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049B1 -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049B1
KR100725049B1 KR1020070023202A KR20070023202A KR100725049B1 KR 100725049 B1 KR100725049 B1 KR 100725049B1 KR 1020070023202 A KR1020070023202 A KR 1020070023202A KR 20070023202 A KR20070023202 A KR 20070023202A KR 100725049 B1 KR100725049 B1 KR 10072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case
holde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07002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0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An ear-phone type radio transmitter/receiver used for a portable phone is provided to feel a great in wear by the transmitter/receiver by allowing the user to simply insert into and install in a user's ear, preventing the transmitter/receiver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user's ear, and naturally sticking the body of the transmitter/receiver to a user's cheek. An ear-phone holder(18) having a hinge shaft in the upper portions of upper and lower cases of a portable phone is rotatably installed. An ear-phone is coupled with the ear-phone holder(18) protruded through a guide groove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se. An extension spring(28)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ear-phone holder(18)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A through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ase of the transmitter/receiver. The ear-phone holder(18) in the case is coupled with a knob(30) mount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the ear-phone holder extends or compresses the extension spring according to up and down movement of the knob(30). The ear-phone moved upwardly or downward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ar-phone holder(18).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의 후면사시도,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를 귀에 장착하기 직전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ate just before mounting the ear typ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ea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무선 송수신기 11 : 상부 케이스10: wireless transceiver 11: top case

12 : 하부 케이스 13 : 이어폰12: lower case 13: earphone

14 : PCB 15 : 배터리14: PCB 15: Battery

16 : 마이크 17 : 힌지축 16: microphone 17: hinge axis

18 : 이어폰 홀더 19 : 캡 이어홀더18: Earphone Holder 19: Cap Ear Holder

20 : 안내 돌기 21 : 결합구멍20: guide projection 21: coupling hole

22 : 브래킷 23 : 관통구멍22: bracket 23: through hole

24 : 결합돌기 25 : 가이드 홈24: engaging projection 25: guide groove

26 : 걸림 고리 27 : 고정 고리26: hook hook 27: fixing hook

28 : 인장스프링 29 : 관통홈28: tension spring 29: through groove

30 : 작동손잡이 31 : 지지봉30: operation handle 31: support rod

32 : 삽입홀 33 : 오목홈32: insertion hole 33: concave groove

본 발명은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의 외이(外耳)에 장착되는 이어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을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장착된 이어폰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having a Bluetooth function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and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angle of the earphone to be mounted on the outer ear of the ear, it is easy to mount the ear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which does not allow the wireless transceiver including the earphone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ear.

일반적으로 휴대전화(mobile phone)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하지만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를 귀에 가까이 가져가야 하므로 일반전화와 마찬가지로 한 손으로 휴대전화를 잡고 있어야 한다.In general, a mobile phon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aking a call regardless of time or place. However, in order to make a phone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mobile phone must be held close to the ear, so the mobile phone must be held with one hand like a normal phone.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방안으로서 핸즈프리(hands-free) 방식의 휴대 전화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핸즈프리 방식은 상대방과 통화할 때 한 손으로 휴대전화를 잡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휴대전화와 이어폰을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통화자는 활동범위에 제한을 받는다는 제약이 있었다.As a solution to this inconvenience, hands-free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hands-free method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hold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e caller is limited in the range of activities because the mobile phone and the earphone must be connected by wire.

한편, 휴대전화의 기능이 단순히 상대방과의 전화통화에서 벗어나 인터넷상의 웹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음악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혹은 음원을 가지는 영상을 제공하는 웹서버나 각종 게임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웹서버와 접속하여 시간이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이나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을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는 단계까지 왔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is not just a telephone call with the other party, but is connected to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in real time to download music files, or a web server that provides a video server or various game programs that provide a video with a sound source. By connecting with the time and space, you can enjoy music, movies, TV broadcast contents, various information guides and various games in real time.

