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852B1 -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 Google Patents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852B1
KR100725852B1 KR1020050104825A KR20050104825A KR100725852B1 KR 100725852 B1 KR100725852 B1 KR 100725852B1 KR 1020050104825 A KR1020050104825 A KR 1020050104825A KR 20050104825 A KR20050104825 A KR 20050104825A KR 100725852 B1 KR100725852 B1 KR 10072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roadcasting
data broadcasting
broadcast
driv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7277A (en
Inventor
유희연
하경남
홍성욱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코드
Publication of KR2007003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 매체 및 데이터 방송 방법이 개시된다.Disclosed are a recording medium and a data broadcasting method in which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is stored.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은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둘 이상의 객체 모듈,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관리 모듈, 및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객체 모듈을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includes two or more object modules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a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the driving environment, and a control module for selectively calling the object modul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driving environment.

이로써, 방송 수신 장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실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may realize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through on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HD, SD, 지상파, 재전송, 셋톱박스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s, HD, SD, Terrestrial, Retransmission, Set Top Box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 매체 및 데이터 방송 방법{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path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ata broadcast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 매체 및 데이터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 매체 및 그러한 데이터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and a data broadcasting method in which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is stor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capable of realizing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and a data broadcasting method.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 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방송 위원회에서는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프로그램 의무 방송 비율을 설정하여 2010년까지 해마다 그 비율을 증가 시키도록 하였으며, 2010년 이후에는 디지털 프로그램의 방영을 의무화하였다. 이에 따라 지상파 방송사뿐만 아니라 케이블 방송사들도 디지털 방송 체제로 전환하고 있고, 지상파 방송사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편수도 나날이 늘고 있다. 또 디지털 방송의 활성화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수익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 방송 역시 활성화될 전망이다.Digital conversion of analog broadcasting is taking place all over the world. In line with these trends, the Korea Broadcasting Commission has set the ratio of compulsory broadcast programs for terrestrial broadcasters to increase the ratios every year until 2010, and mandated the broadcast of digital programs after 2010. As a result, not only terrestrial broadcasters but also cable broadcasters are switching to digital broadcast systems, and the number of terrestrial broadcasters' digital broadcast programs is increasing day by day. In addition, with the activ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data broadcasting, which is emerging as a profit model of digital broadcasting, is also expected to be activated.

방송 위원회의 분류에 따르면,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은 데이터(문자, 숫자, 도형, 도표, 이미지 및 그 밖의 정보 체계를 말한다)를 위주로 하고 이에 따르는 영상, 음성을 보내는 방송 서비스로서, 각종 부가 데이터를 본 프로그램과 연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시청자들이 선택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방송으로 정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Broadcasting Committee, data broadcasting is a broadcasting service that transmits video and audio based on data (referring to letters, numbers, figures, diagrams, images, and other information systems), and various additional data. This program is defined as a broadcast that allows viewers to selectively view by interworking with the program or independently.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은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정보, 날씨, 증권, 뉴스의 제공이라 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 EC)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일반 사용자에게 새로운 정보 인프라(Infra)로서의 기능과 함께 서비스, 기기, 컨텐츠 등 관련 고부가 가치 신산업의 창출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data broadcasting may be referred to as providing information, weather, securities, and news together with a broadcasting program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and also includes broadcasting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commerce (EC) through the Internet. . Such data broadcasting has the function of creating new high value-added new industries such as services, devices, and contents as well as functioning as a new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general users.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방송 위원회는 데이터 방송을 크게 전용 데이터 방송 및 보조적 데이터 방송으로 분류한다.These data broadcast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The Broadcasting Commission categorizes data broadcasts into dedicated data broadcasts and auxiliary data broadcasts.

전용 데이터 방송은 방송 프로그램은 서비스하지 않고 문자, 오디오, 그래픽 등의 데이터만을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뉴스 레터(News Letter), 잡비, 인터넷 접속, 홈뱅킹, 이메일, 게임, 포털 채널 서비스 등이 있다.Dedicated data broadcasting provides only data such as text, audio, and graphics through separate channels without providing broadcast programs. Currently, news letters, miscellaneous expenses, internet access, home banking, e-mail, games, portal channel services Etc.

