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861B1 -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861B1
KR100728861B1 KR1020050103256A KR20050103256A KR100728861B1 KR 100728861 B1 KR100728861 B1 KR 100728861B1 KR 1020050103256 A KR1020050103256 A KR 1020050103256A KR 20050103256 A KR20050103256 A KR 20050103256A KR 100728861 B1 KR100728861 B1 KR 10072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earch
information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487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102005010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8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실종을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지문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하고 대용량의 분배서버를 통해 동시 병렬 검색을 실시하여 수초 이내에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은,
지문을 이용하여 미아를 찾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독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종 서버 및 데이터처리장치(1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문정보처리장치(110)와;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지문스캔부에 입력된 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아의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각종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데이터처리장치(120)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120)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 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와,
신고된 미아의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등록서버(130)와;
상기 등록서버(130) 전체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를 탐색하여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분배서버(140)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130)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는 검색서버(150)와;
상기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관리용클라이언트(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미아가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자신 및 보호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객관적 정보인 지문 정보와 분배 서버의 효율적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바탕으로 한 정확하고 신속한 미아검색을 처리할 수 있으며, 미아 정보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검색으로 장기 미아 발생 방지 및 지속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미아찾기, 지문, 생체정보, 분배서버.

Description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Missing Seek System use of Fingerprint}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시스템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서비스중 등록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서비스중 조회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지문정보처리장치 120 : 데이터처리장치
130 : 등록서버 131 :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
132 :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 133 :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
140 : 분배서버 141 : 넷핸들러
142 : 프로토콜핸들러 143 : 시큐리티필터
144 : 명령객체 145 : 데이터객체
146 : 검색핸들러 147 : 데이터접근로직
148 : 로그컴포넌트모듈 150 : 검색서버
160 : 관리용클라이언트 170 : 웹서버
200 : 통신망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실종을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지문 및 상세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하고 대용량의 분배서버를 통해 동시 병렬 검색을 실시하여 수초 이내에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아와 같이 인지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실종될 경우에, 미아보호소나 기타 보호시설에서 보호를 받게 되는데,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를 잃어버린 보호자나 유아를 보호하는 사람의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에 대한 특징에 대한 진술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관련기관과 보호시설간의 정보공유 미흡과 자료에 대한 전산화 미비에 따른 문제점이 많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종되었을 경우에 예를 들어, 우유팩, 신문, 전단지 홍보 및 실종자 보호자가 직접 보호시설을 방문하여 확 인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또한, 미아 관리 카드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관리가 부족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지속적 미아 관리가 미흡하였다.
즉, 미아 발생시 신고 접수이외에는 능동적인 대처방안이 전무한 형편이다.
한편, 실종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따른 관련기관들의 데이터베이스 용량이 많아지게 되며 해당하는 실종자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관의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데이터 처리 속도 또한 느려지게 되어 데이터 검색시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아의 생체 정보인 지문을 통해 자신 및 보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아 찾기의 특성상 발생된 미아의 성별을 알 수 있고, 빠르고 정확한 탐색을 위한 분배서버를 구성하여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만을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성별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함으로써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은,
지문을 이용하여 미아를 찾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독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종 서버 및 데이터처리장치(1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문정보처리장치와;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지문스캔부에 입력된 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아의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각종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와,
신고된 미아의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 하는 등록서버부와;
상기 등록서버부 전체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를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와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분배서버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는 검색서버와;
상기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관리용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미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서버는,
전송되는 정보들을 입력 및 출력을 구분하여 이들 정보를 목적에 맞게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던지 입력된 정보를 처리해 줄 다른 모듈로 보내며 암호화된 통신패킷을 복호화하는 넷핸들러와,
등록 및 검색의 과정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프로토콜핸들러와,
등록이나 검색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의 입력 및 출력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은 등록자나 검색자의 보안 범위에 따라 한정된 정보만을 이용하게 하며, 보안 등급에 따라 정보를 차단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는 시큐리티필터와,
시스템 내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동작들의 명령을 정해놓고 명령에 따른 프 로세스를 정의해 놓은 명령객체와,
상기 명령객체에 따른 과정에서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데이터객체와,
상기 블레이드 구성된 검색서버들 사이의 검색 접근을 관리하는 검색핸들러와,
상기 시큐리티필터와 상기 데이터객체에 따른 데이터 접근 방법을 관리하며, 보안 등급과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데이터접근로직과,
미아를 찾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행위의 기록을 행위자와 함께 남김으로써 사고 발생시 대처가 용이하거나 수습을 쉽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컴포넌트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문독출부는,
