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67B1 - Outside relay system - Google Patents

Outside re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67B1
KR100719467B1 KR1020050125136A KR20050125136A KR100719467B1 KR 100719467 B1 KR100719467 B1 KR 100719467B1 KR 1020050125136 A KR1020050125136 A KR 1020050125136A KR 20050125136 A KR20050125136 A KR 20050125136A KR 100719467 B1 KR100719467 B1 KR 10071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evice
frequency signal
relay
amplifying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2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4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외용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된다. 상기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들이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연결되므로, 상기 중계 장치들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선로가 요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중계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감소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relay system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outdoors. The outdoor relay system includes a first relay device and 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The first relay device converts or amplifies the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he second relay device converts or amplifies a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Here, 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In the outdoor relay system, since the relay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a separate line is not required to connect the relay devices. Thus,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lay system is reduced.

중계, 허브, 리모트, 옥외 Relay, Hub, Remote, Outdoor

Description

옥외용 중계 시스템{OUTSIDE RELAY SYSTEM}Outdoor relay system {OUTSIDE RELAY SYSTEM}

도 1은 종래의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lay system.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B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outdoor relay system of FIG. 2A.

도 2c는 리모트 유닛의 교신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2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remote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중계 장치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relay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 조정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in adjusting process of the second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에서 통 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re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relay system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outdoors.

중계 시스템은 단말기들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들 사이를 중계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특히,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전파가 건물 등에 의해 차단되는 지역(이하, "음영 지역"이라 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음영 지역에서는 착신 단말기에 전파가 잘 수신되지 않으며, 그래서 통화가 불가능하거나 통화 품질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통신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중계 장치들이 각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었다. The relay system refers to a system for relaying between the terminals to enabl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In particular, in an area where buildings are concentrated, there is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ading area") in which radio waves are blocked by a building or the like. In these shaded areas, radio waves are not well received at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call is not possible or the call quality is poor. Therefore, in densely populated areas, relay devices were installed inside each building to improve communication services.

도 1은 종래의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lay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내부에 허브(Hub, 102) 및 리모트 유닛들(Remote units, 106)이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 hubs 102 and remote units 106 are installed in a building.

허브(102)는 중계 장치로서, 기지국 또는 광중계국으로부터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 104)를 통하여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리모트 유닛들(106)에 전송한다. The hub 102 is a relay device and transmits a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or an optical relay station through a donor antenna 104 to the remote units 106.

각 리모트 유닛들(106)은 허브(102)로부터 전송된 주파수 신호를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기에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 108)를 통하여 전송한다. 다만, 다층 건물인 경우, 층간 전파 장애물이 많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리모트 유닛(106)이 별도로 설치되었다. 또한, 허브(102)와 각 리모트 유닛들(106)은 통신선로,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중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하여 많은 동축 케이블이 요구되 었다. 또한, 광중계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허브(102)까지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통신선로들이 설치되었다. 따라서, 상기 중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비용이 과다하였다. Each of the remote units 106 transmits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b 102 to the destin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rough a service antenna 108. However, in the case of a multi-storey building, since there are many interlayer propagation obstacles, the remote unit 106 is separately installed for each floor as shown in FIG. 1. In addition, the hub 102 and each of the remote units 10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for example, a coaxial cable. Therefore, many coaxial cables were required to install such a relay system. In addition, separate communication lines have been installed to transmit communication signals from the optical relay station or the base station to the hub 102. Therefore,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relay system was excessive.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통신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system capable of expand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area while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ay device and 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The first relay device converts or amplifies the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he second relay device converts or amplifies a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Here, 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은 허브 및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옥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허브 중 일부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설치되고, 나머지 허브 부분은 해당 전주 위에 설치되며,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배선 위에 설치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리모트 유닛의 이득을 제어한다. An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and at least one remote unit. The hub converts or amplifies the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he remote unit converts or amplifies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a terminal located indoors. Here, some of the hubs are installed in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in a dense area of the building, the other hub portion is installed on the poles, the remote unit is installed on the wiring, the hub is the gain of the remote unit To contr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장치는 제 1 서브 중계 장치 및 제 2 서브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는 리모트 유닛과 교신한다. 상기 제 2 서브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는 옥외에 위치한 전주들 사이의 배선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서브 중계 장치는 해당 전주 위에 설치된다. The outdoor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 relay device and a second sub relay device. The first sub relay apparatus communicates with a remote unit. The second sub re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 relay device. Here, the first sub re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located outdoors, the second sub re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pole.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들이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연결되므로, 상기 중계 장치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통신선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계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In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y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for connecting the relay devices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lay system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서,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 및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만으로 다층 건물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 2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안테나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second relay device and one service antenna can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located in a multi-storey building, the number of second relay devices and service antennas can be reduced. .

