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298B1 -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298B1
KR100728298B1 KR1020060008591A KR20060008591A KR100728298B1 KR 100728298 B1 KR100728298 B1 KR 100728298B1 KR 1020060008591 A KR1020060008591 A KR 1020060008591A KR 20060008591 A KR20060008591 A KR 20060008591A KR 100728298 B1 KR100728298 B1 KR 10072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lan
lock
terminal
wireless lan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내장된 무선랜 잠금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무선랜 단말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하도록 하고, 무선랜 잠금 장치가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허용한 무선랜 단말을 인증함에 있어서, 무선랜 인증과 더불어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인증을 인증하도록 하고, 잠금 장치가 동작할 때마다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정보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고, 해당 동작 영상 및 해당 동작을 수행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자 컴퓨터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A LOCK WHICH USES THE WIRELESS L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MAC 주소 인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사용자 관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제공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랜 잠금장치 200 : 무선랜 단말
300 : 카메라 400 : 컴퓨터 단말
500 : SMS 서버 600 : 이동 단말
본 발명은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 동안 무선 근거리 통신(Wireless LAN: 이하, 무선랜)의 전송 속도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였다.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여전히 낮은 처리능력(Throughput)을 보이는 반면, 무선랜은 54Mbps의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광 대역폭과 저 비용의 특성을 가지는 무선랜은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무선랜을 위한 표준으로는 IEEE 802.11이 있는데, 초기 버전인 802.11은 2Mbps의 최고 속도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적외선 신호나 ISM 대역인 2.4GHz 대역 전파를 사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여러 기기가 함께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기술을 사용한다.
802.11b는 802.11 규격을 기반으로 더욱 발전시킨 기술로, 최고 전송속도는 11Mbps이나 실제로는 CSMA/CA 기술의 구현 과정에서 6-7Mbps 정도의 효율을 나타내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번째로 등장한 전송 방식인 802.11a는 5G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는 규격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해 최고 54Mbps까지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5GHz 대역은 2.4GHz 대역에 비해 다른 통신기기(무선 전화기, 블루투스(Bluetooth 기기 등)와의 간섭이 적고, 더 넓은 전파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호의 특성상 장애물이나 도심 건물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고, 2.4GHz 대역에서 54Mbps 속도를 지원하는 802.11g 규격이 등장하면서 현재는 널리 쓰이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등장한 802.11g는 802.11a 규격과 동일한 전송 방식과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규격으로, 단지 2.4GHz 대역 전파를 사용한다는 점만 다르다. 802.11g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802.11b로의 하위 호환성을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2401MHz - 2483MHz이고, 전 대역은 총 113개로 나뉘어 채널 할당이 이루어진다. 총 13 개의 채널의 중심 주파수는 2412MHz를 시작으로 5MHz 간격을 두고 구분된다. 하나의 채널은 대략 22MHz의 대역폭을 차지하기 때문에 중심주파수의 간격이 충분히 떨어져 있지 않은 채널 사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문, 창문 등과 같은 개폐 장치에는 개폐 장치를 잠글 수 있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장치는 타인으로부터 개인의 재산은 물론 신체의 안전을 보호받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이다.
현재 잠금장치는 직접 열쇠를 사용하는 수동 방식, 디지털 방식, 지문 방식, 생체인식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간접적으로도 잠금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은, 상기 무선랜을 통해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랜 단말; 기계적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상기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제공되면, 해당 무선랜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한 후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무선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과의 무선랜 인증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랜 단말을 접속시키고,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제어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고,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 장치는,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면,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사용자 ID에 따라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을 구별한 제어 가능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접속된 시간이 상기 제어 가능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한다.
상기 무선랜 단말은, 상기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로부터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랜 잠금 장치의 현재 잠금 상태 요청, 임의 시간의 잠금 상태 요청 및 잠금 상태 내역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무선랜 잠금 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상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은, 상기 무선랜을 통해 상기 무선랜 잠 금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의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수행 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저장시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개폐 장치가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되면,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제공한다.
