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21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213B1
KR100726213B1 KR1020040096697A KR20040096697A KR100726213B1 KR 100726213 B1 KR100726213 B1 KR 100726213B1 KR 1020040096697 A KR1020040096697 A KR 1020040096697A KR 20040096697 A KR20040096697 A KR 20040096697A KR 100726213 B1 KR100726213 B1 KR 10072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data
emergency
par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7698A (en
Inventor
황정언
백종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213B1/en
Publication of KR2006005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6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화범죄의 증거를 확보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가해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의 위치가 추적 및 신고됨으로써 전화를 이용한 범죄(또는 위급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process of interrupting the user's voice input into the microphone and storing the received voice data in the memory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during the call. And transmitting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to a network through a currently open call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secure the evidence of telephone crime and at the same time track the location of the perpetrator (or the person in an emergency) to track and report the more aggressively to deal with crimes (or emergency) using the phone There is this.

위급상황, 전화범죄, 녹음, 음성데이터, SOS기관Emergency situation, telephone crime, recording, voice data, SOS agency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 shows an overall network structure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radio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네트워크로 알리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forming a network of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네트워크로 알리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forming a network of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도중 상대방의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rding a call content of a counterpart during a call and transmitting it to a network.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반면에 점차 소형 경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portable wireless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nd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s have been diversifi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단순한 통화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을 다운받아서 청취를 하고, VOD(Video On Demand) 파일을 받아서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앨범 등으로 저장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o the simple call function in software, various functions of downloading and listening to music files, receiving VOD (Video On Demand) files, watching videos, or shooting a predetermined subject and storing them as albums are being added. to be.

이와 함께,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하거나(attachable) 내장형(built-in)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공중파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TV수신 모듈, MP3 파일 재생이 가능한 MP3 플레이어 모듈 등이 대별될 수 있다. In addition, peripheral devices that are used by being attached or added to the terminal in hardware are also being developed.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module attachable or built-in, a TV receiving module capable of listening to over-the-air broadcasting, an MP3 player module capable of playing MP3 files, and the like may be roughly classified.

한편, 근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많이 노출되면서 그에 따른 전화범죄(예 : 스토킹, 협박 및 사기 등)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spread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s and the exposure of personal privacy information, telephone crimes (eg, stalking, intimidation and fraud) have increased.

종래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협박성 전화(또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일단 통화를 종료하고, 경찰서에 전화를 걸어 범죄행위(또는 위급상황)를 신고하게 된다. 그러면, 경찰서에서는 가해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와의 통화기록을 이용해서 가해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와 같은 사후 처리 방식은 조기에 범죄행위를 증명할수 있는 증거를 확보한다거나 조기에 가해자를 검거할수 있는 기회를 상실할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when a threatening call (or an emergency call) is received by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user generally ends the call and then calls the police station to report a criminal act (or emergency). . The police department then tracks the abuser's location using the call log with the abuser (or the person in need). Such post-process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evidence to prove the criminal act early or lose the opportunity to arrest the offender early.