게다가,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 옥외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가 옥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통신 서비스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relay apparatus located outdoors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wirelessly to a terminal located indoors, the communication service area can be expanded.

더욱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 제 1 중계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전주에 설치되므로, 고장시 즉각적인 수리가 가능하다. Moreover,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relay device are installed on the pole, immediate repair in case of failure is possib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리모트 유닛의 교신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outdoor relay system of FIG. 2A. 2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of a remote unit.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옥외용 중계 시스템은 건물 밀집 지역에 사용되는 중계 시스템으로서, 제 1 중계 장치(202)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2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outdoor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ay system used in a dense building area, and includes a first relay device 202 and 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206.

제 1 중계 장치(202)는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 204)를 통하여 건물 밀집 지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중앙 관리부 또는 광중계기, 기지국 등과 같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런 후, 제 1 중계 장치(202)는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제 2 중계 장치(206)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서, 음성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multimedia dat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신호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신호는 약 1.8㎓ 주파수를 가진다. The first relay device 202 receives a first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a central management unit or an apparatus such as an optical repeater, a base station, etc., located outside the dense building through a donor antenna 204, and receives the received The first frequency signal is converted or amplified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Then, the first relay device 202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second relay device 206. Here, the frequency signal i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ncludes multimedia data such as voice data.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signal i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frequency signal has a frequency of about 1.8 kHz.

또한, 제 1 중계 장치(20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와 같은 통신선로 지지부들(200) 사이의 통신선로(210)에 설치된다. 여기서, 통신선로(210)는 통신이 가능한 선로이며, 통신선로 지지부(200)는 통신선로(21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선로 지지부(200) 및 통신선로 (210)를 각기 건물 밀집 지역에 다수 존재하는 전주 및 배선으로 하겠다. In addition, the first relay device 202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line 210 between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units 200, such as electric poles, as shown in Figure 2a. Here, the communication line 210 is a lin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unit 200 is a member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line 210. However, hereinafter,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200 and the communication line 210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of the electric poles and wiring that exist in a large number of building dense are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중계 장치(202)는 허브(Hub)이다.The first relay device 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ub.

위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제 1 중계 장치(202)는 제 2 중계 장치(206)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도너 안테나(204)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 또는 다른 중계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중계 장치(202)는 제 2 중계 장치(206)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mentioned above, the first relay device 202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elay device 206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or another relay device through the donor antenna 204. In addition, the first relay device 202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relay device 206.

제 2 중계 장치(206)는 제 1 중계 장치(202)로부터 배선(210)을 통하여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런 후, 제 2 중계 장치(206)는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물(214)에 위치하는 단말기로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 208)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다. The second relay device 206 converts or amplifies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202 via the wiring 210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Thereafter, the second relay device 206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214 as shown in FIG. 2C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08. . Here, the terminal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한, 제 2 중계 장치(206)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210)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 3 주파수 신호의 세기가 조절 가능하므로, 제 2 중계 장치(206)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건물(214) 전체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lay device 206 is provided in the wiring 210 as shown in FIG. 2A. In this case, since the intensity of the third frequency signal is adjustable, the second relay device 206 may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entire multi-story building 214, as shown in FIG. 2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중계 장치(206)는 리모트 유닛(Remote unit)이다. The second relay device 2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unit.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중계 장치들(206)은 분배기들(212)에 각기 연결되며, 제 1 중계 장치(202)로부터 전송된 주파수 신호가 분배기들(212)을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들(206)에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주파수 신호가 배선(210)을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들(206)에 전송되므로, 후단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에 도달하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세기는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에 도달하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세기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들(212)의 분배 비율을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100% 세기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가 제 1 중계 장치(202)로부터 출력된 경우, 각 분배기들(212)은 20% 세기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해당 제 2 중계 장치에 전송하고 80%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다음 단의 분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제 2 중계 장치들(206)은 유사한 세기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second relay devices 20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istributors 212, and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202 is passed through the distributors 212 to the second relay devices. 206 is sent. In this case, since the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lay devices 206 through the wiring 210, the strength of the frequency signal reaching the second relay device located at the rear end is the second relay device located at the front end. Is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frequency signal to reach. Accordingly,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distributors 212 differently as shown in FIG. 2B. For example, if a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100% strength is output from the first relay device 202, each of the distributors 212 transmits a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20% power to the corresponding second relay device and then 80 The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is transmitted to the divider of the next stage. Thus, each second relay device 206 can receive a frequency signal of similar strength.

