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252B1 -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252B1
KR100719252B1 KR1020060062157A KR20060062157A KR100719252B1 KR 100719252 B1 KR100719252 B1 KR 100719252B1 KR 1020060062157 A KR1020060062157 A KR 1020060062157A KR 20060062157 A KR20060062157 A KR 20060062157A KR 100719252 B1 KR100719252 B1 KR 10071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knob
humidity control
cover assembly
vegetable box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6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이 결합되고 상기 야채박스와 소통된 복수의 소통공들을 가지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소통공들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을 가지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상기 소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을 서로 일치시키거나 어긋나게 위치시켜 야채박스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습도조절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소통공들 사이에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습도조절노브는 중앙에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습도조절노브가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냉장고, 야채박스, 커버 조립체, 습도조절노브, 조립 구조.

Description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cover assembly and humidity control knob of vegetables box in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저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평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순서를 도시한 원리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의 동작을 도시한 원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커버 조립체 110; 강화유리판
120; 지지부재 121; 소통공
122; 걸림부 123; 오목부
124; 트임부 125; 한계턱
200; 습도조절노브 201; 관통공
210; 후크부 211; 돌기
220; 조작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이루어지며, 냉동실은 저장물을 냉동시키거나 빙점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물을 저장하는데 이용되고, 냉장실은 빙점에 근접하는 저온에서 저장물을 신선한 상태로 유지 보관하여 저장물이 변질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냉장실의 하부에는 야채, 과일 또는 다소 고온으로 유지 보관되어야 하는 저장물들이 수납되게 되는 야채박스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에서 냉장실(10)은 내부에 리브(14)에 의해 지지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선반(12)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이러한 선반(12)들의 하부에 야채박스(20)를 커버하도록 커버 조립체(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야채박스(20)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그 전면에 손잡이(24a)가 부착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야채박스(20)는 냉장실(10)의 내부에 커버 조립체(22)의 하부와 개구된 상부가 접촉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커버 조립체(22)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강화유리판과, 이 강화유리판을 안착시키도록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부재에는 냉장실의 야채박스 내에 저장된 저장물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구멍을 개폐하는 별도의 습도조절노브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습도조절노브를 커버 조립체의 지지부재에 조립하는데 있어서 조립공정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습도조절노브와 지지부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결합부품(볼트 등)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야채박스가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습도를 조절해야 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습도조절노브가 지지부재의 좌우에 구비되게 되는데, 이 경우 좌우의 습도조절노브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커버 조립체에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할 경우 조립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고 별도로 결합부품이 필요가 없으며, 야채박스가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습도를 조절해야 하는 구조라 할지라도 습도조절노브의 좌우 공용이 가능하여 좌우 위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습도 조절노브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이 결합되고 상기 야채박스와 소통된 복수의 소통공들을 가지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소통공들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을 가지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상기 소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을 서로 일치시키거나 어긋나게 위치시켜 야채박스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습도조절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소통공들 사이에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습도조절노브는 중앙에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습도조절노브가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습도조절노브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수평방향으로 0° 또는 180°의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소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수직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단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에서 소통공들의 양측에는 트임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양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측이 일측의 트임부에 먼저 끼워진 후 다른 한측이 타측의 트임부에 끼워진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슬라이딩 운동을 일정 구간으로 한정하는 한계턱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습도조절노브를 슬라이딩 운동되게 조작하도록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상면에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저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평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100) 및 습도조절노브(200)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는 하기와 같다.
먼저 커버 조립체(100)는 냉장고용 야채박스(도 1의 도면부호 '20'참조)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 커버 조립체(100)는 강화유리판(110)과, 상기 강화유리판(110)이 결합되고 야채박스와 소통된 복수의 소통공(121)들을 가지는 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진 다.
실시예에서, 커버 조립체(100)의 소통공(121)들은 전측의 오목부(123)에 일렬로 구비되며, 이 소통공(121)들 사이에 구멍형상의 걸림부(122)가 구비된다.
이 걸림부(122)는 일렬로 구비된 소통공(121)들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부(122)의 작용 및 기능은 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그리고 커버 조립체(100)의 지지부재(120)에서 소통공(121)들의 양측에는 트임부(124)가 각각 형성된다.
이 트임부(124)는 하기한 습도조절노브(200)가 지지부재(120)에 조립될 경우, 이 습도조절노브(20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측이 일측의 트임부(124)에 먼저 끼워진 후 다른 한측이 타측의 트임부(124)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5 내지 도 7을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상기 커버 조립체(100)의 지지부재(120)에는 하기한 습도조절노브(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일정 구간으로 한정하는 한계턱(125)을 더 포함한다.
한편, 습도조절노브(200)는 커버 조립체(100)에서 지지부재(120)의 소통공(121)들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관통공(201)들을 가지며,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20)의 소통공(121)들과 관통공(201)들을 서로 일치시키거나 어긋나게 위치시켜 상기 야채박스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습도조절노브(200)는 하부 중앙에 후크부(210)를 가진다.
이러한 후크부(21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걸림부(122)에 걸림 고정된 상 태로 습도조절노브(200)가 지지부재(120)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후크부(210)는 걸림부(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조립체(100)의 수직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단에 복수의 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습도조절노브(200)는 상기 커버 조립체(100)의 수평방향으로 0° 또는 180°의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22)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120)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커버 조립체(100)에서 지지부재(120)의 소통공(121)들과 상기 습도조절노브(200)의 관통공(201)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야채박스가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습도를 조절해야 하는 구조라 할지라도, 습도조절노브(200)의 좌우 공용이 가능하여 좌우 위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습도조절노브(200)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야채박스가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습도를 조절해야 하는 구조일 경우, 커버 조립체(100)의 지지부재(120)에 습도조절노브(200)를 좌측에 설치한다면, 습도조절노브(200)를 커버 조립체(100)의 수평방향으로 0°로 유지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커버 조립체(100)의 지지부재(120)에 습도조절노브(200)를 우측에 설치한다면, 습도조절노브(200)를 커버 조립체(100)의 수평방향으로 180°로 유지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노브(200)를 슬라이딩 운 동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습도조절노브(200)의 상면에는 조작부(220)를 더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순서를 도시한 원리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100) 및 습도조절노브(200)를 조립하기 위한 순서는, 도 5와 같이 습도조절노브(20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좌측을 좌측 트임부(124)에 먼저 끼운 후, 도 6과 같이 습도조절노브(200)의 우측 가장자리를 우측 트임부(124)에 눌러서 끼운다(은선 참조). 이 후에, 도 7과 같이 습도조절노브(200)의 중앙을 눌러서 후크부(210)가 걸림부(122)에 끼워지도록 한다(은선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는, 커버 조립체의 지지부재는 소통공들 사이에 걸림부를 가지고, 습도조절노브는 중앙에 후크부를 가지며, 후크부가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습도조절노브가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게 하게 하며, 습도조절노브는 커버 조립체의 수평방향으로 0° 또는 180°의 상태에서 걸림부에 끼워져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소통공들과 관통공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커버 조립체에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할 경우 조립공정 및 시간이 단축되고 별도로 결합부품이 필요가 없으며, 야채박스가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습도 를 조절해야 하는 구조라 할지라도 습도조절노브의 좌우 공용이 가능하여 좌우 위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습도조절노브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상부에 고정되되, 강화유리판과, 상기 강화유리판이 결합되고 상기 야채박스와 소통된 복수의 소통공들을 가지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소통공들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을 가지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상기 소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을 서로 일치시키거나 어긋나게 위치시켜 야채박스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습도조절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소통공들 사이에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습도조절노브는 중앙에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습도조절노브가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노브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수평방향으로 0° 또는 180°의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소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림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수직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단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서 소통공들의 양측에는 트임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양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측이 일측의 트임부에 먼저 끼워진 후 다른 한측이 타측의 트임부에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슬라이딩 운동을 일정 구간으로 한정하는 한계턱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습도조절노브를 슬라이딩 운동되게 조작하도록 상기 습도조절노브의 상면에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
KR1020060062157A 2006-07-03 2006-07-03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KR10071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57A KR100719252B1 (ko) 2006-07-03 2006-07-03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57A KR100719252B1 (ko) 2006-07-03 2006-07-03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252B1 true KR100719252B1 (ko) 2007-05-18