하지만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이나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출력되는 음성(오디오)의 화음은 다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수단으로서 휴대전화 내의 스피커나 이어폰만을 이용하고 있어, 사용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듣기 위해 휴대전화기 본체를 귀에 가까이 대거나 이어폰을 귀에 꼽아야 한다.However, although the voices (audio) chords that are output when executing voices, movies, TV broadcast contents, various information guides, and various game programs for phone calls with the other party are diversified, only the speaker or earphone in the mobile phone is used as an output means. In order to hear the voice or audio, the user must hold the mobile phone body close to the ear or plug the earphone into the ear.

따라서 휴대전화 사용자는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거나 온라인(on-line) 혹은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영화, TV 방송 컨텐츠, 각종 정보안내 및 각종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출력되는 음성을 듣기 위해 휴대전화를 귀에 대고 있거나 혹은 이어폰을 꼽고 있어야 하므로, 휴대전화기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하거나 귀에 꽂은 이어폰이 빠져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행동이 자유롭지 못할 뿐더러 활동공간에서도 많은 제약을 받는다.Therefore, the mobile phon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output when making a phone call with the other party or executing a movie, TV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guide, or various game programs on-line or off-line. You must hold your phone in your hand or have the earphone plugged into your ear or you can't get out of your earbuds.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92794호와 제10-2005-92795호, 제10-2005-96534호 및 제10-2005-107942호 등으로 블루투스 기능을 채용한 무선 송수신기에 대해 특허출원한 바 있으나, 이들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기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무선 송수신기가 귀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행동이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transceiver employing a Bluetooth func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5-92794 and 10-2005-92795, 10-2005-96534 and 10-2005-107942 Although a patent application has been filed for, th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attach the earphone to the ear, but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wireless transceiver is not tightly adhered to the ear and the behavior is not free.

이러한 문제는 이어폰이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형태와 크기가 서로 다른 귀의 형상과 모양에 정확하게 맞추어 주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This problem occurs because the earphone is fixed to the body of the wireless transcei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atch the shape and shape of the ear, each person having a different shape and size.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6206호 '이동 가능 이어폰을 갖춘 블루투스 헤드셋'의 고안에 따르면, 헤드셋에 구비된 이어폰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고안에 따른 이어폰의 힌지축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을 접어서 헤드셋 내부로 돌려 넣고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돌려서 펼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어폰을 귀에 장착하기에 용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또한 이어폰을 귀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귀에 장착된 이어폰이 쉽게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 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무선 송수신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지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6206 'Bluetooth headset with a removable earphone', although the technology that allows the earphone provided in the headset to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is disclosed, The hinge axis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old the earphone into the headset when not using the earphone and to unfold the earphon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earphone. It is not equipped with a means to make it easy to attach the ear to the ear, and to prevent the earphone mounted on the ear from being easily pulled out. have.

이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할 때 한쪽 손으로 귀를 잡고 당기면서 다른 한손으로 무선 송수신기의 이어폰을 붙잡아 귀속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렇게 밀어 넣은 다음 이어 폰이 귀속에 정확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해, 이어폰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편안한 자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has a hassle to hold the ear with one hand while holding it in one hand and to hold the earphone of the wireless transceiver with one hand and push it into the ear. In order to be accurately seated in this ear, it was a hassle to find a comfortable position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 earphone.