이하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과 종래의 중계 시스템을 비교하겠다.Hereinafter,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relay system will be compared.

종래의 중계 시스템에서는, 건물 밀집 지역에 존재하는 음영 지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허브 및 리모트 유닛이 건물 내부에 설치되었다. 여기서, 상기 허브와 상기 리모트 유닛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별도의 통신선로가 새로 설치되어야 했다. 또한, 1개의 리모트 유닛이 해당 층을 제외한 다른 층을 서비스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층 건물의 경우 층별로 리모트 유닛이 설치되어야 했다. 따라서, 상기 통신선로의 설치가 많이 필요하였으며, 그래서 상기 중계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유닛이 옥내에 설치되고 서비스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되므로, 옥외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In conventional relay systems, hubs and remote units have been installed inside buildings to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in shadowed areas that exist in dense areas of buildings. Here,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had to be newly install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hub and the remote unit. In addition, since one remote unit cannot serve other floors except the corresponding floor, a remote unit had to be installed in each floor.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was required a lot, so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lay system was excessively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unit is installed indoors and the service range is constantly limited,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existing outdoors.

반면에,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는, 건물 밀집 지역에 존재하는 음영 지 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이 옥외에 설치되었다. 특히,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이 전국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연결되므로,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선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중계 장치(206)가 옥외에 설치되므로, 종래의 중계 시스템에서와 달리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208)만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계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절감되었다. 게다가, 제 2 중계 장치(206)가 옥외에 존재하고 옥내에는 무선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옥내 및 옥외의 단말기 모두에 우수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are installed outdoor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in a shaded area existing in a dense building area. In particular, since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are connected to the wiring between poles which are installed nationwide,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is not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relay device 206 is installed outdo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using only one service antenna 208 unlike the conventional relay system. Thus,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lay system has been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relay device 206 is located outdoors and wirelessly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indo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quality communication services to both indoor and outdoor terminal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서는,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이 각기 부스터(booster)에 장착되며,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이 장착된 부스터들이 배선(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물론, 상기 부스터들은 중계 장치들(202 및 206) 뿐만 아니라 이에 해당하는 분배기들을 같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람이 상기 부스터들이 중계 장치들(202 및 206)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므로, 민원 사례가 줄어들 수 있다. In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are mounted in the booster, respectively, and the boosters in which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are mounted are connected to the wiring 210. . Thus, the relay devices 202 and 206 are securely protected. Of course, the boosters may include relays 202 and 206 as well as corresponding distributors. In addition, since the public is unlikely to think that the boosters include relay devices 202 and 206, the complaint case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중계 장치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relay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중계 장치(202)는 제 1 RF 모듈(300), 제 1 네트워크 관리부(first Network Management System, 302), 제 1 송수신부(304), 배터리(306) 및 전원 공급 장치(30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relay device 202 may include a first RF module 300, a first network management system 302, a first transceiver 304, a battery 306, and a power supply. Device 308.

제 2 중계 장치(206)는 제 2 송수신부(310), 제 2 RF 모듈(312) 및 제 2 네 트워크 관리부(314)를 포함한다. The second relay device 206 includes a second transceiver 310, a second RF module 312 and a second network manager 314.

제 1 RF 모듈(300)은 도너 안테나(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제 1 송수신부(304)에 전송한다.The first RF module 300 converts or amplifies the first frequency signal input through the donor antenna 204 to generate the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first transceiver 304. To send).

이어서, 제 1 송수신부(304)는 상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제 2 송수신부(310)에 전송한다. Subsequently, the first transceiver 304 transmits the transmit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second transceiver 310.