그리고,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은, 유선랜 망으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들을 관리하는 관리자 컴퓨터 단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과 송수신되는 각 신호에 따른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각 신호에 따른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자 컴퓨터 단말, 무선랜 단말 또는 관리자 이동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무선랜 망을 통해 신호를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 기계적으로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처리부;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제어 가능 시간을 분석하여 제어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 가능 상태인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제어 가능 시간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은,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단말로부터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구비된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무선랜 단말의 제어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가능 시간에 접속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이 상기 제어 가능 시간에 접속되었으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은,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은, 유선랜 망으로 접속되는 관리자 컴퓨터 단말, 이동 단말 또는 무선망으로 접속되는 무선랜 단말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잠금 시스템은 무선랜 잠금장치(100), 무선 랜 단말(200), 카메라(300), 컴퓨터 단말(400), SMS 서버(500) 및 이동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도어, 창문 등과 같은 개폐 장치에 설치되는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을 통해 접속 요청되는 무선랜 단말(200) 및 카메라(300)를 인증하여 접속시킬 수 있으며, 접속된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개폐 장치의 현재 잠금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접속된 카메라(300)를 통해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 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유선랜을 통해 컴퓨터 단말(400), SMS 서버(500) 및 이동단말(600)과 연동될 수 있으며, 카메라(3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 단말(400) 및 이동 단말(600)에 제공하여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수행되면 이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저장된 영상 및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를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SMS 서버(500)에 제공하고, 관리자가 이동 단말(600)을 통해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무선랜 단말(200)의 사용자 관리 정보 및 MAC 주소를 저장한다. 여기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 사용자별 ID 및 비밀번호를 비롯하여 각 사용자별로 설정된 시간별, 날짜별 제어 상태를 사용자 관리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접속한 사용자들의 정보, 각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 정보, 각 사용자에 제공한 정보 등을 각 사용자 접속 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관리자 이동 단말(600) 번호를 저장한다.
무선랜 단말(20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간접적으로 개폐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무선랜 단말(200)은 무선랜을 통해 무선랜 잠금장치(100)에 접속하여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랜 잠금장치(100)로부터 개폐 장치의 현재 잠금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컴퓨터 단말(400)은 무선랜 잠금장치(100) 관리자가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현재 잠금 상태 및 현재 수행된 잠금 장치의 동작을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컴퓨터 단말(400)은 무선랜 잠금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들을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다.
SMS 서버(500)는 유선랜을 통해 무선랜 잠금장치(100)와 연동되어, 무선랜 잠금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6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동 단말(600)은 관리자의 이동 단말(600)로서, 관리자가 컴퓨터 단말(400)을 통해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현재 잠금 상태 및 현재 수행된 잠금 장치의 동작을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이동 단말(600)을 통해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600)은 무선랜 잠금장치(100)로부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 다.
한편, 이동 단말(600)은 관리자의 무선랜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자의 이동 단말(600)은 무선랜 단말(200) 기능을 포함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랜 잠금 시스템에서 각 장치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접속 처리부(110), 잠금 처리부(120), 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메시지 생성부(150) 및 영상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접속 처리부(110)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처리부(110)는 무선랜을 통해 접속 요청되는 무선랜 단말(200) 및 카메라(300)를 인증하고, 인증된 무선랜 단말(200) 및 카메라(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잠금 처리부(120)는 기계적으로 개폐 장치를 잠그고, 그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거나, 현재 잠금 상태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무선랜 단말(200)의 MAC 주소,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해당 무선랜 단말(200)의 제어 가능 또는 제어 불가능 상태를 판단하고, 잠금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MAC 주소를 통해 해당 무선랜 단말(200)의 제어 상태 를 판단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무선랜 단말에 대해서만 MAC 주소 인증을 수행하여 제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카메라(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잠금 처리부(120)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수행에 따른 영상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제어 가능한 무선랜 단말(200)의 사용자 관리 정보 및 MAC 주소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MAC 주소 인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인증이 필요한 MAC 주소를 구별하여 테이블화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40)는 무선랜 단말(200)의 사용자별 ID 및 비밀번호와 사용자별로 설정된 시간, 요일 및 날짜에 따라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사용자 관리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사용자들의 ID 및 비밀번호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별로 시간별, 요일별 및 날짜별로 제어 가능 시간을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송수신된 신호별로 접속된 무선랜 단말(200)의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접속 시간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40)는 관리 자의 이동 단말(600) 번호를 저장한다.