저장된 지문을 통해 지문인식 테스트를 진행하며, 빠른 인식속도를 위해 1:N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와 상기 각 서버들은 인터넷망에 의해 실시간 데이터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문을 이용하여 미아를 찾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독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종 서버 및 데이터처리장치(1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문정보처리장치(110)와;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지문스캔부에 입력된 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아의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각종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데이터처리장치(120)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와,
신고된 미아의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등록서버(130)와;
상기 등록서버 전체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를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와 여아 등록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분배서버(140)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는 검색서버(150)와;
상기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관리용클라이언트(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미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는 유아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독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종 서버 및 데이터처리장치(1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지문의 형태를 감지하는 방법은 크게 광학식과 반도체식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본 발명은 광학식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광학방식에 따른 지문 인식기술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대략적으로 설명하자면 광학방식은 강한 빛을 플래이튼에 쏘아 플래이튼에 얹혀진 손 끝의 지문 형태를 반사하게 되고 이 반사된 지문 이미지는 고굴절 렌즈를 통과하여 카메라에 입력된다. 이때 입력된 지문 이미지를 특수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디지털화하여 저장하는 방식이다.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는 데이터처리장치(120)와 소정의 접속케이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PC)의 프린터 접속 케이블과 같은 직렬 통신 케이블, 즉 RS232C에 의해 접속되거나 기타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택하여 접속하게 된다.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와 접속되는 데이터처리장치(120)는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지문스캔부에 입력된 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아의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각종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문독출부는,
저장된 지문을 통해 지문인식 테스트를 진행하며, 빠른 인식속도를 위해 1:N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와 상기 각 서버들은 인터넷망에 의해 실시간 데이터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데이터처리장치(120)는 신규 회원 가입을 원하는 보호자 및 유아의 신상정보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작성 입력하며, 입력된 상기 신상정보와 지문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망(200), 예를 들면 인터넷, 공중전화망(PSTN) 또는 전용선망을 통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등록서버(130)에 제공한다.
상기 등록서버(130)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120)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120)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와,
신고된 미아의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등록서버(130)는 신상정보 데이터와 지문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암호화하여 등록 저장한다. 상기 암호화 기술은 SSL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SSL 암호화 기법은 이미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망(200)에 의해 상기 서술한 서버들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110)는 지역별로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관공서 및 미아보호시설 등에도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상기 분배서버(140)는 등록서버(130) 전체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를 탐색하여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검색서버(150)는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조건 검색으로 매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건 검색 부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아이 이름, 보호자이름, 미아 연령 대, 남아/여아, 쌍거풀 유/무, 곱슬머리 유/무, 기타 얼굴 특징, 치매노인, 정신지체, 지문검색, 얼굴검색등의 조건 검색 부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핵심 서버로써,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2를 참조하여 다시 언급하도록 하겠다.
상기 검색서버(150)는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130)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게 된다. 블레이드 서버 구성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구체적인 서술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관리용클라이언트(160) 상기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웹서버(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미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시스템구조도이다.
도2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1에서 설명하지 않은 분배서버(140)에 대해 언급하도록 하겠다.
상기 분배서버(140)는,
전송되는 정보들을 입력 및 출력을 구분하여 이들 정보를 목적에 맞게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던지 입력된 정보를 처리해 줄 다른 모듈로 보내며 암호화된 통신 패킷을 복호화하는 넷핸들러(141)와,
등록 및 검색의 과정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프로토콜핸들러(142)와,
등록이나 검색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의 입력 및 출력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은 등록자나 검색자의 보안 범위에 따라 한정된 정보만을 이용하게 하며, 보안 등급에 따라 정보를 차단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는 시큐리티필터(143)와,
시스템 내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동작들의 명령을 정해놓고 명령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의해 놓은 명령객체(144)와,
상기 명령객체에 따른 과정에서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데이터객체(145)와,
상기 블레이드 구성된 검색서버들 사이의 검색 접근을 관리하는 검색핸들러(146)와,
상기 시큐리티필터와 상기 데이터객체에 따른 데이터 접근 방법을 관리하며, 보안 등급과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데이터접근로직(147)과,
미아를 찾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행위의 기록을 행위자와 함께 남김으로써 사고 발생시 대처가 용이하거나 수습을 쉽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컴포넌트모듈(14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미아 찾기는 빠른 시간 내에 발생 미아의 신원을 찾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생체정보인 지문을 사용하여 신원을 확인한다. 다만, 기존 생체인식 기술은 1:1인증이나, 1:N 인증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미아찾기의 특성상 발생된 미아의 성별을 알 수 있고, 빠르고 정확한 탐색을 위해 분배 서버를 사용한다. 즉,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필요 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만을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다음 과정으로 성별 데이터베이스만을 탐색함으로써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넷핸들러(141)는 기본적으로 통신상으로 입력/출력되는 정보들을 처리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즉, 전송되는 정보들을 입력/출력으로 구분하여 이들 정보를 목적에 맞게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던지 입력된 정보를 처리해 줄 다른 모듈로 보내며 암호화된 통신패킷을 복호화하는 과정까지 담당하게 된다.