계속하여, 제 2 송수신부(310)는 상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제 2 RF 모듈(312)에 전송한다. Subsequently, the second transceiver 310 transmits the transmit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second RF module 312.

그런 후, 제 2 RF 모듈(312)은 상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상기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서비스 안테나(208)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second RF module 312 converts or amplifies the transmit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the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antenna 208. send.

제 2 네트워크 관리부(314)는 제 2 중계 장치(206)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정보를 가지는 NMS 신호를 송수신부들(310 및 304)을 통하여 제 1 네트워크 관리부(302)에 전송한다.The second network manager 314 detects a state of the second relay device 206 and transmits an NMS signal ha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first network manager 302 through the transceivers 310 and 304.

이 경우, 제 1 네트워크 관리부(302)는 상기 전송된 NMS 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부의 통제하에 또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 2 중계 장치(206)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network manager 302 analyzes the transmitted NMS signal and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device 206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서는, 배터리(306) 및 전원 공급 장치(308)가 제 1 중계 장치(202)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 있다. In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306 and the power supply 308 are not included in the first relay device 202 and may exist as separate device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 조정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중계 장치(202) 및 제 2 중계 장치(206)를 각기 허브 및 리모트 유닛이라 하겠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in adjusting process of the second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relay device 202 and the second relay device 206 will be referred to as hubs and remote units,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리모트 유닛(206)은 자신의 상태 정보를 가지는 제 1 NMS 신호를 허브(202)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remote unit 206 transmits a first NMS signal having its own state information to the hub 202.

이어서, 허브(202)는 상기 전송된 제 1 NMS 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 1 상태 정보 신호를 중앙 관리부(400)에 전송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202)는 상기 전송된 제 1 NMS 신호를 분석하지 않고, 수신 즉시 중앙 관리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hub 202 analyzes the transmitted first NMS signal, and transmits a first status information signal having information on the analysis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Of course, the hub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mediately transmit the received first NMS signal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without analyzing the transmitted first NMS signal.

계속하여,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제 1 NMS 신호를 분석하여 리모트 유닛(206)의 상태를 판단한다. Subsequentl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analyzes the first state information signal or the first NMS signal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remote unit 206.

그런 후,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판단에 따라 리모트 유닛(206)의 이득을 조정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Thereafte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o adjust the gain of the remote unit 206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리모트 유닛들의 주변 환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정상적인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리모트 유닛들 모두 동일한 출력 세기를 가질 수 없다. 또한, 상기 리모트 유닛의 주변 환경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져야 한다. Since the remote environments of the remote units are all different, the remote units may not have the same output strength for normal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wh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mote unit is changed,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unit should be changed.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 신호를 통하여 해당 리모트 유닛(206)이 주변 환경 상태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리모트 유닛(206)의 이득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remote unit 206 may provide a normal communication service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tate through the first state information signal, and may not change the gain of the remote unit 206. Do not.

반면에,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제 1 상태 정보 신호를 통하여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당 리모트 유닛(206)의 신호의 세기, 즉 이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may determine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ength, that is, the gain, of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remote unit 206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first state information signal.

이어서, 중앙 관리부(400)는 상기 판단 및 결정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판단 신호를 허브(202)에 전송한다. Subsequentl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400 transmits the determination signal having the determin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determination to the hub 202.

계속하여, 허브(202)는 상기 전송된 판단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 즉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킨다. 그런 후, 허브(202)는 상기 증폭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리모트 유닛(206)에 전송한다. 따라서, 리모트 유닛(206)에 수신되는 제 2 주파수 신호의 세기가 기존 세기와 달라졌으므로, 리모트 유닛(20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주파수 신호의 세기가 증폭된다. 즉, 리모트 유닛(206)의 이득이 변화된다. Subsequently, the hub 202 amplifies the intensity of the output signal, that is, the second frequency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determination signal. Hub 202 then transmits the amplifi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remote unit 206. Therefore, since the intensity of the second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unit 206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nsity, the intensity of the third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unit 206 is amplified. In other words, the gain of the remote unit 206 is chang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202)는 상기 전송된 판단 신호에 따라 이득 제어 신호를 리모트 유닛(206)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유닛(206)은 상기 전송된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자신의 이득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리모트 유닛(20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주파수 신호의 세기가 변화된다. The hub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gain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unit 206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determin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remote unit 206 changes its gain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gain control signal. Thus, the intensity of the third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unit 206 is changed.