그리고, 이와 같이 어렵게 이어폰을 귀속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이어폰이 귀에 밀착되게 설치되지 못하므로,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무선 송수신기가 쉽게 빠져나가거나,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가 볼에 달라붙지 않아 착용감이 나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음질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arphone is not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even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in such a difficult way, the wireless transceiver does not easily come out or the body of the wireless transceiver does not stick to the ball even if the body is moved a littl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oor sound quality due to po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따른 장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어폰을 귀에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에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단단하게 결착되어지게 하는 한편, 무선 송수신기의 몸체가 볼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착용감이 뛰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음의 송수신상태를 뛰어나게 하는 휴대폰용 이어폰형 무선송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mount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arphone 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be easily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ear, but also to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easily escape from the ear, The body of the wireless transcei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naturally to provide a good fit, as well as to provide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to excellent sou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와 배터리 및 마이크 등이 내장된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힌지축을 갖춘 이어폰 홀더가 회동 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하여 돌출된 이어폰 홀더의 선단에 이 어폰이 결합되며, 상기 이어폰 홀더의 하단과 상부 케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송수신기의 케이스 상단에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홀더와 케이스 바깥에 장착된 작동손잡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 손잡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어폰 홀더가 인장스프링을 인장시키거나 압축시키면서 상하 회동하고, 상기 이어폰 홀더의 회동에 따라 이어폰이 상하로 이동하게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CB and a battery in which a circuit for performing a Bluetooth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is connected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cases; In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with a built-in microphone, the earphone holder having a hinge axis on the inner top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installed to rotate, through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front of the lower case The earphone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protruding earphone holder, and a tension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arphone holder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while a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case of the transceiver, and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The earphone holder inside the case and the operation handl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re connected. , The earphone holder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ng handle is made to the earphone to move to the vertical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rotation, and said earphone holder while the tension or compression to a tension spring.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할 때, 상기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겨 이어폰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착용자의 외이에 맞추어 넣고, 이어폰을 장착한 후에는 작동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인장스프링의 힘에 의해 무선 송신기의 케이스가 얼굴에 자동적으로 밀착되어 단단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게 한다.The earpiece type wireless trans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mounted on the ear, pulls the operating handle to change the angle of the earphone and fits the wearer's outer ear. By force, the case of the wireless transmitter automatically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so that it can be worn firmly.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10)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10)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상하부 케이스(11, 12)에 결합되는 이어폰(13)으로 이루어진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ransceiver 10 includes a pair of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2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and earphones 13 that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2.

상기 상하부 케이스(11, 12)의 내부에는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 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14)와 배터리(15) 및 마이크(16) 등이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11,2)의 상단부에 이어폰(13)이 결합되어 있다.Inside the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2, a PCB 14, a battery 15, a microphone 16, and the like, which are connected to a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a Bluetooth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are built-in. The earphones 13 are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cases 11 and 2.

그리고, 상기 이어폰(13)은 사용자 귀의 외이(外耳)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에 내장된 힌지축(17)과, 상기 힌지축(17)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이어폰 홀더(18)를 통하여 하부 케이스(12)의 바깥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13 is a portion mounted to the outer ear of the user's ear, and rotates around the hinge shaft 17 and the hinge shaft 17 embedded in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It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12 through the earphone holder 18 coupled to be able.

물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PCB(14)와 배터리(15), 마이크(16) 및 이어폰(13)은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PCB 14 and the battery 15, the microphone 16, and the earphone 13 installed in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y can exchange electrical signals. Of course.

여기서 이어폰(13)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케이스(11,12)에 대하여 수평직선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귀의 외이에 장착된 무선 송수신기의 이어폰(13)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earphone 13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toward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2, as shown in FIG. This is to prevent the earphone 13 of the wireless transceiver mounted on the outer ear of the ear from being easily detached.

상기 이어폰(13)의 설치각도는 15~35도 정도의 범위 내에 이어폰(13)을 설치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earphone 13 is most preferable to install the earphone 13 in the range of about 15 to 35 degrees.

