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261B1 -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261B1
KR100718261B1 KR1020060105721A KR20060105721A KR100718261B1 KR 100718261 B1 KR100718261 B1 KR 100718261B1 KR 1020060105721 A KR1020060105721 A KR 1020060105721A KR 20060105721 A KR20060105721 A KR 20060105721A KR 100718261 B1 KR100718261 B1 KR 10071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asurement
unit
integrat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수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측정기를 통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멀티측정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세 단계에 걸쳐 저장가능하여 데이터의 망실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이동성이 우수하여 현장에서 쉽게 이동시켜 측정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 연결되어 측정결과를 개별 단위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부와, 개별데이터수집부에 연결되어 개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통합데이터수집부와, 통합데이터수집부의 통합 데이터를 디지탈방식으로 연산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니터에 표시하며,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보드에 연결된 피씨본체로 이루어지는 컴퓨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통합패키지의 설치로 경제성이 뛰어나며, 조작이 편리하고, 한글화 지원으로 편리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으며, 단일화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측정 및 분석, 데이터 전송의 일관성에 따른 데이터의 신뢰도가 상승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측정수, 온도측정, 농도측정, 교정, 센서부, 셀블럭, 수질측정기

Description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Medulla meter and method}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정면 투영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셀블럭 투영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작업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변경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드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보기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보기 모니터링 결과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측정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부케이스 11: 유리문
12; 캐스터 20; 측정부
21; 공급펌프 21a; 유입배관
22; 셀블럭 22a; 연통홀
22b; 분할벽 22c; 측정공간
22d; 오버플로어관 22e; 결합홀
22f; 공급홀 22g; 배수홀
22g'; 배수배관 22h; 센서홀
30; 개별데이터수집부 40; 통합데이터수집부
50; 컴퓨터부 51; 모니터
51a; 측정항목명칭창 51b; 측정수치창
51c; 정상과 비정상 표시창 51d; 설정변경버튼
51f; 트렌드버튼 51h; 자료버튼
51i; 채널 52; 키보드
53; 피씨본체 60; 데이터로그기
70; 적외선다운기 100; 수질측정기
S1; 전원인가단계 S2; 데이터수집명령단계
S3; 측정단계 S4; 개별데이터수집단계
S5; 통합데이터수집단계 S6; 데이터처리단계
S7; 데이터수집대기단계 S8; 보조데이터저장단계
본 발명은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수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측정기를 통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멀티측정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세 단계에 걸쳐 저장가능하여 데이터 의 망실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이동성이 우수하여 현장에서 쉽게 이동시켜 측정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측정기는 정,오수 및 폐수처리장, 플랜트 콘트롤 및 생산공정, 수영장 및 광천과 온천수, 생산품의 공정라인 및 도금처리설비, 수경재배 및 양어장, 식품 프로세스라인, 제약회사 프로세스라인, 산업 프로세스라인의 수질제어, 수질측정 감시 및 제어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질의 온도측정, 수소이온측정,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 부유물질량측정, 전체질소량측정, 전체인량측정, 염소량측정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질측정기는 각 측정항목에 대한 개별적으로 구성된 수질측정기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수질의 다양한 성분 및 여러 항목에 대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항목의 측정에 맞는 수질측정기가 개별적으로 측정하게 되어 측정을 위한 복잡한 점과 다수개의 수질측정기를 구매 및 운용하는데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질측정기는 대부분 외국의 기술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것으로, 구입 및 절차가 복잡하며, 이상발생 및 고장으로 인해 수리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수질측정기는 외국의 제품을 사용하여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메뉴얼을 소유한 관리자 및 측정자 이외의 사람은 취급이 불가능하여 보편 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관리자 및 측정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운용할 수 있으며, 국내의 기술로 만들어진 수질측정기를 사용하여 보수 및 유지관리의 편리성과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수질측정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측정부에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서를 삽입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단일 측정으로 획득할 수 있어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측정시간이 감소되도록 개선된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씨본체에 형성된 플로피디스켓이나 유에스비와 적외선다운기 및 데이터로그기를 형성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간단하게 다운받거나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의 관리가 쉽도록 개선된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 연결되어 측정결과를 개별 단위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부와,
개별데이터수집부에 연결되어 개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 하는 통합데이터수집부와,