이어서, 위에 언급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Subsequently, the above-mentioned procedure is repeatedly performed.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정상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rmal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above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502) 및 제 2 중계 장치(5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ay device 502 and a second relay device 506.

중계 장치들(502 및 506)은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기능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lay devices 502 and 506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is omitted.

제 1 중계 장치(502)는 제 1 서브 중계 장치(502a) 및 제 2 서브 중계 장치(502b)를 포함한다. The first relay device 502 includes a first sub relay device 502a and a second sub relay device 502b.

제 1 서브 중계 장치(502a)는 제 1 중계 장치(502) 중 고장이 잘 발생되지 않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제 2 서브 중계 장치(502b)는 제 1 중계 장치(502) 중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The first sub relay device 502a includes components in which the failure of the first relay device 502 is less likely to occur, and the second sub relay device 502b frequently occurs in the first relay device 502. Includes components that become

그런 후,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제 2 서브 중계 장치(502b)를 전주(500)의 하단부에 설치한다. 따라서, 제 2 서브 중계 장치(502b)가 고장나는 경우, 즉각적인 수리가 가능하다. Thereafter, the second sub relay apparatus 502b, in which a breakdown frequently occurs,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ole 500. Therefore, when the second sub relay apparatus 502b fails, immediate repair is possible.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서브 중계 장치(502a)는 제 1 RF 모듈(300) 및 제 1 송수신부(304)를 포함하고, 제 2 서브 중계 장치(502b)는 제 1 네트워크 관리부(302), 배터리(306) 및 전원 공급 장치(308)를 포함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ub relay apparatus 502a includes a first RF module 300 and a first transceiver unit 304, and the second sub relay apparatus 502b includes a first network. A management unit 302, a battery 306, and a power supply 308.

물론, 상황에 따라 제 1 중계 장치(502)의 설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이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ign of the first relay device 502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at such changes do not aff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602), 제 2 중계 장치(604) 및 확장 장치(extender, 60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ay device 602, a second relay device 604, and an extender 606.

중계 장치들(602 및 604)이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relay devices 602 and 604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확장 장치(606)는 제 1 중계 장치(602)와 제 2 중계 장치(604) 사이의 연결 거리를 확장시킨다. 예를 들어, 후단에 존재하는 제 2 중계 장치는 제 1 중계 장치(602)로부터 거리가 멀어서 제 1 중계 장치(602)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제 2 중계 장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장치(606)는 제 1 중계 장치(602)로부터 전송되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제 2 중계 장치(60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더 넓은 범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xpansion device 606 extends the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lay device 602 and the second relay device 604. For example, the second relay device located at the rear end may be far from the first relay device 602 so that th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relay device 602 may not reach the second relay device. In this case, the expansion device 606 serves to amplify and transmit the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602 to the second relay device 604. Accordingly,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in a wider range.

이하, 확장 장치(606)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술하겠다. 여기서, 제 1 중계 장치(602)의 출력을 15dBm이라 하고, 통신선로 손실을 1dB/10m라 하자. 또한, 분배기(예를 들어, 3:7 분배기)로부터 제 2 중계 장치(604)에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는 값을 6dB라 하고, 상기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을 2dB라 하자. 게다가, -30dBm과 0dBm 사이 값을 가지는 신호가 제 2 중계 장치(604)에 입력되는 경우, 제 2 중계 장치(604)가 상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고 하자.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expansion device 60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Here, suppose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relay device 602 is 15 dBm, and the communication line loss is 1 dB / 10 m. In addition, let the value lost during transmission from the distributor (eg, 3: 7 distributor) to the second relay device 604 be 6 dB, and the value lost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or be 2 dB. In addition, when a signal having a value between -30 dBm and 0 dBm is input to the second relay device 604,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relay device 604 detects the input signal and performs normal operation.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중계 장치(602)와 제 2 중계 장치(604)를 각기 허브 및 리모트 유닛이라 하고, 리모트 유닛들(204)이 허브(602)로부터 직렬 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겠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relay device 602 and the second relay device 604 are referred to as hubs and remote units, respectively, and the remote units 204 are connected in series from the hub 602.