보조적 데이터 방송은 한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면서 보조적으로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으로 연동형 데이터 방송 및 독립형 데이터 방송으로 분류된다. 연동형 데이터 방송은 방영 중인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포츠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경우 이 스포츠 프로그램과 관련된 스포츠 선수 정보 등의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독립형 데이터 방송은 방영 중인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관련성 없는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포츠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경우 이 스포츠 프로그램과는 관련 없는 날씨, 증권 등의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Auxiliary data broadcasting is classified as linked data broadcasting and independent data broadcasting by auxiliary data broadcasting while serving a broadcasting program through one channel. The linked data broadcasting is broadcasting data related to an audio / video program being broadcasted. For example, when a sports program is broadcast, broadcasting data such as sports play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orts program is broadcast. Stand-alone data broadcasting is broadcasting data that is not related to the audio / video program being broadcasted. For example, when a sports program is broadcast, broadcasting data such as weather and securiti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sports program is broadcast.

한편, 국내 유료 방송은 케이블 TV, 위성방송을 비롯하여 최근 사업 개시를 준비하고 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 다양한 매체가 존재하지만, 시청자들의 채널 선택권을 위한 풍부한 컨텐츠 확보라는 목표만 가진 채 지상파 프로그램의 재전송이 주요 컨텐츠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2004년 전문 조사 기관인 닐슨 미디어 리서치의 '케이블 TV 시청률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케이블 방송 유료 가입자들의 지상파 방송 채널 시청 점유율은 2004년 3월에 최고 기록인 64.7%를 기록하였으며, 최하 기록인 2004년 7월의 점유 결과도 61.4%를 차지하여 평균 60% 이상의 시청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 조사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KBS1, KBS2, MBC, SBS, iTV, EBS등의 6개 채널만 설정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 MBC 드라마넷 등 지상파 방송 컨텐츠를 주로 재방영하는 채널까지 포함할 경우 지상파 콘텐츠가 갖는 영향력은 절대적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variety of media such as cable TV, satellite broadcasting, and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which is currently preparing to launch a business, but the terrestrial program has only the goal of securing rich contents for channel selection. Retransmission is the main content. According to Nielsen Media Research's 2004 monthly cable TV ratings report, cable paying subscribers accounted for 64.7% of terrestrial broadcasters in March 2004, the lowest in 2004. Monthly occupancy also accounted for 61.4%, an average share of more than 60%. Considering that the survey sets only 6 channels such as KBS1, KBS2, MBC, SBS, iTV, and EBS,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s include terrestrial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MBC Dramanet.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the content is absolute.

이렇게 유료 방송에서의 지상파 프로그램 방영 비율이 높음에 따라, 필연적으로 지상파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특히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이 문제화되고 있다. 지상파 방송은 미국식인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을 따르고, 케이블 방송은 OpenCable 방식을 따르며, 위성 방송은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을 따르는 바와 같이, 국내 디지털 방송은 매체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디지털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지상파는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케이블방송은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위성 방송은 DVB-MHP (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방식으로 데이터 방송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추후 등장할 IPTV 역시 또 다른 표준을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을 실시할 것이다.As the terrestrial program broadcast rate is high in pay broadcasts, the broadcast of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programs, especially data broadcast programs, becomes a problem. As terrestrial broadcasting follows the Americ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cable broadcasting follows the OpenCable scheme, and satellite broadcasting follows the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domestic digital broadcasting is digital in different ways. We broadcast. As a result, terrestrial waves transmit data broadcast using 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cable broadcasting OCAP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and satellite broadcasting DVB-MHP (Digital Video Broadcasting-Multimedia Home Platform). In addition, IPTV, which will be introduced later, will perform data broadcasting using another standard.