통합데이터수집부의 통합 데이터를 디지탈방식으로 연산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니터에 표시하며,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보드에 연결된 피씨본체로 이루어지는 컴퓨터부로 구성되는 수질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공급펌프를 통해 공급된 측정수가 유입되어 저수되게 형성된 셀블럭과, 셀블럭의 내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센서부와, 셀블럭의 내부에 만수된 측정수가 흘러넘치는 오버플로어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부에 연결되며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로그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컴퓨터부의 피씨본체에 연결되어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는 적외선다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펌프는 일정한 유량과 유속으로 측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펌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셀블럭은 외부의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검은 플라스틱재질이며, 내부공간은 하부에 연통홀이 형성된 분할벽에 의해 분할되어 두 개 이상의 측정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오버플로어관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측정수가 공급되는 공급홀이 형성되되, 타측면에는 넘치는 측정수가 배수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센서부가 삽입되는 센서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서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아울러, 본 발명의 통합형 수질측정기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준비를 수행하는 전원인가단계와, 상기 전원인가단계 후 컴퓨터부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실행시키는 데이터수집명령단계와, 상기 데이터수집명령단계를 거친 후 측정부에 삽입된 각각의 센서부의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수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각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단계와,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단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달받는 통합데이터수집단계와, 상기 통합데이터수집단계에서 수집된 통합 데이터를 컴퓨터부로 이동시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플로피디스켓이나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를 마친 후 데이터수집명령단계로부터 명령을 받아 측정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데이터수집대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측정수의 각각의 데이터를 데이터로그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보조데이터저장단계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정면 투영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셀블럭 투영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작업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변경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드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고,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보기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며,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보기 모니터링 결과화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질측정기의 측정방법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은 외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측정부(20)와, 측정부(20)에 연결되어 측정결과를 개별 단위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와, 개별데이터수집부(30)에 연결되어 개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통합데이 터수집부(40)와, 통합데이터수집부(40)의 통합 데이터를 디지탈방식으로 연산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니터(51)에 표시하며, 키보드(52)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보드(52)에 연결된 피씨본체(53)로 이루어지는 컴퓨터부(50)로 수질측정기(100)가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전방면을 제외한 사방면이 폐쇄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개방된 전방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유리문(11)을 형성시켜 외부케이스(10)의 내부를 관찰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하부 바닥면에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캐스터(12)를 설치하여 측정자나 관리자가 편평한 평지에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측정부(20)는 외부케이스(10)의 내부공간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부(20)는 측정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21)가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펌프(21)는 일정한 유량과 유속으로 측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량펌프로 구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정량펌프는 일정한 펌핑작용으로 측정수를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공급하여 측정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공급펌프(21)를 통해 공급된 측정수가 유입되어 저수되게 공급펌프(21)와 측정수에 침적된 상태로 연결된 유입배관(21a)과 연결되는 셀블럭(22)이 구성된다.
즉, 셀블럭(22)은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볼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외부의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검은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되며, 내부공간은 하부에 연통홀(22a)이 형성된 분할벽(22b)에 의해 분할되어 두 개 이상의 측정공간(22c)이 형성된다.
아울러, 연통홀(22a)은 셀블럭(22)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펌프(21)에 의해 공급된 측정수가 각각의 측정공간(22c)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할벽(22b)의 하부를 관통하여 구성된 것이다.
한편, 분할벽(22b)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셀블럭(22)의 내부벽면에 일체의 구조가 되도록 제작된 것이다.
더불어, 측정공간(22c)은 셀블럭(22)의 내부공간을 분할벽(22b)을 이용하여 분할시켜 형성된 공간으로, 측정수가 일정량으로 담수 될 수 있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측정공간(22c)을 8개로 구성하여, 측정공간(22c)에 각각 다른 측정항목을 측정하는 센서부(23)가 셀블럭(22)와 결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셀블럭(22)의 바닥면에는 오버플로어관(22d)이 결합되는 결합홀(22e)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측정수가 공급되는 공급홀(22f)이 형성되되, 타측면에는 넘치는 측정수가 배수되는 배수홀(22g)이 형성된다.
