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4Updates u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alterable solid state memories, e.g. for EEPROM or flash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3Storage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메인 PCB에서 EEPROM을 분리하여 수정할 데이터를 기록한 후 다시 시스템을 결합해야 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에서 수정하고자하는 프로그램의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이를 제 1 저장 수단의 해당 영역에 기록한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시스템의 온 시점에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의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시키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를 이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롬 커렉션(ROM Correction), GUI(Graphic User Interface), EEPROM, RAM, 콤보 시스템

Description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ROM CORRECTION METHOD OF COMBO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 GUI 제공 장치 102a : 키 입력 수단
104a : GUI 제어 수단 106a : 표시 수단
108a : 데이터 송신 수단 100 : 콤보 시스템
102 : 데이터 수신 수단 104 : 제 1 저장 수단
106 : 제 2 저장 수단
본 발명은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ROM Correc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보 시스템에서 다수의 프로그램의 마스킹 이후에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는데 적합한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을 간략하게 콤보 시스템(Combo System) 또는 콤보(Combo)라고 한다. 이러한 콤보 시스템의 일 예로서, DVDP 와 VCR이 결합된 DVD/VCR 콤보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콤보 시스템은, 일반적인 VCR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DVD에 기록된 영상과 음향을 재생하는 기능과 같은 일반적인 DVD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VCR 또는 DVDP의 독립적인 기능 외에도 각각에서 재생한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상호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콤보 시스템에는 VCR 또는 DVDP에서 재생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주변장치로서 TV 등이 연결되거나, 재생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주변장치로서 오디오 앰프 등이 연결되거나, 또는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콤보 시스템은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향을 VCR 또는 DVDP를 통해 자기테이프 또는 광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콤보 시스템에 다수의 프로그램을 마스킹한 이후에 임의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 EEPROM이 시스템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메인 PCB를 분리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및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 등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경우 해당 시스템에 대한 분리 작업, 기록 작업, 재결합 작업 등의 과정이 필요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수정 작업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콤보 시스템에서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송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롬 커렉션(ROM Correction) 방법으로서, 수정하고자하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GUI를 통해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의 제 1 저장 수단의 해당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의 온 시점에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의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된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메인 PCB에서 EEPROM을 분리하여 수정할 데이터를 기록한 후 다시 시스템을 결합해야 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에서 수정하고자하는 프로그램의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이를 제 1 저장 수단의 해당 영역에 기록한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시스템의 온 시점에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의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시키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콤보 시스템(100) 및 GUI 제공 장치(100a)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콤보 시스템(100)은 펌웨어 수신 수단(102), 제어 수단(104), 제 1 저장 수단(106) 및 제 2 저장 수단(108)을 포함하고, GUI 제공 장치(100b)는 키입력 수단(102a), GUI 제어 수단(104a), 표시 수단(106a) 및 데이터 송신 수단(108a)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GUI 제공 장치(100a)의 키입력 수단(102a)은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을 통해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의 제공을 요청하는 임의의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GUI 제공 키 조작신호를 GUI 제어 수단(104a)으로 제공하고, 이 후 제공된 GUI 데이터 입력 메뉴 화면을 통해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GUI 제어 수단(104a)은 키입력 수단(102a)으로부터 제공되는 GUI 제공 키 조작신호에 따라 GUI 메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표시 수단(106a)으로 제공하고, 이러한 메뉴 화면을 통해 입력된 키에 응답하여 키입력 수단(102a)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데이터(롬 커렉션 데이터)를 GUI 제공 장치(100a) 내 소정 영역에 저장한 상태에서, 키입력 수단(102a)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키 조작신호에 따라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전송 수단(108a)으로 전달하고,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표시 수단(108a)은 예를 들면, LCD 장치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GUI 제어 수단(104a)으로부터 제공되는 GUI 메뉴 화면 제공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도시 생략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에, 데이터 송신 수단(108a)에서는 GUI 제어 수단(104a)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모듈(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적외선 모듈 등)을 이용하여 콤보 시스템(100)의 데이터 수신 수단(102)으로 전송한다.
한편, 콤보 시스템(100)의 데이터 수신 수단(102)은 GUI 제공 장치(100a)의 데이터 송신 수단(108a)과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적외선 모듈 등)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롬 커렉션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제어 수단(104)으로 제공하며, 제어 수단(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롬 커렉션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디코딩 과정을 거쳐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104)은 콤보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수신 수단(102)으로부터 롬 커렉션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제공받아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제어신호와 함께, 디코딩 이후에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펌웨어 수신 수단(102)으로 제공하고, 디코딩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 수단(104)에서는 제 1 저장 수단(106)에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콤보 시스템(100)의 전원을 오프/온(off/on)하여 재부팅하도록 제어하고, 콤보 시스템(100)이 온 되는 시점에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108)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제공하며, 추출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특정 영역에 로드시켜 임의의 프로그램 실행 시 수정하고자 하는 해당 번지에서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 2 저장 수단(108)으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1 저장 수단(106)은 예를 들면, EEPROM 등인 것으로, 펌웨어 수신 수단(102)으로부터 전달되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기록하고, 제어 수단(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108)으로 전달하고, 제 2 저장 수단(108)은 예를 들면, RAM 등인 것으로, 제 1 저장 수단(106)으로부터 전달되는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특정 영역에 로드시켜 임의의 프로그램 수행 시 수정하고자 하는 해당 번지에서 해당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이를 제공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에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이러한 메뉴 화면을 통해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EEPROM의 소정 영역에 저장한 후에 재부팅 후 시스템 온 시에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특정 영역에 로드시키고, 이에 따라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롬 커렉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콤보 시스템(100)의 롬 커렉션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단계202), GUI 제어 수단(104a)에서는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키보드 등을 통해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의 제공을 요청하는 임의의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키입력 수단(102a)으로부터 발생하는 GUI 제공 키 조작신호가 있는지를 체크 한다(단계204).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GUI 제공 키 조작신호가 있을 경우 GUI 제어 수단(104a)에서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표시 수단(106a)으로 제공하고, 표시 수단(106a)에서는 이에 따라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 메뉴 화면을 생성하여 도시 생략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단계206).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한다(단계208).
다음에, 롬 커렉션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GUI 제어 수단(104a)에서는 입력 완료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GUI 제공 장치(100a) 내 소정 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을 통해 이러한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전송 키 조작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210).
상기 단계(210)에서의 체크 결과, 데이터 전송 키 조작신호가 있을 경우 GUI 제어 수단(104a)에서는 소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롬 커렉션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수단(108a)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수단(108a)에서는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100)의 데이터 수신 수단(102)으로 전송한다(단계212).
다음에, 콤보 시스템(100)의 펌웨어 수신 수단(102)에서는 전송되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제어 수단(104)으로 제공하며, 제어 수단(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롬 커렉션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디코딩 과정을 거쳐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전달하면, 제 1 저장 수단(106)에서는 전달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내부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단계214). 여기에서, 제 1 저장 수단(106)은 예를 들어 EEPROM을 의미한다.
그리고, 롬 커넥션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104)에서는 콤보 시스템(100)의 전원을 오프/온(off/on)시킴으로써, 시스템 재부팅을 수행한다(단계216).
이 과정에서, 콤보 시스템(100)이 온 되는 시점에 제어 수단(104)에서는 제 1 저장 수단(106)으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제 1 저장 수단(106)에서는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제 2 저장 수단(108)으로 전달하고, 제 2 저장 수단(108)에서는 전달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특정 영역에 로드시킨다(단계218). 여기에서, 제 2 저장 수단(108)은 예를 들어 RAM을 의미한다.
이어서, 제어 수단(104)에서는 임의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롬 커렉션 데이터가 있는 해당 번지에서 제 2 저장 수단(108)의 특정 영역에 로드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단계220).
따라서,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에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 한 G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에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메인 PCB에서 EEPROM을 분리하여 수정할 데이터를 기록한 후 다시 시스템을 결합해야 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에서 수정하고자하는 프로그램의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콤보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이를 제 1 저장 수단의 해당 영역에 기록한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시스템의 온 시점에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의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시키며, 이러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를 이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롬 커렉션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장치를 통해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롬 커렉션 과정에서 소용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롬 커렉션(ROM Correction) 방법으로서,
    수정하고자하는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GUI를 통해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롬 커렉션 데이터를 상기 시스템의 제 1 저장 수단의 해당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의 온 시점에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저장 수단의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임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롬 커렉션 영역에 로드된 상기 롬 커렉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 수단은, EEP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 렉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 수단은, 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에서의 롬 커렉션 데이터는, 수정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해당 번지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KR1020050116229A 2005-12-01 2005-12-01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KR100729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229A KR100729091B1 (ko) 2005-12-01 2005-12-01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229A KR100729091B1 (ko) 2005-12-01 2005-12-01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043A KR20070058043A (ko) 2007-06-07
KR100729091B1 true KR100729091B1 (ko) 2007-06-14