허브(602)에 가장 가까운 제 1 리모트 유닛이 허브(602)로부터 120m 거리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제 1 입력값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When the first remote unit closest to the hub 602 is 120m away from the hub 602, the first input value input to the first remote unit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제 1 입력값 = 15dBm (허브(602)의 출력값) - 12dB (통신선로 손실) - 6dB (제 1 분배기로부터 제 1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3dBm1st input value = 15dBm (output value of hub 602)-12dB (communication line loss)-6dB (value lost while transmitting from the first splitter to the first remote unit) = -3dBm

수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입력값(-3dBm)이 -30dBm과 0dBm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1 리모트 유닛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Equation 1, since the input value (-3dBm) input to the first remote unit is located between −30 dBm and 0 dBm, the first remote unit may perform a normal operation.

다음으로, 상기 제 1 리모트 유닛 다음에 위치하는 제 2 리모트 유닛이 허브(602)로부터 150m 거리에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상기 제 2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제 2 입력값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Next, assume that a second remote unit located after the first remote unit is 150m from the hub 602. In this case, the second input value input to the second remote unit is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제 2 입력값 = 15dBm (허브(602)의 출력값) - 12dB (통신선로 손실) - 2dB (제 1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3dB (통신선로 손실) - 6dB (제 2 분배기로부터 제 2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는 값)= -8dBm2nd input = 15 dBm (output of hub 602)-12 dB (communication line loss)-2 dB (value los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divider)-3 dB (communication line loss)-6 dB (second from the second divider) 2 Loss value during transmission to the remote unit) = -8 dBm

수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입력값(-8dBm)이 -30dBm과 0dBm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2 리모트 유닛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Equation 2, since the input value (-8 dBm) input to the first remote unit is located between −30 dBm and 0 dBm, the second remote unit may perform a normal operation.

이어서, 상기 제 2 리모트 유닛 다음에 위치하는 제 3 리모트 유닛이 허브(602)로부터 200m 거리에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상기 제 3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제 3 입력값은 아래의 수학식 3와 같다. Subsequently, assume that the third remote unit located after the second remote unit is 200 m from the hub 602. In this case, the third input value input to the third remote unit is expressed by Equation 3 below.

제 3 입력값 = 15dBm (허브(602)의 출력값) - 12dB (통신선로 손실) - 2dB (제 1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3dB (통신선로 손실) - 2dB (제 2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5dB(통신선로 손실) - 6dB(제 3 분배기로부터 제 3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는 값)= -15dBm3rd input = 15dBm (output of hub 602)-12dB (communication line loss)-2dB (value lost while passing the first splitter)-3dB (communication line loss)-2dB (passing the second divider Value lost during operation)-5 dB (communication line loss)-6 dB (value lost during transmission from the third splitter to the third remote unit) = -15 dBm

수학식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입력값(-15dBm)이 -30dBm과 0dBm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2 리모트 유닛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Equation 3, since the input value (-15 dBm) input to the third remote unit is located between -30 dBm and 0 dBm, the second remote unit can perform a normal operation.

다음으로, 상기 제 3 리모트 유닛 다음에 위치하는 제 4 리모트 유닛이 허브(602)로부터 330m 거리에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상기 제 4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제 4 입력값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다. Next, assume that a fourth remote unit located after the third remote unit is at a distance of 330 m from the hub 602. In this case, the fourth input value input to the fourth remote unit is expressed by Equation 4 below.

제 4 입력값 = 15dBm (허브(602)의 출력값) - 12dB (통신선로 손실) - 2dB (제 1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3dB (통신선로 손실) - 2dB (제 2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 5dB(통신선로 손실) - 2dB(제 3 분배기를 통과하는 동안 손실되는 값) -13dB(통신선로 손실) - 6dB(제 4 분배기로부터 제 4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되는 동안 손실되는 값)= -30dBm4th input = 15 dBm (output of hub 602)-12 dB (communication line loss)-2 dB (value lost while passing the first splitter)-3 dB (communication line loss)-2 dB (passing the second divider) Value lost during operation)-5 dB (communication line loss)-2 dB (value lost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distributor) -13 dB (communication line loss)-6 dB (loss during transmission from the fourth distributor to the fourth remote unit) Value) = -30dBm

