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014B1 -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014B1
KR100728014B1 KR1020050112964A KR20050112964A KR100728014B1 KR 100728014 B1 KR100728014 B1 KR 100728014B1 KR 1020050112964 A KR1020050112964 A KR 1020050112964A KR 20050112964 A KR20050112964 A KR 20050112964A KR 100728014 B1 KR100728014 B1 KR 10072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module
audio
device control
communic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883A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0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음향 기기 상호간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양 방향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통신 채널로 전송함과 함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채널의 서브 채널로 전송하는 신호 재생 수단, 신호 재생 수단에서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작 상태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디코딩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하고, 설정되는 기기 제어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신호 재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audio using optical module bidirectionally}
도 1a는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적용된 광 모듈의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방향 오디오/비디오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송수신 광 모듈의 일예이다.
도 3b는 도 2의 송수신 광 모듈의 다른 예이다.
도 4는 도 2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음향 기기 상호간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많은 디지털 오디오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기기간에 상호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많지 않다. 따라서 각 기기들을 서로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하거나 통합형 리코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제어해야 한다.
도 1a는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신호 재생 장치(110)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그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송신 광 모듈(112)에서 광 신호로 변환하고, 광 케이블을 통해서 신호 수신 장치(120)로 전송된다. 이때 이 경로를 통해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주로 전송되며, 소량의 제어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재생 장치(110)는 별도로 지정된 리모트 콘트롤러(130)를 통해서 제어 동작을 원격 조정하거나 패널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정한다.
신호 수신 장치(120)는 수신 광 모듈(122)을 통해 신호 재생 장치(110)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킨다.
또한, 신호 수신 장치(120)는 별도로 지정된 리모트 콘트롤러(140)를 통해서 제어 동작을 원격 조정하거나 패널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정한다.
도 1b는 도 1a에 적용된 광 모듈의 실시예이다.
도 1b를 보면, 전송 광 소자(Tx LED)를 구비한 수신 광 모듈(122)과 수신 센서(Rx Senser)를 구비한 수신 광 모듈(122)간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 일부 사용자 데이터가 일방적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은 전송 모듈에서 수신 모듈로 일방 통행한다. 따라서 신호 재생 장치(110)와 신호 수신 장치(120)간에는 상호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없으며,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을 각각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하거나 통합형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해야만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수신 광 모듈을 이용하여 음향 기기 상호간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양 방향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통신 채널로 전송함과 함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채널의 서브 채널로 전송하는 신호 재생 수단;
상기 신호 재생 수단에서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작 상태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디코딩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하고, 설정되는 기기 제어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재생 수단 은,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및 디코딩하여 기기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 처리부;
상기 수신 처리부에서 디코딩된 기기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기 제어 명령 신호로 생성하고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통신 채널로 전송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수신 수단은,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수신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에서 분리된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한 기기 제어 명령을 받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받은 기기 제어 명령을 인코딩 및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 변환하여 양 방향 광 모듈의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 방향 오디오/비디오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의 양 방향 오디오 시스템은 N개의 신호 재생 장치(210)와 신호 수신 장치(220)를 구비하며, 신호 수신 장치(220)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양자간에는 광 케이블을 이용한 송수신 광 모듈(212, 222)로 연결된다.
신호 재생 장치(210)에서 신호 수신 장치(220)로 전송되는 스트림은 AES/EBU(advanced encryption standard/european broadcasting union)의 표준 스트림을 사용하며 오디오 데이터는 그 스트림의 메인 통신 채널에서 전송되며 제어 데이터는 서브 채널의 사용자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단, 이때 신호 재생 장치(210)와 신호 수신 장치(220)간에 약속된 짧은 시간 동안에는 메인 스트림을 통해서도 제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신호 수신 장치(210)에서 신호 재생 장치(210)로 가는 채널은 AES/EBU의 표준 스트림을 사용해서 전송해도 되지만 고유의 포맷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신호 수신 장치(220)는 별도로 지정된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서 신호 재생 장치(210)의 제어 동작을 원격 조정하거나 패널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정한다.
따라서 신호 재생 장치(210)는 송수신 광 모듈(212)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기기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송수신 광 모듈(212)을 적용한 통신 채널로 전송함과 함께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를 통신 채널과 별개의 서브 채널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 수신 장치(220)는 신호 재생 장치(220)에서 송수신 광 모듈(222)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해당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디코딩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하고, 리모트 콘트롤러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신호 재생 장치(110)의 기기 제어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송수신 광 모듈(212)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신호 재생 장치(210)로 전송한다.
도 3a는 도 2의 송수신 광 모듈의 일예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전송 데이터(TX Data)는 하프 미러(Half Mirror)를 통해서 광 파이버로 전송되며, 제어 데이터나 기기 정보와 같은 수신 데이터(RX Data)는 하프 미러(Half Mirror)에서 반사되어 수신 센서(RX Sensor)로 들어온다.
도 3b는 도 2의 송수신 광 모듈의 다른 예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송수신 광 모듈은 하프 미러(Half Mirror) 또는 단방향 미러(Unidirectional Mirror)를 가지고 있는 광분기 기기, 송신 LED(TX LED), 수신 센서(RX senser)로 구성된다.
전송 데이터(TX Data)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또는 단방향 미러(Unidirectional Mirror)를 통과해서 광 파이버(Optic Fiber)로 전송되며, 수신 데 이터(RX Data)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또는 단방향 미러(Unidirectional Mirror)에서 반사되어 수신 센서(RX senser)로 들어온다.
도 4는 도 2의 상세도이다.
먼저, 신호 재생 장치(2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신 처리부(418)는 송수신 광 모듈(212)의 수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및 바이페이즈(Biphase) 신호 디코딩하여 기기 제어 데이터를 추출한다.
중앙 처리부(CPU:416)는 수신 처리부(418)에서 디코딩된 기기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기 제어 명령 신호로 생성하고, 또한 제어 데이터(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DIT(Digital Interface Transmitter)부(414)는 중앙 처리부(416)에서 생성되는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와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송수신 광 모듈(212)의 송신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 수신 장치(220)를 상세히 설명한다.
DIR(Digital Interface Receiver)부(476)는 송수신 광 모듈(222)의 수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로 분리한다.
오디오 디코더(478)는 DIR부(476)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한다.
중앙 처리부(CPU:474)는 DIR부(476)에서 분리된 제어 데이터(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기기를 제어하고, 리모트 콘트롤러(480)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기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전송 처리부(472)는 중앙 처리부(474)에서 받은 기기 제어 명령을 인코딩 및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 변환하여 송수신 광 모듈의 송신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리모트 콘트롤러(480)는 신호 수신 장치(220)에 무선으로 원격 제어 명령을 인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가정용 극장 기기의 중심이 되는 A/V 수신단에서 주변 기기들의 상태를 점검하고 통제할 수 있으므로 각 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텔리젼트(intelligent)한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각 기기들이 캐스케이드(Cascade)로 연결되지 않고 패럴렐(Parallel)로 연결되므로 시스템 프로토콜(System Protocol)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4)