만일, 보다 적극적으로 통화하는 도중에 범죄행위(또는 위급상황)가 신고될 수 있다면 가해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있는 사람)를 실시간으로 추적할수 있게 될 것이다.If a criminal act (or emergency) can be reported during a more active call, the offender (or the person in emergency) will be tracked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또는 범죄행위)을 실시간으로 신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or criminal activity) in real time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고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 call during a call and transmitting the call to a network in real time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에 상대방의 음성을 녹음하고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 voice of a counterpart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a network in real tim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n the emergency key input during the call, the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is blocked, and received And stor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be stored in a memory and transmitting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a network through a currently open call channel.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 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n an emergency key is pressed during a call, one more communication channel is opened, and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in the memory. And storing the voice data of the stored counterpart to a network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되는 통화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n an emergency key is entered during a call, opening a call channel and storing the call data; And transmitting the stored call data to a network through the opened call channel.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통보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위급상황이 통보될 시, 상기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대방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SOS기관으로 전송하는 상기 상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real time,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be receive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key is input during a call, the stored voice data And a terminal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transmitting to a higher system,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ified from the terminal, tracks the location of the other party on the call, and tracks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from the terminal. And the host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SOS organiz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에 위급상황(범죄상황을 포 함하는 의미임)을 신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통화도중 사용자가 위급상황 키를 입력하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음성을 다시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통보하게 된다. 그러면, 네트워크는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고, 추적된 위치정보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통화내용을 SOS기관(예 : 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도중에 실시간으로 위급상황이 SOS 기관에 신고되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위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meaning a crime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f the user inputs an emergency key during a call,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stored voice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Then, the network tracks the location of the other party on the current call, and transmits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call of the other party to the SOS organization (eg, police station, fire station, etc.). In this way, since the emergency situation is reported to the SOS in real time during the call,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more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network structur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휴대용 무선단말기(MS : Mobile Station)(10), 이동통신망(30), 네트워크(40) 및 SOS기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30)은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31),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32) 및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40)는 일반공중전화망(PSTN) 혹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상기 SOS기관(50)은 인근 119본부(소방서) 및 112본부(경찰서)가 될 수 있다.As show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radio terminal (MS) 10,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a network 40, and an SOS organ 50.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include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 31, a control station (BSC: base station controller) 32, and an exchange station (MSC: mobile switching center) 33. . The network 40 may be a general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or the Internet. The SOS organization 50 may be a neighboring 119 headquarters (fire department) and 112 headquarters (police sta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10)는 통화도중 위급상황키 입력이 감지될시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음성데이터를 다시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10)는 일례로 사용자 음성을 차단하고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할수 있 다. 다른 예로, 공지된 3자 통화 방식으로 새로운 통화채널(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개통하고,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할수도 있다. 이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 및 상대방의 전화번호도 함께 전송하여 네트워크가 위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 stores voice data of a counterpart received in an memory when an emergency key input is detected during a call, and transmits the stored voice data to a network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do. In this case,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 may block the user's voice as an example and transmit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network through a currently open call channel (or reverse traffic channel). As another example, a new communication channel (or reverse traffic channel) may be opened through a known three-way communication method, an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channel. At this time,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re also transmitted, so that the network can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상기 기지국(31)은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제어국(32)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국(32)은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교환국(33)으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국(33)은 상기 단말기(10)와 통화중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위치를 추적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다른 망(PSTN, 인터넷, 사설망)을 이용해 상대방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상기 교환국(33)은 상기 추적된 위치정보와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해당 전달경로(네트워크(40))의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여 SOS기관(50)으로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31 transmits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control station 32, and the control station 32 transfers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to the switching station 33. The switching center 33 tracks the location us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who is talking to the terminal 10. At this time, if necessary, using the other network (PSTN, Internet, private network)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other party. The switching center 33 generates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and converts the emergency message into a signal format of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path (network 40). Transfer to 50.

상기 SOS기관(50)은 상기 이동통신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분석해서 정보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음성데이터는 저장 및 재생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 및 현재 위치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OS기관(50)으로 통화도중 실시간으로 범죄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의 위치 및 통화내용이 신고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수 있다.The SOS organization 50 analyzes the emergency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monitor, and stores and reproduces the voice data. In this case, the displayed content may be a phone number and a current location of the counterpart. In this way, since the location and call details of the criminal (or the person in emergency) are reported to the SOS organization 50 in real time,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alt with more quick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4G(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able radio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n 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IMT2000) terminal, and 4G ( It is meant to include all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erminals and the lik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2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2, a controller (MPU: Micro-processor unit)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nd processes the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received at the time of emergency key input during the call to the network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and control of the normal control part 200 is abbreviate | omitted.

메모리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데이터 메모리(204) 및 불휘발성 메모리(206)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204)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206)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메시지, 이미지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에 따른 위급상황 키 입력시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 또는 램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includes a program memory 202, a data memory 204, a nonvolatile memory 206, and the like. The program memory 202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program memory may use a flash memory. The data memory 204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data memory may use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nonvolatile memory 206 stores system parameters and other storage data (telephone number, message, image data, etc.). The nonvolatile memory may use an EEPROM.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stored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the flash memory or the RAM.

