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708B1 -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708B1
KR100724708B1 KR1020050122408A KR20050122408A KR100724708B1 KR 100724708 B1 KR100724708 B1 KR 100724708B1 KR 1020050122408 A KR1020050122408 A KR 1020050122408A KR 20050122408 A KR20050122408 A KR 20050122408A KR 100724708 B1 KR100724708 B1 KR 10072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data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주
부소영
윤현주
발판츠 딕
발덱 카스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그래픽스연구원
젠트롬 포이에르 그라피쉐 다텐페라르바이퉁 에. 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그래픽스연구원, 젠트롬 포이에르 그라피쉐 다텐페라르바이퉁 에. 페.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그래픽스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70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DA를 포함한 모바일 기기와, 미디어 정보를 저장한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미디어 정보 서버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요구 데이터를 분석함과 아울러 분석된 요구사항을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컨트롤 서버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를 임의로 사용자 중심으로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전시장에 대한 안내와 전시 대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PDA나 휴대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제작됨으로써 전시관 내를 이동하여 관람하는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여 주었으며,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와 정보요소를 구성할 수 있게 하여 이용에 편리성을 더하였다. 또한 전시관 내의 위치 정보와 전시 대상에 대한 상세 정보 등을 글,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중심형 안내 시스템, 모바일, 유비쿼터스, 리퀴드 브라우저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USER CENTRIC PAVILION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의 전체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정보 데이터 및 쿼리가 통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서버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디어 정보 서버
2 : 컨트롤 서버
3 : 휴대장치
101 :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
102 : 데이터 변환기
103 : XML 전송기
104 : 데이터 필터
105 : 쿼리 수신기
106 : 쿼리 분석 처리기
107 : 쿼리 전송기
108 : 데이터 수신기
109 : XML 수신기
110 :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DA를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전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임의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재구성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전시장에 대한 안내와 전시 대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박람회, 전시관, 미술관, 박물관 등을 방문하는 참관자 및 관람객은 전시된 물품에 대해 글,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개발되어 최근까지 대형 전시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내 시스템으로는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안내 시스템, MP3 파일을 이용한 음성 안내기, PDA 기반 안내 시스템 등이 제안되어 있다.
(a) 터치스크린 키오스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키오스크 안내시스템은 사용자와의 대화형식으로 전시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 도서관, 관공서, 기업체를 방문하였을 때에 방문자는 건물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문지 내의 시설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시스템은 철도, 버스, 지하철 노선 및 배차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티켓 예약이나 발매와 같은 서비스도 제공한다. 대부분의 키오스크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정보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휴대성이나 이동성이 전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다른 시스템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b)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안내 시스템
인터넷을 통하여 웹페이지로 전시관이나 박물관에 대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효과적인 안내 방법이다. 전시회가 시작되기 전부터 홍보와 안내를 위하여 홈페이지가 운영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전시장을 방문하기 전에 미리 홈페이지를 통해서 전시회나 박물관 등의 위치 정보나, 안내 대상에 대한 장소와 시간, 전시 내용 등의 기본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현장에서의 즉시성 및 현장성이 결여되어 단점이 있다.