여기서, 오버플로어관(22d)은 셀블럭(22)의 내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셀블럭(22)의 내부공간 3/4 높이의 길이로 구성되어, 셀블럭(22)의 내부로 유입배 관(21a)을 통해 유입될 때 발생되는 기포나 거품 등을 제거하며, 측정수가 과도하게 만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버플로어관(22d)을 통해 오버플로어된 측정수는 측정수가 저수된 장소로 유입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공급홀(22f)은 공급펌프(21)에 연결된 유입배관(21a)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배수홀(22g)은 셀블럭(22)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측정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측정수가 저장된 장소로 연결되는 배수배관(22g')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셀블럭(22)의 상부면에는 센서부(23)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센서홀(22h)이 셀블럭(22)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부(23)는 측정대상항목에 따라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 것이되,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내부로 유사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며, 센서홀(22h)을 관통하여 셀블럭(22)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측정수에 침적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센서부(23)는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서로 각각 구성된다.
더불어, 센서홀(22h)은 각각의 측정공간(22c)의 중앙에 위치되는 셀블럭(22)의 상부면을 관통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개별데이터수집부(30)는 렉(Lack)이라는 장치로 구성되어 측정 부(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측정부(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측정대상항목이 다른 센서부(23)와 렉이 1:1의 개별방식으로 연결되어 센서부(23)에서 측정한 측정결과를 개별 단위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개별데이터수집부(30)를 구성하는 렉에는 전원스위치(도면상 미도시) 및 센서부(23)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잭(도면상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개별데이터수집부(30)를 구성하는 렉은 센서와 시리얼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개별데이터수집부(30)는 도면상 미도시 된 센서 데이터수집기, 전류전압 수신 데이터수집기, 시리얼 데이터수집기, 무선 데이터수집기 중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각각의 수집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센서 데이터수집기는 센서부(23)와 연결하면 센서의 종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모든 측정에 필요한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되며, 측정 준비상태가 되어 측정자의 별도 조작없이 교정작업 후에 측정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둘째, 전류전압 수신 데이터수집기는 4~20mA의 전류를 전송하며, 0~5V의 전압을 전송하여 신호 변환기 없이 센서부(23)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직접변환하여 측정치로 해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셋째, 시리얼 데이터수집기는 측정 장소의 여건에 따라 일부 측정장소가 원거리인 경우 설치된 수질측정기(100)의 시리얼 신호를 전송받아 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넷째, 무선 데이터수집기는 측정 장소의 여건에 따라 일부 측정장소가 원거리로 떨어진 경우이되, 유선 선로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 설치된 수질측정기(100)의 시리얼 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송출하여 측정 데이터를 송신받아 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개별데이터수집부(30)는 조립과 해체가 쉬운 카드방식의 보드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한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측정장소의 여건에 따라 측정부(20)와 개별데이터수집부(30)를 연결한 상태로 측정장소에 위치시키고, 통합데이터수집부(40)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통합데이터수집부(40)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에 연결되어 개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렉 장치로 구성된다.
즉, 통합데이터수집부(40)는 컴퓨터부(50)와 개별데이터수집부(30)를 연결하는 중계기 역할을 하며, 여러대의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으로 전단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컴퓨터부(50)로 신속하고 안정된 상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부(50)는 통합데이터수집부(40)의 통합 데이터를 디지탈방식으로 연산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니터(51)에 표시하며, 키보드(52)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보드(52)에 연결된 피씨본체(53)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니터(51)는 엘시디(LCD)방식의 모니터로 구성되며, 별도의 키 사용 없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모니터(51)는 통합시스템의 모든 기능 제어 및 설정변경, 상태정보, 경보내용, 모니터링과 트렌드보기 및 측정 데이터 보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운용능력에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니터(51)에는 8개의 측정데이터를 나타내는 채널(51i)이 표시되며, 각각의 채널(51i)에는 각 측정항목명칭창(51a), 측정수치창(51b), 정상과 비정상 표시창(51c), 교정버튼(51d), 설정변경버튼(51e), 트렌드버튼(TREND:51f), 자료버튼(51h)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니터(51)의 채널(51i)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정항목명칭창(51a)은 센서부(23)의 각 센서가 측정하는 측정항목을 나타내는 창이다.
