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172B1 -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172B1
KR100726172B1 KR1020050112776A KR20050112776A KR100726172B1 KR 100726172 B1 KR100726172 B1 KR 100726172B1 KR 1020050112776 A KR1020050112776 A KR 1020050112776A KR 20050112776 A KR20050112776 A KR 20050112776A KR 100726172 B1 KR100726172 B1 KR 10072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nformation
base station
message
broadca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805A (ko
Inventor
김현재
오정훈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1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1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의 하위 계층인 MAC DSP(Media Access Control Digital Signal Processor)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즉, MAC DSP에서는 상위 계층인 스케줄러로부터 기지국 초기화 시에 전송되는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메시지별 DB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 정보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 후, 단말로 방송 정보를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하는 스케줄러의 CPU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iBro, 방송 정보, 기지국, 스케줄링, 하위 계층, 상위 계층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AP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CHEDULING METHOD OF BROADCAST INFORM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MAC DSP의 D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방송 정보만 전송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방송 정보와 함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MAC DSP에서 방송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MAC DSP에서 DCD 방송 정보, UCD 방송 정보,NBR-ADV 방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중 현재 국내의 휴대인터넷 표준인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통신 시스템은 이동 전화와 무선 LAN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2.3GHz 주파수 대역에서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보장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유선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IP 기반 무선 데이터 서비스(예를 들어, 스트리밍 비디오, FTP, 메일, 채팅 등)의 영상 및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3.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서비스 범위는 AP를 기준으로 약 1Km의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이는 무선 랜 AP의 범위인 약 100m에 비해 훨씬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60km 이하의 이동성을 가지며, 실내외에서 끊김 없이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I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OFDM이라는 신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OFDM에 근간을 둔 OFDMA라는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OFDMA/TDD 방식을 사용하는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서는 부반송파 그룹으로 구성된 부채널 단위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기지국에 대한 다 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모든 기지국은 방송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즉,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서 사용 가능한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옵션이나 자원 개수, 현재 기지국이 사용하는 주파수,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사이의 갭(Gap), 사용 가능한 레인징 코드 개수 등등의 파라미터들이 기지국마다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기지국 내의 단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기지국은 방송 정보를 방송하게 된다.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방송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 기지국 내의 상위 MAC 계층인 스케줄러에서 방송 정보 일정 주기에 따라 저장된 방송 정보를 처리하여 하위 MAC 계층 및 모뎀을 거쳐 단말로 전송하고 있다. 그런데, 상위 MAC 계층인 스케줄러는 이러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 하는 기능 외에 자원 할당, 맵 정보 생성, 파워 컨트롤, ARQ 등의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케줄러의 CPU 처리량이 많아져 스케줄러의 처리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방송 정보를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함에 있어 기지국 내의 스케줄러의 CPU 프로세스 처리량을 줄일 수 있는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및 기지국간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을 전송하는 상위 계층의 스케줄러; 및 상기 스케줄러로부터 전송된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및 상기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관리하며, 매 프레임마다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상기 단말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위 계층의 MAC DSP(Media Access Control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a) 상기 기지국 내의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각 메시지별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하위 계층에서 상기 각 메시지별 DB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할 방송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하위 계층에서 상기 검색된 방송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에 대해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브로 통신 시스템은 단말(AT, Access Terminal)(110), 기지국(AP, Access Point)(120), 패킷 접속 라우터(PAR, Packet Access Router)(130),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140) 및 HA(Home Agent)(150)를 포함한다.
단말(110)은 가입자가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로 이동성을 가지며 기지국(120)에 접속하여 고속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2.3GHz 대역 주파수에서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른 무선 채널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120)은 무선망과 유선망을 연결하는 장치로, 유선망 종단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10)에 직접적으로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단말(1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패킷 접속 라우터(130)로 전달하거나 반대로 패킷 접속 라우터(13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접속 라우터(130)는 다수의 기지국(120)과 IP 기반 유선으로 접속되고 사업자 IP 망에 연결되어 공중 인터넷에 집적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단말(100) 과 기지국(120)을 제어하고 IP 패킷을 라우팅하는 구성 요소이다.