수학식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 리모트 유닛에 입력되는 입력값이 -30dB로서, -30dBm과 0dBm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4 리모트 유닛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 제 4 리모트 유닛 다음에 위치하는 리모트 유닛들은 입력 범위를 초과하므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는, 확장 장치(606)가 리모트 유닛의 한계 입력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 근처에 설치된다. 이 경우, 확장 장치(606)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므로, 확장 장치(6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예를 들어 15dBm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허브(602)로부터 리모트 유닛(604)까지의 거리가 확장된다. 즉, 확장 장치(606)의 입력 범위는 예를 들어 -24dBm으로부터 소정 범위(예를 들어 -44dBm)까지 설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Equation 4, since the input value input to the fourth remote unit is -30 dB and is located between -30 dBm and 0 dBm, the fourth remote unit operates normally. However, since the remote units located after the fourth remote unit exceed the input range, the desired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Therefore,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device 606 is installed nea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mit input range of the remote unit. In this case, since the expansion device 606 amplifies the input sig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expansion device 606 may have, for example, 15 dBm,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hub 602 to the remote unit 604 is Is expanded. That is, the input range of the expansion device 606 may be set from, for example, -24 dBm to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44 dBm).

요컨대,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확장 장치(606)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short,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expansion device 606 should be installed using the above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들이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연결되므로, 상기 중계 장치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통신선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계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y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for connecting the relay devices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relay system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중계 시스템에서,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 및 하나의 서비스 안테나만으로 다층 건물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 2 중계 장치 및 서비스 안테나의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out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second relay device and one service antenna can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located in a multi-storey building, the number of second relay devices and service antennas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게다가,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 옥외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가 옥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통신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relay device located outdoors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wirelessly to a terminal located indo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munication service area is extended.

더욱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 제 1 중계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전주에 설치되므로, 고장시 즉각적인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Moreover, in th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relay device are installed on the p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mmediate repair is possible in case of failure.

Claims (17)

삭제delete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허브; 및A hub for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되,At least one remote unit for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b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허브 및 상기 리모트 유닛은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리모트 유닛의 이득(gain)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And the hub and the remote unit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and the hub controls the gain of the remote unit.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중계 장치; 및A first relay device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for generating a third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gain)을 제어하며, 상기 중계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는 옥외에 위치된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first relay device controls the gain of the second relay device, and at least one of the relay devices. The relay device is an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located outdoo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는 부스터(booster) 내에 설치되고, 상기 부스터가 상기 배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 4. The outdoor relay system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lay devices is installed in a booster, and the booster is installed in the wiring.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중계 장치;A first relay device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 및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for converting or amplifying a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to generate a thir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a termi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와 상기 제 2 중계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확장 장치(extender)를 포함하되,An extend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gain)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And 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and the first relay device controls a gain of the second relay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는 옥외에 위치된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설치되며,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lay devices is installed in a wiring between electric poles located outdoors. 상기 확장 장치도 상기 배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And the expansion device is also provided on the wiring line. 삭제delete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중계 장치; 및A first relay device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for generating a third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gain)을 제어하며, 상기 제 2 중계 장치들은 상호 직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first relay device controls the gain of the second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s are in series with each other.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enemy.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중계 장치; 및A first relay device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for generating a third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gain)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is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first relay device controls the gain of the second relay device, the first relay device,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RF 모듈;An RF module for amplifying the first frequency signal;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2 중계 장치에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second relay device; And 상기 RF 모듈 및 상기 송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 module and the transcei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F 모듈 및 상기 송수신부는 옥외에 위치한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 The outdoor relay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RF module and the transceiver are installed in wirings between poles located outdoors, and the power supply device is installed in the pol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relay device, 상기 제 2 중계 장치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network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second relay device,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는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 The network management unit is an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pole.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중계 장치; 및A first relay device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At least one second relay device for generating a third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gain)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상기 제 2 중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The first relay device and the second relay device are installed outdoors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first relay device controls the gain of the second relay device, and the first relay device includes the first relay device. 2, the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ly power to the relay device.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허브; 및A hub for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And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3 주파수 신호를 옥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되,At least one remote unit for generating a third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or amplifying the second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hird frequency signal to a terminal located indoors, 상기 허브 중 일부는 건물 밀집 지역에 있어서 전주들 사이의 배선에 설치되고, 나머지 허브 부분은 해당 전주 위에 설치되며,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배선 위에 설치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리모트 유닛의 이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시스템. Some of the hubs are installed in the wiring between the poles in a dense building area, the other hub portion is installed on the poles, the remote unit is installed on the wires, and the hub controls the gain of the remote unit. Outdoor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리모트 유닛과 교신하는 제 1 서브 중계 장치; 및A first sub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unit; And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와 연결되는 제 2 서브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Including a second sub relay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sub relay device,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는 옥외에 위치한 전주들 사이의 배선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서브 중계 장치는 해당 전주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장치. And the first sub relay apparatus is installed on a wire between poles located outdoors, and the second sub relay apparatus is installed on the pol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sub relay device,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변환 또는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리모트 유닛에 전송하는 RF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장치.And an RF module for converting or amplifying a first frequency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frequency signal to the remote uni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중계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ub relay device, 상기 제 1 서브 중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장치.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ub relay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중계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ub relay device, 상기 리모트 유닛의 이득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중계 장치. The outdoor re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network manage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remote unit.
KR1020050125136A 2005-12-19 2005-12-19 Outside relay system KR100719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36A KR100719467B1 (en) 2005-12-19 2005-12-19 Outside re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36A KR100719467B1 (en) 2005-12-19 2005-12-19 Outside rela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467B1 true KR100719467B1 (en) 2007-05-17