2. 측정수치창(51b)은 센서부(23)의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수의 측정치 값이 개별데이터수집부(30)에 수집된 후, 통합데이터수집부(30)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값을 나타내는 창이다.
3. 정상과 비정상 표시창(51c)은 수질측정기(100)에 공급되는 전원상태, 공급펌프(21)에 의해 공급되는 측정수의 공급상태, 측정부(20) 및 개별데이타수집부(30), 통합데이터수집부(40), 컴퓨터부(50) 등의 전반적인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창이다.
4. 교정버튼(51d)은 센서부(23)의 각 측정센서의 측정항목에 대해 초기값을 갖도록 교정하는 버튼으로, 교정방식으로는 ZERO 또는 SPAN 자동버퍼인식 기능이 있어 버퍼 자동 인식 후 버퍼값을 수동으로 변경 입력 할 수 있으며, 온도 보정치 를 수정 가능하며, 자유자재로 수동보상이 가능하다.
이때의, 교정 준비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센서부(23)를 물 또는 적당한 완충용액에 담구어 둔다.
반면, 공기 중에 방치하여 말은 상태의 센서부(23)는 2시간 이상 물 또는 완충용액에 넣어서 안정화된 후 교정작업을 실시한다.
먼저, Zero 교정용액에 센서부(23)를 담그면 자동으로 버퍼를 인식하고, 수동 입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입력할 숫자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한 후, Zero 교정 버튼을 터치하면 Zero 교정이 진행된다.
이후, Zero 교정이 끝나면 SPAN 교정을 Zero 교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한다.
5. 설정변경버튼(51e)은 접점 상위/상한, 접점 상위/하한, 접점 하위/상한,접점 하위/하한, 아날로그 출력 하위 아날로그 출력, 하위 전극 기전력 사양, 1℃당 온도 보정치, 센서 세정주기, 센서 세정시간 등의 항목을 설하는 버튼이다.
6. 트렌드버튼(51f)은 측정값을 그래프로 보기 위한 버튼이다.
7. 자료버튼(51h)은 열람을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 년, 월, 일, 및 시간을 입력하여 기록되었던 지난 기간의 자료를 열람하거나 출력, 저장할 수 있는 버튼이다.
또한, 키보드(52)는 일반 PC용 키보드로 구성되며, 마우스를 동시에 구성하여 키보드(52)와 동시에 운용하고, 모니터(51)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키보드(52)는 통합시스템의 모든 기능 제어 및 설정변경을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의 습득이 필요 없어 사용상 편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피씨본체(53)는 인텔 윈도우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운용 시스템으로서, 통합 시스템의 모든 기능의 제어를 관할하는 중앙 처리 역할을 하며 외부와 통신 유지를 하도록 구성된다.
즉, 피씨본체(53)는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본체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산업용 PC에 비해 사후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수리비용이 절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데이터로그기(60)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에 연결되어 렉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 그래프방식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로그기(60)는 시리얼 멀티 전송방식이나 메모리 저장방식으로 작동되며, 피씨본체(53)에 연결되어 피씨본체(53)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데이터와는 별도로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여 피씨본체(53)가 파손되어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로그기(60)는 피씨본체(53)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출력하는 방식이 아니라,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로그기(60)는 수질측정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컴퓨터부(60)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별도로 구성된 베터리(도면상 미도시)에 연결되어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개별적인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전달받 으며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데이터로그기(60)는 센서부(23)의 센서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펜(도면상 미도시)이 센서부(23)와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받으며, 드럼방식으로 말아진 기록지에 측정데이터를 선 그래프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적외선다운기(70)는 컴퓨터부(50)의 피씨본체(53)에 연결되어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방식의 저장방식으로 데이터를 간편하게 저장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합형 수질측정기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인가단계(S1)는 교정작업이 완료된 수질측정기(100)를 측정작업을 시행할 측정수가 저수된 장소나 측정실에 이동시켜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수질측정기(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준비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전원인가단계(S1)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과 통합데이터수집부(40) 및 컴퓨터부(50)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후,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는 전원인가단계(S2)가 완료되면 컴퓨터부(50)의 키보드(52)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실행시키는 명령을 실행시킨다.