  1.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양 방향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통신 채널로 전송함과 함께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채널의 서브 채널로 전송하는 신호 재생 수단;
    상기 신호 재생 수단에서 광 모듈을 적용한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작 상태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디코딩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하고, 설정되는 기기 제어 정보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양 방향 오디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재생 수단은,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수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및 디코딩하여 기기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 처리부;
    상기 수신 처리부에서 디코딩된 기기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기 제어 명령 신호로 생성하고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 및 오디오 데 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변환하여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송신 채널로 전송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오디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수단은,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양 방향 광 모듈의 수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수신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 수신부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 수신부에서 분리된 기기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근거로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한 기기 제어 명령을 받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받은 기기 제어 명령을 인코딩 및 직렬-병렬 인터페이스 포맷 신호 변환하여 양 방향 광 모듈의 송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 재생 수단으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오디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수단에 원격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오디오 시스템.
KR1020050112964A 2005-11-24 2005-11-24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KR10072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964A KR100728014B1 (ko) 2005-11-24 2005-11-24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964A KR100728014B1 (ko) 2005-11-24 2005-11-24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83A KR20070054883A (ko) 2007-05-30
KR100728014B1 true KR100728014B1 (ko) 2007-06-13

Family

ID=3827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964A KR100728014B1 (ko) 2005-11-24 2005-11-24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771A (ko) * 1999-03-03 2000-12-26 윤종용 홈 멀티미디어 네트웍 구조
KR20010001792A (ko) * 1999-06-08 2001-01-05 이영준 디지털 오디오파일 전송시스템
KR20050120315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재생장치 및 인터넷전화기의 복합장치, 이를 이용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771A (ko) * 1999-03-03 2000-12-26 윤종용 홈 멀티미디어 네트웍 구조
KR20010001792A (ko) * 1999-06-08 2001-01-05 이영준 디지털 오디오파일 전송시스템
KR20050120315A (ko) * 2004-06-18 2005-12-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재생장치 및 인터넷전화기의 복합장치, 이를 이용한 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83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604B2 (en) Legacy converter
KR101175691B1 (ko)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 방법, 원격 제어기 및 전자기기
US7643894B2 (en) Audio network distribution system
US8345709B2 (en) Bit stream conversion system
KR100367000B1 (ko) 멀티미디어 처리용 가속 기능 및 입출력 기능을 갖는 피씨용 멀티채널 오디오/음성 및 데이터 코덱장치
JP2007251839A (ja) リモコン信号転送システム
US20040157548A1 (en) Home network interface legacy device adapter
CN109524004B (zh) 一种实现多路音频和数据的并行传输的方法、外接式的语音交互装置和系统
CN105681819B (zh) 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系统
US200602270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ed remote control
CN202771806U (zh) 无线mp3数字音乐播放装置
JP5070996B2 (ja) 音声制御装置及び音声制御システム
KR100728014B1 (ko) 광 모듈을 이용한 양 방향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
JP4462211B2 (ja) 赤外線リモコン信号転送方法および赤外線リモコン信号転送装置並びに赤外線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513648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電気電子機器
JP200732987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CN102355622A (zh) 一种同步外放系统及其应用之设备
TW201624998A (zh) 多媒體裝置及視訊通信方法
EP1758306A4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RESILIENT PACKET RING MEDIA ACCESS CONTROL
KR100456960B1 (ko) Dab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송수신시스템
KR10078339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무선 스피커 장치
JP2003023548A (ja) 映像リピータ
KR20030023041A (ko)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한 론웍스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방법
KR100561434B1 (ko)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
US20040052446A1 (en) Optical data interface for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