(c) MP3 파일을 이용한 음성 안내기
현재 몇몇 박물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MP3 음성 안내기는 MP3 방식을 이용함으로 인해 깨끗한 음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하므로 내용의 변경 및 갱신이 용이하다. 또한 적외선 수신기를 통한 사용자 위치 자동인식으로 전시품에 접근만 해도 안내기에서 자동으로 설명이 시작된다. 그러나 전시 대상 자동인식은 종종 잘못된 전시품을 안내하는 에러를 일으키기도 하며, 음성만으로 전달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d) PDA 기반 안내 시스템
현재 대형 박물관 등에서는 PDA를 응용하여 제작된 전용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RFID와 컬러 코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근한 전시품 자동 인식을 통해 전시품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또한 PDA에 장착된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관람 후 그 사진을 개인용으로 소장할 수도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관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대형 박물관에서의 효과적인 관람 경로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그러나 국립 중앙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기한 전용 안내 시스템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관람객이 많을 경우에 모두에게 전용 안내 시스템을 제공해 주는데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디어 정보를 저장한 미디어 정 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미디어 정보 서버를 마련하고,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재구성 요청 데이터인 쿼리를 분석하고 해당 미디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변환시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컨트롤 서버를 마련하여, PDA를 포함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전시장에 대한 안내와 전시 대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재구성 요청에 대응하여 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상은,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사용자 중심형 리퀴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요청신호인 쿼리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쿼리에 대응하는 해당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시키는 휴대장치;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된 쿼리를 분석하여 해당 미디어 정보를 하기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미디어 정보 파일로 변환하는 컨트롤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미디어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상은, (a) 휴대장치에서 리퀴드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요청 신호인 쿼리를 컨트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쿼리를 분석하여 미디어 정보 데이 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미디어 정보를 휴대장치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에 관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의 전체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은 크게 미디어 정보 서버(1), 컨트롤 서버(2), 휴대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디어 정보 서버(1)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01)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서버(2)는 상기 미디어 정보 서버(1)와 휴대장치(3)간 실시간 동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 서버(2)는, 미디어 정보 서버(1)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기(102)와, 상기 데이터 변환기(102)로부터 생성된 XML 데이터를 휴대장치(3)로 전송하는 XML 전송기(103)와, 사용자의 쿼리에 따라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104)와, 휴대장치(3)로부터 전송된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기(105)와,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인 쿼리를 분석 처리하는 쿼리 분석 처리기(10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3)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입력받음과 아울러,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안내정보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장치(3)는 PDA 기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장치(3)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인 쿼리를 컨트롤 서버(2)에 전송하는 쿼리 전송기(107)와, 데이터 필터(104)를 거쳐 추출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108)와, 리퀴드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XML 데이터를 수신하는 XML 수신기(109)와, 그리고 사용자 조작을 지원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은, PDA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관람을 위해 이동하는 중에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여 미디어 정보 데이터가 재배치되어 출력되므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데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휴대장치(3)의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에 펜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111)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리퀴드 브라우저는 PDA와 같이 최대 해상도가 480*640 정도의 비교적 작은 화면에서 5가지 이상의 정보 요소가 한 눈에 파악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 기 리퀴드 브라우저는 파악을 원하는 정보 요소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중심형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람객은 어떤 형태이던지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획득하는데 용이하다.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사용자 입력 정보(111)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쿼리 전송기(107)로 입력되고, 상기 쿼리 전송기(107)에서 컨트롤 서버(2)의 쿼리 수신기(105) 및 쿼리 분석 처리기(106)를 거쳐 미디어 정보 서버(1)로 전송된다. 상기 쿼리 분석 처리기(106)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의 데이터 선별을 위해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시 대상에 관한 모든 미디어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전시 대상에 대한 상세정보가 텍스트 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저장됨과 아울러, 관람의 편의를 위해 전시관 내의 전시 대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소속 등 전시관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이에 관람객은 자신의 요구대로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그리고 동영상 등에 대한 파일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가 요구한 쿼리에 따라 선별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은 데이터 변환기(102)에서 자동으로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에서 사용되는 XML 파일로 변환시킨다. 전시 대상에 대한 요약문이라 할 수 있는 XML 파일은 XML 전송기(103)를 통해 휴대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선별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은 데이터 필터(104)를 거쳐 휴대장치(3)로 전송된다.
TCP/IP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XML 파일과 미디어 정보 데이터 파일들을 XML 수신기(109) 및 데이터 수신기(108)에서 각각 전송받아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에 전송한다. 이후, XML 파일은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일 뷰어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각 파일(전시관 안내 정보(112))들을 실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정보 데이터 및 쿼리가 통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리퀴드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이를 통해 자신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인터렉션(Interaction)을 수행하고, 상기 인터렉션에 의한 컨트롤 서버의 제어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장치(3)를 통해 인터렉션(111) 입력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정보 요소(112)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110)를 실행시킨다(S101).
