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574B1 -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574B1
KR100721574B1 KR1020050018832A KR20050018832A KR100721574B1 KR 100721574 B1 KR100721574 B1 KR 100721574B1 KR 1020050018832 A KR1020050018832 A KR 1020050018832A KR 20050018832 A KR20050018832 A KR 20050018832A KR 100721574 B1 KR100721574 B1 KR 10072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928A (ko
Inventor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5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액정표시부가 형성된다.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전면 또는 배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으로 새는 빛을 액정표시부의 백라이트로 활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보호판, 유기전계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유기전계발광표시부 110, 310 : 기판
120, 320 : 상부기판 130, 330 : 유기전계발광소자
150, 350, 450 : 보호판 160, 360 : 투명접착제
200, 400 : 액정표시부 210, 410 : 도광판
220, 420 : 액정표시장치패널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액정표시부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의 무게와 크기의 문제점을 해결 하여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ELD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전계방출표시장치(FED : Field Emitter Display)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 액정표시장치에서 문제로 지적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리나 그밖에 투명한 절연기판 상에 소정 패턴으로 양극을 형성하고, 이 양극 상에 유기막으로 발광층을 형성하며, 그 위로 상기 양극과 직교하도록 소정 패턴의 음극을 순차로 적층하여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유기막은 하부로부터 홀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이들 유기막층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수층들이 조합을 이루어 발광층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양극 및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홀(hole)이 홀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음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를 생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유기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데, 상기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체의 유동성과 결정의 광학적 성격을 겸비하는 액정에 전계를 가하여 광학적 이방성을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종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경박단소화가 용이하며 대형화 및 고정세화가 가능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back light) 등의 조명장치로 많이 사용되었다. 즉, 미국 특허 제 5,965,907호에는 3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적색, 녹색, 청색의 3가지 색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 5,796,509호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백라이트나 프론트라이트로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999-28896호에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조명장치로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액정표시장치의 조명용으로만 사용하여, 응답성이 뛰어나 동영상의 구현이 보다 원활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면, 배면 또는 양면발광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하지만, 전면 또는 배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으로도 빛이 새어나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면으로 새어나가는 빛은 보호판에 의해 차단되어 소멸된 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액정표시부와 유기전계발광표시부를 함께 구현하더라도 평판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으로 새는 빛을 활용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액정표시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전면 또는 배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으로 새는 빛을 액정표시부의 백라이트로 활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좌측 및 우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투과형 액정표시부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부착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상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접착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폴리 비닐 부틸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를 체결하여 주는 보호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부기판을 체결하여 주는 보호판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액정표시부가 형성된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좌측 및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에 형성된 보호판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 및 상기 액정표시부가 형성된 영역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투과형 액정표시부일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부착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패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액정표시장치패널을 체결하여 주는 보호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에 형성된 보호판은 광취출부 에 해당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Ⅰ-Ⅰ'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 및 그 측면에 구비되는 액정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는 유기전계발광소자(130)가 형성된 기판(11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발광 유기전계발광소자(13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기판(110)은 절연기판을 사용할 수 있는바,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10)의 양면에는 실리콘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이 형성되어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130)는 애노드전극, 유기막층 및 캐소드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애노드전극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소재의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을 형성한 후에는 애노드전극 간의 단락 및 애노드전극과 이후 형성될 캐소드전극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층간절연막 등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 상에 유기막층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막층은 정공을 주입하는 정공주입층, 발광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전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공수송층,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전자수송층 및 전자를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막층 중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 등 각 화소를 구비하도록 하여 풀 컬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상기 각 화소는 소정의 패턴이 되도록 한다.