AAA 서버(140)는 사업자 IP 망에 연결되어 적법한 사용자에 한해 와이브로 통신 망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및 단말(100)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망 구성 요소이다.
HA(150)는 사업자 IP 망에 연결되어 모바일 IP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홈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망 구성 요소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120)은 모뎀(121), MAC DSP(Media Access Control Digital Signal Processor)(122) 및 스케줄러(123)를 포함한다.
모뎀(121)은 채널 코딩, 인터리버 변조, ADC 등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MAC DSP(122)는 하위 MAC 계층으로서 방송 정보를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모뎀(121)을 통해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때, MAC DSP(122)는 현재 프레임에서 단말(110)로 전송할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 하향 버스트 데이터에 방송 정보를 추가하여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송 정보는 스케줄러(123)로부터 기지국 초기화 시에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설정(System Information Setup) 명령 메시지 및 기지국간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Neighbor advertisement) 명령 메시지(이하, NBR-ADV 방송 메시지라 함)에 포함되어 있다.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는 하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 및 상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U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MAC DSP(122)는 기지국 초기화 시 스케줄러(123)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메시지별로 각각의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스케줄러(123)는 상위 MAC 계층으로서 자원 할당, MAP 정보 생성, 파워 컨트롤 및 ARQ 기능 등을 수행한다. 특히, 스케줄러(123)는 기지국 초기화 시에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를 MAC DSP(122)로 전달하며, 핸드 오버 시 단말이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NBR-ADV 방송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MAC DSP(122)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MAC DSP의 DB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DSP(122)는 DCD, UCD 및 NBR-ADV 방송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DB(DB#1, DB#2, DB#3)를 가지고 있으며, 각 DB는 현 기지국(120)에서 방송 정보의 전송 여부를 나타내주는 온 플래그(On Flag)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On Flag 값을 이용하여 MAC DSP(122)는 현재 기지국에서 방송해야 할 방송 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DCD 메시지에는 DCD 관련 방송 주기 정보,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및 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UCD 메시지에는 UCD 관련 방송 주기 정보,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및 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ABR-ADV 메시지에는 ABR-ADV 관련 방송 주기 정보,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및 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러(123)로부터 DCD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DCD 방송 메시지 내의 DCD 방송 주기 정보, DCD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DCD 방송 데이터를 DB#1에 저장하고, 스케줄러(123)로부터 UCD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UCD 방송 메시지 내의 UCD 방송 주기 정보, UCD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UCD 방송 데이터를 DB#2에 저장한다. 또한 스케줄러(123)로부터 NBR-ADV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NBR-ADV 방송 메시지 내의 NBR-ADV 방송 주기 정보, NBR-ADV 방송 주기 오프셋 정보, NBR-ADV 방송 데이터를 DB#3에 저장한다.
도 4a는 방송 정보만 전송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방송 정보와 함께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링크 프레임(DL frame, 400)은 크게 프리앰블(Preamble) 영역(410), DL-MAP(Down Link-Mobile Application Part) 영역(420), UL-MAP(Up Link-Mobile Application Part) 영역(430), 버스트 영역(Burst#0, 440) 및 하향 버스트 데이터 영역(Burst#1, 450)을 포함한다.
프리앰블 영역(410)은 초기 동기, 기지국 탐색, 주파수 오프셋 및 채널 추정에 사용할 수 있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DL-MAP 영역(420)은 단말(110)에게 할당된 하향 버스트 데이터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영역이며, UL-MAP 영역(430)은 단말(110)에게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할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버스트 영역(440)은 현 프레임에서 모든 단말에게 전송되어야 할 방송 정보 및 하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이며, 도 4a에서는 현 프레임에 모든 단말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방송 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를 도시하였다. 하향 버스트 데이터 영역(450)은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k하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도 4a에서는 하향 버스트 데이터 영역(Burst#1)을 1개로 도시하였지만,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의 개수에 해당하는 만큼 하향 버스트 데이터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와 달리, 현 프레임에서 모든 단말로 전송해야 할 하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 영역(440)에서 하향 데이터(442) 앞에 현재 방송해야 할 방송 정보(441)를 추가하여 하나의 버스트로 만들어서 전송한다.