실행된 리퀴드 브라우저는 TCP/IP를 기반으로 컨트롤 서버(2)와의 연결을 시도한다(S102).
이 때, 휴대장치(3)와 컨트롤 서버(2)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휴대장치(3)에서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쿼리 전송기(107)에서 컨트롤 서버(2)로 쿼리를 전송하고, 이에 따르는 XML 파일을 서버에 요청한다(S103).
상기 요청된 XML 파일은 XML 수신기(109)에서 수신되고, XML 파일의 내용에 따라 함께 전송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은 데이터 수신기(108)로 수신되어 휴대장치(3)에 저장된다(S104).
독해된 XML 파일의 정보에 따라 리퀴드 브라우저에서는 물방울 기반의 정보 객체 가시화를 수행한다(S105).
리퀴드 브라우저에 가시화된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객체 정렬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하나의 데이터에 대하여 5가지 이상의 관련정보 정렬을 X축, Y축, 라벨, 물방울의 사이즈와 컬러 등으로 나타내질 수 있도록 요구할 수 있다(S106).
사용자에 의해 재정렬된 데이터의 정보들은 리퀴드 브라우저에 다시 가시화된다(S107).
리퀴드 브라우저의 물방울 데이터가 보여줄 수 있는 정보들은 데이터 수신기(108)로 입력되어 휴대장치(3)에 저장된 후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시화된다(S108).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상에 대하여 상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의 상세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음성파일 혹은 동영상 파일 등으로 저장되어 있고, 각 정보는 파일에 따라 선택되는 즉시 시스템의 뷰어를 통해 가시화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S109).
사용자가 확인한 데이터에 대한 누적 통계 정보는 전체 정보 관리를 위하여 쿼리 전송기(107)를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S110).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대상에 대한 미디어 정보를 확인하고 난 후, 또는 위치정보를 통해 전시 정보를 안내받고 난 후, 리퀴드 브라우저는 사용자에 의해 종료된다(S11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서버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서버에서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여 쿼리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휴대장치로부터 전달된 쿼리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쿼리에 따른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컨트롤 서버의 제어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를 안내하기 위해 미디어 정보 서버(1)가 실행된다(S201).
상기 미디어 정보 서버(1)가 실행되면, 컨트롤 서버(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쿼리를 휴대장치(3)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202).
이 때, TCP/IP를 기반으로 미디어 정보 서버(1)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고자하는 휴대장치(3)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컨트롤 서버(2)는 이를 수락하게 된다(S203).
컨트롤 서버(2)의 쿼리 수신기(105)는 휴대장치(3)에서 전송된 쿼리를 수신하고, 컨트롤 서버(2)의 쿼리 분석 처리기(106)에서 이를 분석한 뒤, 쿼리에 따라 데이터 추출을 처리한다(S204).
추출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은 데이터 필터(104)를 거쳐 데이터 변환기 (102)로 전달되고, 휴대장치(3)에 적합한 미디어 정보 데이터로 변환된다(S205).