Family

ID=3827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136A KR100719467B1 (en) 2005-12-19 2005-12-19 Outside re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46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433A (en) * 1997-11-12 1999-06-05 정선종 Indoor and outdoor wireless repeater
KR20010044649A (en) * 2001-03-13 2001-06-05 장인봉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eceiver gain of optic repeater
US20030060158A1 (en) 2001-09-24 2003-03-27 Sarnoff Corporation Infrastructure-based communications network
JP2004088727A (en) 2002-06-28 2004-03-18 Gifu Computer Service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xdsl signal distribution apparatus to be used for the same
KR20050103819A (en)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케이티 The wire and wireless optical hybride system
KR20050113870A (en)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Light dispersion system for out-building and prov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433A (en) * 1997-11-12 1999-06-05 정선종 Indoor and outdoor wireless repeater
KR20010044649A (en) * 2001-03-13 2001-06-05 장인봉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eceiver gain of optic repeater
US20030060158A1 (en) 2001-09-24 2003-03-27 Sarnoff Corporation Infrastructure-based communications network
JP2004088727A (en) 2002-06-28 2004-03-18 Gifu Computer Service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xdsl signal distribution apparatus to be used for the same
KR20050103819A (en) * 2004-04-27 2005-11-01 주식회사 케이티 The wire and wireless optical hybride system
KR20050113870A (en)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Light dispersion system for out-building and prov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8471A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multiple terminals in a building through multiple antennas
US8515339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US604719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e radio signals
US20070099667A1 (en) In-building wireless enhancement system for high-rise with emergency backup mode of operation
US6310705B1 (en) Duplex outdoor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utilizing a hybrid system of a high power amplifier and an optic antenna
US20020181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fiber optic antenna interface
US6801753B1 (en) Method and device at a transmitter and receiver unit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CN103078654B (en) Wireless signal dual-mode antenna system, coupling amplifica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719467B1 (en) Outside relay system
JP3300552B2 (en) Repeater using optical cable
KR100727076B1 (en) Signal disper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021114A1 (en) Distributed base station with passive antenna distribution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KR20100065035A (en) Mobile communication relay using multi media in closed space and relay method thereof
KR100719474B1 (en) Outside re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oscillation in the same
JPH11112409A (en) Radio relay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4166072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8125600A (en) Radio wave communication system inside building
US20080160986A1 (e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dedicated frequency and apparatus thereof
KR100432300B1 (en) Method and device that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loud buster
JP3372151B2 (en)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expansion device for mobile phones
KR100706082B1 (en) Method for installing repeater of mobile phone using air-conditioner pipeline
KR100310989B1 (en) Antenna system using low power amplifier
JP3978128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285963B1 (en) Base station for covering shadow area
KR101469884B1 (en) Radio frequency ref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