키패드(key pad)(2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Key pad 208 includes numeric keys 0-9, menu key, cancel key (clear), confirmation key, call key (TALK), end key (END), internet access key, navigation key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provide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00.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r indicator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limited numbers and characters, moving pictures, still pictures,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10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212)과, 상기 코덱(212)에 접속된 스피커(216) 및 마이크(214)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12)은 상기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An audio codec (Coder-Decoder) 21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 speaker 216 and a microphone 214 connected to the codec 212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a voice call. The codec 212 converts the PCM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20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speaker 216,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214 into PCM data. It provides to the control unit 200.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20)은 안테나(218)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는 상기 RF모듈(220)과 상기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 (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F module 220 lowers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18 to the baseband processor 222 and provid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or 222 with a frequency. Up to transmit through the antenna. The baseband processor 222 processes a baseban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module 220 and the controller 2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are performed, and in the case of reception,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of a received signal are performed. .

그러면, 여기서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근거한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detailed operation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procedure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301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모드 수행중, 상기 제어부(200)는 303단계에서 사용자의 의해 위급상황 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위급상황 키는 현재 존재하는 키들중 하나로 구현할수 있고, 위급상황 키로만 사용할수 있는 전용의 키로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 call mode in step 301. During the call mode,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key is input by the user in step 303. Here, the emergency key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existing keys, or may be implemented as a dedicated key that can be used only as an emergency key.

상기 위급상황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307단계에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mute)한다.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5 and stores the receiv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memory. In operation 307, the controller 200 mutes the voice of the user input to the microphone.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한후, 상기 제어부(200)는 309단계에서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After the voice of the user is blocked, the controller 200 transmits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to the network through a currently open call channel (or reverse traffic channel) in step 309. The voice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이와 같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네 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도 함께 전송하여 네트워크에서 위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통화채널이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채널로 이용되기 때문에 상대방의 음성이 전달될 수 없다.In this way, the receiv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real time and transmitted to the network. At this time, an identifier indicating an emergency is also transmitted to cope with an emergency in the network. In this case, since the call channel is used as a channel for notifying an emergency,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cannot be transmitted.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도중, 상기 제어부(200)는 311단계에서 위급상황 해제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위급상황 해제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차단을 해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정상적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While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network,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release key is input in step 311.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release key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13 to release the voice blocking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s voice to the counterpart normally.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정상적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315단계에서 통화종료가 감지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화도중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혹은 상대방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전송할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종료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voice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 call termination is detected in step 315. If the end of the call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200 returns to step 30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In this way, the user's voice or the other party's voice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hrough the call channel currently opened by the user's key operation during the call. On the other hand, if the end of the call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7 to end the call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procedure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401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모드 수행중, 상기 제어부(200)는 403단계에서 사용자의 의해 위급상황 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위급상황 키는 현재 존재하는 키들중 하나로 구현할수 있고, 위급상황 키로만 사용할수 있는 전용의 키로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first,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 call mode in step 401. During the call mode,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key is input by the user in step 403. Here, the emergency key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existing keys, or may be implemented as a dedicated key that can be used only as an emergency key.

상기 위급상황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2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3자 통화방식으로 통화채널(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하나 더 개통한다.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405 and stores the received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memory.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407 to open one more communication channel (or reverse traffic channel) in a three way communication method.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409단계에서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새로운 통화채널(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도 함께 전송하여 네트워크에서 위급상황에 대처할수 있도록 한다. In operation 409, the controller 200 transmits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network through the opened new communication channel (or reverse traffic channel). The voice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In this way, the receiv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real time and transmitted to the network. At this time, an identifier indicating an emergency is also transmitted to cope with an emergency in the network.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도중, 상기 제어부(200)는 411단계에서 통화종료가 감지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종료한다.While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to the network,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 call termination is detected in step 411. If the end of the call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413 to end the call mode.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3자 통화방식을 이용해 역방향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상기 개통된 역방향 통화채널을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대방과 정상적으로 통화를 수행하면서 별도의 채널을 통해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이 눈치채지 않게 위급상황을 신고할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opening one reverse communication channel using a three-way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opened reverse communication channel. In this case, since the emergency can be notified through a separate channel while normally mak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other party can report the emergency situation without notic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대방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네트워크 로 전송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쌍방의 통화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할수도 있다.Meanwhi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 a method of storing the other party's voice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범죄의 증거를 확보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가해자(또는 위급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의 위치가 추적 및 신고됨으로써 전화를 이용한 범죄(또는 위급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제 상황이 녹음된 데이터가 경찰 또는 구급기관에 전송되기 때문에 장난전화로 인한 출동을 미연이 막아 인력 및 재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tively cope with crimes (or emergencies) using the telephone by securing the evidence of telephone crimes and tracking and reporting the location of the abuser (or the pers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In addition, since the recorded data of the actual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lice or paramedic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oss caused by mischief calls and reducing the loss of manpower and resources.