다음으로, 측정단계(S3)는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를 거친 후 측정부(20)에 삽입된 각각의 센서부(23)의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측정부(20)의 공급펌프(21)를 작동시켜 측정수를 일정한 유속과 유량 으로 셀블럭(22)의 측정공간(22c)에 충진시킨 후 센서부(23)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게 된다.
즉, 센서부(23)에서는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온도측정(℃), 복합 유리 전극방식이나 안티모니 방식을 이용한 수소이온측정(pH), 과망간산칼륨이나 UV법, 전기화학방식을 이용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COD), 광 전식이나 적외선 투과광 방식을 이용한 부유물질측정(SS), 흡광도법이나 2 파장 흡수법 방식을 이용한 전체질소량측정(TN) 및 전체인량측정(TP)의 측정을 수행한다.
이후, 개별데이터수집단계(S4)는 측정단계(S3)에서 측정된 각각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집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개별데이터수집부(30)를 구성하는 렉이 센서부(23)의 여러 가지 항목의 센서가 측정수를 측정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집한다.
다음으로, 통합데이터수집단계(S5)는 개별데이터수집단계(S4)를 통해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에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달받는다.
이렇게, 통합데이터수집단계(S5)에 수집된 개별 데이터들은 컴퓨터부(50)로 전송된다.
그리고, 데이터처리단계(S6)는 통합데이터수집단계(S5)에서 수집된 통합 데이터를 컴퓨터부(50)로 이동시켜 모니터(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플로피디스켓이나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한 다.
즉, 수질측정기(100)를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측정자는 모니터(51)를 통해 측정수의 각종 데이터를 쉽게 확인 가능하며, 데이터를 간단하게 저장하며 통합관리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수집대기단계(S7)는 데이터처리단계(S6)를 마친 후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로부터 명령을 받아 측정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데이터수집대기단계(S7)는 지속적으로 측정수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시스템적으로 구분된 단계로서, 수질측정기(100)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정지 시간을 할당받지 않고,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의 명령을 반복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이다.
더불어, 보조데이터저장단계(S8)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의 렉과 연결된 데이터로그기(60)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며, 데이터로그기(60)에서는 각각의 렉에 신호방식으로 연결된 펜이 두루마리로 말려진 기록지에 그래프방식으로 기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셀블럭(22)의 내부에 유입된 측정수의 여러 가지 데이터를 단일 측정방식으로 모두 측정가능하여 측정작업 및 방법이 간단하다.
또한, 컴퓨터부(50)의 피씨본체(53)에 내장된 하드디스크에 실시간으로 측정수의 데이터가 저장되며, 더불어, 데이터로그기(60)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여 데이터의 손실의 우려의 문제점이 제거되었다.
그리고, 컴퓨터부(50)의 피씨본체(53)에 형성된 플로피디스켓이나 USB포트를 이용하여 외부로 측정수의 데이터를 쉽게 이동가능하며, 유무선방식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원거리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부가된다.