그리고, 상기 이어폰(13)의 몸체에는 귀에 착용하였을 때 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실리콘 등과 같은 캡 이어홀더(1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캡 이어홀더(19)의 하단에는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을 때 이어폰(13)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20)가 형성되어 있어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기 편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cap ear holder 19, such as silicone, is provided to the body of the earphone 13 to cushi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ar when worn on the ear, and an earphone 13 at the lower end of the cap ear holder 19.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ear, a guide protrusion 20 for guid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phone 13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earphone 13 is easily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ear.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내부 상단 양측에 힌지축(17)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을 갖춘 브래킷(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홀더(18)에 형성된 관통구멍(23)에 힌지축(17)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이어폰 홀더(18)의 선단에 돌출된 결합돌기(24)에 이어폰(13)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bracket 22 having a coupling hole 21 into which the hinge shaft 17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inner upper both sides of the upper case 11 is formed, and the through hole 23 formed in the earphone holder 18. The hinge shaft 17 is fitted to the earphone shaft, and the earphone 13 is fit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4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earphone holder 18.

본 발명은 상기 힌지축(17)이 이어폰 홀더(18)의 관통구멍(23)속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고, 힌지축(17)이 이어폰 홀더(18)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shaft 17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3 of the earphone holder 18, and the hinge shaft 17 is integrally formed in the earphone holder 18 by injection molding. It can be lost.

그리고, 하부 케이스(12)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의 내부에 설치된 이어폰 홀더(18)의 결합돌기(24)가 상기 가이드 홈(25)을 통하여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12)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이어폰 홀더(18)의 결합돌기(24)에 이어폰(13)이 끼워져 결합된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2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case 12,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24 of the earphone holder 18 install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2 opens the guide groove 25. 3 and 4 through the protruding out of the lower case 12 of the case, the earphone 13 is fitted into the engaging projection 24 of the earphone holder 18 protruding.

한편, 상기 이어폰 홀더(18)는 케이스(11,12)에 대하여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탄성수단의 설치예로서, 상기 이어폰 홀더(18)의 하단에 걸림 고리(26)를 형성시키고, 상부 케이스(11)의 내벽에 고정 고리(27)를 형성시켜, 상기 걸림 고리(26)와 고정 고리(27)사이에 인장 스프링(28)을 설치함으로써, 이어폰(13)이 장착된 이어폰 홀더(18)가 상기 인장 스프링(28)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지게 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arphone holder 18 supports the case (11, 12) to be elastically rotated by the elastic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ans, at the lower end of the earphone holder 18 By forming the locking ring 26, and forming a fixing ring 27 o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11, by installing a tension spring 28 between the locking ring 26 and the fixing ring 27, earphones The earphone holder 18 equipped with (13) can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spring 28 is always pulled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는 도면 1내지 도면 4에서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단에 관통홈(29)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9)을 통하여 작동손잡이(30)가 결합되어, 상기 작동손잡이(3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이어폰 홀더(18)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이어폰(13)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는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관통홈(29)을 통하여 작동손잡이(30)와 이어폰 홀더(18)가 결합되는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through groove 29 is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1, the through groove 29 Through the operation handle 30 is coupled, the earphone holder 18 is moved up and down while moving the earphone 1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handle 30, the upper case 11, the upper case 11 The operation handle 30 and the earphone holder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groove 29 of the structure as necessary.

예컨대, 도면 3과 도면 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손잡이(30)에 지지봉(31)을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이어폰 홀더(18)에 삽입홀(32)을 형성시켜, 상기 작동손잡이(30)의 지지봉(31)이 이어폰 홀더(18)의 삽입홀(32)속에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할 수가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S. 3 and 4, the support rod 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eration handle 30, and the insertion hole 32 is formed in the earphone holder 18 to form the operation handle ( The support rod 31 of 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of the earphone holder 18 to be coupled.