디지털 방송으로의 세계적인 흐름과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송출하는 데 있어서, 디지털 방송의 주요 수익 모델인 데이터 방송, 그 중에서도 방영하는 A/V에 보조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조적 데이터 방송을 유료 방송 플랫폼을 통하여 재전송하는 경우 화면 규격의 차이, 전송 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In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 toward digital broadcasting and consumer's desire, pay broadcasting platform provides auxiliary data broadcasting which provides auxiliary data to data broadcasting which is the main revenue model of digital broadcasting, especially A / V that is aired. In case of retransmission through, there are many problems due to differences in screen specifications and differences in transmission methods.

예를 들어, 현재 지상파에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은 HD (High Definition) 급의 영상을 송출하나, 케이블, 위성 방송 등의 유료방송에서는 SD (Standard Definition) 급의 영상을 송출하고 있다. 물론, 케이블 방송에서도 HD 방송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으나, 국내 방송 환경으로 인해 아직 별개의 디지털 방송 규격을 적용하고 있다. For example, digital broadcasting currently transmitted by terrestrial broadcasting transmits HD (High Definition) grade video, whereas pay broadcasting such as cable and satellite broadcasting transmits SD (Standard Definition) grade video. Of course, cable broadcasting is also preparing for HD broadcasting, but due to the domestic broadcasting environment is still applying a separate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여기서 HD (High Definition) 급과 SD (Standard Definition) 급은 디지털 TV의 규격으로서, 화질과 영상 규격에 따라 구별이 된다. HD는 16대 9의 영상 규격이며, 디지털 TV의 화질을 결정하는 화소(Pixel)의 수가 1920x1080i 또는 1024x720p로 최대 2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제공한다. 그에 비해 SD는 4:3의 규격을 가지며, 화소의 수는 720x480p나 720x480i 또는 640x480i나 640x480p로 35만 화소 정도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SD는 아날로그에 비해서는 화질이 선명하지만 HD에 비해서는 그 화질과 선명도가 크게 떨어진다. Here, the HD (High Definition) class and the SD (Standard Definition) class are digital TV standards, which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picture quality and video standards. HD is an image standard of 16 to 9, and the number of pixels determining the quality of digital TVs is 1920x1080i or 1024x720p, and provides high-quality images of up to 2 million pixels or more. In contrast, SD has a 4: 3 standard, and the number of pixels is 720x480p or 720x480i or 640x480i or 640x480p, which provides about 350,000 pixels of resolution. SD has higher quality than analog, but its quality and clarity are much lower than HD.

이와 같이 국내 방송 환경은 HD 급과 SD 급의 화면 규격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고화질 및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HD급과, HD 급보다는 낮은 화질을 갖지만 대역폭의 요구량이 적은 SD 급은 각각의 특징으로 인해 하나의 규격으로 통합되기는 힘들다.As such, the domestic broadcasting environment is mixed with HD and SD screen standards. However, HD class, which requires high definition and a lot of bandwidth, and SD class, which have lower image quality than HD class, but have a small bandwidth requirement, are difficult to integrate into a standard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보조적 데이터 방송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A/V와 함께 화면에 재생된다. 그런데 HD와 SD의 화면 규격의 차이로 인해 폰트가 정 비율을 상실하여 왜곡될 뿐만 아니라 그래픽 이미지들은 오리지널 이미지의 확대 또는 축소 등의 왜곡으로 이미지가 깨질 가능성도 있다. 뿐만 아니라 유료 방송 플랫폼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이미지, 폰트 등의 왜곡을 지상파에서 책임질 지, 유료방송 플랫폼에서 책임질 지에 대한 책임 주체가 분명하지 않으며, 소비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 중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퀴즈, 투표 등에 참여할 경우 시청자의 참여 결과를 반영하는 데에 있어, 보안과 개인 인증의 문제도 가져온다. Auxiliary data broadcasting is reproduced on the screen along with the A / V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HD and SD screen standards, fonts lose their proportions and become distorted, and graphic images may be broken by distortions such as enlargement or reduction of original images. In addition, it is not clear who is responsible for terrestrial or distortion of terrestrial data broadcasting programs transmitted through the pay broadcasting platform or whether the pay broadcasting platform is responsible. Participation in possible quizzes, voting, etc. brings security and personal authentication issues to reflect the viewer's participation.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해 SD용 컨텐츠를 별도로 이중으로 제작할 경우 막대한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작 비용이 들고, 재전송 플랫폼 별로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정합하는데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디자인과 코딩에 있어서도 재전송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가 발생한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f the content for SD is separately produced in duplicate, a huge amount of content and application production costs are incurred, and additional costs are required to match content and applications for each retransmission platform, and retransmission must be considered in design and coding.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cos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capable of realizing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록 매체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관리 모듈, 상기 관리 모듈에서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executed in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recorded, and at least two object modules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a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the management. And a control module for selectively calling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bject module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the module.