아울러, 숙련된 관리자 및 측정자가 아니더라도 컴퓨터를 운용가능하면 쉽게 수질측정기(100)를 운용할 수 있어, 대중화를 이루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관리를 할 수 있어 정,오수 및 폐수처리장, 플랜트 콘트롤 및 생산공정, 수영장 및 광천과 온천수, 생산품의 공정라인 및 도금처리설비, 수경재배 및 양어장, 식품 프로세스라인, 제약회사 프로세스라인, 산업 프로세스 라인의 수질제어, 수질측정 감시 및 제어분야에 간단하며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보급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부에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서를 삽입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단일 측정으로 획득할 수 있어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측정시간이 감소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씨본체에 형성된 플로피디스켓이나 유에스비와 적외선다운기 및 데이터로그기를 형성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간단하게 다운받거나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의 관리가 쉽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가 간편하고, 통합패키지의 설치로 경제성이 뛰어나며, 조작이 편리하고, 한글화 지원으로 편리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으며, 단일화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측정 및 분석, 데이터 전송의 일관성에 따른 데이터의 신뢰도가 상승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외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측정부(20)와, 측정부(20)에 연결되어 측정결과를 개별 단위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와, 개별데이터수집부(30)에 연결되어 개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통합데이터수집부(40)와, 통합데이터수집부(40)의 통합 데이터를 디지탈방식으로 연산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니터(51)에 표시하며, 키보드(52)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키보드(52)에 연결된 피씨본체(53)로 이루어지는 컴퓨터부(50)로 구성되는 수질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는 측정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21)와, 공급펌프(21)를 통해 공급된 측정수가 유입되어 저수되게 형성된 셀블럭(22)과, 셀블럭(22)의 내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센서부(23)와, 셀블럭(22)의 내부에 만수된 측정수가 흘러넘치는 오버플로어관(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부(30)에는 개별데이터수집부(3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가능하도록 연결된 데이터로그기(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부(50)의 피씨본체(53)에는 피씨본체(53)에 저장된 수집된 데이터를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의 적외선다운기(70)가 연결되어 다운로딩 할 수 있도록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21)는 일정한 유량과 유속으로 측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펌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블럭(22)은 외부의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검은 플라스틱재질이며, 내부공간은 하부에 연통홀(22a)이 형성된 분할벽(22b)에 의해 분할되어 두 개 이상의 측정공간(22c)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오버플로어관(22d)이 결합되는 결합홀(22e)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측정수가 공급되는 공급홀(22f)이 형성되되, 타측면에는 넘치는 측정수가 배수되는 배수홀(22g)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센서부(23)가 삽입되는 센서홀(22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3)는 온도측정센서, 수소이온측정센서, 화학적산소요구량측정센서, 부유물질량측정센서, 전체질소량측정센서, 전체인량측정센 서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
  8. 삭제
  9. 삭제
  10.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준비를 수행하는 전원인가단계(S1)와,
    상기 전원인가단계(S1) 후 컴퓨터부(50)를 이용하여 측정수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실행시키는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와,
    상기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를 거친 후 측정부(20)에 삽입된 각각의 센서부(23)의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수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단계(S3)와,
    상기 측정단계(S3)에서 측정된 각각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집하는 개별데이터수집단계(S4)와,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단계(S4)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달받는 통합데이터수집단계(S5)와,
    상기 통합데이터수집단계(S5)에서 수집된 통합 데이터를 컴퓨터부(50)로 이동시켜 모니터(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플로피디스켓이나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처리단계(S6)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S6)를 마친 후 데이터수집명령단계(S2)로부터 명령을 받아 측정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데이터수집대기단계(S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를 이용한 측정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데이터수집단계(S4)에서 수집된 측정수의 각각의 데이터를 데이터로그기(6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보조데이터저장단계(S8)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질측정기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20060105721A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071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21A KR100718261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21A KR100718261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261B1 true KR100718261B1 (ko) 2007-05-14