물론, 상기한 바의 반대 구조로 하여 이어폰 홀더(18)가 작동손잡이(30)에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할 수도 있는바, 이는 설치상태의 선택에 불과한 것이다.Of course, the opposite structure of the bar bar 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holder 18 may be fitted to the operating handle 30 to be coupled, which is just a selection of the installation stat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의 상단에 작동 손잡이(30)를 설치할 때, 작동손잡이(30)가 매끈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지게 하기 위해, 관통홈(29)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11)의 주변에 오목홈(33)을 형성시키고, 상기 오목홈(33)속에 작동손잡이(30)가 안착되게 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the operation handle 30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1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operation handle 30 is installed smoothly and stably, the upper case 11 is formed with a through groove 29 The concave groove 33 can be formed in the periphery, and the operation handle 30 can be seated in the concave groove 3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이어폰 홀더(18)의 하단에 인장 스프링(28)을 설치하여 이어폰 홀더(18)가 항상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져 있게 함과 더불어, 상부 케이스(11)의 상단에 이어폰 홀더(18)와 연결된 작동손잡이(30)를 설치해 둠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의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꽂 아 넣을 때, 상기 작동손잡이(30)를 사용하여 이어폰(13)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이어폰(13)를 외이에 꽂아 넣은 다음 작동손잡이(3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인장 스프링(28)의 인장력에 의해 이어폰(13)이 아래로 내려옴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가 이어폰(13)쪽으로 당겨지면서 하부 케이스(12)가 안면에 밀착되는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이어폰(13)이 귓볼을 잡아 주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tension spring 28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holder 18 so that the earphone holder 18 is always pulled downward and the earphone at the top of the upper case 11. By installing the operating handle 30 connected to the holder 18, when the earphone 13 of th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ear of the ear, the earphone (using the operating handle 30) is used. 13, the earphone 13 is inserted into the outer ear while changing the angle of 13, and then released from the operating handle 30, the earphone 13 is lower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tension spring 28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ase ( While the lower case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while the 12 is pulled toward the earphone 13, the lower case 12 and the earphone 13 hold the ear ball.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를 귀에 착용하는 과정을 도면 3 및 도면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wearing the radio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a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10)를 귀에 착용하기 전의 상태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28)의 인장력에 의해 이어폰(13)이 아래쪽으로 당겨져 있게 된다.First, the state before th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ear, as shown in Figure 3, the earphone 13 is pulled downwar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tension spring 28.

이러한 상태에서, 무선 송수신기(10)를 착용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무선 송수신기(10)의 이어폰(13)을 귀의 외이에 댄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1)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작동손잡이(30)를 아래로 당기거나 위쪽으로 밀면서 이어폰(13)의 각도를 조절해 주면,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의 형상에 따라 맞추어지면서 쉽게 삽입되어 들어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wear the wireless transceiver 10, while the user puts the earphones 13 of the wireless transceiver 10 on the outer ear of the ear, the operation handle 30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upper case 11 is installed. If you adjust the angle of the earphone 13 while pulling down or pushing upwards, the earphone 13 is easily inserted into the ea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이렇게 상기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에 삽입될 때, 도면 4에서 화살표(3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외이(外耳) 형상에 따라 이어폰(13)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렇게 이어폰(13)이 움직이면 이어폰 홀더(18)가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홈(25)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여 이어폰(13)이 귀의 외이에 장착하기에 더욱 용이한 각도를 취하게 되어, 이어폰(13)이 쉽게 외이 속으로 들어가 장 착되게 된다.When the earphone 13 is inserted into the outer ear of the ear, as shown by the arrow 34 in FIG. 4, the earphone 13 moves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wearer. When the earphone 13 moves, the earphone The holder 18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7 and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25 so that the earphone 13 takes an easier angle to be mounted on the outer ear of the ear. This easily enters and fits the outer ear.