상기 프로토콜핸들러(142)는 통신프로그램으로써, 여러가지 프로코콜을 가지고 있으며, 본 서버에서는 등록, 검색 등의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많은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기인 프로토콜핸들러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시큐리티필터(143)는 등록이나 검색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들이 입력/출력이 되는 상태에서 부모 및 아이의 개인정보와 생체정보등이 입력되거나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들은 등록자나 검색자의 보안 정책에 따라 한정된 정보만을 이용하게 하여야 하며, 시큐리티필터(143)는 보안 등급에 따라 정보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명령객체(144)는 시스템 내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동작들의 명령을 정 해놓고 명령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의해 놓은 객체로서 등록의 경우, 등록 명령이 들어오면 먼저 아이의 사진, 인적사항, 부모의 이름 등의 정보를 먼저 입력 받은 후 추가적으로 등록할 아이의 유무에 따른 처리, 아이 등록 후 부모의 개인정보를 등록해야 하는 과정 등의 처리등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등록, 수정, 삭제, 검색등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데이터객체(145)는 명령 객체에 따른 과정에서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담당하게 된다. 즉 등록시, 입력된 사진 및 개인정보와 생체 정보등을 저장하면서 기본적 정보의 유무와 어느 검색서버(150)에 해당 정보들을 저장하는지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관리하는 객체인 것이다.
상기 검색핸들러(146)는 블레이드 구성된 검색서버들 사이의 검색 접근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성별에 따른 검색과 미아로 분류된 검색으로 나뉘게 되며, 이렇게 검색 방법을 분류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검색 명령이 들어오더라도 빠른 검색과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접근로직(147)은 상기 시큐리티필터(143)와 상기 데이터객체(145)에 따른 데이터 접근 방법을 관리하며, 보안 등급과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로그컴포넌트모듈(148)은 미아찾기 서버는 상당히 중요한 개인정보와 생체정보들 다루게 되며, 이런 중요한 정보를 다룸에 있어 발생하는 행위에 대한 기록을 남길 필요성이 있으며, 로그 컴포넌트 모듈에서는 모든 행위의 기록을 행위자와 함께 남김으로서 사고 발생시 대처가 용이하거나 수습이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서비스중 등록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처리장치(120)는 신규 회원 가입을 원하는 보호자 및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시하면 입력부를 통해 작성 입력하며, 입력된 상기 신상정보와 지문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망(200)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등록서버(130)에 제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의 서비스중 조회 화면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관공서나 경찰서에 비치된 지문정보처리장치(110)에 미아의 지문을 스캔하게 되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검색서버에 등록된 지문데이터를 조회하게 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지문 등록 및 비교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지문인증 기술로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는데 두번의 지문 등록 후 저장된 지문을 통해 지문인식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지문 검색서버의 지문 검색 기술로는 지문 데이터만으로 기 등록된 지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문 소유자를 찾아내는 지문 검색 솔루션(1:N)인 Safe BSS(Biometric Search Suite)을 사용한다.
상기 BSS(Biometric Search Suite)는 인덱싱 기반의 검색 기술을 채용하여 순차비교 또는 분류 방식 지문 검색 기술에 비해 검색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장 점이 있다. 즉, 평균적인 PC 서버 환경(2GHZ)에서 1만 사용자(2만 지문 템플리트)를 검색할 경우 0.85초 이내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검색 대상에 대한 보안 레벨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보안 레벨을 증가시킬 경우 타인 검색율 0%에 근접하게 된다.한편, 본 발명의 분배 서버의 분배 컴포넌트를 통한 분산 검색 환경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문검색 알고리즘으로 (1:N) 알고리즘은 인덱스 방식으로 검색 대상이 데이터베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으며, 검색 시간은 데이터베이스 크기에 비례하지 않아 대용량 데이터 검색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미아의 생체 정보인 지문을 통해 자신 및 보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아 찾기의 특성상 발생된 미아의 성별을 알 수 있고, 빠르고 정확한 탐색을 위한 분배 서버를 구성하여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만을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성별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함으로써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은,
미아가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자신 및 보호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객관적 정보인 지문 정보와 분배 서버의 효율적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바탕으로 한 정확하고 신속한 미아검색을 처리할 수 있으며, 미아 정보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검색으로 장기 미아 발생 방지 및 지속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지문을 이용하여 미아를 찾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스캔부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입력받은 지문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지문독출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종 서버 및 데이터처리장치(1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문정보처리장치(110)와;
    유아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 및 지문스캔부에 입력된 정보를 화면으로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아의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각종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데이터처리장치(120)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120)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신상정보와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을 등록저장하는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와,
    신고된 미아의 정보를 등록저장하는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등록서버(130)와;
    상기 등록서버(130) 전체를 탐색할 필요없이 미아 발생으로 등록된 미아등록데이터베이스(133)를 먼저 탐색하고, 탐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남아등록데이터베이스(131)와 여아등록데이터베이스(132)를 탐색하여 검색 시간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분배서버(140)와;
