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709B1 -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709B1
KR100723709B1 KR20050101143A KR20050101143A KR100723709B1 KR 100723709 B1 KR100723709 B1 KR 100723709B1 KR 20050101143 A KR20050101143 A KR 20050101143A KR 20050101143 A KR20050101143 A KR 20050101143A KR 100723709 B1 KR100723709 B1 KR 10072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se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889A (ko
Inventor
이성규
이은복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0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7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70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데 있어 콘텐츠 실행이 불가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 및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을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섹션 파일을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서 콘텐츠를 실행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콘텐츠, 외장형 메모리, 콘텐츠 프로파일, 단말 기종, 섹션 업데이트

Description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method of executing the mobile contents which is stored external memory}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외장형 메모리
30 : 콘텐츠 제공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데 있어 콘텐츠 실행이 불가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 및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을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섹션 파일을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서 콘텐츠를 실행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인터넷 관련 기술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콘텐츠(예; 응용 프로그램, 영화, 음악, 게임 등)을 다운로드받아 단말 상에서 실행시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콘텐츠 다운로드 및 실행 과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 다운로드를 요구하게 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는 가입자 단말 프로파일(User Agent Profile)을 조회해 위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서 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콘텐츠 파일을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는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고서 해당 콘텐츠를 실행시키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해당되는 콘텐츠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종별로 콘텐츠 지원 스펙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사양(예; 예컨대 디스플레이 가로/세로 크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사운드 코덱 실장 여부 등)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인 사양[예; 운영체제 종류, 자바(JAVA) 기반 플랫폼/C(C) 기반 플랫폼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 기종별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서버에서는 동일한 콘텐츠 내용을 갖지만 각 이동통신 단말기 기종에 적합한 서로 다른 파일들을 사전에 준비[프로그래밍 -> 컴파일링]해 둔 상태에서 해당되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려주고 있다.
한편, 최근에 저장매체 보편화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식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장형 메모리를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컴퓨터 또는 다른 사람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간편하게 옮기는데 사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인터넷 접속에 따른 패킷 요금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는 컴퓨터로 콘텐츠 제공서버로 접속해 모바일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거나 P2P 프로그램을 사용해 타인이 소유한 콘텐츠를 컴퓨터에 다운로드시킨 상태에서 컴퓨터에 연결된 외장형 메모리에 콘텐츠를 복사시키고서 이 외장형 메모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시켜 단말에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를 실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친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외장형 메모리에 복사시켜서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키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서버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은 모바일 콘텐츠는 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반면에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모바일 콘텐츠는 이 모바일 콘텐츠가 실제적으로 실행되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읽어서 실행하는데 있어 해석하지 못하거나 해석되었더라도 잘못된 결과(예; 사운드 미재생, 다른 색상의 캐릭터 디스플레이 등)가 출력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모바일 콘텐츠 실행에 필요한 추가 파일 등을 획득하여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데 있어 콘텐츠 실행이 불가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 및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을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섹션 파일을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업데이트하고서 콘텐츠를 실행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콘텐츠 실행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상기 콘텐츠 실행 시도 결과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상기 모바일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 존재 여부 검사 결과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아이디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프로파일과 단말 기종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대상 콘텐츠 섹션을 파악하는 단계; (e) 상기 파악한 업데이트 대상 콘텐츠 섹션을 토대로 섹션 아이디 및 단말 기종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해당되는 콘텐츠 섹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 섹션을 상기 모바일 콘텐츠에 대해 업데이트한 후 상기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10), 각종 데이터,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외장형 메모리 (20), 각종 콘텐츠 프로파일 및 각종 콘텐츠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3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통신망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이동통신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장형 메모리(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장착되어져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해 데이터가 읽고/쓰여지거나 메모리 리더(미도시) 등에 연결된 컴퓨터(미도시) 등에 의해 데이터가 읽고/쓰여지는 저장매체로서, 부정 논리곱(NAND)형 메모리, 멀티미디어 카드(MMC, 컴팩트 플래시형 메모리), SD 메모리 카드(SD Memory Card), USB 플래시 메모리 기기(UFD; USB Flash memory Device)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형 메모리(20)에는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장형 메모리(20)에 모바일 콘텐츠,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용도로 제작되어진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모바일 콘텐츠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적용되지 않은 콘텐츠, 예컨대 무료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30)는 모바일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관한 