도 5는 MAC DSP에서 방송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DSP(122)는 먼저, 방송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DB를 초기화한다(S510).
MAC DSP(122)는 현 프레임에서 스케줄러(123)로부터 기지국 초기화 시 전달되는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 또는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한다(S520). 그리고 이 명령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인지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인지 판단하고(S530), 현 프레임에서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가 있다면 DCD 및 UCD 관련 DB에서 온 플래그(On flag) 값이 0인지 확인한다(S540). 이때, 온 플래그(On flag) 값이 0이면 현 기지국에 대한 방송 정보에 대한 설정이 최초임을 의미하므로 온 플래그(On flag) 값을 1로 설정한 후, DCD 및 UCD 관련 DB에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 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저장한다(S550). 그리고 온 플래그(On flag) 값이 1이라면 DCD 및 UCD 관련 DB에 저장되어 있던 방송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명령이므로, DCD 및 UCD 관련 DB에 저장되어 있던 방송 정보들을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들로 업데이트한다(S560).
그리고 단계(S530)에서 확인 결과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인 경우에도 이 단계(S550∼S560)와 같은 방법으로 온 플래그(On flag) 값이 0인지 확인한다(S570). 그리고 온 플래그(On flag) 값이 0인 경우 온 플래그(On flag) 값을 1로 설정한 후,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NBR-ADV 관련 방송 정보를 저장하고(S580), 온 플래그(On flag) 값이 1인 경우 NBR-ADV 관련 DB에 저장되어 있던 방송 정보들을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들로 업데이트한다(S590).
이와 같은 단계(S510∼S590)를 통해 MAC DSP(122)는 매 프레임에서 스케줄러(123)로부터 기지국 초기화 시 전달되는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 또는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방송 정보들을 관리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MAC DSP에서 DCD 방송 정보, UCD 방송 정보,NBR-ADV 방송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MAC DSP(122)는 매 프레임 DCD, UCD 및 NBR-ADV 관련 DB에서 온 플래그(On flag) 값이 1인지를 확인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 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DCD 관련 DB에서 온 플래그(On flag) 값이 1이라면(S601), 주어진 오프셋 정보와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프레임에서 DCD 방송 메시지를 방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602). 이때, 현재의 프레임에서 DCD 방송 메시지의 방송 여부는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67843108-pat00001
여기서, BFN은 5㎳마다 1씩 증가하고 0∼4095의 값을 갖는 MAC 간에 동기에 필요한 파라미터이다.
이때, S=0이 아닌 경우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이 아님을 의미하며 도 6b 또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UCD 또는 NBR-ADV 방송 메시지의 방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루틴으로 돌아간다. 반면, S=0인 경우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임을 의미하며 현재 버스트 영역(Burst#0)에 모든 단말로 전송해야 할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3). 만약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없다면 DCD 관련 DB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버스트 영역(Burst#0)에 추가하여 모뎀(121)을 통해 단말(110)로 전송한다(S604). 이때, 현재 버스트 영역(Burst#0)에 모든 단말로 전송해야 할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있다면, 이 하향 버스트 데이터에 앞에 DCD 관련 DB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추가하여 하향 버스트 데이터와 함께 모뎀(121)을 통해 단말(110)로 전송한다(S605).