    상기 지문스캔부를 통해 스캔된 지문데이터와 상기 등록서버(130)에 저장된 지문데이터를 검색하며,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 구성을 하는 검색서버(150)와;
    상기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관리용클라이언트(160)와;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미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서버(140)는,
    전송되는 정보들을 입력 및 출력을 구분하여 이들 정보를 목적에 맞게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던지 입력된 정보를 처리해 줄 다른 모듈로 보내며 암호화된 통신패킷을 복호화하는 넷핸들러(141)와,
    등록 및 검색의 과정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프로토콜핸들러(142)와,
    등록이나 검색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의 입력 및 출력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은 등록자나 검색자의 보안 범위에 따라 한정된 정보만을 이용하게 하며, 보안 등급에 따라 정보를 차단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는 시큐리티필터(143)와,
    시스템 내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동작들의 명령을 정해놓고 명령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의해 놓은 명령객체(144)와,
    상기 명령객체에 따른 과정에서 각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데이터객체(145)와,
    상기 블레이드 구성된 검색서버들 사이의 검색 접근을 관리하는 검색핸들러(146)와,
    상기 시큐리티필터와 상기 데이터객체에 따른 데이터 접근 방법을 관리하며, 보안 등급과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데이터접근로직(147)과,
    미아를 찾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행위의 기록을 행위자와 함께 남김으로써 사고 발생시 대처가 용이하거나 수습을 쉽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컴포넌트모듈(14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독출부는,
    저장된 지문을 통해 지문인식 테스트를 진행하며, 빠른 인식속도를 위해 1:N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정보처리장치(110)와 상기 각 서버들은 인터넷망에 의해 실시간 데이터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서버(150)는 지문 데이터만으로 기 등록된 지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문 소유자를 찾아내는 Safe BSS(Biometric Search Suit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KR1020050103256A 2005-10-31 2005-10-31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KR10072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56A KR100728861B1 (ko) 2005-10-31 2005-10-31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56A KR100728861B1 (ko) 2005-10-31 2005-10-31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487A KR20070046487A (ko) 2007-05-03
KR100728861B1 true KR100728861B1 (ko) 2007-06-15

Family

ID=3827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56A KR100728861B1 (ko) 2005-10-31 2005-10-31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85A (ko) 2021-03-16 2022-09-23 임승현 의류 qr코드를 이용한 노약자 실종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2825A1 (en) * 2009-06-05 2010-12-09 Camp Tad 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issing person
KR20160100740A (ko) 2015-02-16 2016-08-24 김진화 미아 위치 추적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54A (ko) * 2000-05-03 2000-08-05 여현승 인터넷을 이용한 미아신원확인시스템
KR20020029441A (ko) * 2000-08-21 2002-04-19 김영민 분산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54A (ko) * 2000-05-03 2000-08-05 여현승 인터넷을 이용한 미아신원확인시스템
KR20020029441A (ko) * 2000-08-21 2002-04-19 김영민 분산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85A (ko) 2021-03-16 2022-09-23 임승현 의류 qr코드를 이용한 노약자 실종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487A (ko)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126B2 (e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606988B2 (en) Security device, methods, and systems for continuous authentication
JP6887028B2 (ja) ドアアクセス制御方法、ドアアクセス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6911154B2 (ja) 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プログラムならびに媒体
US10897461B2 (en) Pharmacy database access methods and systems
US20140282965A1 (en) Ongoing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with Network Access Device
US20140283059A1 (en) Continuous Monitoring of Computer User and Computer Activities
CN105975826A (zh) 一种企业经济管理信息安全系统
US926890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data management using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RDBMS)
US11514714B1 (en) Enhanced storage and data retrieval for face-related data
Rahmatulloh et al. Web services to overcome interoperability in fingerprint-based attendance system
CN112767586A (zh) 通行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u Integrated technologies of blockchain and biometric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library management
KR100728861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WO2020072794A1 (en) Digitized test management center
KR20220120853A (ko) 보안구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885994B (zh) 一种离线身份认证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901824B1 (ja) 顔認証システム及び顔認証プログラム
Bock Identity Management with Biometrics: Explore the latest innovative solutions to provide secur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CN109885993A (zh) 一种身份认证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03014B1 (ko)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US20210216755A1 (en) Face authentication system and face authentication method
CN111259359A (zh) 基于社区的指纹管理方法及系统、社区服务器、存储介质
RU27863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US11743252B2 (en) Security workflows to mitigate vulnerabilities in biometr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