메시지 생성부(150)는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400), 이동 단말(6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후술하는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160)는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들을 시간별, 요일별 및 날짜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접속 처리부(110)는 무선랜을 통해 접속 요청되는 카메라(300)를 인증하여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처리부(110)는 접속 요청되는 무선랜 단말(200)과 일련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과정이 완료된 후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접속 처리부(110)로부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가 포함하는 무선랜 단말(200) 사용자의 ID를 분석하여 해당 무선랜 단말(200)의 제어 상태를 데이터베이스(140)에 포함된 사용자 관리 정보를 통해 판단하다. 즉, 제어부(130)는 해당 사용자 ID가 제어 가능 상태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ID가 제어 가능 시간, 날짜 또는 요일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해당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비밀번호 요청 신호를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한다.
하지만, 제어부(130)는 해당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접속 제한 신호를 생성하여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함으로, 접속 제한 신호가 해당 무선랜 단말(200)에 송신되도록 한다.
한편, 접속 처리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비밀번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 요청 신호를 무선랜 단말(200)에 송신하여 해당 비밀번호를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접속 처리부(11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접속 처리부(110)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분석하여,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비밀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인 경우 카메라(300)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하여 연동된 카메라(300)가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잠금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개폐 장치가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개폐 장치가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되면, 접속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된 카메라(300)의 영상을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해당 영상에 영상의 촬영 시간이 포함되도록 한 후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30)는,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함으로, 접속 처리부(110)가 해당 완료 신호를 무선랜 단말(200)에 송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 신호를 메시지 생성부(150)에 출력한다.
메시지 생성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단문 메시지 생선 신호를 입력받으면,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 신호를 입력받으면,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 및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600) 번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메시지 생성부(150)로부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메시지를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하여, 접속 처리부(110)가 해당 메시지를 SMS 서버(500)를 통해 사용자 이동 단말(600)에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400) 또는 이동 단말(600)로부터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저장 영상 요청 신호를 접속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컴퓨터 단말(400) 또는 이동 단말(600)로부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접속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상태 요청 신호는 현재 잠금 상태 요청, 임의 시간의 잠금 상태 요청 또는 잠금 상태 내역 요청 신호를 포함한다.
접속 처리부(110)는 저장 영상 요청 신호 및 현재 잠금 상태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접속 처리부(110)로부터 저장 영상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된 전체 영상 또는 특정 날짜별, 요일별 및 시간별의 영상을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하여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400) 또는 이동 단말(60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접속 처리부(110)로부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개폐 장치의 현재 또는 임의의 시간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 또는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 내역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접속 처리부(110)에 출력함으로, 접속 처리부(110)를 통해 해당 신호가 무선랜 단말(200)에 제공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단말(200)은 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입력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단말(200)의 통신부(210)는 무선랜 잠금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무선랜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230)는 무선랜 단말(200)의 MAC 주소,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저 장한다.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잠금 설정 요청 신호, 잠금 해제 요청 신호 또는 잠금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출력부(250)는 스피커와 표시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무선랜 잠금장치(100)의 현재 잠금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을 통해 연동되는 카메라(300)로부터 접속 인증을 요청받고, 카메라(300)와 일련의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01).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DHCP를 통해 카메라(300)에 IP 주소를 할당한다(S102).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IP 주소가 할당된 카메라(300)와 무선 TCP/IP로 접속한다(S103).