Claims (1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During the call,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blocking the voice of the user input into the microphone and stor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n the memory;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transmitting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to a network through a currently open call chann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characterized in that it also transmits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 위급상황 해제 키 입력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차단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counterpart, when the emergency release key is input, releasing the voice block of the user to perform a normal call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voice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In case of emergency key input during a call, opening one more communication channel and storing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in memory; 상기 저장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transmitting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a network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channe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characterized in that it also transmits an identifier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음성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voice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a call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During emergency call, when opening the call channel and saving the call data; 상기 저장되는 통화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transmitting the stored call data to a network through the opened call channe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통화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all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통화데이터를 전송할 때, 위급상황을 알리는 식별자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ransmitting the call data,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er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도중 위급상황을 실시간으로 신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reporting the emergency situation during the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real time, 통화도중 위급상황 키 입력시,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통보하는 단말기와,A terminal for storing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and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by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emergency key is input during a call; 상기 단말기로부터 위급상황이 통보될 시, 상기 단말기와 통화중인 상대방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SOS기관으로 전송하는 상기 상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ified from the terminal,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other party to the call, and the upper system for transmitting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from the terminal to the SOS organiz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음성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AMR(Adaptive Multi Ratio), AAC(Advanced Audio Codec)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voice data may be any one of pulse code modulation (PCM), adaptive multi ratio (AMR), and advanced audio codec (AAC) dat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기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차단하고,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현재 개통되어 있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terminal blocks the voice of the user input into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higher-level system through the current communication channe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기는 통화채널을 하나 더 개통하고, 상기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개통된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terminal opens one more communication channel,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to the upper system through the opened communication channel.
KR1020040096697A 2004-11-24 2004-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726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97A KR100726213B1 (en) 2004-11-24 2004-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97A KR100726213B1 (en) 2004-11-24 2004-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698A KR20060057698A (en) 2006-05-29
KR100726213B1 true KR100726213B1 (en) 2007-06-11

Family

ID=3715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697A KR100726213B1 (en) 2004-11-24 2004-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2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95B1 (en) * 2011-12-13 2013-04-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peaker speech database using speaker recognition on mobile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78A (en) * 1999-04-15 2000-11-15 이계철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of malicious call
KR20000075176A (en) * 1999-05-29 2000-12-15 이계철 Method for processing malicoius c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78A (en) * 1999-04-15 2000-11-15 이계철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of malicious call
KR20000075176A (en) * 1999-05-29 2000-12-15 이계철 Method for processing malicoius cal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66278
10200000751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698A (en)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0101C2 (en) Callback with e911 priority with limited access class
KR100658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speaker-phone mode to the calling partn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102792767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EP1887816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fter SIM card withdrawal
AU2009210552B2 (en) Temporary storage or specialized transmission of multi-microphone signals
KR101083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WO2014087157A1 (en) Communication device
MX20070117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KR101759190B1 (en)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JP2011142370A (en) Cellular phone for transmitting urgent report message, program, and reporting method
KR1007262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during call servic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15986B1 (en) System for spreading urgent situ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048166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us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station
JP2007142593A (en) System for setting manner mode or self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17060A (en) Crime preventive system using cellular phone
CN101399889B (en) Method and device for mute processing to audible device
KR201201098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ut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070058140A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video call function by using special effect
JP2994339B1 (en) Security method using PHS terminal
WO202220871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1008322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of mobile terminal
KR100776967B1 (en) Method for private life protec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1061113B1 (en) Video recording TV with mobile phone data recording function and mobile phone data recording method
CN115136654A (en) Cell redire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