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732B1 -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 Google Patents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732B1
KR100720732B1 KR1020060021785A KR20060021785A KR100720732B1 KR 100720732 B1 KR100720732 B1 KR 100720732B1 KR 1020060021785 A KR1020060021785 A KR 1020060021785A KR 20060021785 A KR20060021785 A KR 20060021785A KR 100720732 B1 KR100720732 B1 KR 10072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oggles
curved
vision correction
gog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남
Original Assignee
윤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남 filed Critical 윤승남
Priority to KR102006002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46Blades;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색이 가미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와;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일부 또는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고 있는 곡면화된 본체가 있고, 후방에는 한쌍의 다리가 구비된 안경테;로 구성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안쪽면에는 그 곡률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고정구가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시력보정용 렌즈가 결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착된 시력보정용 렌즈는 착용자의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결합된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글은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서로 상이한 고글용 렌즈와 시력보정용 렌즈를 그 굴절률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배열시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초점이 착용자의 시야에 도착되는 시점을 일치되도록 하여 근시나 원시, 난시자들도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고글용 렌즈, 안경테, 본체, 다리, 고정구, 시력보정용 렌즈

Description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A goggle of having a proofreading-lens }
도 1은 종래 고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렌즈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의 렌즈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고정구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렌즈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고글용 렌즈
20 : 안경테
21 : 본체
22 : 다리
30 : 고정구
31 : 결합홈
32 : 주입공
40 : 시력보정용 렌즈
본 발명은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햇빛의 직사광선을 피하고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와 함께 난시 및 근시, 원시를 보정하기 위한 시력보정용 렌즈가 장착된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은 근시 및 원시, 난시가 있는 사람들이 시력을 보정하기 위해 착용하던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햇빛의 직사광선을 피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선글라스나, 스포츠 및 레저활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면의 렌즈가 곡면을 이루는 고글 등과 같이 그 용도에 맞춰 다양한 안경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된 안경, 특히 선글라스나 고글(이하 통칭하여 '고글'이라 함)은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외적인 감각을 추구하기 위하여 패션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제품의 크기나 디자인도 다양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고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글은 소정의 색이 가미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고글용 렌즈(10)와; 상기 고글용 렌즈(1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며 결합하고 있는 곡면화된 본체(21)가 있고, 그 후방에는 한쌍의 다리(22)가 구비된 안경테(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글은 통상적으로 본체(21)와 얼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전면부가 사람의 얼굴과 최대한 밀착되도록 얼굴의 곡률 반경과 유사한 곡면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곡면화된 선글라스 본체(21)에 결합된 렌즈(10)는 눈의 정면에 해당하는 중심부에서 양측면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T1>T2)를 갖도록 설계되어져야 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사물을 바라볼 때 고글용 렌즈(10)의 표면과 수직으로 투과하는 매질 내의 거리와 렌즈(10)의 좌.우 곡면부로 입사 및 굴절하여 투과하는 매질 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하여 사물에 대한 초점(F)을 착용자의 눈에 맞추기 위해서다.
즉, 빛이 수직으로 투과하는 렌즈(10)의 중심부 두께(T1)는 비교적 두껍게 하고, 반대로 빛이 입사 및 굴절하여 투과하는 렌즈(10)의 좌.우 곡면부 두께(T2)는 비교적 얇게 하여 착용자의 눈에 전달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왜곡현상을 최소화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종래 고글의 경우 단순히 렌즈에 소정의 색을 가미하여 직사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력이 약하거나 평상시 시력보정용 안경을 착용하고 다니던 사람은 사물의 관찰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히려 불편하고 번거럽기 때문에 착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글용 렌즈 자체에 일정한 도수를 갖도록 하여 시력보정을 겸할 수 있 도록 제작이 가능하나, 이러한 시력보정 겸용 렌즈는 착용과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수요자의 주문제작에 의해 생산되는 바, 공업적인 다량생산에 어려움이 있고, 그로 인해 제조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하므로 오히려 수요자로부터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고글에 시력보정용 렌즈를 장착하여 고글용 렌즈와 겹쳐 사용함으로써 근시 또는 원시, 난시를 갖고 있는 사람도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제품이 소개된 바 있다.