이때, 상기 객체 모듈은 H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HD 객체 모듈, 및 S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SD 객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화면 규격을 파악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관리 모듈이 파악한 방송 화면 규격이 HD 화면 규격이면 상기 HD 객체 모듈을 호출하고 SD 화면 규격이면 상기 SD 객체 모듈을 호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 module includes an H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HD screen standard, and an S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D screen standard, and the management module grasps the broadcast screen standard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s the control. The module may call the HD object module if the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 grasped by the management module is an HD screen standard, and call the SD object module if it is an SD screen standard.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에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관리 모듈, 상기 객체 모듈을 호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관리 모듈에서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ata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to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wo or more object modules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a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the object module. Providing a data broadcast applica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to call to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executing the data broadcast application; identifying, by the management module,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Selectively calling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bject module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the management modu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module described herei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 specific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달 경로를 설명한다.Next, a delivery path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달 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path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프로그램 제작(10)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도 2의 100)을 제작한다.First, program production 10 produces a data broadcast application (100 in FIG. 2).

지상파 방송국(20)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도 2의 100)을 디지털로 인코딩한 후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50)에 송출한다. 또 지상파 방송국(20)은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등의 유료 방송 플랫폼(30)에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도 2의 100)을 송출하고, 이 유료 방송 플랫폼(30)은 해당 망(케이블망 또는 위성망, IP 망 등)을 통해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도 2의 100)을 유료 방송 수신 장치(40)(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등)에 송출한다.Th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20 digitally encodes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in FIG. 2)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to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50. In addition,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20 transmits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of FIG. 2) to the pay broadcasting platform 30 such as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he pay broadcasting platform 30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of FIG. 2) is transmitted to the pay broadcasting receiver 40 (cable broadcasting receiver,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etc.) through the corresponding network (cable network, satellite network, IP network, etc.).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50) 및 유료 방송 수신 장치(40)의 동작은 후술하도록 하고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의 구조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terrestri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50 and the paid broadcast receiving device 40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tructure of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은 둘 이상의 객체 모듈(110), 관리 모듈(120), 제어 모듈(130)을 포함한 다.As shown in FIG. 2,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object modules 110, a management module 120, and a control module 130.

객체 모듈(110)은 다양한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구동 환경 별로 각각 제작된 모듈이다. 객체 모듈(110)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이 자바 언어로 작성된 경우 클래스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객체 모듈(110)은 다양한 화면 규격에 따른 이미지 객체, 즉 다양한 크기의 이미지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object module 110 is a module manufactur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of the various broadcast reception devices 40 and 50. The object module 110 may include a class object when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is written in the Java language. In addition, the object module 110 may include image objects according to various screen standards, that is, image objects of various sizes.

관리 모듈(120)은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구동 환경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130)은 관리 모듈(120)에서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다수 개의 객체 모듈(11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한다.The management module 120 determines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s 40 and 50. The control module 130 selectively call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 modules 110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the management module 120.