프로비져닝(provisioning, 서비스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콘텐츠 제공서버(30)는 사람들에게 배포한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 및 이 모바일 콘텐츠를 이루는 각 파일을 보관한 상태에서, 특정 단 말기로부터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받은 경우에 해당되는 콘텐츠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특정 단말기로부터 콘텐츠의 일부 파일을 요청받은 경우에 해당되는 콘텐츠 파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 다운로드 요구를 받은 경우에 해당되는 단말 기종에 적합한 콘텐츠 파일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가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콘텐츠 제공서버 직접 접속에 의해 다운로드되어진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예컨대,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모바일 콘텐츠를 사용자가 자신의 외장형 메모리(20)에 복사시켜 이 외장형 메모리(20)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이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것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외장형 메모리(20)에 어떠한 모바일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 모바일 콘텐츠를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외장형 메모리(20)에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고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해 이에 응답받은 콘텐츠 프로파일 및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를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콘텐츠 섹션 파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에 해당되는 콘텐츠 섹션 파일을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요청해 이에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섹션 파일을 외장형 메모리(20)에 업데이트하고서 이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 존재 여부 검사 결과로 외장형 메모리(20)에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하지 않고서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프로파일을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콘텐츠 섹션 파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에 해당되는 콘텐츠 섹션 파일을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요청해 이에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섹션 파일을 외장형 메모리(20)에 업데이트하고서 이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한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형 메모리(20)에 해당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는 모바일 콘텐츠 배포 시에 실제적인 콘텐츠 파일과 이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이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말 기종에 적합한 모바일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기에 별도의 콘텐츠 프로파일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외장형 메모리(20)에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이다. 특히, 최근에 다양한 단말 기종이 출시되고 있는 것에 비추어 보면,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진 모바일 콘텐츠가 오래 전에 저장되어진 것이라면 이 모바일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어진 콘텐츠 프로파일에는 신기종 단말에 대한 정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향후 출시되는 신기종 단말에 대해 다이나믹하게 적용되어진 콘텐츠 프로파일이 콘텐츠 제공서버(30)에서 제작되어져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외장형 메모리(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 실행 명령을 내리면,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를 읽은 결과로 실행을 실패한다(200).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외장형 메모리(20)에 위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201). 여기서, 콘텐츠 프로파일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 외장형 메모리(20)에 이 [표 1]과 같은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Item Description 비고
콘텐츠 정보 콘텐츠 아이디, 콘텐츠명, 콘텐츠 버젼, 콘텐츠 파일 크기, 섹션 정보 각 섹션별 고유 아이디 및 실질 데이터가 서로 매칭되어 있음
지원 단말 기종 정보 실행 가능한 단말 모델명 -
지원 디스플레이 정보 LCD 가로/세로 크기, 해상도 -
지원 사운드 정보 지원 코덱 -
기타 단말 독립적 정보 GIGA, WIPI
[표 1]을 참조해 설명하면, 일반적인 모바일 콘텐츠는 실행 파일(예; EXE 등), 라이브러리[데이터] 파일(예; DLL 등) 및 리소스 파일(예; 이미지 파일, 사운드 파일 등)과 같은 여러개의 섹션 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섹션 파일은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의해 구분되어 진다. 부가적으로, 모바일 콘텐츠가 하나의 단일 파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실행 섹션, 라이브러리 섹션 및 리소스 섹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경우도 각 섹션은 각각의 고유 아이디에 의해 하나의 파일 상에서 구분되어 진다.
부가적으로, [표 1]에서 "GIGA(Graphic Instruction Graphic Acceleration)"란 3D 가속 그래픽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GIGA 단말인 경우에 3D 가속 그래픽 처리를 하고 GIGA 단말이 아닌 경우에 일반적인 그래픽 처리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GIGA 단말이 아니라고 해서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지 못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 존재 여부 검사 결과(201), 외장형 메모리(20)에 위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콘텐츠 아이디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한다(202). 그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30)는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콘텐츠 프로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3).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콘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프로파일 및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를 참조해 업데이트에 필요한 콘텐츠 섹션 파일이 무엇인지를 파악한다(204).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콘텐츠 프로파일에 제시된 단말 모델명 및 콘텐츠 파일 크기 등을 통해 자신이 실행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서, 이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 사운드 정보 등을 통해 해당되는 섹션에 존재하는 실질 데이터가 자신에게 적합한 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나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은 섹션에 대해서는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그 섹션 아이디를 파악해 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파악한 업데이트 대상 섹션을 토대로 콘텐츠 아이디, 섹션 아이디 및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예; 단말 모델명 또는 ESN(장치번호) 또는 MIN(전화번호) 등과 같이 이 단말이 어떠한 사양을 갖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콘텐츠 섹션 파일을 요청한다(205).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섹션 아이디와 함께 자신의 단말 기종 정보를 콘텐츠 제공서버(30)에게 보내는 것은, 콘텐츠 제공서버(30)가 섹션 아이디에 대응되는 수많은 실질 데이터, 예컨대 단말 기종별로 사전에 준비된 콘텐츠 섹션 파일 중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적합한 콘텐츠 섹션 파일을 찾아서 내려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단말 기종 정보를 참조해서 섹션 아이디에 대응되는 콘텐츠 섹션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6).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콘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섹션 파일을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에 대해 업데이트하고서 이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한다(207, 208).