한편,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무선랜 단말(200)로부터(S104), 접속 인증을 요청받고 일련의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05).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DHCP를 통해 무선랜 단말(200)에 IP 주소를 할당하고(S106), 무선랜 단말(200)과 무선 TCP/IP로 접속한다(S107).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접속된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잠금 설정 또는 잠 금 해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8). 여기서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는 무선랜 단말(200)의 ID를 포함한다.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포함하는 사용자의 ID를 분석하여, 해당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상태를 분석한다(S109).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무선랜 단말(200)에 비밀번호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S110) 수신되는(S111) 비밀번호의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12).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접속된 카메라(300)를 구동시키고(S113), 수신된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에 따른 잠금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14).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였으면, 카메라(300)로부터 해당 동작 수행 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한다(S115).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잠금 설정 완료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무선랜 단말(200)에 송신하고(S116), 해당 정보에 따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SMS 서버(500)에 송신하여 관리자가 이동 단말(600)을 통해 개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S117).
이와 같은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컴퓨터 단말(400) 또는 이동 단말(600)로부터 영상 요청을 전송받는 경우, 저장된 영상을 유선랜을 통해 컴퓨터 단말(400) 또는 이동 단말(600)에 송신하여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200)이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도 6은 카메라(300) 및 무선랜 단말(200)이 DHC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 단말(200)은 무선랜 잠금장치(100)에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미리 약속된 시간 안에 무선랜 잠금장치(100)로부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접속을 끊고,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무선랜 잠금장치(100)가 무선랜 단말(200)의 MAC 주소를 인증하지 않고, 단지 IP 주소와 사용자 ID만을 인증하는 경우를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며,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무선랜 단말(200)의 MAC 주소를 인증하는 과정 또한 포함하여 무선랜 단말(200)의 제어 상태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제어 상태를 분석한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거나, 사용자 비밀번호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무선랜 단말(200)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를 무선랜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제공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잠금장치(100)와 연동되는 무선랜 단말(200)이 사용자로부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S201),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접속 인증을 요청받아 무선랜 단말(200)과 일련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202).
그리고,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에 DHC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하고(S203), 무선 TCP/IP를 통해 무선랜 단말(200)과 접속한다(S204).
이와 같이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5). 여기서, 잠금 상태 요청 신호는 무선랜 단말(200)의 ID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 상태 요청 신호는 현재 잠금 상태 요청, 임의 시간의 잠금 상태 요청 또는 잠금 상태 내역 요청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수신된 잠금 상태 요청 신호가 포함하는 무선랜 단말(200)의 사용자 ID를 분석하여, 해당 무선랜 단말(200)의 제어 상태를 분석한다(S206).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해당 무선랜 단말(200)에 비밀번호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되는 비밀번호의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207).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무선랜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잠금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랜 단말(200)에 송신한다(S208).