Family

ID=3827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157A KR100719252B1 (ko) 2006-07-03 2006-07-03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0449A1 (de) * 2014-09-29 2016-04-0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auszugkasten
US20180156534A1 (en) * 2015-04-21 2018-06-07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CN109708370A (zh) * 2018-12-28 2019-05-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简易调湿装置的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370A (ja) * 1982-04-05 1983-10-12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H064584U (ja) * 1992-06-25 1994-01-2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9980010155U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냉장고의 야채상자
KR200156044Y1 (ko) * 1997-06-30 1999-09-01 전주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습도조절레바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370A (ja) * 1982-04-05 1983-10-12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H064584U (ja) * 1992-06-25 1994-01-2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9980010155U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냉장고의 야채상자
KR200156044Y1 (ko) * 1997-06-30 1999-09-01 전주범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습도조절레바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0449A1 (de) * 2014-09-29 2016-04-0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auszugkasten
CN107076505A (zh) * 2014-09-29 2017-08-18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包括抽屉的制冷器具
US20190063821A1 (en) * 2014-09-29 2019-02-28 Bsh Hausgeraete Gmbh Refrigeration Device With A Drawer
US10386114B2 (en) 2014-09-29 2019-08-20 Bsh Hausgeraete Gmbh Refrigeration device with a drawer
CN107076505B (zh) * 2014-09-29 2020-03-03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包括抽屉的制冷器具
US20180156534A1 (en) * 2015-04-21 2018-06-07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US10830530B2 (en) * 2015-04-21 2020-11-10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CN109708370A (zh) * 2018-12-28 2019-05-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简易调湿装置的冰箱
CN109708370B (zh) * 2018-12-28 2024-01-12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简易调湿装置的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3839B2 (en) Refrigerator
US9702614B2 (en) Refrigerator
KR101401690B1 (ko) 냉장고 도어핸들 장착구조
US7293846B2 (e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9310126B2 (en) Refrigerator
CN104848628A (zh) 冰箱
US20100123379A1 (en) Refrigerator drawers with trim
US11779113B2 (en) Trim assembly for an appliance shelf
KR20050075781A (ko)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
KR100719252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커버 조립체 및 습도조절노브를조립하기 위한 구조
US10400491B2 (en) Hinge cover with door stop
US20230114261A1 (en) Storage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liance
KR20120009650A (ko) 냉장고
CA2484872C (e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11668513B2 (en)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20230032877A1 (en) Endcap assembly for a door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JP4056530B2 (ja) 冷蔵庫
KR200165714Y1 (ko) 냉장고의 홈바 도어 결합구조
EP4256256A1 (en) Refrigerator
KR20060039227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고정장치
WO2010133477A2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handle
KR20090105247A (ko) 도어핸들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