도 3은 종래 도수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의 렌즈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가 사람 얼굴의 곡률반경에 맞게 곡면화된 고글에 있어서, 본체(21)에 결합된 고글용 렌즈(10)의 안쪽면에 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시력보정용 렌즈(40)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력보정용 렌즈(40)를 고글용 렌즈(10)의 안쪽면에 밀착되게 장착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제1999-7006873호, 동 실용신안 제2000-29871호, 동 실용신안 제2000-31318호 등을 비롯한 종래 기술에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력보정용 렌즈(40)는 사물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고글용 렌즈(10)와는 반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곡면화를 이루는 고글용 렌즈(10)와 이와 동일한 곡면을 갖는 시력보정용 렌즈(40)를 서로 겹쳐 사용할 경우 사물에 대한 초점(F')이 착용자 눈의 위치된 초점(F)보다 훨씬 뒤에 맺혀지거나 훨씬 앞에 맺혀지게 되며, 좌.우 눈에 대한 원근감이 차이가 발생되어 사물에 대한 판별력이 불명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상세하세는, 시력보정용 렌즈만을 안경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좌.우 측면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과 비슷하게 투과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착용자의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바, 이를 고글용 렌즈와 동일한 곡면을 갖고 겹쳐 착용하게 되면 두 렌즈의 매질을 통과하는 빛이 두 번 굴절하게 되어 사물에 대한 초점(F')과 눈이 위치된 초점(F)이 맞지 않아 사물에 대한 왜곡현상이 발생되고, 장시간 사용시 눈이 쉽게 피로해지며, 프리즘 현상으로 인한 어지러움증을 유발하게 되어 착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서로 상이한 고글용 렌즈와 시력보정용 렌즈를 효과적으로 배열시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초점이 착용자 눈의 초점과 일치되도록 한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색이 가미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와;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일부 또는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고 있는 곡면화된 본체가 있고, 후방에는 한쌍의 다리가 구비된 안경테;로 구성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안쪽면에는 그 곡률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고정구가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시력보정용 렌즈가 결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착된 시력보정용 렌즈는 착용자의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색이 가미된 고글용 렌즈(10)와, 상기 고글용 렌즈를 결합하고 착용수단을 제공하는 안경테(20), 고글용 렌즈(10) 안쪽면에 부착된 고정구(30), 근시나 난시, 원시자의 시력교정을 위한 시력보정용 렌즈(40)로 구성된다.
먼저, 고글용 렌즈(10)는 검정, 노랑, 파랑, 빨강, 갈색 등과 같은 다양한 색감이 가미되어 햇빛의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여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그 외부면에 UV코팅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글용 렌즈(10)는 역시 동일한 곡면을 갖는 본체(21)에 결합되며,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갖고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사물을 바라볼 때 고글용 렌즈(10)의 중심 표면과 수직으로 투과하는 매질 내의 거리와 고글용 렌즈(10)의 양측 곡면부로 입사 및 굴절하여 투과하는 매질 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하여 사물에 대한 왜곡현상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한편, 고글용 렌즈(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구분없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가 구분된 한 쌍으로 구성된 고글용 렌즈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안경테(20)는 고글용 렌즈(10)의 일부 또는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고 있는 곡면화된 본체(21)와,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각각 좌.우 양측에 구비된 다리(22)로 구성된다. 한편, 제품에 따라서 고글의 전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코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본체에 설치되기도 하나 통상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고글용 렌즈(10)와 안경테(20)는 그 디자인과 결합방식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종래 출시된 어느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고정구(30)는 시력교정용 렌즈(40)를 결착하기 위한 결착수단과 고글용 렌즈(1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하기 도 5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고정구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30)는 그 형상이 내부가 관통된 통형으로서, 부착되는 고글용 렌즈의 곡률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고 고글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진행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구(30)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고글용 렌즈(10)의 안쪽면에 그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부착된다.
이러한 고정구(30)는 별도로 제작되어 다양한 접착방법을 통해 부착할 수 도 있으나, 고글용 렌즈(10)를 제작시 사출성형 등의 성형방식에 의해 고정구(30)를 고글용 렌즈(10)의 배면에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부착작업이 필요없어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밀폐도를 높여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30)의 후방 내면에는 시력보정용 렌즈(40)가 삽입되어 결착되는 결합홈(31)이 그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된 시력보정용 렌즈(40)를 좀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구(3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홈(31)과 연결된 주입공(3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주입공(32)을 통해 액상 접착제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시력보정용 렌즈(40)가 고정구(30)와 함께 접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구(30)는 고글과 착용자의 얼굴 사이로 측광이 들어오더라도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글용 렌즈(10)에서 사용된 색과 동일한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력보정용 렌즈(40)는 근시나 원시, 난시를 교정하기 위한 렌즈로서, 고정홈(30)의 결합홈(31)에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시력보정용 렌즈(40)는 착용자의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글라스의 사용상태를 하기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4의 렌즈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글용 렌즈(10)의 경우 얼굴의 곡률과 대응되게 곡면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시력보정용 렌즈(40)는 고정구(30)에 의해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사물을 바라볼 때 고글용 렌즈(10)를 투과한 빛은 고정구(30)에 의해 이격된 공간을 통과한 후, 프리즘의 굴절률을 갖는 시력보정용 렌즈(40)을 통과하더라도 사물에 대한 초점(F)이 착용자 눈의 초점과 일치되어 왜곡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서로 상이한 고글용 렌즈와 시력보정용 렌즈를 그 굴절률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배열시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초점이 착용자 눈의 초점과 일치되도록 하여 근시나 원시, 난시를 가진 사람도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은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서로 상이한 고글용 렌즈와 시력보정용 렌즈를 그 굴절률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배열시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렌즈를 투과하는 빛의 초점이 착용자의 시야에 도착되는 시점을 일치되도록 하여 근시나 원시, 난시자들도 용이하게 착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소정의 색이 가미되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와;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일부 또는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고 있는 곡면화된 본체가 있고, 후방에는 한쌍의 다리가 구비된 안경테;로 구성된 고글에 있어서,