상기 유기막층 상에 캐소드전극이 형성되는데, 상기 캐소드전극은 상기 애노드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기막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연물질로 별도의 격벽을 형성하거나, 증착 마스크를 이용해 직접 패턴을 형성시켜 증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130)가 형성된 하부기판(110) 상에 상부기판(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기판(120)은 투명한 유리재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기판(110)의 외곽부에 도포된 시일재(140)에 의해 상기 하부기판(110)과 밀폐된다. 상기 시일재(140)는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130)는 수동 구동방식(Passive Matrix)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각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능동 구동방식(Active Matrix)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에 액정표시부(2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20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바, 투명접착제(160)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접착제(160)로서,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폴리 비닐 부틸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표시부(200)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좌측 및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일 측면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배선부가 연결되는 측면을 제외한 세 측면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200)는 도광판(210) 및 액정표시장치패널(220)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백라이트(back light)와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는 본 발명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으로 새어나오는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200)의 백라이트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200)는 투과형 액정표시부일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역 할을 하는 광원이 상기 도광판(210)의 후면에 형성되어있으므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반사판 역시 필요하지 않다.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 즉, 시일재(140)에 의해 결합된 기판(110)과 상부기판(120)의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도광판(210) 상에 액정표시장치패널(220)이 개재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패널(220)은 하부전극과 배향막을 포함하는 하부기판, 상부전극과 배향막을 포함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에 컬러필터를 더욱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패널(220)의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에서 새어나온 빛은 상기 도광판(210)의 입사면으로 입사되어 들어간다. 상기 도광판(210)으로 입사된 빛들은 상기 도광판(210)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 패널(220)을 통하여 화상을 구현한다. 즉,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와 상기 액정표시부(200)를 보호판(150)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보호판(150)은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와 상기 액정표시부(200)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150)의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와 상기 액정표시부(200)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광취출부는 상부기판(120)에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배면발광일 경우에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기판(110)에 광취출부를 형성할 수 있고, 양면발광일 경우에는 기판(110) 및 상부기판(120)에 광취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판(150)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각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부(200)를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액정표시부(200)와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를 함께 구현하더라도 평판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측면으로 새는 빛을 보호판에 의해 차단하지 않고, 그 빛을 액정표시부(200)의 백라이트로 활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Ⅱ-Ⅱ'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20)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 및 그 측면에 구비되는 액정표시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는 유기전계발광소자(330)가 형성된 기판(310)을 구비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330)가 형성된 하부기판(310) 상에 상부기판(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기판(320)은 투명한 유리재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기판(310)의 외곽부에 도포된 시일재(340)에 의해 상기 하부기판(310)과 밀폐된다. 상기 시일재(340)는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의 상기 하부기판(310)과 상부기판(320)을 보호판(350)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보호판(350)은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기판(310)과 상부기판(320)을 외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350)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100)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의 측면에 액정표시부(4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400)는 도광판(410) 및 액정표시장치패널(4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400)는 투과형 액정표시부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반사판 역시 필요하지 않다. 상기 액정표시부(400)의 상기 도광판(410)과 액정표시장치패널(420)을 보호판(450)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보호판(450)의 상기 액정표시부(400)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40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바, 투명접착제(360)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판(450)이 형성된 액정표시부(400)를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의 좌, 우측면에 부착하고 있 다. 따라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300)와 액정표시부(400)의 보호판(350, 450) 사이 및 각각의 보호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투명접착제(360)를 개재하여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액정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전면 또는 배면뿐만 아니라 그 측면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부와 유기전계발광표시부를 함께 구현하더라도 평판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으로 새는 빛을 보호판에 의해 차단하지 않고, 그 빛을 액정표시부의 백라이트로 활용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부; 및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된 액정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표시부는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상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접착제는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 아크릴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폴리 비닐 부틸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를 체결하여 주는 보호판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보호판은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의 광취출부에 해당되는 영역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KR1020050018832A 2005-03-07 2005-03-07 평판표시장치 KR10072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832A KR100721574B1 (ko) 2005-03-07 2005-03-07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832A KR100721574B1 (ko) 2005-03-07 2005-03-07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28A KR20060097928A (ko) 2006-09-18
KR100721574B1 true KR100721574B1 (ko) 2007-05-23

Family

ID=376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832A KR100721574B1 (ko) 2005-03-07 2005-03-07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40B2 (en) 2015-01-12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169A (ko) * 2001-01-17 2002-07-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169A (ko) * 2001-01-17 2002-07-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40B2 (en) 2015-01-12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928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5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94816B1 (ko) 투명 유기발광소자
KR10075539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35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12122B1 (ko) 평판표시장치
KR100721574B1 (ko) 평판표시장치
KR1019013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23451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7074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2344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112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139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441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17383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510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22683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220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808520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10190241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417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73B1 (ko) 마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제조방법
KR10072699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37B1 (ko) 얼라인 장치
KR1007269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7855A (ko) 백색 유기발광 소자 및 컬러 필터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