예를 들어 객체 모듈(110)이 HD 화면 규격에 적합하게 제작된 모듈인 HD 객체 모듈 및 SD 화면 규격에 적합하게 제작된 모듈인 SD 객체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면, 관리 모듈(120)은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방송 재생을 위한 화면 규격이 HD 급인지 SD 급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화면 규격이 HD 급이면 제어 모듈(130)은 HD 객체 모듈을 호출하여 HD의 화면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데이터 방송을 실현하고, 화면 규격이 SD 급이면 제어 모듈(130)은 SD 객체 모듈을 호출하여 SD의 화면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데이터 방송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송 화면 규격으로 널리 사용되는 HD 급과 SD 급을 예로 들었지만, 객체 모듈(110)은 HD 급 및 SD 급 이외의 다양한 포맷의 화면 규격에 따른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모듈은 방송 수신 장치(40, 50)에 적합한 객체 모듈(110)을 호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bject module 110 includes an HD object module which is a module made to conform to the HD screen standard and an SD object module which is made to conform to the SD screen standard, the management module 120 receives a broadcast. It is checked whether a screen standard for broadcast reproduction of the devices 40 and 50 is HD or SD. If the screen standard is HD, the control module 130 calls the HD object module to realize customized data broadcasting on the screen of the HD. If the screen standard is SD, the control module 130 is the SD object module. Call to realize the customized data broadcasting on the screen of the S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HD and SD classes are widely used as broadcast screen standards, the object module 110 may include modules according to screen standards of various formats other than HD and SD classes, and control. The module may call the object module 110 suitable for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40 or 50.

이로써 방송 수신 장치(40, 50)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제작자(10)는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만 구현하면 되므로, 제작 노동력의 감소에 따라 제작 비용이 감소한다. 그리고,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존재하면, 관리자는 무수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환경 별로 각각 관리하여야 하고, 업데이트도 각각에 대해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관리의 불편함 및 업데이트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s 40 and 50 may realize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through on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In addition, the program producer 10 does not need to manufacture each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and only on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needs to be implemented, so that the production cost decreases as the production labor is reduced. In addition, if there ar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s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the administrator must manage countless applications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and perform the update for each,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nvenience of such management and the inconvenience of upd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 can be eliminated.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의 동작 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지상파 방송국(20)은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다수의 객체 모듈(110), 관리 모듈(120), 제어 모듈(130)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을 방송 수신 장치(40, 50)에 제공한다(S110).First,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 20 transmits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 modules 110, a management module 120, and a control module 130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to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es 40 and 50. Provided (S110).

다음 방송 수신 장치(40, 50)는 수신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을 구동시킨다(S120).Next,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s 40 and 50 drive the received data broadcast application 100 in operation S120.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100)이 구동되면, 먼저 관리 모듈(120)이 실행되는데, 실행된 관리 모듈(120)은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구동 환경을 확인한다(S130). 이때 실행된 관리 모듈(120)은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방송 화면 규격을 확인 할 수도 있다.When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100 is driven, the management module 120 is first executed, and the executed management module 120 checks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s 40 and 50 (S130). In this case, the executed management module 120 may check the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s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s 40 and 50.