    상기 곡면화된 고글용 렌즈의 안쪽면에는 그 곡률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고정구가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시력보정용 렌즈가 결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착된 시력보정용 렌즈는 착용자의 양쪽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구는 고글용 렌즈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는 그 외부로 부터 관통하여 결합홈과 연결된 주입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햇빛의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KR1020060021785A 2006-03-08 2006-03-08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KR10072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85A KR100720732B1 (ko) 2006-03-08 2006-03-08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85A KR100720732B1 (ko) 2006-03-08 2006-03-08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732B1 true KR100720732B1 (ko) 2007-05-23

Family

ID=3827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785A KR100720732B1 (ko) 2006-03-08 2006-03-08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73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897A2 (en) * 2009-05-15 2010-11-18 Microvision Optical, Inc. Curved corrective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KR101007884B1 (ko) * 2010-04-22 2011-01-14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입체(쓰리디) 화상 시청용 시력 교정 렌즈조립체
US7946703B2 (en) 2008-01-07 2011-05-24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7950798B2 (en) 2008-01-07 2011-05-31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KR101045500B1 (ko) * 2010-04-23 2011-06-3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돗수렌즈가 결합된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
KR101064599B1 (ko) 2010-06-30 2011-09-15 박정현 돗수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액티브 타입 입체영상안경
US8100525B2 (en) 2008-01-07 2012-01-24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on television and computer screens
US8430505B2 (en) 2008-01-07 2013-04-30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8687275B2 (en) 2007-10-11 2014-04-01 Reald Inc. Curved retarder-based optical fil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443A (ja) * 1992-05-26 1993-12-07 Awaji Giken Kk 二重床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443A (ja) * 1992-05-26 1993-12-07 Awaji Giken Kk 二重床構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5321443호
미국특허공보 5696571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275B2 (en) 2007-10-11 2014-04-01 Reald Inc. Curved retarder-based optical filters
US9457523B2 (en) 2007-10-11 2016-10-04 Reald Inc. Curved retarder-based optical filters
US7946703B2 (en) 2008-01-07 2011-05-24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7950798B2 (en) 2008-01-07 2011-05-31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8100525B2 (en) 2008-01-07 2012-01-24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on television and computer screens
US8419181B2 (en) 2008-01-07 2013-04-16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US8430505B2 (en) 2008-01-07 2013-04-30 Mei 3D, Llc Curved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WO2010132897A2 (en) * 2009-05-15 2010-11-18 Microvision Optical, Inc. Curved corrective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WO2010132897A3 (en) * 2009-05-15 2011-03-03 Microvision Optical, Inc. Curved corrective lenses configured to de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KR101007884B1 (ko) * 2010-04-22 2011-01-14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입체(쓰리디) 화상 시청용 시력 교정 렌즈조립체
KR101045500B1 (ko) * 2010-04-23 2011-06-3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돗수렌즈가 결합된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
KR101064599B1 (ko) 2010-06-30 2011-09-15 박정현 돗수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액티브 타입 입체영상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32B1 (ko) 시력보정용 렌즈가 구비된 고글
US6036315A (en) Optically superior decentered over-the-counter sunglasses
US6334681B1 (en) Lenses and spectacles bearing lenses
CA2128568C (en) Improved sunglasses and safety eye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814349B2 (en) One-piece lens with surplus inner optical material
US20090190089A1 (en) Eyeglasses structure
US10437076B2 (en) Pair of goggles with replaceable lenses
US6871954B2 (en) Optically superior decentered over-the counter sunglasses
US8192019B2 (en) Wraparound corrective lens
US20190121164A1 (en) Eyewear with variable transmission lens
KR100455302B1 (ko) 시력 보정용 안경렌즈
US6976757B2 (en) Invisible multifocal sunglasses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CN211318915U (zh) 一种舒缓眼部疲劳的贴合片及眼镜
KR200350085Y1 (ko) 렌즈 교환식 고글
KR20200000886U (ko) 안경테 스타일 및 브릿지 길이에 적합하게 동공간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안경
CN205450468U (zh) 一种能连接3d镜片的碳纤维眼镜
KR102001114B1 (ko) 도수안경렌즈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US20220244572A1 (en) Eyeglass lens, eyeglasses, and eyeglass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2569250B1 (ko)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US20150241716A1 (en) Protective lens for people with presbyopia
KR20130000829U (ko) 자외선 차단이 용이한 시력 교정용 안경
CN212675298U (zh) 一种双层镜片的眼镜
US20240004224A1 (en) Semi-finished ophthalmic lens for glasses and the like
KR200223568Y1 (ko) 컴퓨터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