한편,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제어 상태를 분석한 무선랜 단말(200)이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거나, 사용자 비밀번호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무선랜 단말(200)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무선랜 잠금장치(100)는 접속 요청되는 카메라(300) 및 무선랜 단말(200)을 제어 상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 MAC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내장된 무선랜 잠금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무선랜 단말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무선랜 잠금 장치가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허용한 무선랜 단말을 인증함에 있어서, 무선랜 인증과 더불어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인증을 인증하도록 함으로써, 잠금 장치의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잠금 장치가 동작할 때마다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정보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관리자의 이동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고, 해당 동작 영상 및 해당 동작을 수행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자 컴퓨터 단말 또는 이동 단말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잠금 장치의 관리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을 통해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랜 단말; 과
    기계적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상기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제공되면, 해당 무선랜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한 후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무선랜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과의 무선랜 인증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랜 단말을 접속시 키고,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제어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고,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사용자 ID에 따라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을 구별한 제어 가능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접속된 시간이 상기 제어 가능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은,
    상기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로부터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랜 잠금 장치의 현재 잠금 상태 요청, 임의 시간의 잠금 상태 요청 및 잠금 상태 내역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 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상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을 통해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의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수행 시 영상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저장시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개폐 장치가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되면,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유선랜 망으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에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들을 관리하는 관리자 컴퓨터 단말을 더 포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상기 무선랜 단말과 송수신되는 각 신호에 따른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각 신호에 따른 시간 정보를 상기 관리자 컴퓨터 단말, 무선랜 단말 또는 관리자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잠금장치는,
    무선랜 망을 통해 신호를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
    기계적으로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처리부;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제어 가능 시간을 분석하여 제어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 가능 상태인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제어 가능 시간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저장부; 및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제공되도록 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16.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단말로부터 잠금 설정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구비된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 단말의 MAC 주소 및 사용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무선랜 단말의 제어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제어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기 설정된 날짜,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가능 시간에 접속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상기 무선랜 단말이 제어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랜 단말에 접속 제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랜 단말이 상기 제어 가능 시간에 접속되었으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를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 완료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단문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이동 단말 또는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로부터 잠금 상태 요청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 장치의 잠금 상태에 따른 정보 신호를 상기 무선랜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유선랜 망으로 접속되는 관리자 컴퓨터 단말, 이동 단말 또는 무선망으로 접속되는 무선랜 단말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에 따른 정보 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잠금장치의 잠금 방법.
KR1020060008591A 2006-01-26 2006-01-26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91A KR100728298B1 (ko) 2006-01-26 2006-01-26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91A KR100728298B1 (ko) 2006-01-26 2006-01-26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298B1 true KR100728298B1 (ko) 2007-06-13

Family

ID=383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591A KR100728298B1 (ko) 2006-01-26 2006-01-26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645A (ko) * 2001-06-22 2001-07-31 김병조 무선 랜을 통한 지문 인식 출입 관리 시스템
KR20030069267A (ko) * 2002-02-19 2003-08-27 아이에프키(주) 지문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JP2004169378A (ja) * 2002-11-19 2004-06-17 Yamatake Corp モバイル端末装置を用いた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20060074315A (ko) * 2004-12-27 2006-07-03 (주)인와이저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방재 무선네트워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645A (ko) * 2001-06-22 2001-07-31 김병조 무선 랜을 통한 지문 인식 출입 관리 시스템
KR20030069267A (ko) * 2002-02-19 2003-08-27 아이에프키(주) 지문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JP2004169378A (ja) * 2002-11-19 2004-06-17 Yamatake Corp モバイル端末装置を用いた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20060074315A (ko) * 2004-12-27 2006-07-03 (주)인와이저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방재 무선네트워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1031B1 (en) Access point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TWI491790B (zh) 智慧鎖具及其操作方法
US201700841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EP1513288A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for provisioning secure wireless sensors
US8024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omponents in wireless home entertainment system
EP1615381A1 (en) Device and pro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sociation
US20080175449A1 (en) Fingerprint-based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1029016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201200269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Configuration Protocol Messages Across a Distribution System (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76530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gistration security
US20070288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CN106846573B (zh) 在无互联网接入时打开电子锁的方法以及相应的电子锁
EP1875659A2 (e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8537927B (zh) 一种锁具终端及区域管理控制锁具终端方法
CN101513044B (zh) 个性化任意电视网关
US201103141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Communication Network Setup
KR100728298B1 (ko) 무선랜을 이용한 잠금 방법 및 그 시스템
JP4895673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その通信設定方法
US20210021635A1 (en) Network denial of service defense method and system
KR20100111121A (ko) 무선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성 방법
KR100638025B1 (ko) 잠금 해제 시스템
US20240054836A1 (en)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with secure relay
CN108024249B (zh) 一种防止wifi暴力破解的方法及系统
KR100447328B1 (ko) 잠금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06129288A1 (en) Method and devices for individual removal of a device from a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