Family

ID=3827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21A KR100718261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2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44B1 (ko) * 2008-11-06 2009-05-11 (주)썬텍엔지니어링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0947354B1 (ko) * 2009-08-28 2010-03-17 주식회사 랩트로닉스 다채널 수질분석장치
KR101030980B1 (ko) 2008-07-16 2011-04-28 (주) 그린텍아이엔씨 디지털 직렬 통신 버스 방식의 센서를 결합한수질다항목측정장치
KR101039004B1 (ko) * 2010-09-10 2011-06-03 (주)엠큐빅 자동인식 기능 다항목 수질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N108776206A (zh) * 2018-07-26 2018-11-09 俞怡蒙 一种便携式智能水质检测仪及其检测方法
KR20220016725A (ko) * 2020-08-03 2022-02-10 이엠씨 주식회사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KR20220143420A (ko) 2021-04-16 2022-10-25 정의봉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705A (ko) * 2000-04-25 2000-08-05 한종필 토양 수분측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11854B1 (ko) 1998-10-29 2001-12-28 신한길 지하수자동관측시스템
KR20030003800A (ko) * 2001-07-02 2003-01-14 정천희 네트워크와 수서 생물, 박테리아를 이용한 수질검사장치
KR200329215Y1 (ko) 2003-07-07 2003-10-08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웹기반 원격무인 중소규모 하폐수처리장 시설감시 제어용수질측정 및 공정최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이결합된 일체형 통합시스템
KR20030086725A (ko) * 2002-05-06 2003-11-12 이인희 통신단말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장치 및 그 기록매체
US6988394B2 (en) 2003-02-03 2006-01-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automated biomonitoring of water qual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854B1 (ko) 1998-10-29 2001-12-28 신한길 지하수자동관측시스템
KR20000049705A (ko) * 2000-04-25 2000-08-05 한종필 토양 수분측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03800A (ko) * 2001-07-02 2003-01-14 정천희 네트워크와 수서 생물, 박테리아를 이용한 수질검사장치
KR20030086725A (ko) * 2002-05-06 2003-11-12 이인희 통신단말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장치 및 그 기록매체
US6988394B2 (en) 2003-02-03 2006-01-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automated biomonitoring of water quality
KR200329215Y1 (ko) 2003-07-07 2003-10-08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웹기반 원격무인 중소규모 하폐수처리장 시설감시 제어용수질측정 및 공정최적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이결합된 일체형 통합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80B1 (ko) 2008-07-16 2011-04-28 (주) 그린텍아이엔씨 디지털 직렬 통신 버스 방식의 센서를 결합한수질다항목측정장치
KR100896044B1 (ko) * 2008-11-06 2009-05-11 (주)썬텍엔지니어링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0947354B1 (ko) * 2009-08-28 2010-03-17 주식회사 랩트로닉스 다채널 수질분석장치
KR101039004B1 (ko) * 2010-09-10 2011-06-03 (주)엠큐빅 자동인식 기능 다항목 수질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N108776206A (zh) * 2018-07-26 2018-11-09 俞怡蒙 一种便携式智能水质检测仪及其检测方法
KR20220016725A (ko) * 2020-08-03 2022-02-10 이엠씨 주식회사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KR102468515B1 (ko) * 2020-08-03 2022-11-18 이엠씨 주식회사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KR20220143420A (ko) 2021-04-16 2022-10-25 정의봉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261B1 (ko) 통합형 수질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TWI581203B (zh) Cloud monitoring device
CN103760623B (zh) 全自动水面蒸发量监测系统
CN100437085C (zh) 混凝土中钢筋腐蚀监测装置
CN103983304A (zh) 一种河道水质监测系统及方法
CN103529812B (zh) 一种农村微动力远程水质监测与设备控制器
KR100694865B1 (ko) 간이상수도 통합관제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EP3084534B1 (de) Feldgerät der prozessautomatisierung
CN105158110A (zh) 一种适用于不同地下水埋深的小型蒸渗仪
CN101762446B (zh) 一种渗漏测量仪及用其测量渗漏量的方法
Jiménez-Carvajal et al. Weighing lysimetric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water balance during irrigation in potted plants
KR101621449B1 (ko)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KR101159120B1 (ko) 발전용수 수질측정의 제어 및 감시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통합형 수질측정 시스템
CN103983600A (zh) 用于地震前兆监测的数字化二氧化碳观测仪
CN103105265B (zh) 一种负荷传感器在线检测仪
Stevens et al. The range, distribution and implementation of irrigation scheduling models and methods in South Africa
CN113075368A (zh) 智能增减雨模拟系统及其标定方法
KR20160139944A (ko) 농장 사료 효율 측정 시스템 및 농장 사료 효율 측정 방법
US8276890B1 (en) Pressure monitoring panel for aeration basins
KR101042304B1 (ko) 요금관리시스템 연계 유수율제고시스템
CN212009004U (zh) 一种基于称重定容的雨量计户外检测装置
CN115060867A (zh) 可持续校准的高精度水质监测方法
KR100970151B1 (ko) 수질측정장치
CN211043118U (zh) 一种基于深紫光电外探测器的多参数水质在线监测装置
CN209878735U (zh) 水质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