한편,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 존재 여부 검사 결과(201), 외장형 메모리(20)에 위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202" 과정 및 상기 "203"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외장형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프로파일을 토대로 상기 "204"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어떠한 모바일 콘텐츠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대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콘텐츠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바일 콘텐츠 실행을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상기 콘텐츠 실행 시도 결과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상기 모바일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 존재 여부 검사 결과로 콘텐츠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아이디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프로파일과 단말 기종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대상 콘텐츠 섹션을 파악하는 단계;
    (e) 상기 파악한 업데이트 대상 콘텐츠 섹션을 토대로 섹션 아이디 및 단말 기종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콘텐츠 제공서버에게 해당되는 콘텐츠 섹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 섹션을 상기 모바일 콘텐츠에 대해 업데이트한 후 상기 모바일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은 콘텐츠 정보, 지원 단말 기종 정보, 지원 디스플레이 정보, 지원 사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섹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섹션으로 이루어져 있되, 각 섹션은 각각의 고유 아이디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종 정보는 단말 모델명 또는 장치번호(ESN) 또는 전화번호(M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 콘텐츠 섹션 파악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프로파일에 제시된 지원 단말 기종 정보를 통해 상기 모바일 콘텐츠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지를 조사하고서, 실행 가능할 경우에 지원 디스플레이 정보 및 지원 사운드 정보를 통해 상기 모바일 콘텐츠의 각 섹션 중 단말에 적합하지 않은 섹션 아이디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KR20050101143A 2005-10-26 2005-10-26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KR10072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1143A KR100723709B1 (ko) 2005-10-26 2005-10-26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1143A KR100723709B1 (ko) 2005-10-26 2005-10-26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89A KR20070044889A (ko) 2007-05-02
KR100723709B1 true KR100723709B1 (ko) 2007-05-30

Family

ID=3827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1143A KR100723709B1 (ko) 2005-10-26 2005-10-26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26B1 (ko) 2008-06-11 2010-12-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3d 게임 시스템 및 게임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26B1 (ko) 2008-06-11 2010-12-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3d 게임 시스템 및 게임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89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094B2 (en) Application management within deployable object hierarchy
CN109547570B (zh) 服务注册方法、装置、注册中心管理设备及存储介质
US9098368B1 (en) Loading branded media outside system partition
US90428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branding framework in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65828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稼働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14067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a licensable item
CN109391676B (zh) 终端设备控制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90144756A1 (en) Conflict resolution apparatus
CN105302563A (zh) 移动应用服务的插件化方法及系统
CN107038046B (zh) 音频播放系统的升级方法、装置及终端
WO2020143199A1 (zh) 一种应用程序插件化的方法、系统以及相关装置
JP2009512058A (ja) メタデータを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ミドルウェア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TW201807571A (zh) 產生容器的方法、裝置、終端、伺服器與系統
CN112527301B (zh) 一种实现应用插件化的方法及电子设备
CN104834541A (zh) 功能模块挂载方法、挂载系统及更新挂载系统的方法
CN111079125A (zh) 一种应用程序调用第三方库动态提升权限的方法及装置
WO2009059473A1 (fr) Système de terminal basé sur java
WO2012065464A1 (zh) 软件安装方法和装置
KR100723709B1 (ko)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KR20190098516A (ko)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4726905A (zh) 一种Tbox网络接入Android系统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27548A (zh) 软件升级方法及相关装置
EP2767100B1 (en) Dynamic content installer for mobile devices
JP2007018491A (ja) プラグアンドプレイ(PnP)記憶デバイスにより携帯式装置の機能を更新するための方法
KR100627819B1 (ko) 왑 브라우저의 기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