Family

ID=3835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229A KR100729091B1 (ko) 2005-12-01 2005-12-01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0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540A (ko) * 2002-10-21 2004-04-28 피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로 부터 펌웨어의 신뢰성 있고안전한 업데이트와 복구
KR20190000980U (ko) * 2017-10-18 2019-04-26 조현제 복합 기능을 가진 목걸이용 부력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540A (ko) * 2002-10-21 2004-04-28 피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로 부터 펌웨어의 신뢰성 있고안전한 업데이트와 복구
KR20190000980U (ko) * 2017-10-18 2019-04-26 조현제 복합 기능을 가진 목걸이용 부력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043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981B2 (en) Operational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device, method of operating display control device, and system
US2008029737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ed apparatus searching method
CN101146199B (zh) 视频信息处理设备、视频信息处理方法
US2013017404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24726A (ko) 호스트 디바이스 및 액세서리에 의한 원격 제어 신호 학습 및 처리
JP5458894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9408A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83039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US20190289250A1 (en) Reproduction device and output device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JP2008294498A (ja) 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
JP4578831B2 (ja) 映像信号及び/または音声信号を記録/再生でき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KR100729091B1 (ko)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US11006070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therefor
US8902243B2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method
US8463754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log output method
CN110266915B (zh) 一种安卓设备上控制视频采集内容的方法和装置
KR100769898B1 (ko) 직접 연결된 외부기기를 통합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0729090B1 (ko) 콤보 시스템의 롬 커렉션 방법
KR20080055359A (ko) 멀티미디어 복합형 디스플레이 모니터장치
JP2005073127A (ja) 接続切り替え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3267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장치의 선택적 기능수행방법
KR20090008046A (ko) 프로그램 복원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2008017097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入力端子のラベル設定方法
KR2010002570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