이와 같은 하여 DCD 방송 메시지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도 6b 또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UCD 또는 NBR-AVD 방송 메시지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한 단계를 거쳐 해당 방송 데이터를 단말(110)로 전송한다(S611∼S615, S621∼S625).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DCD 방송 메시지를 먼저 처리하는 것으로 도 시하였지만 DCD, UDC 및 NBR-AVD 방송 메시지의 처리 순서는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원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기지국 내의 상위 계층인 스케줄러의 동작과 별도로 하위 계층인 MAC DSP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케줄러의 프로세싱 처리량을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 구조적으로도 디버깅하기 쉬운 모듈 구조가 가능해진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및 기지국간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을 전송하는 상위 계층의 스케줄러; 및
    상기 스케줄러로부터 전송된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 및 상기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관리하며, 매 프레임마다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상기 단말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위 계층의 MAC DSP(Media Access Control Digital Signal Processor)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C DSP는, 매 프레임에서 전송할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향 버스트 데이터 앞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설정 명령은, 하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 및 상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인접 기지국 정보 설정 명령은,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NBR-AVD(Neighbor advertisement) 방송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AC DSP는, 상기 DCD, UCD 및 NBR-AVD 방송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DCD 관련 DB, UCD 관련 DB 및 NBR-AVD 관련 DB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D 관련 DB, UCD 관련 DB 및 NBR-AVD 관련 DB 각각은, 방송 주기 정보, 방송 오프셋 정보 및 현재 기지국에서 방송 정보의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온 플래그(On Flag)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AC DSP는, 상기 온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기지국에서 전송할 방송 정보에 대해 상기 주기 정보 및 상기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방송 정보를 스케줄링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기지국 내의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각 메시지별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하위 계층에서 상기 각 메시지별 DB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할 방송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하위 계층에서 상기 검색된 방송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현재 단말로 전송할 하향 버스트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하향 버스트 데이터 앞에 상기 검색된 방송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하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 상향링크 자원에 관련되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 방송 메시지 및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NBR-AVD(Neighbor advertisement) 방송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CD 방송 메시지, UCD 방송 메시지 및 NBR-AVD 방송 메시지 각각은 방송 주기 정보, 방송 오프셋 정보 및 현재 기지국에서 방송 정보의 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온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온 플래그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방송 정보 설정이 최초임을 의미하는 상기 온 플래그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를 해당 DB에 저장하고 온 플래그 정보를 1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방송 정보의 업데이트를 의미하는 상기 온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해당 DB의 방송 정보를 상기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 정보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매 프레임마다 각 DB에 저장되어 있는 온 플래그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온 플래그 값이 1인 경우, 상기 각 DB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주기 정보 및 상기 방송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방송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 방법.
KR1020050112776A 2005-11-24 2005-11-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KR10072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76A KR100726172B1 (ko) 2005-11-24 2005-11-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76A KR100726172B1 (ko) 2005-11-24 2005-11-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05A KR20070054805A (ko) 2007-05-30
KR100726172B1 true KR100726172B1 (ko) 2007-06-11

Family

ID=3827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776A KR100726172B1 (ko) 2005-11-24 2005-11-24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34A1 (ko) * 2011-12-22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611A (ko) * 2000-11-22 2002-05-30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셀룰러 네트워크의 향상된 패킷 송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3643A (ko)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40026153A (ko) * 2002-09-23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의 공유채널을 통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50090025A (ko) * 1999-05-20 2005-09-0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대역 확산 다수 사용자 채널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우선순위 선정 및 흐름 제어를 위한 cdma 무선 네트워크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25A (ko) * 1999-05-20 2005-09-0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대역 확산 다수 사용자 채널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우선순위 선정 및 흐름 제어를 위한 cdma 무선 네트워크제어기
KR20020040611A (ko) * 2000-11-22 2002-05-30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셀룰러 네트워크의 향상된 패킷 송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3643A (ko)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40026153A (ko) * 2002-09-23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의 공유채널을 통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805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486B2 (ja) 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の資源指示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98010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neighbor base-station advertisement messag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TWI325711B (en) Data recei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7437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 systems
KR100891915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주변 노드 리스트 구성 장치 및 방법
US200900050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home cell and macr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21288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random access of new access node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WO2005109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capable of minimizing service delay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0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ighbor node inform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836930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17674B1 (ko) 무선 시스템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
JP2009017547A (ja) 多重ホップ中継方式を使用する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中継局により構成されたブロードキャストメッセージの送信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0004717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가 구성 망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47757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登录用于客户端协作的网络的方法和设备
CN101217780B (zh) 通信系统中测距的方法、无线接入系统和基站
US91612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65442A1 (en) Method of managing terminal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small base station
KR1010764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송신 방법
KR1007261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방송 정보 스케줄링방법
KR10120852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국 영역 지정 방법 및 검색방법
KR10068432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그의 사운딩 채널 정보스케줄링 방법
US200800705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adio access network in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9242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이버 리스트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0826555B1 (ko)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메시지 전송 방법
Roh et al. Introduction to WiMAX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