이렇게 귀의 외이에 무선 송수신기(10)의 이어폰(13)을 꽂고 나서 무선 송수신기에서 손을 떼고 외력을 제거하면, 인장스프링(27)이 이어폰 홀더(18)의 하단을 당겨 이어폰(13)이 가이드 홈(25)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서 하부 케이스(12)가 안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와 이어폰(13) 사이의 공간에 귓볼이 고정되게 된다.When the earphone 13 of the wireless transceiver 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ear of the ear,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tension spring 27 pulls the lower end of the earphone holder 18 so that the earphone 13 is the guide groove. The lower case 12 comes down along 2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nd the ear ball is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case 12 and the earphone 13.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송수신기(10)는 이어폰(13)을 귀의 외도에 장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28)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10)가 귀의 외도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벼운 외력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wireless trans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attach the earphone 13 to the ear canal, but also the wireless transcei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ension spring 28, to the ear canal. In this state, it is not easily separated by light external for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는 귀에 장착되는 이어폰(13)이 송수신기의 케이스 속에 내장된 인장스프링(27)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으면서, 지지축(17)에 의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한편, 상부 케이스의 상단에 상기 이어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손잡이(30)가 설치되어,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귀에 착용할 때 상기 작동손잡이(30)를 잡고 이어폰(13)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착용할 수가 있으므로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이 붙잡아 주게 되므로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빠져 이탈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7 while the earphone 13 mounted on the ea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ension spring 27 built into the case of the transceiver.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on the top of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handle 30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earphone, when the wearer wears the wireless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operation handle 30 It can be worn while holding the earphone 13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earphone 13,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s caught after wearing, so that it is easy to get out by the small external force to get out of the effect.

Claims (1)

한 쌍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내에 휴대전화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가 결선되어 있는 PCB와 배터리 및 마이크 등이 내장된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In the earphone-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with a built-in PCB, a battery and a microphone, which is connected to a circuit for performing a Bluetooth fun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in a pair of upper case and lower case,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힌지축을 갖춘 이어폰 홀더가 회동 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통하여 돌출된 이어폰 홀더의 선단에 이어폰이 결합되며, 상기 이어폰 홀더의 하단과 상부 케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송수신기의 케이스 상단에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하여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홀더와 케이스 바깥에 장착된 작동손잡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손잡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어폰 홀더가 인장스프링을 인장시키거나 압축시키면서 상하 회동하고, 상기 이어폰 홀더의 회동에 따라 이어폰이 상하로 이동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An earphone holder having a hinge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the earphone is coupled to a tip of the earphone holder protruding through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ront of the lower case, and the earphone holder A tension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while a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case of the transceiver, and the earphone holder inside the case and the operating handle mounted outside the case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groove. The earphone holder is rotated up and down while tensioning or compressing the tension spring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handle, the earphone type wireless transceive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arphone holder.
KR1020070023202A 2007-03-08 2007-03-08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25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02A KR100725049B1 (en) 2007-03-08 2007-03-08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202A KR100725049B1 (en) 2007-03-08 2007-03-08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049B1 true KR100725049B1 (en) 2007-06-07

Family

ID=3835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202A KR100725049B1 (en) 2007-03-08 2007-03-08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0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31B1 (en) 2006-01-25 2007-03-02 (주)심플비 Wireless headse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31B1 (en) 2006-01-25 2007-03-02 (주)심플비 Wireless headse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0230U (en) Glasses with reception function
US20020065115A1 (e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4188B1 (en) Headset
CA2490125A1 (en) Headset
KR200400774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for a phone
KR100844480B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having earphone
KR100620827B1 (en) Transmitter/receiver comprising bone-conduction speaker
KR200319629Y1 (en) A coupling structure of voice transmitter for a headset
KR100953835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bluetooth trans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25050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25049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39471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39472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725051B1 (en) A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a cellular phone
KR100901361B1 (en)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KR101754032B1 (en) Headband type earset
KR101033705B1 (en) Clamping device for a headset
KR102345345B1 (en) Electronic Device
KR200284358Y1 (en) Earphone retractor built into the inside of mobile phone embedded antenna
JP2005277995A (en) Radio head set instrument
KR100523893B1 (en) Triple-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201004378A (en) Bluetooth earphon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268709Y1 (en) Radio have a cap
KR200266220Y1 (en) Hands free for cellular phone
WO2008108529A1 (en) Earphone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