변환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변환기(102)에서는 XML 파일을 생성하고, 이는 XML 전송기(103)를 통해서 휴대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데이터 필터(104)을 통해서 변환된 다수의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도 휴대장치(3)로 전송된다(S206).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여러 개의 요소들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통계 및 분석 자료까지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시관과 전시 대상에 대한 정보가 일반 컴퓨터의 6분의 1이하의 작은 화면을 가지고 있는 PDA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휴대성과 저렴한 비용으로도 탄력적으로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퀴드 브라우저는 일반 컴퓨터와 비교하여 현저히 작은 PDA나 타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와 같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는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한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전체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는 PDA를 안내장치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적응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여러 전시관 형태나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갱신 및 추가,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국제 규격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JAVA 2 Micro Edition을 기반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어떤 모바일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범용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는 사용자 중심형 리퀴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요청신호인 쿼리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쿼리에 대응하는 해당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시키는 휴대장치;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된 쿼리를 분석하여 해당 미디어 정보를 하기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미디어 정보 파일로 변환하는 컨트롤 서버; 및
    상기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미디어 정보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쿼리를 컨트롤 서버에 전송하는 쿼리 전송기;
    상기 추출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
    상기 리퀴드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XML 데이터를 수신하는 XML 수신기; 및
    사용자 조작을 지원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미디어 정보가 출력되는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서버는,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된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기;
    상기 쿼리 수신기로부터 전달된 쿼리를 분석 처리하는 쿼리 분석 처리기;
    상기 쿼리 분석을 통해 해당 미디어 정보를 추출하여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기;
    상기 데이터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XML 데이터를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XML 전송기; 및
    상기 쿼리 분석에 대응하여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
  4. (a) 휴대장치에서 리퀴드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요청 신호인 쿼리를 컨트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쿼리를 분석하여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미디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미디어 정보를 휴대장치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리퀴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변환하여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정보 서버 및 컨트롤 서버를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TCP/IP를 기반으로 휴대장치의 요청 신호가 있을 경우에 휴대장치와 컨트롤 서버간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달된 쿼리를 전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추출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에 대해 휴대장치에 사용하는 미디어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XML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 및 XML 파일을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에서 변환된 미디어 정보 데이터 및 XML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독해된 XML 파일의 정보에 따라 리퀴드 브라우저에서 물방울 기반의 정보 객체 가시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휴대장치에 가시화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X축, Y축, 라벨, 물방울의 사이즈, 컬러를 포함한 관련 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정렬된 데이터의 정보를 리퀴드 브라우저에 가시화시키는 단계
    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정보에 대해 시스템 뷰어를 통해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확인한 데이터에 대한 누적 통계 정보는 전체 정보 관리를 위하여 휴대장치에서 미디어 정보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방법.
KR1020050122408A 2005-12-13 2005-12-13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KR10072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08A KR100724708B1 (ko) 2005-12-13 2005-12-13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08A KR100724708B1 (ko) 2005-12-13 2005-12-13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708B1 true KR100724708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08A KR100724708B1 (ko) 2005-12-13 2005-12-13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359A (ko)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관람객의 관람 모니터링/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978A (ko)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0981A (ko)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놀이 공원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978A (ko)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시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0981A (ko) * 2003-10-29 2005-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놀이 공원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359A (ko)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관람객의 관람 모니터링/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3750B2 (en) Dynamic tag generating apparatus and dynamic tag generating method thereof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US20140156186A1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EP1569142A2 (en) Hypertext navigation for shared displays
KR20120087213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005931B2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20080104067A1 (en) Location based large format document display
KR20090105748A (ko) 멀티 티커의 위젯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599021A (zh) 一种虚拟空间漫游指引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9100483A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コンテンツ視聴装置の制御方法、マルチメディア端末、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端末の動作方法
CN107832365B (zh) 多类旅行产品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466085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処理方法
KR102451012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류장 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6878044A (zh) 远程支持系统、信息处理设备、图像处理设备及控制方法
KR100724708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사용자 중심형 전시관 정보 안내 시스템및 방법
KR201601294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화면을 공유하는 키오스크 및 키오스크 화면 공유 시스템
JP2007148911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72564B2 (en) Information-link system, information-link progra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nformation-link system
KR101337041B1 (ko)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KR101311887B1 (ko) 원격 단말을 이용한 원격 감시제어 방법 및 장치
Ciavarella et al. Supporting Access to Museum Information for Mobile Visitors.
JP693055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39268A1 (ja) 地図表示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方法
US20220222942A1 (en) Exhibition support device, exhibition support system, exhibi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JP2012018596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装置
JP535745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