구동 환경이 확인되면 제어 모듈(130)이 실행되는데, 제어 모듈(130)은 다수 의 객체 모듈 중에서 확인된 구동 환경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모듈(110)을 호출하여 데이터 방송을 실현한다(S140). 관리 모듈(120)이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방송 화면 규격을 확인하였다면, 제어 모듈(130)은 다수의 객체 모듈 중에서 확인된 방송 화면 규격에 적합한 객체 모듈(110)을 호출한다. 특히,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방송 화면 규격이 HD 화면 규격이면, 제어 모듈(130)은 HD 객체 모듈(110)을 호출하고, 방송 수신 장치(40, 50)의 방송 화면 규격이 SD 화면 규격이면, 제어 모듈(130)은 SD 객체 모듈(110)을 호출한다.When the driving environment is confirmed, the control module 130 is executed. The control module 130 calls at least one object module 110 suitable for the identified driving environment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 modules to realize data broadcasting (S140). . If the management module 120 confirms the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s 40 and 50, the control module 130 calls the object module 110 suitable for the checked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s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 modules. In particular, if the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s 40 and 50 are HD screen standards, the control module 130 calls the HD object module 110, and the broadcast screen specifica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s 40 and 50 are SD. If the screen standard, the control module 130 calls the SD object module 1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른 데이터 방송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may realize data broadcas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through on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작자는 다양한 구동 환경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만 구현하면 되므로, 제작 노동력의 감소에 따라 제작 비용이 감소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producer does not need to produce each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and only on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and thus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production labor for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의 불편함 및 업데이트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onveniences in managing and updating many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s can be eliminat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유료 방송 플랫폼을 통해 방송된 데이터방송이더라도 지상파에서 제작하고 지상파 A/V에 연동된 보조적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므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의 보장을 지상파에서 책임지게 함으로써 책임의 주체가 명확해진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broadcasted through the pay broadcasting platform is an auxiliary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produced by terrestrial and linked to terrestrial A / V,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is clear by making the terrestrial responsible for guaranteeing the service for the applic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laims (4)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transmitted to and executed by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recorded.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둘 이상의 객체 모듈;Two or more object modules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관리 모듈;A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상기 관리 모듈에서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 매체.And a control module for selectively calling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bject module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the management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객체 모듈은 H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HD 객체 모듈, 및 S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SD 객체 모듈을 포함하고,The object module includes an H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HD screen standard, and an S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D screen standard.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화면 규격을 파악하고,The management module grasps the broadcast screen standard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관리 모듈이 파악한 방송 화면 규격이 HD 화면 규격이면 상기 HD 객체 모듈을 호출하고 SD 화면 규격이면 상기 SD 객체 모듈을 호출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 매체.And the control module calls the HD object module if the broadcast screen standard determined by the management module is an HD screen standard, and calls the SD object module if the SD screen standard is recorded. 방송 수신 장치에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방법에 있어서,A data broadcasting method for providing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to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구동 환경 별로 제작된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관리 모듈, 상기 객체 모듈을 호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to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including at least two object modules produced for each driving environment, a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 module for calling the object module; 상기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Executing the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단계;Determining, by the management module, a driving environment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관리 모듈에서 파악된 구동 환경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객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방법.And by the control module, selectively calling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object module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the management modul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객체 모듈은 H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HD 객체 모듈, 및 SD 화면 규격에 맞게 제작된 SD 객체 모듈을 포함하고,The object module includes an H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HD screen standard, and an SD object modu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D screen standard.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구동 환경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화면 규격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determining of the driving environment by the management module includes determining a broadcast screen standard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객체 모듈을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화면 규격이 HD 화면 규격이면 상기 HD 객체 모듈을 호출하고 SD 화면 규격이면 상기 SD 객체 모듈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방법.And invoking the object module by the control module includes calling the HD object module if the broadcast screen standard is an HD screen standard and calling the SD object module if the broadcast screen standard is an SD screen standard.
KR1020050104825A 2005-09-30 2005-11-03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KR1007258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911 2005-09-30
KR20050091911 200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77A KR20070037277A (en) 2007-04-04
KR100725852B1 true KR100725852B1 (en) 2007-06-08

Family

ID=3815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25A KR100725852B1 (en) 2005-09-30 2005-11-03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8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328A (en) * 2004-11-02 2006-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integrating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data broadcast services system and method using th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328A (en) * 2004-11-02 2006-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integrating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data broadcast services system and method using t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77A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9167B1 (en) Asymmetric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6772434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tegrated presentation of a secondary service as a part of a primary service
EP2891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ervice signal
EP1550306B1 (en) Cabl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atible bandwidth upgrade using embedded digital channels
US200601978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ual layer hdtv signals through broadcasting and streaming
US20080092184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US20110093911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and method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US90661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elevision and delivery of enhanced television content
US10575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elevision and delivery of enhanced television content
KR100859095B1 (en) IPTV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distance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US7607161B2 (en) Cable receiver
KR100725852B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
US20080055488A1 (en) Video channel changing
US88040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escriptive data in a television broadcast system
US9131281B2 (en) Method for embedding and multiplexing audio metadata in a broadcasted analog video stream
KR100836470B1 (en) Iptv system for providing sports relay broadcast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Jones et al. Digital television station and network implementation
JPH11289528A (en)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distributed data selector
KR101675298B1 (en) Digital broadcast channel system utilizing coaxial cabl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0707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ctual channel content playout in the event of an encoder failure
KR20060008761A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in digital tv broadcasting
KR201000438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crambling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244560B1 (en) Broadcating system for integrated service of digital tv and dmb
KR200431268Y1 (en) System for testing data broadcast contents
KR20230069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anced emergency aler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